KR20160012398A - 터치 윈도우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398A
KR20160012398A KR1020140093748A KR20140093748A KR20160012398A KR 20160012398 A KR20160012398 A KR 20160012398A KR 1020140093748 A KR1020140093748 A KR 1020140093748A KR 20140093748 A KR20140093748 A KR 20140093748A KR 20160012398 A KR20160012398 A KR 20160012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ouch window
pattern
sub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791B1 (ko
Inventor
엄준필
김현수
윤여은
장신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7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기재는 터치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및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패턴 내에 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서브패턴은 음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TOUCH WINDOW}
본 기재는 터치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대표적으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에 압력을 가했을 때 전극 간 연결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제조 방식의 편의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소형 모델에 있어서는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에 감지 전극 및 이러한 감지 전극에 연결되는 배선 전극을 배치하고, 감지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을 터치하였을 때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전극 및 배선 전극은 하나의 기판을 이용하여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복 수개의 기판을 이용하여 각각의 기판의 일면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곡면을 가지거나 휘어지는 터치 윈도우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윈도우 즉, 기판이 휘어짐에 따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극 들에 응력이 발생하여 이러한 응력에 의해 전극에 크랙 등이 발생하여 전극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새로운 구조의 터치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및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패턴 내에 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서브패턴은 음각으로 형성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감지전극이 음각으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필름 또는 기판을 생략할 수 있고, 터치 윈도우의 적층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율을 향상 및 두께 감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곡면(curved) 터치 윈도우 또는 플렉서블(flexible)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는 전극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의 벤딩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위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적용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도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을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10)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영역(AA)의 주위에 배치도는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극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유효 영역(UA)에는 전극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3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배선(300)에 연결되는 외부 회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윈도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100)은 이 위에 형성되는 전극부(200), 배선(300) 및 회로 기판 등을 지지할 수 잇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리지드(rigid)하거나 또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소다라임유리(soda lime glass)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등의 화학 강화유리를 포함하거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 이미드(PI)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사파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사파이어는 유전율 등 전기 특성이 매우 뛰어나 터치 반응 속도를 획기적으로 올릴수 있을 뿐 아니라 호버링(Hovering) 등 공간 터치를 쉽게 구현 할 수 있고 표면 강도가 높아 커버 기판으로도 적용 가능한 물질이다. 여기서, 호버링이란 디스플레이에서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도 좌표를 인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 외곽 더미층이 형성된다. 외곽 더미층은 배선(300)과 이 배선(300)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곽 더미층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외곽 더미층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더미층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부분적으로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다. 즉, 기판은 부분적으로는 평면을 가지고, 부분적으로는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의 끝단이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지거나 Random한 곡률을 포함한 표면을 가지며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전극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0)는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전극부(200)가 기판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부(200)는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 및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두 종류의 전극부(2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전극부(200)는 메쉬 형상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부(200)는 메쉬 개구부(OA) 및 메쉬 선부(L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쉬 선부(LA)의 선폭이 0.1㎛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선폭이 0.1㎛이하일 경우 제조 공정 상 불가능할 수 있다. 선폭이 10㎛ 이하일 경우 전극부(200)의 패턴이 눈에 보이지 ??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극부(220) 선부(LA)의 선폭은 0.5㎛ 내지 7㎛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부(220) 선부(LA)의 선폭은 1㎛ 내지 3.5㎛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쉬 개구부(OA)는 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쉬 개구부(O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쉬 개구부(OA)는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의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 개구부(OA)는 규칙적인(regular) 형상 또는 랜덤(random)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0)가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효 영역(AA)상에서 상기 전극부(200)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부(200)가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0)가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0)가 인쇄 공정으로 형성될 경우, 인쇄 품질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터치 윈도우를 확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부(200)는 제1 서브패턴(211), 제2 서브패턴(212), 전극층(222), 제1반사방지층(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패턴(211)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서브패턴(211)은 상기 메쉬 선부(LA)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서브패턴(110)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서브패턴(211)은 음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서브패턴(211)에 인접하여 제2 서브패턴(212)이 배치된다. 상기 제2 서브패턴(212)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서브패턴(212)은 상기 메쉬 개구부(OA)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서브패턴(212)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1)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패턴(212)은 양각일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패턴(211) 및 제2 서브패턴(212)은 수지(resin)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222)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1)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층(222)은 상기 메쉬 선부(LA)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층(222)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전극층(222)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극층(210)은 Cr, Mo, Cu, Au, Ag, Al, Ti, 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222)의 적어도 일면에 접하도록 제1 반사방지층(231)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은 상기 전극층(222)의 상면에만 형성되거나 하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은 상기 전극층(222)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은 상기 전극층(222)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금속으로 형성된 전극층(222)의 산화를 방지하고, 금속의 전반사 특성으로 인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층(222)의 하면에 제1 반사방지층(231)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1)과 상기 전극층(22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층(222)과 상기 제1 서브패턴(211)의 밀착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은 흑화물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흑화물질층은 흑색의 금속산화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CuO, CrO, FeO, Ni2O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층(222)의 반사성을 억제할 수 있는 흑색계통의 물질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 및 전극층(222)은 동시에 형성되거나, 별도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극층(222) 상에 제2 반사방지층(2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터치 윈도우에서 전극층(222)의 일면에 제1 반사방지층(231)이 형성되고, 이면에 제2 반사방지층(232)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세하게, 전극층(222)은 제1 서브패턴(211)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전극층(222)의 일면에 접하도록 제1 반사방지층(2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은 상기 전극층(222)의 하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은 상기 전극층(222)의 하면에 형성되어 금속으로 형성된 전극층(222)의 산화를 방지하고, 금속의 전반사 특성으로 인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층(222)의 하면에 제1 반사방지층(231)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1)과 상기 전극층(22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층(222)과 상기 제1 서브패턴(211)의 밀착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전극층(222)의 이면에 접하도록 제2 반사방지층(2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반사방지층(232)은 상기 전극층(222)의 상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방지층(232)은 금속의 전반사 특성으로 인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층(222)의 상면에 제2 반사방지층(232)이 형성되는 경우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반사방지층(232)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에 대비하여 흑화물질의 농도가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방지층(232)은 흑화물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흑화물질층은 흑색의 금속산화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CuO, CrO, FeO, Ni2O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층(222)의 반사성을 억제할 수 있는 흑색계통의 물질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과 제2 반사방지층(232)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반사방지층(231)은 CuOxNy의 구조를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반사방지층(232)은 CuOwNz의 구조를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과 제2 반사방지층(232)은 x와 w 및 y와 z의 비율이 상이하여 상기 제1 반사방지층(231) 및 제2 반사방지층(232)은 조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극층(222), 제1 반사방지층(231) 및 제2 반사방지층(232)은 기판(100)의 타면(100b)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의 타면(100b)에 전극부(200)를 형성하고, 상기 전극부(200)는 제1 서브패턴(211), 제2 서브패턴(212), 전극층(222), 제1반사방지층(231) 및 제2 반사방지층(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0)가 기판(100)의 타면(100b)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전극부(200)는 상기 기판이 평면과 곡면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기판(100)의 휘어지는 안쪽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전극부(200)는 상기 기판(100)의 수축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0)이 곡면을 가지거나 휘어지는 경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전극부(200)에 가해지는 응력은 기판(100)이 휘어지는 바깥쪽면 즉, 이완되는 면에 배치되는 것에 비해 상기 기판(100)이 휘어지는 안쪽면 및 기판(100의 수축되는 면에 배치될 때 더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100)이 곡면을 가지거나 휘어질 때,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전극부(200)가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치윈도우의 벤딩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수치증(20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지층(200')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이 형성된 몰드(M)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지층(200')은 UV 또는 열경화성 수지층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지층(200')상에 몰드(M1)로 임프린팅(imprinting)할 수 있다. 상기 임프린팅 공정을 토해 제1 서브패턴(211) 및 제2 서브패턴(212)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패턴(211)과 제2 서브패턴(212)의 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패턴(211)은 마이크로미터 단위 일 수 있고, 제2 서브패턴(212)은 나노미터 단위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서브패턴(211)은 제2 서브패턴(21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서브패턴(211) 및 제2 서브패턴(212)은 양각 패턴 및 음각 패턴을 가지는 몰드(M)를 임프린팅함으로써, 상기 제1 서브패턴(211)은 음각으로 형성되고, 제2 서브패턴(212)은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서브패턴(211) 및 상기 제2 서브패턴(212) 상에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은 증착 또는 스퍼터링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상에 전극물질(22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물질(222')은 증착 또는 스퍼터링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물질(222')상에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은 증착 또는 스퍼터링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 전극물질(222') 및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을 에칭할 수 있다. 이때,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 전극물질(222') 및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을 한번의 공정으로 에칭할 수 있다. 즉,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 전극물질(222') 및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을 하나의 에칭액으로 에칭할 수 있다.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 전극물질(222') 및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을 에칭 시 제2 서브패턴(212) 및 제1 서브패턴(211)과 상기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 전극물질(222') 및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의 접합 면적 차이에 따라 에칭 속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패턴(211)과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 전극물질(222') 및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의 접합 면적이 제2 서브패턴(212)과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 전극물질(222') 및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의 접합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서브패턴(211) 상에 형성되는 전극물질의 에칭이 적게 일어나고, 동일한 에칭 속도에 따라 제1 서브패턴(211) 상에 형성되는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 전극물질(222') 및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은 남게 되고, 제2 서브패턴(212)상에 형성되는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 전극물질(222') 및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은 에칭되어 제거됨에 따라 상기 기판(100) 상에는 제1 서브패턴(211)의 제2 반사방지층물질(232'), 전극물질(222') 및 제1 반사방지층물질(23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10)는 구동부인 표시패널(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윈도우(10) 및 표시패널(20)이 합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는 표시 패널(21) 및 라이트 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1)은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패널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모듈(22)은 상기 표시 패널 방향으로 광을 츨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LCD)는 복수 개의 액정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정 소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 신호에 따라 내부적인 분자의 배열이 변화하여 각각 일정한 패턴의 방향성을 띌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라이트 모듈(22)에서 출사되는 광들이 상기 표시 패널을 통과하면서, 상기 광들을 각각 다른 패턴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편광 필터 및 컬러 필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는 표시 패널 없이 상기 라이트 모듈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픽셀에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라이트 모듈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는 라이트 모듈 없이 표시패널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PD)등은 표시패널 자체가 라이트 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윈도우는 상기 구동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터치 윈도우는 커버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윈도우는 상기 구동부와 접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구동부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등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상기 접착제 없이 구동부 상에 직접 전극이 형성되는 온-셀(on-cell) 구조 또는 상기 구동부 내부에 터치 윈도우가 배치되는 인-셀(in-cell)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타입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터치 윈도우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의 제1감지전극 및 제2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감지전극, 제2 감지전극, 상기 제1 감지전극 및 제2 감지전극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배선 전극 및 제2 배선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2 감지 전극은 상기 기판의 동일한 일면 상에서 서로 절연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터치 윈도우는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제3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 상의 제1 감지 전극 및 제3 기판 상의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과 연결되는 제1 배선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3 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감지 전극 및 상기 제2 감지 전극과 연결되는 제2 배선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터치 디바이스 장치의 일례로서, 이동식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단말기(1000)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 윈도우는 휘어지는 플렉서블(flexible)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는 플렉서블 터치 디바이스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휘거나 구부릴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는 이동식 단말기 등의 터치 디바이스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 네비게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는 차량 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윈도우는 차량 내에서 터치 윈도우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PND(Personal Navigation Display)뿐만 아니라, 계기판(dashboard) 등에 적용되어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터치 디바이스 장치는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1)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및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패턴 내에 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서브패턴은 음각으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패턴 내에 형성되는 전극층의 적어도 일 면에는 반사방지층이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기 전극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반사방지층; 및
    상기 전극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의 농도는 제2 반사방지층의 농도보다 낮은
    터치 윈도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방지층 및 상기 제2 반사방지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휘어지는 곡면을 가지는
    터치 윈도우.
  7.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타면 상에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및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패턴 내에 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서브패턴은 음각으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패턴 내에 형성되는 전극층의 적어도 일 면에는 반사방지층이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기 전극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반사방지층; 및
    상기 전극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윈도우는 곡면 터치 윈도우 또는 플렉서블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KR1020140093748A 2014-07-24 2014-07-24 터치 윈도우 KR102237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748A KR102237791B1 (ko) 2014-07-24 2014-07-24 터치 윈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748A KR102237791B1 (ko) 2014-07-24 2014-07-24 터치 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398A true KR20160012398A (ko) 2016-02-03
KR102237791B1 KR102237791B1 (ko) 2021-04-09

Family

ID=5535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748A KR102237791B1 (ko) 2014-07-24 2014-07-24 터치 윈도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371A1 (ko) * 2018-05-15 2019-11-21 주식회사 더유엠에스 알에프 에스오씨 초소형 모션센서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901A (ko) * 2011-07-21 2013-01-30 미래나노텍(주)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30121336A (ko) * 2012-04-27 2013-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40009805A (ko) * 2012-07-13 2014-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1026A (ko) * 2012-12-03 2014-06-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901A (ko) * 2011-07-21 2013-01-30 미래나노텍(주)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30121336A (ko) * 2012-04-27 2013-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40009805A (ko) * 2012-07-13 2014-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1026A (ko) * 2012-12-03 2014-06-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371A1 (ko) * 2018-05-15 2019-11-21 주식회사 더유엠에스 알에프 에스오씨 초소형 모션센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791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4639B1 (en)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with the same
JP2015053055A (ja) タッチウィンドウ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デバイス
KR20120018059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10191590B2 (en) Touch window
JP5362397B2 (ja) 透明面状体及び透明タッチスイッチ
CN103838445A (zh) 触窗
US20150253910A1 (en)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130119045A (ko)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046022A (ko) 터치 패널
KR101368684B1 (ko) 터치 검지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9442613B2 (en) Touch window
KR102053238B1 (ko) 터치 윈도우
KR20160007227A (ko)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KR20150107139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791B1 (ko) 터치 윈도우
KR20120023288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34010A (ko) 터치윈도우
KR102329717B1 (ko) 터치 윈도우
KR20170038428A (ko) 터치 윈도우
KR102187469B1 (ko) 터치 윈도우
KR20160014942A (ko) 터치 윈도우
KR102074875B1 (ko) 터치 윈도우
KR102019059B1 (ko) 터치 윈도우
KR20150087942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7388A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