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478A -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 - Google Patents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478A
KR20160011478A KR1020140092626A KR20140092626A KR20160011478A KR 20160011478 A KR20160011478 A KR 20160011478A KR 1020140092626 A KR1020140092626 A KR 1020140092626A KR 20140092626 A KR20140092626 A KR 20140092626A KR 20160011478 A KR20160011478 A KR 20160011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layer
resin
back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580B1 (ko
Inventor
박효순
김현철
고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9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5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섬유층을 포함하는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을 제공한다. 유리 섬유층은 유리 섬유 시트와 불소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염(flame)에 강한 저항력을 가져 난연성이 우수하면서, 이와 함께 양호한 접착력 및 절연성 등을 갖는다.

Description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 {BACK SHEET FOR LIGHT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GHT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염(flame) 등에 강하여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는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환경 문제와 화석 연료의 고갈 등으로 인해 신재생 에너지 및 청정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 중에서 광을 이용한 에너지는 환경오염 문제 및 화석 연료 고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태양 전지(solar cell) 등과 같은 광전지는 주택용, 공업용 등으로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광전지는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소자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태양광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외부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야 하므로, 내부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패키징이 수행되어 유닛(unit) 형태로 제조되며, 이러한 유닛을 통상 광전지 모듈이라 한다.
또한, 대부분의 광 모듈, 예를 들어 태양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 등의 광 모듈은 내부 소자(예를 들어, 태양전지 셀)를 보호하기 위한 백시트(back sheet)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모듈의 경우에는 광이 입사되는 투명 전면부재, 복수의 태양전지 셀이 봉지된 봉지재층, 및 백시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투명 전면부재로는 주로 강화유리나 전면시트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셀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되, 상기 봉지재층에 의해 패킹, 봉지되어 있다. 상기 백시트는 태양전지 모듈의 하측면, 즉 상기 봉지재의 하부 면에 부착되어 태양전지 셀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백시트는 봉지재층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거나 열 라미네이션(heat lamination)되어 부착된다.
태양전지 모듈은 장시간에 걸쳐 출력 저하가 없는 장수명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장수명화를 위해, 상기 백시트는 태양전지 셀에 악영향을 주는 수분이나 산소를 차단할 수 있고, 자외선 등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백시트는 태양전지 모듈의 장수명화를 위해 높은 온도나 습도, 그리고 자외선 등에 잘 견딜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백시트는 일반적으로 기재와, 상기 기재의 양면에 형성된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지층으로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 Polyvinylidene fluoride) 등의 불소계 고분자 필름이 주로 사용된다. 불소계 고분자는 내후성 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2820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0227호에는 이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백시트는 화염(flame) 등에 노출 시, 대부분 타거나 녹아내리는 등의 난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금속 호일(foil)을 백시트에 접착하는 기술이 시도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 2001-036116호에는 아연 박막을 백시트에 접착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연 박막 등의 금속 호일을 적용하는 경우, 화염(flame)에 대한 저항력은 가질 수 있지만, 기재와의 접착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 호일은 백시트의 절연성을 떨어뜨려 실제 제품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282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0227호 일본 공개특허 2001-036116호
이에, 본 발명은 개선된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화염(flame)에 강하여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면서 접착력 및 절연성 등이 향상된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리 섬유층을 포함하는 광 모듈용 백시트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광 모듈용 백시트는,
기재;
상기 기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상에 형성된 유리 섬유층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유리 섬유층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유리 섬유 시트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유리 섬유층은 불소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는, 예를 들어 함침에 의하거나 코팅에 의해 형성되어, 유리 섬유층의 기계적 강도나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백시트를 포함하는 광 모듈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모듈은,
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 상에 형성되고, 태양전지 셀이 봉지된 봉지재층; 및
상기 봉지재층 상에 형성된 상기 본 발명의 백시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봉지재층에 백시트의 유리 섬유층이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광 모듈용 백시트 및 광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염(flame)에 강하여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면서 접착력 및 절연성 등이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 모듈용 백시트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 모듈용 백시트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 모듈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백시트의 전기 절연성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각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두께는 확대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고, 도면에 표시된 두께, 크기 및 비율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에 형성", "한 면에 형성" 및 "양면에 형성" 등은, 당해 구성요소들이 직접 접하여 적층 형성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구성요소들 간의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형성되어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에 형성된다."라는 것은, 제1구성요소의 표면 위에 제2구성요소가 직접 접하여 형성되는 의미는 물론, 상기 제1구성요소와 제2구성요소의 사이에 제3구성요소가 더 형성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광 모듈용 백시트(이하, '백시트'로 약칭한다.)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백시트(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시트(100)는 유리 섬유층(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시트(100)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 섬유층(10)을 포함하되, 1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1층의 유리 섬유층(10)을 가지는 백시트(100)를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기존 백시트 적층체(20)에 유리 섬유층(10)이 적층된 다층 구조의 백시트(100)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시트(100)는 다층 구조로서, 예를 들어 기재(21)와, 상기 기재(21) 상에 형성된 수지층(22)과, 상기 수지층(22) 상에 형성된 유리 섬유층(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층(22)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복수 개일 수 있다. 수지층(22)은 예를 들어 기재(21)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로서, 상기 수지층(22)이 기재(21)의 양면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백시트(100)는 하나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기재(21); 상기 기재(21)의 일측면(도 2에서 상부면) 상에 형성된 제1 수지층(22); 상기 기재(21)의 타측면(도 2에서 하부면) 상에 형성된 제2 수지층(22); 및 상기 제1 수지층(22) 상에 형성된 유리 섬유층(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시트(100)의 적층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시트(100)는, 예를 들어 기재(21), 하나 이상의 수지층(22) 및 유리 섬유층(10)을 포함하되, 이들 이외에 다른 기능성 층을 하나 또는 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시트(100), 예를 들어 상기 수지층(22)과 유리 섬유층(10)의 사이에 형성된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수지층(22)과 유리 섬유층(10) 간의 층간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접착제층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폴리올레핀계 등의 수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층들의 사이에는 다른 중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21)와 수지층(22)의 사이에는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기재(21)와 수지층(22) 간의 층간 접착력을 위한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폴리올레핀계 등의 수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백시트(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리 섬유층
상기 유리 섬유층(10)은 유리 섬유(glass fabric)를 포함한다. 유리 섬유는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다. 유리 섬유는, 특히 화염(flame)에 강한 저항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유리 섬유층(10)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적층체(20)를 화염(flame)으로부터 보호하여, 기재(21)나 수지층(22)이 타거나 녹아내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리 섬유층(10)은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유리 섬유층(10)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 시트 및/또는 유리 섬유 분쇄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섬유층(10)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서 1장 또는 2장 이상 복수의 유리 섬유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 시트는 직물(woven fabric) 및/또는 부직포(non-woven fabric)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유리 섬유 시트는 직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리 섬유 시트는 유리 섬유 가닥들을 직조 공정을 통해 엮어 제조한 직물형의 유리 섬유 시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직물형 유리 섬유 시트는 부직포형에 비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 난연성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섬유층(10)은 불소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는, 예를 들어 함침에 의하거나 코팅에 의해, 유리 섬유층(10)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불소계 수지는 유리 섬유층(10)의 기계적 강도 등은 물론, 특히 난연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킨다. 구체적으로, 불소계 수지는 다른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등에 비해 유리 섬유층(10)에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섬유층(10)은 제1구현예에 따라서, 유리 섬유 시트와, 상기 유리 섬유 시트에 분산된 불소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리 섬유층(10)은, 유리 섬유 시트가 불소계 수지액에 함침되어 불소계 수지가 분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리 섬유층(10)은 유리 섬유 시트를 불소계 수지액에 함침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어, 유리 섬유 시트의 표면에는 물론 내부 섬유 조직에 불소계 수지가 분산, 고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층(10)은 제2구현예에 따라서, 유리 섬유 시트와, 상기 유리 섬유 시트 상에 코팅된 불소계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섬유층(10)은 유리 섬유 시트의 표면에 불소계 수지액을 코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섬유층(10)은 제3구현예에 따라서, 유리 섬유 분쇄물과 불소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섬유층(10)은 유리 섬유 시트를 분쇄하여 유리 섬유 분쇄물을 얻은 다음, 유리 섬유 분쇄물과 불소계 수지액을 혼합한 후, 시트 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층(1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약 5㎛ 내지 500㎛, 또는 약 10㎛ 내지 300 ㎛의 범위일 수 있다. 유리 섬유층(10)의 두께를 상기와 같은 범위로 조절하여, 화염(flame)에 대한 난연성 및 백시트(100)로서의 기계적 물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리 섬유층(10)의 두께는 전술한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섬유층(10)을 구성하는 불소계 수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2) 기재
상기 기재(21)는 당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요구되는 기능 및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재(21)는, 하나의 예시에서 고분자 필름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기재(21)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아미드계 필름 및 폴리우레탄계 필름 등의 단일 시트, 적층 시트 또는 공압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21)는,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되되, 베이스 수지로서 내열성 등에서 유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alate)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hylene Terephtal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21)는, 다른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폴리올레핀계 필름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폴리올레핀계 필름은, 일례로 폴리프로필렌(PP) 필름을 들 수 있다. 기재(21)는 하나의 예시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기재(21)에는 수지층(22)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한 접착 강화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21)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고주파수의 스파크 방전 처리; 열 처리; 화염 처리; 앵커제 처리; 커플링제 처리; 프라이머 처리 또는 기상 루이스산(ex. BF3), 황산 또는 고온 수산화나트륨 등을 사용한 화학적 활성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 방법은 일반 산업분야에서 통용되는 모든 공지의 수단에 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면 처리를 통해 수지층(22)과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재(21)에는 수분 차단 특성 및/또는 난연성 등의 추가적인 향상의 관점에서, 기재(21)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무기물 증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분 차단 특성이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규소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재(21)의 일면 또는 양면에 무기물 증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증착법 등에 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재(21)의 일면 또는 양면에 무기물 증착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재(21)의 표면에 무기물 증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증착층 상에 전술한 표면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기재(21) 상에 형성된 증착층 상에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전술한 스파크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커플링제 처리, 앵커제 처리 또는 화학적 활성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재(21)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약 20㎛ 내지 1000㎛, 또는 약 50㎛ 내지 300 ㎛의 범위일 수 있다. 기재(21)의 두께를 상기와 같은 범위로 조절하여, 백시트(100)의 전기 절연성, 수분 차단성, 기계적 특성 및 취급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21)의 두께는 전술한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3) 수지층
상기 수지층(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21)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이는 코팅층 및 필름층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지층(22)은 기재(21) 상에 필름이 접합되어 구성되거나, 수지 조성물이 코팅,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지층(22)이 필름인 경우, 이는 기재(21)에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거나, 열 융착(열 라미네이션) 등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22)은 내구성, 내후성 등을 가지는 수지를 포함하면 좋다. 상기 수지층(22)은 내구성, 내후성 등에서 유리한 수지로서,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층(22)은 불소계 수지 코팅층 또는 불소계 수지 필름층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불소계 수지의 구체적인 구성(종류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수지층(22)은 수지 성분으로서, 불소계 수지 이외에 다른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지층(22)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수지층(22)은 수지 성분으로서, 불소계 수지와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불소계 수지와 혼합되어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기재(21)와의 접착력 등을 개선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불소계 수지와 상용성이 뛰어나 본 발명에 유용하다. 이때, 수지층(22)은 불소계 수지와 아크릴계 중합체를 예를 들어 60 ~ 95 : 5 ~ 4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를 들어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MA),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및/또는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MMA-G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삼원공중합체(MMA-GMA-HE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MMACHMI)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층(2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수지층(22)은, 예를 들어 0.5㎛ ~ 300㎛, 1㎛ ~ 200㎛, 2㎛ ~ 100㎛, 또는 5㎛ ~ 8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불소계 수지
이하에서, 설명되는 불소계 수지는 상기 유리 섬유층(10) 및 수지층(22)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불소계 수지는 분자 내에서 하나 이상의 불소(F) 원소를 포함하면 좋다. 상기 불소계 수지는, 예를 들어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Vinylidene Fluoride), 비닐 플루오라이드(VF, Vinyl Fluorid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Tetrafluoroethylen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Hexafluoropropylen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chlorotrifluoroethylene),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이소부틸렌, 퍼플루오로 부틸에틸렌, 퍼플루오로 메틸 비닐 에테르(PMVE, perfluoro(methylvinylether)), 퍼플루오로 에틸 비닐 에테르(PEVE, perfluoro(ethylvinylether)), 퍼플루오로 프로필 비닐 에테르(PPVE), 퍼플루오로 헥실 비닐 에테르(PHVE),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PDD) 및 퍼플루오로-2-메틸렌-4-메틸-1,3-디옥솔란(PMD)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비닐 플루오라이드(VF)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에서 공중합체에 중합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는 공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Tetrafluoroethylen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Hexafluoropropylen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chlorotrifluoroethylene),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이소부틸렌, 퍼플루오로 부틸에틸렌, 퍼플루오로 메틸 비닐 에테르(PMVE: perfluoro(methylvinylether)), 퍼플루오로 에틸 비닐 에테르(PEVE: perfluoro(ethylvinylether)), 퍼플루오로 프로필 비닐 에테르(PPVE), 퍼플루오로 헥실 비닐 에테르(PHVE),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PDD) 및 퍼플루오로-2-메틸렌-4-메틸-1,3-디옥솔란(PMD)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일례로는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등의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중합체 내에 포함되는 공단량체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전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총 중량 대비 약 0.5 중량% 내지 50 중량%, 1 중량% 내지 40 중량%, 7 중량% 내지 40 중량%, 10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공단량체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백시트(100)의 내구성 및 내후성 등을 확보하면서 효과적인 상호 확산 작용 및 저온 건조를 유도할 수 있고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불소계 수지는, 융점이 예를 들어 80℃ 내지 175℃, 또는 120℃ 내지 165℃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의 융점을 80℃ 이상으로 조절하여, 백시트(100)의 사용 과정에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융점을 175℃ 이하로 조절하여,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조절하고, 코팅면의 광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불소계 수지는 i) 융점(melting point)이 155℃ 이하이거나 연화점(softening point)이 100℃ 이상인 제1불소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불소계 수지는 낮은 융점과 연화점을 가져 고온의 코팅 공정 중 다른 고분자와 혼용이 잘 되며, 비결정성 부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다른 고분자와 상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는 제1불소계 수지 이외에, 추가로 ii) 융점이 155℃ 이상이고 연화점이 100℃ 이하인 제2불소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불소계 수지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불소계 수지는 융점이 155℃ 초과이고 연화점이 100℃ 이하일 수도 있다.
상기 제1불소계 수지 및 제2불소계 수지는 모두 앞서 설명한 불소계 수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불소계 수지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중합에 따라 고분자가 가지게 되는 고유한 특징인 융점 및 연화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융점이 155℃ 이하이거나 연화점이 100℃ 이상인 제1불소계 수지는 수지층(22)에 포함되는 전체 불소계 고분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을 차지할 수 있으며, 좋게는 50중량% 이상을 차지할 때, 그의 사용에 따른 작용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불소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만 내지 100만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10만 내지 70만, 또는 30만 내지 50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의 환산 수치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불소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용해도 및 기타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리 섬유층(10), 기재(21) 및/또는 수지층(22)은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 섬유층(10), 기재(21) 및 수지층(22)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무기 필러 및 광 반사 재료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수지층(22)은 광 반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 반사 재료는, 예를 들어 산화티탄(TiO2)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시트(100)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성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층의 예로는 자외선 차단층, 접착층, 절연층 및/또는 프라이머층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층은,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계 및/또는 벤조트리아졸계 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다른 예를 들어 산화 아연, 산화 티탄, 산화 세륨, 산화 지르코늄 및 산화철 등으로부터 선택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층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층(10)과 수지층(2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과 절연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또는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LDPE)으로 구성된 층일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재(21)와 수지층(22)의 사이에는 프라이머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프라이머층은 층간 접착력을 위한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폴리올레핀계 등의 수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다른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옥사졸린(oxazoline)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수지로서 옥사졸린(oxazoline)기 함유 화합물(고분자)을 포함하거나, 베이스 수지로서 불소계 고분자 및 옥사졸린기 함유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층간 접착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적어도 옥사졸린기 함유 고분자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은 옥사졸린기를 통해 기재(21)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불소계 수지의 확산을 통해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22)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기재(21) 및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22)을 강하게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에 포함되는 옥사졸린기 함유 고분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불소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것이라면 제한 없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옥사졸린기 함유 고분자는 옥사졸린기 함유 단량체의 단일 중합체; 옥사졸린기 함유 단량체 및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라이머층에 포함되는 옥사졸린기 함유 고분자는 불소계 수지와 상호침투 네트워크(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 프라이머층 또는 수지층(22)에 포함되는 불소계 수지의 C-F2 결합 쌍극자는 상기 옥사졸린기 함유 고분자가 가지는 옥사졸린기 또는 다른 관능기, 예를 들어, 에스테르기와의 반데르발스 결합에 의한 상호 작용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접촉 계면에서의 계면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에 포함되는 옥사졸린기 함유 고분자의 함량은 상기 프라이머 층의 베이스 수지(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 등)를 기준으로 5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10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2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 4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50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등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가질 경우, 접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수지의 종류는, 상기 수지층(22)을 구성하는 불소계 수지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타 다양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 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백시트(1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백시트(100)를 포함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모듈은 광(예를 들어, 태양광)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광전지 모듈, 구체적인 예를 들어 태양전지 모듈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보인 광 모듈은 태양전지 모듈의 일례를 보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 모듈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서 전면부재(300), 봉지재층(200), 태양전지 셀(C), 및 백시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백시트(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백시트(10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보인 백시트(100)가 적용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전면부재(300)는 태양전지 셀(C)의 전면 쪽(도 3에서, 상부 측)을 보호하면서 수광면을 제공하는 것이면 좋다. 상기 전면부재(300)는, 광투과율이 우수한 것이면 좋다. 상기 전면부재(300)는, 구체적으로 광의 입사에 유리한 투명 기판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유리(일례로, 강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판 등의 경질 기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재(300)는 플랙시블한 투명 수지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봉지재층(200)은 태양전지 셀(C)을 봉지(패킹,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전면 봉지재층(210)과 후면 봉지재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셀(C)은 전면 봉지재층(210)과 후면 봉지재층(220)의 사이에 패킹,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봉지재층(200)을 구성하는 봉지재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봉지재층(200)을 구성하는 봉지재는 접착성과 절연성 등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EVA 수지, 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지재층(200)을 구성하는 봉지재는, 상기 EVA 수지 이외에 다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봉지재층(200)을 구성하는 봉지재는, 다른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제, 및 에틸렌/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셀(C)은 봉지재층(200) 내에 복수 개로 배열된다. 즉, 상기 태양전지 셀(C)은 전면 봉지재층(210)과 후면 봉지재층(220)의 사이에 복수개로 배열된 상태에서 패킹, 고정(봉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 셀(C)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양전지 셀(C)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태양전지 셀(C)은, 예를 들어 결정형 태양전지 및/또는 박막형 태양전지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태양전지 셀(C)은 전면 전극형, 후면 전극형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백시트(100)는 상기 봉지재층(200)의 하부에 접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 봉지재층(220)의 하부 면에 백시트(100)의 표면이 접착된다. 상기 후면 봉지재층(220)과 백시트(100)는 열 라미네이션(열 융착)이나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지재층(200)에 백시트(100)의 유리 섬유층(10)이 접합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봉지재층(220)에 유리 섬유층(10)이 접하여 접착되고, 유리 섬유층(10)의 하부에 적층체(20)가 위치된 것이 좋다. 상기 후면 봉지재층(220)과 유리 섬유층(10)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모듈은,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후면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후면부재는 백시트(10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재는, 광 모듈의 종류 및 설치 장소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상기 유리(일례로, 강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판 등의 경질 기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섬유층(10)에 의해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화염(flame)에 강한 저항력을 가지는 유리 섬유층(10)이 태양전지 셀(C) 쪽에 형성되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21)나 수지층(22)이 화염(flame)에 의해 타거나 녹아내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유리 섬유층(10)은 종래의 금속 호일에 비해 우수한 절연성을 가짐은 물론, 봉지재층(200) 및/또는 적층체(20)와 우수한 접착력을 가져 내구성 등을 확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비교예는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제시되는 것으로서, 이는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두께 30㎛의 투명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PET 필름의 양면에 불소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였다. 이때, 상기 PET 필름은 옥사졸린(oxazoline) 프라이머를 표면 코팅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건조를 통해, 건조 후 두께가 약 20㎛인 수지층을 PET 필름의 양면에 형성하여, 수지층(20㎛)/PET 필름(30㎛)/수지층(20㎛)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적층체의 일면에 두께가 약 10㎛인 직물형의 유리 섬유 시트를 적층하였다. 이후, 열 라미네이션을 통해 부착시켜, 유리 섬유 직물(10㎛)/수지층(20㎛)/PET 필름(30㎛)/수지층(20㎛)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백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유리 섬유 시트를 불소 수지액에 함침, 건조시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유리 섬유 시트의 표면에 불소 수지액을 코팅, 건조시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유리 섬유 시트에 접착제를 코팅한 다음, 적층체와 열 라미네이션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과 대비하여, 유리 섬유 시트(불소 수지액 함칭)에 접착제를 코팅한 다음, 적층체와 열 라미네이션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과 대비하여, 유리 섬유 시트(불소 수지액 코팅)에 접착제를 코팅한 다음, 적층체와 열 라미네이션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유리 섬유 시트를 적층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지층(20㎛)/PET 필름(30㎛)/수지층(20㎛)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적층체를 본 비교예에 따른 시편으로 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대비하여, 적층체의 일면에 두께가 약 2㎛인 알루미늄 호일(Aluminum foil)을 열 라미네이션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호일(20㎛)/수지층(20㎛)/PET 필름(30㎛)/수지층(20㎛)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적층체를 본 비교예에 따른 시편으로 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백시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난연성 평가 : Fire 시험을 통한 연소시간 측정
EVA 필름(두께 0.45mm 2장)에 각 백시트를 적층한 다음, 160℃에서 17분 동안 라미네이션시켜 각 시험편을 얻었다. 이때, EVA 필름에는 각 백시트의 유리 섬유 시트(실시예들)나 알루미늄 호일(비교예 2)이 부착되게 하였다.
이후, 각 시험편을 폭 12.5mm x 길이 125mm 크기로 절단한 다음, 한쪽 단부에 화염(fire)을 10초 동안 방사하였다. 그리고 화염(fire)이 방사된 단부에서 25mm 떨어진 지점을 측정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단부에서 100mm 떨어진 지점을 측정 종점으로 하여 발화한 시간을 측정하였다. 즉, 시작점(25mm)에서부터 종점(100mm)까지의 거리를 측정 구간(75mm)으로 하여, 상기 측정 구간(75mm)에서의 발화시간을 측정하였다. 도 4는 이를 도시한 것이다. 하기 [표 1]에서, 「3'10"」는 3분 10초를 의미한다.
2. 접착력 평가 : EVA 필름과의 접착력
유리판/EVA 필름(두께 0.45mm 2장)/백시트의 구조로 적층한 다음, 160℃에서 17분 동안 라미네이션시켜 각 시험편을 얻었다. 이때, EVA 필름에는 각 백시트의 유리 섬유 시트(실시예들)나 알루미늄 호일(비교예 2)이 부착되게 하였다. 이후, 각 시험편을 10mm의 폭으로 절단한 다음, 만능시험기(UTM)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박리하여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3. 전기 절연성 평가
각 백시트에 대하여, 전기를 통전하여 절연 처리가 필요한 경우는 "불량", 절연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양호"로 평가하였다.
< 백시트의 물성 평가 결과 >
비 고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발화시간
(분'초")
3'10" 4'30" 4'10" 2'55" 4'15" 3'15" 1'50" 2'35"
접착력
(kgf/10mm)
5.26 3.26 3.49 5.10 3.25 3.30 6.40 0.1
전기 절연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백시트의 경우, 화염에 강한 저항력(난연성)을 가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불소 수지액이 함침되거나 코팅된 경우, 난연성이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에서와 같이 금속 호일(Al foil)이 적용된 경우, 난연성을 가지기는 하나, 접착력이 매우 낮고 전기 절연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10 : 유리 섬유층 20 : 적층체
21 : 기재 22 : 수지층
100 : 백시트 200 : 봉지재층
300 : 전면부재 C : 태양전지 셀

Claims (15)

  1. 유리 섬유층을 포함하는 광 모듈용 백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모듈용 백시트는,
    기재;
    상기 기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상에 형성된 유리 섬유층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용 백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층은 유리 섬유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용 백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층은 유리 섬유 시트와, 상기 유리 섬유 시트에 분산된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광 모듈용 백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층은, 유리 섬유 시트가 불소계 수지액에 함침되어 불소계 수지가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광 모듈용 백시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층은 유리 섬유 시트와, 상기 유리 섬유 시트 상에 코팅된 불소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광 모듈용 백시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 시트는 직물(woven fabr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용 백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층은 유리 섬유 분쇄물과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광 모듈용 백시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과 유리 섬유층의 사이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용 백시트.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용 투명시트.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수지층의 사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용 투명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옥사졸린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용 투명 백시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백시트를 포함하는 광 모듈.
  14. 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 상에 형성되고, 태양전지 셀이 봉지된 봉지재층; 및
    상기 봉지재층 상에 형성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백시트를 포함하는 광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층에 백시트의 유리 섬유층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
KR1020140092626A 2014-07-22 2014-07-22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 KR10164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26A KR101642580B1 (ko) 2014-07-22 2014-07-22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26A KR101642580B1 (ko) 2014-07-22 2014-07-22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478A true KR20160011478A (ko) 2016-02-01
KR101642580B1 KR101642580B1 (ko) 2016-07-25

Family

ID=5535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626A KR101642580B1 (ko) 2014-07-22 2014-07-22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5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8946A (zh) * 2018-06-21 2018-09-14 北京铂阳顶荣光伏科技有限公司 光伏发电系统、光伏组件安装结构及光伏组件
CN109768108A (zh) * 2018-12-29 2019-05-17 南京索尔玻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包边超薄增强玻璃背板、其制备方法及包含它的光伏组件
WO2021128585A1 (zh) * 2019-12-27 2021-07-01 苏州赛伍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太阳能电池背板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116A (ja) 1999-07-23 2001-02-09 Bridgestone Corp 太陽電池
JP2004228388A (ja) * 2003-01-23 2004-08-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10020227A (ko) 2008-06-23 2011-03-02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용 백 시트 및 태양 전지 모듈
KR101022820B1 (ko) 2009-03-23 2011-03-17 이정민 태양전지모듈용 백시트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29789A (ko) * 2011-05-17 2012-11-28 율촌화학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용 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JP2013004835A (ja) * 2011-06-20 2013-01-07 Fuj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延焼防止シート
JP2014116427A (ja) * 2012-12-07 2014-06-26 Fuji Electric Co Ltd 太陽電池一体型膜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116A (ja) 1999-07-23 2001-02-09 Bridgestone Corp 太陽電池
JP2004228388A (ja) * 2003-01-23 2004-08-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10020227A (ko) 2008-06-23 2011-03-02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용 백 시트 및 태양 전지 모듈
KR101022820B1 (ko) 2009-03-23 2011-03-17 이정민 태양전지모듈용 백시트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29789A (ko) * 2011-05-17 2012-11-28 율촌화학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용 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JP2013004835A (ja) * 2011-06-20 2013-01-07 Fuj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延焼防止シート
JP2014116427A (ja) * 2012-12-07 2014-06-26 Fuji Electric Co Ltd 太陽電池一体型膜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8946A (zh) * 2018-06-21 2018-09-14 北京铂阳顶荣光伏科技有限公司 光伏发电系统、光伏组件安装结构及光伏组件
CN109768108A (zh) * 2018-12-29 2019-05-17 南京索尔玻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包边超薄增强玻璃背板、其制备方法及包含它的光伏组件
CN109768108B (zh) * 2018-12-29 2023-08-29 南京索尔玻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包边超薄增强玻璃背板、其制备方法及包含它的光伏组件
WO2021128585A1 (zh) * 2019-12-27 2021-07-01 苏州赛伍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太阳能电池背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580B1 (ko) 201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925B1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배면시트를 구비한 태양광 모듈
KR101536382B1 (ko)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
US20120107615A1 (en)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KR20170079945A (ko) 태양전지 블랙 백시트,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642580B1 (ko)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
KR101350557B1 (ko) 태양전지 모듈용 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1762476B1 (ko) 광 모듈용 투명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KR101607014B1 (ko) 다층 필름
KR101385853B1 (ko) 태양전지의 전면시트,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
KR101742865B1 (ko) 광전지 모듈용 봉지재
KR101793773B1 (ko) 광 모듈용 투명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KR20160012525A (ko) 광 모듈용 투명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KR101737685B1 (ko) 광전지 모듈용 백시트
KR101510499B1 (ko) 불소계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신뢰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9951A (ko) 태양전지 블랙 백시트,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999981B1 (ko) 광 모듈용 투명 백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KR101742864B1 (ko) 광전지 모듈용 백시트
KR101793774B1 (ko) 광 모듈용 투명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KR101593741B1 (ko)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
KR20160012524A (ko) 광 모듈용 투명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KR20160012522A (ko) 광 모듈용 백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광 모듈
JP688072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816968B1 (ko) 광학시트
KR101719873B1 (ko) 백시트
KR20130134482A (ko)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