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169A -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 - Google Patents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169A
KR20160011169A KR1020150102912A KR20150102912A KR20160011169A KR 20160011169 A KR20160011169 A KR 20160011169A KR 1020150102912 A KR1020150102912 A KR 1020150102912A KR 20150102912 A KR20150102912 A KR 20150102912A KR 20160011169 A KR20160011169 A KR 20160011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trigger switch
main
keycap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1548B1 (ko
Inventor
친-흐시우 화
Original Assignee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1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79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ontacts, e.g. interspersed fingers or hel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807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contact sites, e.g. superimposed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54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for redundancy, e.g. several contact pai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1Spiral spring

Abstract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는 적어도 베이스 보드, 키캡 조립체 및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를 포함한다. 키캡 조립체는 복수의 키캡을 유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다.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는 커맨드 회로 보드와 복수의 탄성 스위치를 구비한다. 커맨드 회로 보드는 키캡에 대응하며 키캡에 의해 트리거 되는 복수의 트리거부와, 각각의 트리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주 커맨드 회로를 구비한다. 탄성 스위치들은 키캡에 대응되며 크리거부를 트리거 하도록 키캡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각 탄성 스위치는 베이스와 주 이동부, 각각 주 트리거 스위치 및 트리거부들의 2개 이상의 보조 트리거 스위치에 대응하는 제1 보조 이동부와 제2 보조 이동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키보드는 높은 누름 감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Keyboard Equipped with Multipoint Press Positions}
본 발명은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 지점 접촉을 제공하는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얇고 가벼운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술의 급성장으로 전자 장치 또한 상당히 대중화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의 예로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및 테블릿 컴퓨터를 들 수 있다. 컴퓨터 문서 처리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부분의 컴퓨터들은 사용자의 데이터 기입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키보드를 포함한다.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키캡(keycap)과 베이스보드(baseboard)를 구비한다. 각각의 키캡과 베이스 보드는 키 스트럿(key strut)에 의해 연결된다. 사용자가 키보드를 두드릴 때, 키 스트럿은 베이스보드에 대해 수직 운동을 형성하도록 키캡을 지지한다. 따라서, 키캡이 눌려질 경우, 베이스보드 상의 스위치는 원하는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프로세서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전송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키캡이 중앙 대신에 두 측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려져서 기울어지고 불안정해지거나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고감도 키보드는 사용자가 심지어 키의 구석을 눌러도 여전히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도록 해당 산업 분야에서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대만 특허 번호 제1346965호에서는 고감도 키 구조가 개시된다. 주로, 키캡의 외측면 상의 복수의 돌출 유닛들과 베이스보드 상의 복수의 서스펜딩 암 유닛들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키캡의 가장자리를 누를 경우, 돌출 유닛은 지렛대 원리를 통해 서스펜딩 암 유닛들의 자유 단부가 회로 스위치를 켜도록(set on) 서스펜딩 암 유닛들을 터치한다. 그러므로, 키가 불균형하게 눌리더라도 회로 스위치는 여전히 작동될 수 있으며, 높은 감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대만 특허 번호 제1396218호는, 주로 키캡 상의 복수의 트리거부(trigger portion)와 트리거부에 대응하는 얇은 필름 회로 기판 상의 복수의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키보드를 제안한다. 사용자는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하여 스위치를 터치하여 켜도록 키캡의 임의의 모서리를 누를 수 있으며, 이로써 키캡의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키보드는, 키캡을 지지하기 위해 탄성 지지 랙(rack)을 사용하며, 탄성 지지 랙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누름 지점을 통하여 대응하는 누름 지점 상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상의 스위치가 켜진다. 또한, 상술한 모든 키보드들은 탄성 지지 랙을 포함한다. 키캡의 누름 지점은 받침점으로써 탄성 지지 랙에 대한 상대적인 스윙(swing)을 생성한다. 그러나, 탄성 지지 랙은 키보드 크기를 줄이는 것을 어렵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누름 지점이 스위치를 터치하게 하도록 탄성 지지 랙을 변형시키기 위하여 키캡을 세게 눌러야 한다. 사용자가 키캡의 모서리를 가볍게 터치할 경우, 셋-온(set-on) 연결은 실패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얇고 가벼운 고감도 다지점 접촉 키보드를 개발하는 것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크기가 크고 접촉 감도가 부족한 종래 키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를 제공한다. 키보드는 적어도 베이스보드와, 키캡 조립체와,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키캡 조립체에 의해 트리거 되는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키캡 조립체는 복수의 키캡들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는, 커맨드 회로 기판과, 복수의 탄성 스위치들을 구비한다. 상기 커맨드 회로 기판은 상기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키캡들의 누름 위치들에 대응하고 상기 키캡들에 의해 트리거 되는 복수의 트리거부들과, 각각의 트리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주 커맨드 회로를 포함한다. 각각의 트리거부는 각각의 키캡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두 개 이상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부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에 대해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와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부 트리거 스위치들의 전기적인 접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부 커맨드 회로가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부 트리거 스위치들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스위치들은 상기 키캡들의 누름 위치들에 대응하며, 상기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도록 상기 트리거부들을 트리거 하기 위하여 상기 키캡들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각각의 탄성 스위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며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에 대응하는 주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에 대응하는 제1 부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에 대응하는 제2 부 이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키캡은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네 개의 면들 중 임의의 두 면들의 결합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모서리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임의의 두 면들에 대응하며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두 면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두 면들에 대응하며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두 면들 중 또 다른 하나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키캡은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네 개의 면들 중 임의의 두 면들의 결합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모서리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임의의 두 모서리들에 대응하며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두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두 모서리들에 대응하며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두 모서리들 중 또 다른 하나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 이동부는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를 트리거 하도록 상기 커맨드 회로 기판을 향하여 이동하기 위해 상기 키캡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주 이동 스트럿과, 상기 주 이동 스트럿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주 이동 스트럿에 연결되는 주 변형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 이동부는 상기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를 트리거 하도록 상기 커맨드 회로 기판을 향하여 이동하기 위해 상기 키캡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제1 부 이동 스트럿과, 상기 제1 부 이동 스트럿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부 이동 스트럿에 연결되는 제1 부 변형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 이동부는 상기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를 트리거 하도록 상기 커맨드 회로 기판을 향하여 이동하기 위해 상기 키캡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제2 부 이동 스트럿과, 상기 제2 부 이동 스트럿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부 이동 스트럿에 연결되는 제2 부 변형 섹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 이동부는 상기 제1 부 이동부와 상기 제2 부 이동부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 이동 스트럿은 상기 키캡을 향하는 제1 누름 면과, 상기 주 이동 스트럿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1 부 이동 스트럿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누름 면과 연결되는 제1 누름 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부 이동 스트럿은 상기 키캡을 향하는 제2 누름 면과, 상기 주 이동 스트럿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2 부 이동 스트럿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누름 면과 연결되는 제2 누름 경사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맨드 회로 기판은,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하부 회로 기판 및 상부 회로 기판과,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 및 상기 부 트리거 스위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들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회로 기판과 상기 상부 회로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키캡들을 고정하도록 엇갈린 방식으로 정렬된 복수의 브레이싱 스템들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설치 구멍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키캡은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네 개의 면들 중 임의의 두 면의 결합에 의해 각각 형성된 네 개의 모서리들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싱 스템들은 상기 네 개의 면들을 향하는 복수의 벽면들을 포함한다. 상기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벽면들은 네 개의 이동가능한 랙들에 의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랙들과, 상기 키캡들과, 상기 브레이싱 스템들은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이동가능한 랙은 상기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스템 연결 섹션과, 또 다른 모서리를 향하여 또 다른 브레이싱 스템에 연결되도록 제1 굴곡부를 통해 상기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템 연결 섹션에 연결되는 브레이싱 암 섹션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키캡들을 고정하도록 엇갈린 방식으로 정렬된 복수의 브레이싱 스템들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설치 구멍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키캡은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네 개의 면들 중 임의의 두 면의 결합에 의해 각각 형성된 네 개의 모서리들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싱 스템들은 상기 네 개의 면들을 향하는 복수의 벽면들을 포함한다. 상기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벽면들은 네 개의 이동가능한 랙들에 의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랙들과, 상기 키캡들과, 상기 브레이싱 스템들은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이동가능한 랙은 제1 스템 연결 섹션과, 제2 스템 연결 섹션과, 상기 제1 스템 연결 섹션과 제2 스템 연결 섹션을 결합하는 브레이싱 암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템 연결 섹션은 상기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브레이싱 암 섹션은 제1 굴곡부를 통해 상기 제1 스템 연결 섹션에 연결되며 상기 면과 상기 브레이싱 스템 사이로 또 다른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상기 브레이싱 스템에 연결되도록 제2 굴곡부를 통해 또 다른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스템 연결 섹션을 형성한다.
종래의 키보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다지점 누름 위치들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키보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제공한다.
1. 키캡과 탄성 스위치들을 통하여 키보드의 총 크기가 요구대로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써 키보드는 얇고 가볍게 제작될 수 있다.
2. 키보드에 포함된 트리거 스위치들과 탄성 스위치들로써, 탄성 스위치들을 작동시키고 트리거 스위치들을 켜도록 키캡들의 임의의 지점이 눌릴 수 있으며, 이로써 더 높은 누름 감도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진행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누름 위치들을 구비하는 키보드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시야각으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누름 위치들을 구비하는 키보드의 또 다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누름 위치들을 구비하는 키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 스위치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 스위치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키캡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제1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키캡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제2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키캡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제3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키캡 조립체의 제2 실시에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보드(1)와, 키캡 조립체(keycap assembly)(2)와,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기 위해 키캡 조립체(2)에 의해 트리거 되는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command trigger assembly)(3)를 포함하는 다지점 누름 위치들을 구비하는 키보드를 제공한다. 베이스보드(1)는 키캡 조립체(2)와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3)를 지지한다. 키캡 조립체(2)는 지지 프레임(21)과, 지지 프레임(21)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키캡들(22)을 주로 포함한다. 각각의 키캡들(22)은 네 개의 면들(221)과, 네 개의 면들(221) 중 임의의 두 면이 각각 결합되어 형성되는 네 개의 모서리들(222)을 구비한다.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3)는 커맨드 회로 기판(4)과 복수의 탄성 스위치들(5)을 포함한다. 커맨드 회로 기판(4)은 키캡들(22)의 누름 위치들에 대응하며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도록 키캡들(22)에 의해 트리거 되는 복수의 트리거부들(trigger portions)(41)과, 각각의 트리거부(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주 커맨드 회로(42)를 구비한다. 각각의 트리거부(41)는 각각의 키캡(22)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 트리거 스위치(411)와, 주 트리거 스위치(41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두 개 이상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412)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 트리거 스위치(412)는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와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를 구비한다. 즉,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와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는, 주 트리거 스위치(411)가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와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 사이에 위치하도록, 주 트리거 스위치(411)의 두 면에 각각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 주 트리거 스위치(411), 및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는 하나의 열에 배열된다. 또한,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부 커맨드 회로(415)는 주 트리거 스위치(411)와 부 트리거 스위치(41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서 커맨드 회로 기판(4)은 주 트리거 스위치(411)와 부 트리거 스위치들(412)을 각각 고정하는 상부 회로 기판(43) 및 하부 회로 기판(44)과, 상부 회로 기판(43)과 하부 회로 기판(44)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45)를 구비한다. 스페이서(45)가 주 트리거 스위치(411)와 부 트리거 스위치들(412)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들(451)을 구비한다. 따라서,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도록 상부 회로 기판(43)과 하부 회로 기판(44)은 개구들(451)에서 서로 전기가 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커맨드 회로 기판(4)는 베이스보드(1) 위에 위치하며, 이로써 하부 회로 기판(44)은 베이스보드(1)을 향하여 위치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베이스보드(1) 아래에 위치되는 커맨드 회로 기판(4)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회로 기판(43)은 베이스보드(1)를 향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부(41)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412)의 상대적인 위치들은 두 가지 접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와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는 키캡(22)에 대응하여 면들(221) 상에 각각 위치된다. 즉,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는 임의의 두 대응 면들(221)에 대응하며, 대응 면들(221)과 주 트리거 스위치(411) 사이에 위치한다.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는 또 다른 면(221)과 주 트리거 스위치(411) 사이에서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의 맞은편의 또 다른 면에 위치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과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는 키캡(22)의 모서리들(222)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한다. 즉,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는 대응하는 임의의 두 모서리들(222)에 대응하며, 대응하는 모서리들(222)과 주 트리거 스위치(411) 사이에 위치한다.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는 또 다른 모서리(222)와 주 트리거 스위치(411) 사이에서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의 또 다른 모서리(222) 맞은편에 위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부(41)의 주 트리거 스위치(411)와 부 트리거 스위치들(412)은 두 가지 방식의 실시예들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실시에에서, 주 트리거 스위치(411)와 부 트리거 스위치들(412) 사이의 부 커맨드 회로들(415)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전기 접속을 형성하도록 M자-형상 레이아웃으로 배선된다. 제2 실시예에서, 주 트리거 스위치(411)와 부 트리거 스위치들(412) 사이의 부 커맨드 회로들(415)은 상호 전기 접속을 형성하도록 X자-형상과 ㅁ자-형상 형태의 결합의 레이아웃으로 배선된다. 상술한 두 가지 방식의 실시예들은 트리거부(41)에 혼합된 양식으로 동시에 사용될 수 없다는 점은 유의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스위치들(5)은 복수의 독립 유닛들로 구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스위치들(5)은 키캡들(22)의 누름 위치들에 대응하고,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기 위하여 트리거부(41)를 트리거 하도록 키캡들(22)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탄성 스위치(5)는 베이스(51)와, 베이스(51) 상에 위치하며 주 트리거 스위치(411)에 대응하는 주 이동부(52)와, 베이스(51) 상에 위치하며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에 대응하는 제1 부 이동부(53)와, 베이스(51) 상에 위치하며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에 대응하는 제2 부 이동부(54)를 구비한다. 주 이동부(52)는 베이스(51)에 연결되는 주 변형 섹션(521)과, 주 변형 섹션(521)에 연결되는 주 이동 스트럿(primary movement strut)(522)을 구비한다. 주 이동 스트럿(522)은 키캡(22)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주 트리거 스위치(411)를 트리거 하도록 커맨드 회로 기판(4)을 향해 이동한다. 주 변형 섹션(521)은 누르기 전 위치로 복귀하도록 주 이동 스트럿(52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1 부 이동부(53)는 제1 부 변형 섹션(531)과, 제1 부 변형 섹션(531)과 연결되는 제1 부 이동 스트럿(532)을 구비한다. 제1 부 이동 스트럿(532)는 키캡(22)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를 트리거 하도록 커맨드 회로 기판(4)을 향해 이동한다. 제1 부 변형 섹션(531)은 누르기 전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1 부 이동 스트럿(53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2 부 이동부(54)는 제2 부 변형 섹션(541)과, 제2 부 변형 섹션(541)과 연결되는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을 구비한다.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은 키캡(22)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를 트리거 하도록 커맨드 회로 기판(4)을 향해 이동한다. 제2 부 변형 섹션(541)은 누르기 전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스위치(5)들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키캡들(22)로부터 이격된다. 주 변형 섹션(521)과, 제1 부 변형 섹션(531)과, 제2 부 변형 섹션(541)은 베이스(51)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주 이동 스트럿(522)과, 제1 부 이동 스트럿(532)과,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이 각각의 키캡(22)에 의해 눌려질 경우, 주 변형 섹션(521)과, 제1 부 변형 섹션(531)과, 제2 부 변형 섹션(541)은 주 이동 스트럿(522)과, 제1 부 이동 스트럿(532)과,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이 커맨드 회로 기판(4)을 향해 이동하게 하도록 변형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1 부 이동 스트럿(532)는 각각의 키캡(22)을 향하는 제1 누름 면(533)과, 제1 누름 면(533)에 연결되며 주 이동 스트럿(522)과 떨어져 제1 부 이동 스트럿(532)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누름 경사면(534)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이동 스트럿(542)은 각각의 키캡(22)을 향하는 제2 누름 면(543)과, 제2 누름 면(543)에 연결되고 주 이동 스트럿(522)과 떨어져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2 누름 경사면(544)을 포함한다. 제1 누름 경사면(534)과 제2 누름 경사면(544)은 제1 부 이동부(53) 및 제2 부 이동부(54)와 키캡(22)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키캡(22)이 제1 부 이동부(53)와 제2 부 이동부(54)를 향해 경사질 경우, 경사진 키캡(22)은 여전히 제1 부 이동 스트럿(532)의 제1 누름 경사면(534)이나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의 제2 누름 경사면(544)을 용이하게 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스위치들(5)은 두 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방식에서, 주 이동부(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 이동부(53) 및 제2 부 이동부(54)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제2 방식에서, 주 이동 부(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 이동부(53) 및 제2 부 이동부(54)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키캡 조립체(2)는 두 가지 방식의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21)은 키캡들(22)을 고정하기 위하여 엇갈린 방식(staggered manner)으로 배열된 복수의 브레이싱 스템들(bracing stems)(211)로 구성되는 복수의 설치 구멍들(installation apertures)(212)을 구비한다. 브레이싱 스템들(211)은 면(221)을 향하는 복수의 벽면들(213)을 포함한다. 네 개의 면들(221)과 벽면들(213)은 네 개의 이동가능한 랙들(23)에 의해 각각 결합된다. 네 개의 이동가능한 랙들(23)과, 키캡들(22)과, 브레이싱 스템들(211)을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이동가능한 랙(23)은 모서리들(22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스템 연결 섹션(231)과, 제1 스템 연결 섹션(231)과 또 다른 브레이싱 스템(211)을 결합하도록 또 다른 모서리(222)를 향하여 제1 굴곡부(232)를 통해 어느 하나의 모서리(222)와 연결되는 브레이싱 암 섹션(233)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브레이싱 암 섹션(23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13)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브레이싱 암 섹션(233)은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각(C)으로 벽면(213)에 대해 연장될 수 있다.
키캡 조립체(2)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 도 10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21)은 키캡들(22)을 고정하기 위하여 엇갈린 방식으로 정렬된 복수의 브레이싱 스템들(211)로 구성된 복수의 설치 구멍들(212)을 구비한다. 브레이싱 스템들(211)은 면들(221)을 향하는 복수의 벽면들(213)을 포함한다. 네 개의 면들(221)과 벽면들(213)은 네 개의 이동가능한 랙들(24)에 의해 각각 결합된다. 이동가능한 랙들(24)과, 키캡들(22)과, 브레이싱 스템들(211)은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이동가능한 랙(24)은 제1 스템 연결 섹션(241)과, 제2 스템 연결 섹션(242)과, 제1 스템 연결 섹션(241) 및 제2 스템 연결 섹션(242)을 결합하는 브레이싱 암 섹션(243)을 구비한다. 제1 스템 연결 섹션(241)은 모서리들(22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브레이싱 암 섹션(243)은 또 다른 모서리(222)를 향하여 제1 굴곡부(244)를 통해 브레이싱 스템(211)과 면(221) 사이에서 제1 스템 연결 섹션(241)과 연결되고, 브레이싱 스템(211)에 연결되도록 제2 스템 연결 섹션(242)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 굴곡부(245)를 통해 또 다른 모서리(222)에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브레이싱 암 섹션(243)은 벽면(213)과 평행하나, 이러한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지점 누름 위치들을 구비하는 키보드의 움직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술한 키캡 조립체(2)의 제1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사용자가 키캡(22)을 누를 때, 키캡(22)과 이동가능한 랙들(23)의 브레이싱 암 섹션들(233)은 탄성 스위치들(5)을 향하여 동시에 이동하며, 따라서, 키캡(22)은 탄성 스위치들(5)의 주 이동부(52)와, 제1 부 이동부(53)와, 제2 부 이동부(54)를 누른다. 한편, 주 이동부(52)와, 제1 부 이동부(53)와, 제2 부 이동부(54)는 주 변형 섹션(521)과, 제1 부 변형 섹션(531)과, 제2 부 변형 섹션(541)을 변형시키기 위하여 눌려지고, 주 이동 스트럿(522)과, 제1 부 이동 스트럿(532)과,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은 커맨드 회로 기판(4)을 향하여 동시에 이동하며; 따라서, 주 이동 스트럿(522)과, 제1 부 이동 스트럿(532)과,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은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기 위하여 주 트리거 스위치(411),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 또는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를 켠다. 또한, 사용자가 키캡(22)의 모서리를 누를 경우에도, 키캡(22)은 제1 부 이동 스트럿(532) 또는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이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 또는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를 켜거나; 제1 부 이동 스트럿(532)과 제2 부 이동 스트럿(542)이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413)와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414)를 동시에 켜도록 제1 부 이동부(53) 또는 제2 부 이동부(54)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지점 누름 위치들을 구비하는 키보드는 더 높은 누름 감도를 가지며, 탄성 스위치들(5)을 통하여 키보드의 전체 크기가 요구되는 바와 같이 감소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다지점 누름 위치들을 구비하는 키보드는 베이스보드와, 키캡 조립체와,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기 위한 키캡 조립체에 의해 트리거 되는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를 구비한다.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는 커맨드 회로 기판과, 복수의 탄성 스위치들을 구비한다. 키보드를 더 얇고 더 가볍게 만들기 위하여, 키캡들과 탄성 스위치들을 통해 키보드의 전체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스위치들과 트리거 스위치들을 통하여, 탄성 스위치들이 트리거 스위치들을 켜기 위해 눌려질 수 있으며, 이로써 더 높은 누름 감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로서,
    적어도 베이스보드와, 키캡 조립체와,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키캡 조립체에 의해 트리거 되는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키캡 조립체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키캡들을 구비하고,
    상기 커맨드 트리거 조립체는, 커맨드 회로 기판과, 복수의 탄성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상기 커맨드 회로 기판은 상기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키캡들의 누름 위치들에 대응하고 상기 키캡들에 의해 트리거 되는 복수의 트리거부들과, 각각의 트리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주 커맨드 회로를 포함하고,
    각각의 트리거부는 각각의 키캡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두 개 이상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부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에 대해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와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부 트리거 스위치들의 전기적인 접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부 커맨드 회로가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부 트리거 스위치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 스위치들은 상기 키캡들의 누름 위치들에 대응하며, 상기 키보드 커맨드들을 출력하도록 상기 트리거부들을 트리거 하기 위하여 상기 키캡들에 의해 눌려질 수 있고,
    각각의 탄성 스위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며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에 대응하는 주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에 대응하는 제1 부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에 대응하는 제2 부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2.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키캡은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네 개의 면들 중 임의의 두 면들의 결합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모서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임의의 두 면들에 대응하며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두 면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두 면들에 대응하며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두 면들 중 또 다른 하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3.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키캡은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네 개의 면들 중 임의의 두 면들의 결합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모서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임의의 두 모서리들에 대응하며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두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두 모서리들에 대응하며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두 모서리들 중 또 다른 하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이동부는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를 트리거 하도록 상기 커맨드 회로 기판을 향하여 이동하기 위해 상기 키캡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주 이동 스트럿과, 상기 주 이동 스트럿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주 이동 스트럿에 연결되는 주 변형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 이동부는 상기 제1 보조 트리거 스위치를 트리거 하도록 상기 커맨드 회로 기판을 향하여 이동하기 위해 상기 키캡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제1 부 이동 스트럿과, 상기 제1 부 이동 스트럿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부 이동 스트럿에 연결되는 제1 부 변형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 이동부는 상기 제2 보조 트리거 스위치를 트리거 하도록 상기 커맨드 회로 기판을 향하여 이동하기 위해 상기 키캡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제2 부 이동 스트럿과, 상기 제2 부 이동 스트럿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부 이동 스트럿에 연결되는 제2 부 변형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이동부는 상기 제1 부 이동부와 상기 제2 부 이동부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 이동 스트럿은 상기 키캡을 향하는 제1 누름 면과, 상기 주 이동 스트럿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1 부 이동 스트럿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누름 면과 연결되는 제1 누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 이동 스트럿은 상기 키캡을 향하는 제2 누름 면과, 상기 주 이동 스트럿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2 부 이동 스트럿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누름 면과 연결되는 제2 누름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이동부는 상기 제1 부 이동부와 상기 제2 부 이동부의 길이보다 더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회로 기판은,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하부 회로 기판 및 상부 회로 기판과, 상기 주 트리거 스위치 및 상기 부 트리거 스위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들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회로 기판과 상기 상부 회로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키캡들을 고정하도록 엇갈린 방식으로 정렬된 복수의 브레이싱 스템들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설치 구멍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키캡은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네 개의 면들 중 임의의 두 면의 결합에 의해 각각 형성된 네 개의 모서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싱 스템들은 상기 네 개의 면들을 향하는 복수의 벽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벽면들은 네 개의 이동가능한 랙들에 의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동가능한 랙들과, 상기 키캡들과, 상기 브레이싱 스템들은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이동가능한 랙은 상기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스템 연결 섹션과, 또 다른 모서리를 향하여 또 다른 브레이싱 스템에 연결되도록 제1 굴곡부를 통해 상기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템 연결 섹션에 연결되는 브레이싱 암 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키캡들을 고정하도록 엇갈린 방식으로 정렬된 복수의 브레이싱 스템들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설치 구멍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키캡은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네 개의 면들 중 임의의 두 면의 결합에 의해 각각 형성된 네 개의 모서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싱 스템들은 상기 네 개의 면들을 향하는 복수의 벽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면들과 상기 벽면들은 네 개의 이동가능한 랙들에 의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동가능한 랙들과, 상기 키캡들과, 상기 브레이싱 스템들은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이동가능한 랙은 제1 스템 연결 섹션과, 제2 스템 연결 섹션과, 상기 제1 스템 연결 섹션과 제2 스템 연결 섹션을 결합하는 브레이싱 암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템 연결 섹션은 상기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싱 암 섹션은 제1 굴곡부를 통해 상기 제1 스템 연결 섹션에 연결되며 상기 면과 상기 브레이싱 스템 사이로 또 다른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상기 브레이싱 스템에 연결되도록 제2 굴곡부를 통해 또 다른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스템 연결 섹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KR1020150102912A 2014-07-21 2015-07-21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 KR101711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124867A TWI498933B (zh) 2014-07-21 2014-07-21 A keyboard with multi-point press
TW103124867 2014-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169A true KR20160011169A (ko) 2016-01-29
KR101711548B1 KR101711548B1 (ko) 2017-03-06

Family

ID=5460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912A KR101711548B1 (ko) 2014-07-21 2015-07-21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30192B2 (ko)
KR (1) KR101711548B1 (ko)
DE (1) DE102015111839A1 (ko)
TW (1) TWI498933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152A (ja) * 2000-10-12 2002-04-26 Smk Corp 電子機器の操作釦
KR100359547B1 (en) * 2001-12-27 2002-10-31 Ssangyong Materials Corp Magnetoplumbite type ferrite magne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03045290A (ja) * 2001-08-02 2003-02-14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US20030164281A1 (en) * 2002-03-01 2003-09-04 Jun Hiraoka Ke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1930U (ko) * 1988-11-21 1990-05-31
JPH0650921Y2 (ja) * 1990-01-20 1994-12-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機構
ID29964A (id) 1997-08-05 2001-10-25 Degussa Proses untuk membentuk campuran-campuran polimer menjadi filamen-filamin
JP4444569B2 (ja) * 2002-05-01 2010-03-31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
TWI401716B (zh) * 2009-12-10 2013-07-11 Zippy Tech Corp The push structure of a thin keyboard
CN203277164U (zh) * 2013-05-03 2013-11-06 国家电网公司 多触点压接开关
TWM470366U (zh) * 2013-07-03 2014-01-11 Zippy Tech Corp 一體射出製作之鍵帽平板模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152A (ja) * 2000-10-12 2002-04-26 Smk Corp 電子機器の操作釦
JP2003045290A (ja) * 2001-08-02 2003-02-14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KR100359547B1 (en) * 2001-12-27 2002-10-31 Ssangyong Materials Corp Magnetoplumbite type ferrite magne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030164281A1 (en) * 2002-03-01 2003-09-04 Jun Hiraoka Ke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24830A (ja) 2016-02-08
KR101711548B1 (ko) 2017-03-06
JP6030192B2 (ja) 2016-11-24
DE102015111839A1 (de) 2016-01-21
TWI498933B (zh) 2015-09-01
TW201604909A (zh)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2167B2 (en) Depressible key structure
US8710383B2 (en) Thin film switch and press key/keyboard using the same
US20140284193A1 (en) Command generation structure for thin keyboards
US10879021B2 (en) Keyboard
US20120306785A1 (en) Touch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WI691983B (zh) 鍵盤
TW201503190A (zh) 一體射出製作之鍵帽平板模組
US8957333B2 (en) Thin keyboard structure
US9552939B2 (en) Keyboard equipped with multipoint press positions
US9627158B2 (en) Keyboard key using an asymmetric scissor-type connecting element
US9715976B2 (en) Keyboard device
KR101711548B1 (ko)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
TWI628682B (zh) 按鍵
US11251000B1 (en) Keyboard
US9236206B1 (en) Thin keyboard command trigger structure
US9368299B1 (en) Thin keyboard having keycaps including integrated inner frames
US10719136B2 (en) Resilient element and keyboard structure
TWI657468B (zh) 鍵盤
US10242819B1 (en) Mechanical key structure
KR101713861B1 (ko)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TW202001954A (zh) 鍵盤
TW201725598A (zh) 按鍵結構
US11614807B1 (en) Mouse device
TWM470366U (zh) 一體射出製作之鍵帽平板模組
KR101808220B1 (ko) 박형 키보드 누름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