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152A - 의료용 유니트 체어 - Google Patents

의료용 유니트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152A
KR20160010152A KR1020140091158A KR20140091158A KR20160010152A KR 20160010152 A KR20160010152 A KR 20160010152A KR 1020140091158 A KR1020140091158 A KR 1020140091158A KR 20140091158 A KR20140091158 A KR 20140091158A KR 20160010152 A KR20160010152 A KR 20160010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lower body
armrest
connection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400B1 (ko
Inventor
최원태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4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씨트(seat)와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medical unit chair)에 있어서, 씨트를 지지하는 하부 몸체; 하부 몸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팔걸이; 하부 몸체와 등받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하부 몸체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제2 연결부와 하부 몸체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그리고, 하부 몸체의 측면에 위치하며 제1 연결부가 위치 이동할 때 제1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가 제3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유니트 체어{MEDICAL UNIT CHAIR}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의료용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 및 의사 등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한 의료용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 및 치료는 유니트 체어(unit chair)에 환자가 누운 상태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는 구강 내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 각종 치료 도구가 구비된 닥터 테이블(doctor table), 구강 내부를 보여주거나 CT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TV 시청 등을 위한 모니터를 설치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급수 장치, 환자 편의 테이블 등이 설치된다.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는 상기 여러 가지 장치나 기구들은 환자나 시술자의 동선과 편의 및 시술시 충분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효율이 좋은 동선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동작이 편리하도록 구비된다. 유니트 체어 주변에는 상기 여러 가지 장치나 기구들이 배치되므로 유니트 체어에 접근하는 환자의 동선도 제한적이며, 보통 유니트 체어의 우측으로 접근하여 유니트 체어의 시트에 앉거나 눕는다.
보통의 의자와 마찬가지로 치과의 유니트 체어에도 팔걸이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환자가 유니트 체어에 앉을 때, 유니트 체어가 동작하는 중, 또는 치료 중에 팔걸이를 사용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유니트 체어의 예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그러나 전술된 것과 같이, 유니트 체어는 일반적으로 환자가 우측에서 앉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우측 팔걸이가 환자의 동선을 가로막아 환자가 유니트 체어에 앉을 때 불편하게 된다(도 1 참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측 팔걸이가 제거되고 좌측 팔걸이만 구비한 유니트 체어를 제작하거나(도 2 참조), 우측 팔걸이가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움직이도록 한 유니트 체어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우측 팔걸이를 제거하는 경우, 전술된 것과 같이, 환자가 유니트 체어에 앉을 때, 유니트 체어가 동작 중, 또는 치료 중에 팔걸이를 사용할 필요를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동 메커니즘으로 팔걸이를 구동하는 방법은 복잡한 구동 메커니즘을 별도로 설치해야하고, 팔걸이의 구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301656호에는 체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 개시된 팔걸이의 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지지 부재, 팔걸이, 사이드 커버, 가압 부재, 가이드 부재, 하우징, 인게이징 유닛(engaging unit)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를 가져서 전술된 유니트 체어의 팔걸이의 불편한 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하지 못한다.
본 개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등받이가 움직일 때 자동으로 팔걸이의 높이가 조절되어 팔걸이가 환자의 동선을 가로막지 않으면서, 치료 중일 때에는 환자가 팔걸이를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를 제공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씨트(seat)와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medical unit chair)에 있어서, 씨트를 지지하는 하부 몸체; 하부 몸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팔걸이; 하부 몸체와 등받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하부 몸체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제2 연결부와 하부 몸체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그리고, 하부 몸체의 측면에 위치하며 제1 연결부가 위치 이동할 때 제1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가 제3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유니트 체어의 예들을 설명하는 도면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의료용 유니트 체어의 하부 몸체의 우측 커버를 제거한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의 동작 원리의 일 예를 설명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의 동작 원리의 일 예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의 동작 원리의 일 예를 설명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에 있어서, 제2 연결부 및 제3 연결부의 회전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의료용 유니트 체어(100)는 머리 받침대(110), 등받이(120), 씨트(130), 팔걸이(140, 141), 하부 몸체(150), 등받이(120)와 하부 몸체(15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팔걸이는 우측 팔걸이(140)와 좌측 팔걸이(141)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을 보면 좌측 팔걸이(141)는 씨트(130)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지만 우측 팔걸이(140)는 씨트(130)와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가 씨트(130)에 앉기 위해서 씨트(130)의 우측으로 들어갈 때 우측 팔걸이(140)는 환자의 동선을 가로막지 않아 환자가 유니트 체어에 않을 때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4 및 도 5를 보면, 등받이(120)가 아래로 기울어지면서 우측 팔걸이(140)가 위로 올라가고 있다. 특히 도 5를 보면, 등받이(120)가 완전히 아래로 기울어졌을 때 우측 팔걸이(140)는 좌측 팔걸이(141)와 같은 위치까지 올라와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의료용 유니트 체어의 하부 몸체의 우측 커버를 제거한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100)는 등받이(120)가 기울어지면서, 우측 팔걸이(140)가 자동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하부 몸체(150)와 우측 팔걸이(14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170), 제2 연결부(170)와 하부 몸체(150)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180), 하부 몸체(150)의 측면에 위치하며 제1 연결부(160)가 위치 이동할 때 제1 연결부(160)를 지지하는 지지부(190)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연결부(170)는 도 10에서 다시 설명하였다. 제1 연결부(160), 제2 연결부(170), 제3 연결부(180)의 움직임에 의해 우측 팔걸이(140)가 회전하면서 움직이는 것에 대해서는 도 7, 도 8, 도 9에서 설명한다.
도 7, 도 8,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의 동작 원리의 일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도 3, 도 4 및 도 5에 각각 대응한다. 즉 도 7은 등받이(120)가 아래로 기울어지기 전에 해당하는 도 3에 대응하고, 도 8은 등받이(120)가 아래로 기울어지는 과정에 해당하는 도 4에 대응하고, 도 9는 등받이(120)가 아래로 완전히 기울어진 것에 대응하는 도 5에 대응한다. 제1 연결부(160)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7, 도 8 및 도 9에서는 제1 연결부(160)가 보이도록 하부 몸체의 우측 커버를 도 6과 비교하여 한번 더 제거하였다.
도 7에 있어서, 제1 연결부(160)는 가이드 롤(200, 210, 220)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점선(300)을 따라 진행된다. 등받이(120)가 아래로 기울어지는 과정을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다. 제1 구간은 도 7에 표시하였고,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은 도 8 및 도 9에 표시하였다. 제1 구간(400)을 제1 연결부(160)가 위치 이동하는 동안, 등받이(120)가 씨트(130)와 이루는 각도(500)는 대략 65도에서 45도 사이에서 변동하면서 등받이(120)가 기울어진다. 제1 구간(400)에서 제1 연결부(160)가 위치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연결부의 말단부(161)가 제3 연결부(180) 및 지지부(190)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우측 팔걸이(140)는 움직이지 않는다. 즉 등받이(120)만 아래로 기울어지고 우측 팔걸이(140)는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위치한다.
도 8에 있어서, 제1 연결부(160)가 제2 구간(410)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제1 연결부(160)가 제2 구간(410)을 위치 이동하는 동안, 등받이(120)가 씨트(130)와 이루는 각도(500)는 대략 45도에서 15도 사이에서 변동하면서 등받이(120)가 아래로 기울어진다. 제2 구간(410)에서 제1 연결부(160)가 위치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연결부의 말단부(161)가 제3 연결부(180) 및 지지부(190)의 곡면과 접촉을 하면서 위치 이동하며, 우측 팔걸이(140)가 제2 연결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위로 위치 이동한다. 우측 팔걸이(140)가 위로 위치 이동하는 것은 지지부(19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연결부(160)가 제3 연결부와 지지부(190)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기 때문이다. 즉 제1 연결부(160)의 말단부(161)가 지지부(190)와 제3 연결부(180)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기 위해서 지지부(190)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연결부(180)가 움직임으로서 제1 연결부(160)가 제3 연결부(180)와 지지부(190)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간격(181)이 만들어진다. 이때 제3 연결부(180)의 움직임은 제3 연결부(180)와 하부 몸체(150)를 연결하는 연결부(18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화살표(183)와 같이 회전한다. 연결부(182)는 결합 핀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부(180)가 회전을 할 때, 제2 연결부(170)의 돌출부(171)가 제3 연결부(180)의 홈(184)을 따라 움직인다. 돌출부(171)는 제2 연결부(170)에 고정되어 있으며, 돌출부(171)가 홈(184)을 따라 움직일 때 제2 연결부(170)는 화살표(172)와 같이 제2 연결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제2 연결부(170)가 회전하면서 우측 팔걸이(140)도 제2 연결부(17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제2 연결부(170)와 제3 연결부(180)의 회전은 도 10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제1 연결부(160)가 제3 구간(420)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제1 연결부(160)가 제3 구간(420)에서 위치 이동하는 동안, 등받이(120)가 씨트(130)와 이루는 각도(500)는 대략 15도에서 0도 사이에서 변동하면서 등받이(120)가 아래로 기울어진다. 제3 구간(420)에서 제1 연결부(160)가 위치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연결부의 말단부(161)가 제3 연결부(180) 및 지지부(190)의 곡면과 접촉을 하면서 위치 이동하지만, 제2 구간(410)을 이동하는 경우와 다르게 우측 팔걸이(140)가 움직이지 않는다. 제3 구간(420)에서 제1 연결부(160)의 말단부(161)와 접촉하는 제3 연결부(180)와 지지부(190) 중 적어도 1개의 곡면이 제1 연결부(160)가 제3 연결부(180)와 지지부(190) 사이를 위치 이동함에도 제3 연결부(180)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간격(181)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작되어 우측 팔걸이(14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였다. 이것은 환자의 신체구조나, 치료 부위에 따라 등받이(120)와 씨트(130)가 이루는 각도(500)를 작은 범위에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등받이(120)와 씨트(130)가 이루는 각도 0도에서 15도 사이에서 이러한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등받이(120)를 움직여도 우측 팔걸이(140)는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환자가 안정적으로 팔걸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 내지 도 9에 있어서, 제1 연결부의 말단부(161)에는 회전롤(162)이 사용되었다. 회전롤(162)은 제3 연결부(180) 및 지지부(190)의 곡면과 접촉하면서 제1 연결부(160)가 위치 이동할 때 제1 연결부(160)가 움직이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롤(162)과 같이 제1 연결부(160)가 제3 연결부(180) 및 지지부(190)와 접촉하면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롤이 제3 연결부(180) 및 지지부(19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에 있어서, 제2 연결부 및 제3 연결부의 회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 연결부(180)는 하부 몸체(150)와 제3 연결부(180)를 연결하는 연결부(182)의 중심축(185)을 기준으로 화살표(183)와 같이 회전한다. 제2 연결부(170)는 돌출부(171)가 제3 연결부(180)의 회전으로 인하여, 움직인다. 돌출부(171)의 움직임으로 제2 연결부(170)는 중심축(173)을 기준으로 화살표(172)와 같이 회전한다.
상기 도면에서는 등받이(120)가 아래로 기울어지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등받이(120)가 위로 올라가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에 따라 우측 팔걸이(140)가 아래로 움직이며,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우측 팔걸이(140)의 회전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좌측 팔걸이(141)도 동일한 구성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우측 팔걸이(140) 및 좌측 팔걸이(141) 중 1개는 회전시키고 나머지 1개는 고정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씨트(seat)와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medical unit chair)에 있어서, 씨트를 지지하는 하부 몸체; 하부 몸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팔걸이; 하부 몸체와 등받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하부 몸체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제2 연결부와 하부 몸체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그리고, 하부 몸체의 측면에 위치하며 제1 연결부가 위치 이동할 때 제1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가 제3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2) 제3 연결부가 하부 몸체와 제3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부 몸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3) 제2 연결부가 제2 연결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부 몸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4) 제2 연결부와 제3 연결부는 제2 연결부가 구비한 돌출부가 제3 연결부가 구비한 홈에 결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5) 제1 연결부가 위치 이동할 때 제3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움직이는 제1 연결부의 말단부가 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6) 제1 연결부의 말단부에 구비된 롤이 제3 연결부 및 지지부와 접촉하면서 제1 연결부가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7) 제1 연결부의 말단부에 구비된 롤이 접촉하는 제3 연결부 및 지지부의 접촉면이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8) 제1 연결부가 제3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위치 이동할 때 팔걸이가 움직이는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9) 팔걸이가 제2 연결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10) 제1 연결부가 제3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위치 이동할 때 팔걸이가 움직이지 않는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11) 팔걸이가 위치하는 하부 몸체의 반대 측면에 움직이지 않는 고정 팔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에 의하면, 등받이의 움직임에 의해 자동으로 팔걸이가 상하로 움직여서 환자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치료시에는 팔걸이를 사용할 수 있어 환자의 편의를 향상시켰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에 의하면, 등받이의 움직임에 의해 자동으로 팔걸이가 상하로 움직여서 치과 의사 등 사용자가 별도로 팔걸이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 부가적인 조작이 필요 없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유니트 체어에 의하면, 등받이가 움직이는 동안에도 일정범위에서는 팔걸이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치과 의사 등 사용자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위치로 움직일 때, 팔걸이를 수시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
등받이 : 120
씨트 : 130
하부 몸체 : 150
팔걸이 : 140, 141
제1 연결부 : 160
제2 연결부 : 170
제3 연결부 : 180

Claims (11)

  1. 씨트(seat)와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medical unit chair)에 있어서,
    씨트를 지지하는 하부 몸체;
    하부 몸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팔걸이;
    하부 몸체와 등받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하부 몸체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제2 연결부와 하부 몸체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그리고,
    하부 몸체의 측면에 위치하며 제1 연결부가 위치 이동할 때 제1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가 제3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연결부가 하부 몸체와 제3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부 몸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연결부가 제2 연결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부 몸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연결부와 제3 연결부는 제2 연결부가 구비한 돌출부가 제3 연결부가 구비한 홈에 결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연결부가 위치 이동할 때 제3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움직이는 제1 연결부의 말단부가 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롤이 제3 연결부 및 지지부와 접촉하면서 제1 연결부가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롤이 접촉하는 제3 연결부 및 지지부의 접촉면이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연결부가 제3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위치 이동할 때 팔걸이의 위치가 이동하는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9. 청구항 8에 있어서,
    팔걸이가 제2 연결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위치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연결부가 제3 연결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위치 이동할 때 팔걸이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팔걸이가 위치하는 하부 몸체의 반대 측면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 팔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
KR1020140091158A 2014-07-18 2014-07-18 의료용 유니트 체어 KR101629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158A KR101629400B1 (ko) 2014-07-18 2014-07-18 의료용 유니트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158A KR101629400B1 (ko) 2014-07-18 2014-07-18 의료용 유니트 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152A true KR20160010152A (ko) 2016-01-27
KR101629400B1 KR101629400B1 (ko) 2016-06-10

Family

ID=5530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158A KR101629400B1 (ko) 2014-07-18 2014-07-18 의료용 유니트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90A (ko) * 2019-06-25 2021-01-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유니트 체어
KR102634334B1 (ko) 2023-08-21 2024-02-05 김대완 양측 출입이 가능한 유니트 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009B1 (ko) * 2017-08-25 2019-10-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유니트 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4408A (en) * 1998-01-08 1999-11-16 Bujaryn; L. Walter Compound lever and armrest mounting assemblies
US6079787A (en) * 1996-07-26 2000-06-27 Nichols; Kurt O. Armrest mechanism for dental chairs
JP2003070859A (ja) * 2001-08-31 2003-03-11 Marutaka Co Ltd バイブレータ内蔵肘掛け付椅子型マッサージ機
US20070120408A1 (en) * 2005-11-29 2007-05-31 Kuang Yu Metal Working Co., Ltd. Backrest and armrest synchronous adjustment device for a massage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9787A (en) * 1996-07-26 2000-06-27 Nichols; Kurt O. Armrest mechanism for dental chairs
US5984408A (en) * 1998-01-08 1999-11-16 Bujaryn; L. Walter Compound lever and armrest mounting assemblies
JP2003070859A (ja) * 2001-08-31 2003-03-11 Marutaka Co Ltd バイブレータ内蔵肘掛け付椅子型マッサージ機
US20070120408A1 (en) * 2005-11-29 2007-05-31 Kuang Yu Metal Working Co., Ltd. Backrest and armrest synchronous adjustment device for a massage ch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90A (ko) * 2019-06-25 2021-01-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유니트 체어
KR102634334B1 (ko) 2023-08-21 2024-02-05 김대완 양측 출입이 가능한 유니트 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400B1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41862B1 (en) Headrest for medical treatment chair
US10973723B2 (en) Dental treatment machine with a retractable backrest for children
KR101629400B1 (ko) 의료용 유니트 체어
JP7315628B2 (ja) フッ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医療用診療装置
JP2001309931A (ja) 歯科診療装置
JP2024023393A (ja) ユニットチェア
CN104983537A (zh) 一种牙科专用椅
JP2012016583A (ja) ヘッドレストを備える椅子
WO2017104744A1 (ja) 医療用診療システム、医療用診療装置、通信装置、および医療用診療装置の誤操作防止方法
KR101990314B1 (ko) 치과 의사용 의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 시스템
JP2000316921A (ja) 医療用診療装置
JP2023531599A (ja) 歯科ユニットチェア用フットコントローラ
TWM514836U (zh) 牙科治療台控制裝置
KR200431418Y1 (ko) 전동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치과용 유닛체어
KR102336843B1 (ko) 유니트 체어
KR102634334B1 (ko) 양측 출입이 가능한 유니트 체어
JP3244216U (ja) 歯科診療椅子用衛生シールド及び歯科診療装置
KR102182961B1 (ko) 유니트 체어
CN215193411U (zh) 一种自动补偿牙科椅
CN208598743U (zh) 牙科用简易可调节式头枕
US7448686B2 (en) Dental chair headrest
JP4733961B2 (ja) 歯科用診療装置
KR101589265B1 (ko) 의료용 유니트 체어
JP2616664B2 (ja) 歯科用治療椅子
JP3439939B2 (ja) 歯科診療用スピットンボ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