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964A - 복합창호 - Google Patents

복합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964A
KR20160009964A KR1020140090571A KR20140090571A KR20160009964A KR 20160009964 A KR20160009964 A KR 20160009964A KR 1020140090571 A KR1020140090571 A KR 1020140090571A KR 20140090571 A KR20140090571 A KR 20140090571A KR 20160009964 A KR20160009964 A KR 20160009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window frame
rail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281B1 (ko
Inventor
전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전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전병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Priority to KR1020140090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2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및 방음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복합창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열재로 이루어져 내부레일 결합홈과 중간프레임 결합홈 및 외부레일 결합홈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 창틀본체와 단열재로 이루어져 상기 내·외부레일 결합홈 및 중간프레임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된 내·외부레일 및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상기 내부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창문틀을 갖는 내부창문, 상기 외부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창문틀을 갖는 외부창문을 포함하되, 상기 내·외부창문틀은, 실내를 향하는 내면창문틀, 실외를 향하는 외면창문틀, 상기 내·외면창문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개재되어 단열재로 이루어진 간극프레임, 상기 내면창문틀에 결합되도록 단열재로 이루어진 마감프레임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열재로 이루어진 창틀본체에 내부레일과 중간프레임 및 외부레일이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고 내·외부창문틀이 단열재로 이루어진 간극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의 의하여 이중으로 단열하므로, 실내외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단열성 및 방음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창호{WINDOW}
본 발명은 복합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을 금속재와 단열재로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복합창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복합창호는 공기나 햇빛을 받을 수 있고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지상 구조물에 낸 창과 문을 일컫는다.
그리고 복합창호는 레일을 갖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창문틀을 갖는 창문으로 대별되며, 창틀과 창문틀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따위의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창틀과 창문틀의 소재로 사용되는 비철금속은 눈이나 비 따위에 잘 견디도록 내식성이 우수한 반면에 냉기나 열기를 전달하는 열전도율이 우수하여 복합창호의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복합창호의 창문틀에 단열재를 결합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합창호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41956호(2008.06.23)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등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창문틀을 통한 냉기나 열기는 단열재에 의해 어느 정도 차단할 수는 있겠으나 지상 구조물에 가장 접촉면적이 넓은 창틀을 통한 냉기나 열기는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틀뿐만 아니라 창틀을 통한 실외의 냉기나 열기가 실내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단열 및 방음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복합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열재로 이루어져 내부레일 결합홈과 중간프레임 결합홈 및 외부레일 결합홈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 창틀본체와 단열재로 이루어져 상기 내·외부레일 결합홈 및 중간프레임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된 내·외부레일 및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상기 내부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창문틀을 갖는 내부창문, 상기 외부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창문틀을 갖는 외부창문을 포함하되, 상기 내·외부창문틀은, 실내를 향하는 내면창문틀, 실외를 향하는 외면창문틀, 상기 내·외면창문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개재되어 단열재로 이루어진 간극프레임, 상기 내면창문틀에 결합되도록 단열재로 이루어진 마감프레임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프레임에는 내·외부창문을 닫을 때 상기 내·외부창문틀에 밀착되도록 제1 모헤어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외부창문을 닫을 때 창틀본체에 접촉되는 내·외면창문틀의 일측면에 개스킷을 각각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극프레임에는 상기 내·외면창문틀의 내면을 지지하여 간극을 고르게 유지하도록 한 쌍의 간극유지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외부창문을 닫을 때 겹쳐서 대응되는 내·외부창문틀의 일면에는 단열재로 이루어진 내부중간패널 및 외부중간패널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중간패널에는 외부창문틀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제2 모헤어가 장착되고, 상기 외부중간패널에는 내부창문틀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제3 모헤어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중간패널과 외부중간패널의 대응되는 일면에는 패킹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내·외부중간패널에는 패킹을 가압하도록 가압편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에는 가압편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내·외부창문틀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재로 이루어진 창틀본체에 내부레일과 중간프레임 및 외부레일이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고 내·외부창문틀이 단열재로 이루어진 간극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의 의하여 이중으로 단열하므로, 실내외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단열성 및 방음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모헤어에 의하여 기밀성 및 방음성을 향상시키고, 개스킷 및 패킹에 의하여 기밀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창틀본체의 확대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내부창문의 확대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외부창문의 확대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합창호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창호는, 단열재로 이루어져 내부레일 결합홈(112)과 중간프레임 결합홈(113) 및 외부레일 결합홈(114)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 창틀본체(110)와 단열재로 이루어져 내·외부레일 결합홈(112)(114) 및 중간프레임 결합홈(113)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된 내·외부레일(120)(140) 및 중간프레임(130)을 포함하는 창틀(100), 내부레일(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내부창문틀(210)을 갖는 내부창문(200), 외부레일(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부창문틀(310)을 갖는 외부창문(300)을 포함한다.
창틀(100)은 창틀본체(110)와 내·외부레일(120)(140) 및 중간프레임(130)으로 대별된다.
먼저, 창틀본체(110)는 실내(Indoor, ID)와 실외(Outdoor, OD)의 열전도를 차단하도록 단열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창틀본체(110)는 단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압축에 대한 저항성이 좋은 폴리스틸렌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단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본체(110)에는 실내(ID)에서 실외(OD) 방향으로 내부레일 결합홈(112)과 중간프레임 결합홈(113) 및 외부레일 결합홈(114)이 차례대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결합홈(112)(113)(114)은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내부레일 결합홈(112)과 중간프레임 결합홈(113)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단부의 양측 표면에는 자리홈(112a)(113a)이 각각 형성되며, 외부레일 결합홈(114)은 창틀본체(110)의 외측 단부의 내·외면으로 형성되어 외부레일(140)이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내부레일(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틀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부레일 결합홈(112)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내부레일(120)의 외측 단부 내·외면으로는 유동방지편(122)이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레일 결함홈(112)의 자리홈(112a)에 묻혀서 창틀본체(1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므로 내부레일(120)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어서, 중간프레임(1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틀 모양으로 형성되어 중간프레임 결합홈(113)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중간프레임(130)의 내·외면 둘레에는 제1 모헤어장착홈(131)이 형성되어 내·외부창문틀(210)(310)이 밀착되는 제1 모헤어(mohair, M1)가 장착되므로 기밀성 및 방음성이 향상된다. 중간프레임(130)의 외측 단부 내·외면에는 유동방지편(1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중간프레임 결합홈(113)의 자리홈(113a)에 묻혀서 창틀본체(1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므로 중간프레임(130)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외부레일(1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본체(110)의 외측 단부에 끼움결합되는 레일프레임(142)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레일프레임(142)의 외측 단부에는 방충창레일(144)이 일체로 형성되어 방충창(150)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내부창문(200)은 내부레일(12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내부창문틀(210) 및 유리(29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내부창문틀(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를 향하는 내면창문틀(220), 실외를 향하는 외면창문틀(230), 내·외면창문틀(220)(230) 사이에 개재되는 간극프레임(240), 내면창문틀(220)에 결합되는 마감프레임(250)으로 구성된다.
먼저, 내면창문틀(220)과 외면창문틀(23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프레임장착홈(221)(231)을 갖도록 내외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간극(G)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창틀본체(110)의 내면에 접촉되는 내면창문틀(220)과 외면창문틀(230)의 좌측면에는 개스킷장착홈(222)(232)이 각각 형성되어 개스킷(Gasket, 260)이 장착되고 우측면은 마감캡(262)에 의해 마감되는데, 여기서 개스킷(260)은 내부창문(200)을 닫을 때 완충 작용을 하는 동시에 기밀성 및 수밀성을 제고시키게 된다.
그리고 간극프레임(240)은 내·외면창문틀(220)(230) 사이의 간극(G1)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간극프레임(240)은 단열성과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또는 아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단열성 등이 우수한 폴리스틸렌폼이나 플라스틱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간극프레임(240)은 프레임장착홈(221)(231)에 장착되어 내·외면창문틀(220)(230) 사이의 간극(G1)을 유지하는데, 이러한 간극프레임(240)에는 내·외면창문틀(220)(23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간극유지편(24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외면창문틀(220)(230) 사이의 간극(G1)을 고르게 유지한다.
이어서, 마감프레임(250)은 내면창문틀(220)의 내면에 결합되어 실·내외(ID)(OD)의 열전도를 차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마감프레임(250)은 단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압축에 대한 저항성이 좋은 폴리스틸렌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단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창문(300)은 외부레일(14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외부창문틀(310) 및 유리(39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외부창문틀(3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ID)를 향하는 내면창문틀(320), 실외(OD)를 향하는 외면창문틀(330), 내·외면창문틀(320)(330) 사이에 개재되는 간극프레임(340), 내면창문틀(320)에 결합되는 마감프레임(350)으로 구성된다.
먼저, 내면창문틀(320)과 외면창문틀(33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프레임장착홈(321)(331)을 갖도록 내외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간극(G2)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창틀본체(110)의 내면에 접촉되는 내면창문틀(320)과 외면창문틀(330)의 우측면에는 개스킷장착홈(322)(332)이 각각 형성되어 개스킷(360)이 장착되고 좌측면은 마감캡(362)에 의해 마감되는데, 여기서 개스킷(360)은 외부창문을 닫을 때 완충 작용을 하는 동시에 기밀성 및 수밀성을 제고시키게 된다.
그리고 간극프레임(340)은 내·외면창문틀(320)(330) 사이의 간극(G2)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간극프레임(340)은 단열성과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또는 아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단열성 등이 우수한 폴리스틸렌폼이나 플라스틱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간극프레임(340)은 프레임장착홈(321)(331)에 장착되어 내·외면창문틀(320)(330) 사이의 간극(G2)을 유지하는데, 이러한 간극프레임(340)에는 내·외면창문틀(320)(33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간극유지편(34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외면창문틀(320)(330) 사이의 간극(G2)을 고르게 유지한다.
이어서, 마감프레임(350)은 내면창문틀(320)의 내면에 결합되어 열전도를 차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마감프레임(350)은 단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압축에 대한 저항성이 좋은 폴리스틸렌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단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내부창문(200)과 외부창문(300)은 닫을 때 겹치는 내부창문틀(210)과 외부창문틀(310)의 대응하는 면에 각각 설치된 내부중간패널(270) 및 외부중간패널(37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내·외부중간패널(270)(370)은 단열성과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또는 아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단열성 등이 우수한 폴리스틸렌폼이나 플라스틱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중간패널(270)은 외면창문틀(230)의 표면에 나사로 고정되는데, 이러한 내부중간패널(270)의 표면에는 제2 모헤어장착홈(271)이 형성되어 외부창문틀(310)의 마감프레임(350)에 밀착되는 제2 모헤어(M2)가 장착되므로 기밀성 및 방음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내부중간패널(270)의 좌측 단부에는 내부패킹장착홈(272)이 형성되어 내부패킹(280)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내부패킹(280)은 내부패킹장착홈(272)에 장착되는 패킹본체(282)와 이 패킹본체(282)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내부탄성편(284)를 포함한다. 또한 내부중간패널(270)의 좌측 단부에는 내부가압편(273)이 돌출되어 후술하는 외부패킹(380)의 외부탄성편(384)을 가압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중간패널(370)은 마감프레임(350)의 표면에 나사로 고정되는데, 이러한 외부중간패널(370)의 표면에는 제3 모헤어장착홈(371)이 형성되어 내부창문틀(210)의 외면창문틀(230)에 밀착되는 제3 모헤어(M3)가 장착되므로 기밀성 및 방음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외부중간패널(370)의 우측 단부에는 외부패킹장착홈(372)이 형성되어 외부패킹(380)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외부패킹(380)은 외부패킹장착홈(372)에 장착되는 외부패킹본체(382)와 이 외부패킹본체(382)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외부탄성편(384)를 포함하며, 외부탄성편(384)은 상술한 내부가압편(273)의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기밀성과 방음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외부중간패널(370)의 우측 단부에는 외부가압편(373)이 돌출되어 상술한 내부패킹(280)의 내부탄성편(284)을 가압하므로 기밀성과 방음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열재로 이루어진 창틀본체(110)에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레일(120)과 중간프레임(130) 및 외부레일(140)이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므로, 실외(OD)의 냉기 또는 열기가 실내(ID)로 전도되는 현상을 차단하여 단열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창문(200)과 외부창문(300)을 닫을 때, 개스킷(260)이 창틀본체(110)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기밀하게 밀착되므로, 완충 작용과 기밀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내부창문(200)과 외부창문(300)을 닫을 때, 단열성을 갖는 내·외부중간패널(270)(370)에 의해 실·내외의 열전도를 차단하고, 제2 모헤어(M2)가 외부창문틀(310)의 마감프레임(350)에 밀착되고 제3 모헤어(M3)가 내부창문틀(210)의 외면창문틀(230)에 밀착되므로 우수한 기밀성과 방음성 및 수밀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내부가압편(273)은 외부패킹(380)의 외부탄성편(384)을 가압하고 외부가압편(373)은 내부패킹(280)의 내부탄성편(284)을 가압함에 따라, 내·외부탄성편(284)(384)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내·외부가압편(273)(373)에 기밀히 밀착되므로, 우수한 기밀성과 방음성 및 수밀성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내부창문(200)과 외부창문(300)이 내면창문틀(220)(320)과 외면창문틀(230)(330) 사이에 단열성을 갖는 간극프레임(240)(340)을 각각 개재하여 간극(G1)(G2)을 형성하므로 1차적인 단열성을 확보하고, 내면창문틀(220)(320)에 단열성을 갖는 마감프레임(250)(350)을 결합하므로 2차적인 단열성을 확보하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의 창문에 비해 더욱 뛰어난 단열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창틀 110 : 창틀본체
112 : 내부레일 결합홈 113 : 중간프레임 결합홈
114 : 외부레일 결합홈 120 : 내부레일
130 : 중간프레임 140 : 외부레일
200 : 내부창문 210 : 내부창문틀
220, 320 : 내면창문틀 230, 330 : 외면창문틀
240, 340 : 간극프레임 250, 350 : 마감프레임
300 : 외부창문 310 : 외부창문틀

Claims (8)

  1. 단열재로 이루어져 내부레일 결합홈과 중간프레임 결합홈 및 외부레일 결합홈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 창틀본체와 단열재로 이루어져 상기 내·외부레일 결합홈 및 중간프레임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된 내·외부레일 및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상기 내부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창문틀을 갖는 내부창문, 상기 외부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창문틀을 갖는 외부창문을 포함하되,
    상기 내·외부창문틀은, 실내를 향하는 내면창문틀, 실외를 향하는 외면창문틀, 상기 내·외면창문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개재되어 단열재로 이루어진 간극프레임, 상기 내면창문틀에 결합되도록 단열재로 이루어진 마감프레임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프레임에는 내·외부창문을 닫을 때 상기 내·외부창문틀에 밀착되도록 제1 모헤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창문을 닫을 때 창틀본체에 접촉되는 내·외면창문틀의 일측면에는 개스킷이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극프레임에는 상기 내·외면창문틀의 내면을 지지하여 간극을 고르게 유지하도록 한 쌍의 간극유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창문을 닫을 때 겹쳐서 대응되는 내·외부창문틀의 일면에는 단열재로 이루어진 내부중간패널 및 외부중간패널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부중간패널에는 외부창문틀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제2 모헤어가 장착되고, 상기 외부중간패널에는 내부창문틀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제3 모헤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부중간패널과 외부중간패널의 대응되는 일면에는 패킹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내·외부중간패널에는 패킹을 가압하도록 가압편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패킹에는 가압편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내·외부창문틀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
KR1020140090571A 2014-07-17 2014-07-17 복합창호 KR101618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571A KR101618281B1 (ko) 2014-07-17 2014-07-17 복합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571A KR101618281B1 (ko) 2014-07-17 2014-07-17 복합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964A true KR20160009964A (ko) 2016-01-27
KR101618281B1 KR101618281B1 (ko) 2016-05-04

Family

ID=5530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571A KR101618281B1 (ko) 2014-07-17 2014-07-17 복합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2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798B1 (ko) * 2020-01-02 2020-05-13 주식회사 수건업 방화단열 이중창호
KR102141931B1 (ko) * 2019-05-17 2020-08-06 이흥주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미닫이 창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039A (ko) 2019-08-21 2021-03-04 새론테크 주식회사 미서기창호
KR102450706B1 (ko) 2020-05-13 2022-10-05 주식회사 두진테크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슬라이딩 창호
KR102341813B1 (ko) * 2020-09-07 2021-12-22 새론테크 주식회사 단열 미서기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993B1 (ko) * 2009-05-18 2009-09-14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이중창 단열 복합창호
KR101308360B1 (ko) * 2013-05-08 2013-09-16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931B1 (ko) * 2019-05-17 2020-08-06 이흥주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미닫이 창호 시스템
KR102109798B1 (ko) * 2020-01-02 2020-05-13 주식회사 수건업 방화단열 이중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281B1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618281B1 (ko) 복합창호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431177B1 (ko) 커튼월 단열시스템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1630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커튼월
KR200465678Y1 (ko) 방화문 기밀 구조
KR102063537B1 (ko) 이종재질을 이용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단열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100946306B1 (ko) 단열 복합창호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20100081841A (ko) 시스템 창호
KR101043068B1 (ko) 단열 및 방음 구조를 갖는 창호
KR101365691B1 (ko) 투트랙 창호 레일과 삼중 유리가 구성된 이중 폴리아미드타입 단열구조
KR101654567B1 (ko)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468678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창호
KR101562333B1 (ko) 창호의 코너용 단열프레임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2058920B1 (ko) 레일은폐형 창호에 설치되는 은폐판의 단열구조
KR101277683B1 (ko) 고기밀성능과 고단열성능을 가진 창문구조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1731038B1 (ko) 단열 및 기밀성능을 갖는 미서기 창호의 가변형 기밀장치
KR200495083Y1 (ko) 단열 향상형 프로젝트 창호
KR101462889B1 (ko) 시스템 창호의 단열구조
KR102381470B1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