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830A - 연속식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830A
KR20160009830A KR1020140090147A KR20140090147A KR20160009830A KR 20160009830 A KR20160009830 A KR 20160009830A KR 1020140090147 A KR1020140090147 A KR 1020140090147A KR 20140090147 A KR20140090147 A KR 20140090147A KR 20160009830 A KR20160009830 A KR 20160009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drum
housing
sliding block
block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519B1 (ko
Inventor
장호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기술
Priority to KR102014009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5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51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 등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수를 여과하는 연속식 여과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개방된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외주면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망이 형성된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가 접하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로 처리할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식 여과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연속식 여과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water}
본 발명은 양식장 등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수를 여과하는 연속식 여과장치에 관련된다.
연속식 여과장치는 망이 둘러진 드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수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여과가 이루어지는 망의 성능은 망의 그물눈이 촘촘할수록 효과가 우수하나, 작은 그물눈은 오물에 의해 쉽게 막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그물눈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도록 망을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망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여 눈막힘을 해소하는 기술이 있다.
종래의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9439호이다. 외주면에 그물망이 형성된 회전드럼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회전드럼의 내부로 처리할 대상인 오수를 투입한다. 회전드럼의 망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은 회전드럼을 이격되게 감싸는 간이수조로 들어가고, 간이수조의 물은 유체펌프를 이용하여 의도한 사용처로 보내진다.
한편 회전드럼 상부에는 물분사 노즐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회전드럼의 망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고, 망에서 떨어지는 오물은 회전드럼 내에 장착된 물받이를 통해 수거하며 최종적으로 오물처리시설로 보내게 된다. 따라서 망의 그물눈 막힘 없이 연속적인 오수 여과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양식장과 같이 대규모 물 정화 능력이 요구되는 시설에 사용된다. 그에 따라 여과장치의 시간당 처리량이 상당한데, 처리수의 유동에 따른 기계 요소의 건전성이 문제된다. 특히 회전드럼과 이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의 간이수조의 접촉면에서는,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마찰에 따른 마모가 진행된다. 회전드럼의 내측과 외측의 압력 구배 및 사용에 따른 마모에 의해 회전드럼 내의 오수가 망이 아닌 접촉면의 틈새로 유출되어, 여과되지 아니한 오수가 간이수조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처리대상인 오수의 유입구를 회전드럼의 중공된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하고 있다. 회전축으로 유입된 오수는 내부의 복잡한 경로를 거쳐 회전드럼 안으로 유입되는데, 회전축의 직경을 임의로 증대시킬 수 없으므로 한 번에 유입되는 수량에 한계가 있으며, 복잡한 경로 내부에 이물질 침전에 따른 오염, 막힘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9439호 (2011.01.12)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여과장치의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하여 연속적인 여과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개방된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외주면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망이 형성된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가 접하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로 처리할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식 여과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에는 링 형상의 미끄럼블록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미끄럼블록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거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는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미끄럼블록을 일부분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거치브래킷,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블록과 면접촉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거치브래킷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블록을 상기 미끄럼블록을 향하여 탄성있게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에는 링 형상의 미끄럼블록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벽면을 향하여 전방으로 탄성있게 밀어주는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미끄럼블록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거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는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미끄럼블록을 일부분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거치브래킷과,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블록과 면접촉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수용홈의 벽면 사이에는 실링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브래킷은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의 하부를 받치는 반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바닥은 상기 회전드럼의 형상에 대응하여 반원형이고,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 최저점에서 드레인배관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장치 내의 회전드럼 내로 처리 대상인 오수를 곧바로 유입시킴으로써, 종래의 기술과 달리 여과장치 내에서 이미 여과처리된 오수와 섞일 우려가 없게 된다.
선단부가 개방된 회전드럼과 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개선된 실링구조는 오랜 장치 운영에 따른 마모나 오수 유입량에 따른 작동 하중에 의해, 필터망이 아닌 회전드럼의 선단부와 하우징 사이로 오수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그에 따라 사용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오수 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의 주기를 늘릴 수 있게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여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전드럼과 하우징의 접촉부위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채용된 분사노즐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여과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10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 오수를 여과하는 회전드럼(20) 및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부(30)를 포함한다. 나아가 세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대략 상자 형태로 회전드럼(20)이 장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하우징(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커버(1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커버(11)에는 하우징 내부 공간에 위치한 회전드럼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투명창(111)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투명창(111)을 통해 회전드럼(20)의 필터망(2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회전드럼(20)은 뉘인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는 오수에 담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망(21)이 장착되어 있다. 필터망(21)은 손상 시에 수리, 교체가 용이하도록 복수로 분할되어 있으며, 개개별로 회전드럼(20)의 프레임(2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하우징(10)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중심축(13)이 구비된다. 중심축(13)의 단부는 하우징(10)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 고정되며, 중심축(13)의 내부는 중공되어 있다. 회전드럼(20)은 이 중심축(13)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회전드럼(20)의 선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선단부는 하우징(10)의 내벽에 접하게 설치된다.
동력부(30)는 회전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하우징의 후방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모터(31), 회전드럼(20)의 후방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라킷(32), 회전모터(31)의 출력축과 스프라킷(32)을 연결하는 체인(33)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모터(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드럼(20)은 중심축을 회전 축 삼아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부는 체인 연결방식 외에도 풀리와 벨트, 기어들 등 이미 알려진 회전 운동 전달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회전드럼(20)의 선단부가 접하는 하우징의 일면에는 회전드럼(20)의 내부로 처리할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2)를 통과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는 곧바로 회전드럼(20)의 선단부를 통해 회전드럼(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구(12)와 연결되는 유입배관에는 오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체펌프(도시 생략)가 연결될 수 있다. 만일 여과장치가 낮은 높이에 설치되어 오수가 자연스럽게 흘러 여과장치 쪽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유체펌프가 생략될 수 있다.
회전드럼(20)에 오수를 곧바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12)를 하우징(10)의 선단부에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는 관로 구성이 매우 간단해진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회전드럼의 중심축을 통해 처리할 오수를 유입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사이즈 변경이 자유롭지 못한 중심축의 직경에 따른 유입량의 한계가 있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입구의 사이즈를 설계 의도에 따라 크게 확장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회전드럼(20)의 내부로 처리 대상인 오수가 직수로 유입되므로, 회전드럼(20)의 필터망(21)을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하우징(10)과 회전드럼(20) 사이의 공간에 모인 물과, 여과 처리전의 오수가 섞일 수 없게 된다.
또한 유입된 오수가 바로 회전드럼(20)의 안으로 들어가므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유입된 오수가 복잡한 내부 관로를 통과하면서 관로를 막거나 오염을 증대시키는 등의 문제가 없게 된다.
회전드럼(20)의 선단부와 하우징(10)의 내벽면 사이는, 회전드럼(20)이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의 내벽과 마찰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다. 또한 여과장치의 작동 중에 회전드럼의 내외에 형성되는 압력구배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므로 그 취약함은 더욱 증대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개량된 기물 구조를 제시한다.
도 4와 도 5는 회전드럼의 선단부와 하우징의 내벽 사이의 기밀 구조와 관련된다.
회전드럼(20)의 선단부가 접하는 하우징(10) 내벽에는 회전드럼(20)의 선단부를 지지하며, 회전하는 회전드럼(20)과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거치부(50)가 구비된다.
거치부(50)는 일단부가 하우징 내벽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회전드럼의 향하여 개방된 수용홈(H)이 형성된 거치브래킷(51)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거치브래킷(51)은 1파트(512)와 2파트(513)로 나뉘어진다. 1파트(512)는 하우징 내벽에 연결되는 연결편(512a)과, 연결편(512a)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지지편(512b)과, 지지편(512b)의 중간에서 연결편(512a)과 평행하게 연장된 중간편(512c)을 포함한다.
2파트(513)는 1파트(512)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1파트(512)와 2파트(513)는 회전드럼(20)의 선단부에 대응하여 반원형으로 휘어져 있다. 즉 거치브래킷(51)은 회전드럼(20) 선단부의 원형 단면의 하부 반원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이와 달리 거치브래킷(51)과, 이후 설명되는 지지블록(52) 및 탄성부재(53)는 회전드럼(20)의 선단부에 대응하여 링 형상이 될 수 있다.
연결편(512a)은 회전드럼(2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용접 또는 실링을 개재한 볼트와 너트 결합 등으로 1파트(512)를 하우징의 내벽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지지편(512b)의 끝부분는 회전드럼(20)의 선단부 둘레를 감싸 떠받치게 된다.
2파트(513)는 1파트(512)에 조립되어 거치브래킷(51)의 단부에 수용홈(H)을 형성한다. 1,2파트가 반원형으로 휘어지게 제작됨에 따라 수용홈(H)도 반원형상이 된다.
수용홈(H)에는 지지블록(52)이 위치한다. 지지블록(52)은 마모에 강한 POM과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회전드럼(20)을 향하는 일면이 매끄럽게 가공되어 있다.
지지블록(52)과 지지편(512b) 사이 또는 지지블록(52)과 2파트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실링(521)이 개재되어 있다. 이 실링(521)은 거치브래킷(51)과 지지블록(52) 사이를 통해 오수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링(521)은 지지블록(52)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링(521)은 어느 한 쪽에만 구비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중간편(512c)과 지지블록(52) 사이에는 지지블록(52)을 수용홈의 입구를 향하여 탄성 있게 지지하는 탄성부재(53)가 개재된다. 탄성부재(53)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지지블록(52)과 중간편(512c)에는 코일 스프링의 단부가 안치되는 홈을 형성하고 있다.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 수용홈을 형성하는 1파트 또는 2파트에는 거치브래킷의 길이방향에 따라 수용홈을 구획하는 격자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격자편에 따라 나뉘어진 각각의 수용홈에 전술한 지지블록과 탄성부재가 장착된다. 격자편에 의해 나뉘어진 수용홈 각각에 지지블록이 설치됨으로써, 회전드럼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수용홈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블록이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회전드럼(20)의 선단부에는 링형상인 미끄럼블록(54)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미끄럼블록(54)은 지지블록(52)과 마찬가지고 표면이 매끄럽게 마감되어 있다.
미끄럼블록(54)은 수용홈(H)의 내측으로 일부분이 삽입된다. 미끄럼블록(54)의 단부는 탄성부재(53)에 의해 탄성 있게 지지되는 지지블록(52)과 면접촉된다. 회전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미끄럼블록(54)은 지지블록(52)에 면마찰하면서 회전된다.
여과장치(100)의 오랜 사용에 따라 미끄럼블록(54)과 지지블록(52)의 접촉면에서 마모가 진행된다. 탄성부재(53)에 의해 지지블록(52)이 미끄럼블록(54)을 향하여 가압되므로, 마모에 의해 미끄럼블록(54) 또는 지지블록(52)의 두께가 다소 줄어들더라도 미끄럼블록(54)과 지지블록(52)의 면 접촉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후 상당 기간 여과장치가 작동되어 마모가 크게 진행된 이후에는 지지블록과 미끄럼블록을 교체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와 관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는 이후에서 설명되는 바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는 거치브래킷(51)과 지지블록(52)을 포함한다. 거치브래킷(51)은 하우징(10)의 선단부를 향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블록(52)은 이 수용홈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지 아니하다.
회전드럼(20)에는 링 형상의 미끄럼블록(54)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미끄럼블록(54)은 수용홈에 돌출된 일부분이 삽입된다. 미끄럼블록(54)의 선단부는 지지블록(54)과 면접촉하고 있다.
나아가 회전드럼(20)의 선단부를 하우징의 벽면을 향하여 전방으로 탄성있게 밀어주는 가압부(17)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압부(17)는 중심축(13)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고정블록(171)과, 고정블록(171)과 회전드럼(20)의 후방 사이에 개재되어 복원력에 의해 회전드럼(20)을 하우징의 벽면을 향하여 전방(도 6에서 왼쪽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72)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블록(171)은 미끄럼블록(20)이나 지지블록(52)의 수리, 교체 시에 스프링(172)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도록 중심축(13)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면, 거치부에 탄성부재가 생략되어 있으나, 가압부가 회전드럼을 전방을 향하여 탄성 지지함에 따라 미끄럼블록(54)과 지지블록(52) 사이에 마모가 진행하더라도, 여전히 미끄럼블록과 지지블록이 면접촉하면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의 바닥은 회전드럼(20)의 원통 형상에 대응하여 반원형의 단면으로 제작된다. 또한 내부공간의 바닥 최저점에는 여과장치(100)의 내부 물청소 시에 사용되는 드레인배관(14)이 연결되어 있다.
양만장 등에서 사용되는 여과장치(100)는 오수에 포함된 유기성 슬러지를 걸러내는 것으로, 일부 슬러지는 물에 가라앉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침수성 슬러지는 여과장치(100)의 바닥과 벽 등에 달라붙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정육면체로 하우징을 형성함에 따라 벽면과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진 구석이 있어, 침수성 슬러지가 이러한 구석에 쉽게 쌓이게 된다. 구석에 쌓인 슬러지를 먹이로 미생물이나 기생충이 급속하게 번식하며, 여과장치 내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과 같이 적층되는 유기성 슬러지를 해소하고자 하우징(10) 내부공간의 바닥이 반원형이 되도록 형성하여 유기성 슬러지가 쌓일만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있다.
한편 여과장치(100)를 일정 시간 동안 운영한 후에 커버(11)를 열고 여과장치(100) 내부를 고압수로 세척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10) 내부에 들러붙어 있다가 떨어진 슬러지와 물은 중력에 의해 드레인배관(14)으로 모이고, 이후 유체펌프 등에 의해 하우징 외부로 배출된다. 그에 따라 여과장치의 내부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세척부(40)는, 여과장치(100)의 사용 중에 회전드럼(20)의 필터망(21) 막힘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드럼(20)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필터망(21)에 낀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물분사부재(41)와, 회전드럼의 내측에 위치하여 떨어지는 이물질을 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물받이부재(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물분사부재(41)는 회전드럼(20)의 상부 일측에 이격되게 위치하며 회전드럼(20)의 필터망(21)을 향하여 고압수를 배출하는 노즐(411a)을 구비한 물분사배관(411)과, 물분사배관(411)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유체펌프(413)를 포함한다.
한편 물받이부재(42)는 물분사노즐(411a)에서 분사된 물을 맞고 필터망(21)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이물질을 받아내는 호퍼(421)와, 호퍼(421)와 중공된 중심축(13)을 연통시키는 연결관(422)을 포함한다. 중심축(13)을 거쳐 여과장치의 외부로 흘러간 이물질과 물은 외부로 버려지거나, 여과장치 외부의 별도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후 환수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물분사배관(411)이 도시되어 있다. 물분사배관(411)의 노즐(411a)은 회전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회전드럼의 길이 방향에 따라 긴 슬릿의 형상이다. 슬릿형 노즐(411a)은 회전드럼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증대시켜 필터망에 들러붙은 이물질의 분리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회전드럼(20)의 필터망(21)을 통해 걸러진 물을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15)와 배관(16)이 구비된다. 만일 여과장치가 여과된 물이 환수되는 시설의 수위(예를 들어 양만장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펌프(15)나 배관(16)을 생략하고 배수관로를 환수용 배관으로 삼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여과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는 유입구(12)를 통하여 곧바로 회전드럼(20)의 내부로 유입된다. 회전드럼(20)은 동력부(30)에 의해 서서히 회전되고, 회전드럼(20)의 오수는 필터망(21)을 통과하여 하우징(10)과 회전드럼(20) 사이의 공간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회전드럼(20)의 회전에 따라 미끄럼블록(54)은 지지블록(52)과 면접촉이 유지되며 미끄러진다. 지지블록(52)은 탄성부재(53)에 의해 미끄럼블록(54)과 강하게 면접촉하며, 지지블록(52)과 거치브래킷(51) 사이에는 실링 개재되어 있어, 회전드럼(20) 안에 들어온 오수가 하우징(10)과 회전드럼(20)의 선단부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한편 회전드럼(2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종종 필터망(21)의 그물눈을 막게 되며, 회전드럼(20)의 회전에 의해 물분사배관(411)의 아래로 이동된다. 물분사배관(411)의 슬릿형상 노즐(411a)에서 분사된 물의 수압에 의해 필터망(21)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 낙하되고, 떨어진 이물질은 물받이부재(42)와 중공된 중심축(13)을 통하여 여과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이물질과 물은 별도의 처리를 거쳐 환수될 수 있다.
회전드럼(20)의 필터망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은 회전드럼 내측공간의 후방측에 놓인 펌프(15)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어, 목적하는 환수 장소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과, 회전하는 회전드럼 사이가 누수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슬릿형 노즐의 고압에 의한 필터망 눈막힘을 해소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보다 촘촘한 필터망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100 : 여과장치
10 : 하우징
11 : 커버 111 : 투명창 12 : 유입구 13 : 중심축
14 : 드레인배관 15 : 펌프 16 : 배관
17 : 가압부 171 : 고정블록 172 : 스프링
20 : 회전드럼 21 : 필터망 22 : 프레임
30 : 동력부 31 : 회전모터 32 : 스프라킷 33 : 체인
40 : 세척부
41 : 물분사부재 411 : 물분사배관 411a : 노즐 413 : 유체펌프
42 : 물받이부재 421 : 호퍼 422 : 연결관
50 : 거치부
51 : 거치브래킷 512 : 1파트 512a : 연결편
512b : 지지편 512c : 중간편 H : 수용홈 513 : 2파트
52 : 지지블록 521 : 실링 53 : 탄성부재 54 : 미끄럼블록

Claims (6)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개방된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외주면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망이 형성된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가 접하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로 처리할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식 여과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에는 링 형상의 미끄럼블록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미끄럼블록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는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미끄럼블록을 일부분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거치브래킷,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블록과 면접촉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거치브래킷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블록을 상기 미끄럼블록을 향하여 탄성있게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연속식 여과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에는 링 형상의 미끄럼블록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벽면을 향하여 전방으로 탄성있게 밀어주는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미끄럼블록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거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는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미끄럼블록을 일부분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거치브래킷과,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블록과 면접촉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연속식 여과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수용홈의 벽면 사이에는 실링이 개재되는 연속식 여과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거치브래킷은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의 하부를 받치는 반원형인 연속식 여과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바닥은 상기 회전드럼의 형상에 대응하여 반원형이고,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 최저점에서 드레인배관과 연통되어 있는 연속식 여과장치.
KR1020140090147A 2014-07-17 2014-07-17 연속식 여과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44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147A KR101644519B1 (ko) 2014-07-17 2014-07-17 연속식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147A KR101644519B1 (ko) 2014-07-17 2014-07-17 연속식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30A true KR20160009830A (ko) 2016-01-27
KR101644519B1 KR101644519B1 (ko) 2016-08-01

Family

ID=5530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1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4519B1 (ko) 2014-07-17 2014-07-17 연속식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5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0984A (zh) * 2017-11-03 2017-12-26 烟台青林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畜禽排泄物发酵罐滤水装置
KR20200100226A (ko) * 2019-02-15 2020-08-26 (주)엠큐빅 탈부착이 용이한 회전식 필터 모듈이 구비되는 여과 장치
CN111659181A (zh) * 2020-07-13 2020-09-15 广东海洋大学 一种滚筒引疏式粗过滤装置
KR20220006244A (ko) * 2020-07-08 2022-01-17 임수근 수처리용 드럼스크린
KR20230100128A (ko) * 2021-12-28 2023-07-05 박창수 드럼형 해수 정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39B1 (ko) 2010-09-13 2011-01-19 윤미자 드럼 스크린
KR101246050B1 (ko) * 2012-07-06 2013-03-26 주식회사 수환경테크 오수처리용 드럼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39B1 (ko) 2010-09-13 2011-01-19 윤미자 드럼 스크린
KR101246050B1 (ko) * 2012-07-06 2013-03-26 주식회사 수환경테크 오수처리용 드럼스크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0984A (zh) * 2017-11-03 2017-12-26 烟台青林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畜禽排泄物发酵罐滤水装置
KR20200100226A (ko) * 2019-02-15 2020-08-26 (주)엠큐빅 탈부착이 용이한 회전식 필터 모듈이 구비되는 여과 장치
KR20220006244A (ko) * 2020-07-08 2022-01-17 임수근 수처리용 드럼스크린
CN111659181A (zh) * 2020-07-13 2020-09-15 广东海洋大学 一种滚筒引疏式粗过滤装置
KR20230100128A (ko) * 2021-12-28 2023-07-05 박창수 드럼형 해수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519B1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519B1 (ko) 연속식 여과장치
EP3110521B1 (en) Filtration assembly for gradually screening of fine and coarse particles in a single operational unit
US20060043014A1 (en) Self-cleaning mechanical filter
KR20140122174A (ko) 미세협잡물 제거기능 향상을 위한 고압세척기가 장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다단 스크린장치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US9352332B2 (en) Magnetic fluid particulate separator apparatus
KR20160009831A (ko)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수의 처리시스템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867483B1 (ko) 회전형 선별통을 이용한 초기 우수 배제 빗물 처리 장치
KR100676751B1 (ko) 폐수 재활용을 위한 드럼 스크린
KR101023138B1 (ko) 여과칼럼
FR2962049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eau comprenant un tambour filtrant plein
KR101755573B1 (ko) 오수 여과장치
JP2003284906A (ja) 濾過機及び濾過装置
KR101657139B1 (ko) 무동력 역세필터 장치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101985292B1 (ko)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101584540B1 (ko) 대형 식품용기 자동 세척장치
KR101568843B1 (ko) 유체주입 역세배관 및 이를 구비한 여과장치
RU2008129006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тной промывки фильтра
RU2474461C1 (ru) Блок тонкой фильтрации
KR101712009B1 (ko) Sus재질의 메쉬부재를 이용한 원통형 이물질 여과장치
KR101081709B1 (ko)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JP4002095B2 (ja) 沈砂池の集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