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745A -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745A
KR20160009745A KR1020140089682A KR20140089682A KR20160009745A KR 20160009745 A KR20160009745 A KR 20160009745A KR 1020140089682 A KR1020140089682 A KR 1020140089682A KR 20140089682 A KR20140089682 A KR 20140089682A KR 20160009745 A KR20160009745 A KR 2016000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wing
trim
wing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745A/ko
Publication of KR2016000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2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using aerodynamic elements, e.g. aerofoils producing a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이격 설치되는 날개부; 및 상기 선박의 상면에서 상기 날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부는, 상면보다 하면이 상대적으로 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에어포일 형태를 가짐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의 양력을 발생시켜 상기 선박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는, 컨테이너선에 있어서 선실의 상부에 날개부를 구비하고 날개부의 단면이 에어포일 형태를 갖도록 하여,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선박의 전단에 하강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선수 트림을 발생시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rim of a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해상에 부유하여 프로펠러 등을 이용하여 추진함으로써 대륙과 대륙 간에 물류를 이동시키는 운송 수단이다. 선박은 비행기에 비하여 이동 속도가 느리지만 물류의 적재량이 크며 안정적이고, 대륙 내에서 움직이는 화물차나 기차에 비해 짧은 경로로 물류 운송이 가능한 동시에 대륙 간에 위치한 해양으로 인해 운송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서, 다른 운송수단보다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박은 광물이나 곡물 등과 같은 분상물을 운반하는 벌크/ORE 캐리어(Bulk/ORE Carrier), 그리고 컨테이너를 싣고 운반하는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LNG나 LPG를 탱크 내에 수용하고 운반하는 LNG선이나 LPG선(LNG Carrier, LPG Carrier) 등과 같이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때 선박은 해상에 부유한 상태로 움직이기 때문에, 6자유도 운동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선박은 선박의 전후 방향이 x축, 좌우 방향이 y축, 상하 방향이 z축이라 할 때, x축 기준 회전운동인 롤링(Rolling), y축 기준 회전운동인 피칭(Pitching), z축 기준 회전운동인 요잉(yawing), x축에 따른 병진운동인 써징(surging), y축에 따른 병진운동인 스웨잉(swaying), z축에 따른 병진운동인 히빙(heaving)을 하게 된다.
선박의 종방향 경사를 트림이라고 한다. 즉, 선수흘수와 선미흘수와의 차이를 나타내며 선미흘수가 클 때는 선미트림, 선수흘수가 클 때는 선수트림이라 하며 같을 때는 even draft라 한다. 선박의 흘수는 적재되는 화물무게나 기타 변수 등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으며 보통은 선미트림 상태로 운항된다. 선미트림은 선박의 후방을 아래로 기울인 강제 피칭을 통해 프로펠러를 물속에 잠기게 하여 선박의 추진력과 타 효율을 좋게 하며 침로 유지가 쉬운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 컨테이너 선박의 경우 선수트림 상태의 소요마력이 작게 들어 선박 운항의 에너지효율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선박의 트림에 따른 추력 향상 및 에너지 효율 측면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실 외부에 에어포일 형태의 날개부를 설치하고, 선박 운항 시 날개부에 의하여 발생한 힘에 의해 선수 트림이 형성되도록 하여 저항을 감소시키고 효율성을 증대시킨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날개부의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의 상하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피칭운동을 구현함으로써, 선수 트림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기울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는, 선박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이격 설치되는 날개부; 및 상기 선박의 상면에서 상기 날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부는, 상면보다 하면이 상대적으로 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캠버를 갖는 에어포일을 가짐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의 양력을 발생(Down Force)시켜 상기 선박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선박의 전후 방향으로 중심에서 전측으로 치우쳐 설치되어 상기 선박에 선수 트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선박의 선수 방향이 하강하도록 선수 트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는, 상면이 평면이고 하면이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는, 좌우 방향으로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는, 좌우 양단에 상방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보조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날개는, 상기 날개부보다 전후 폭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선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기울기 제어 장치는, 컨테이너선에 있어서 선실의 상부에 날개부를 구비하고 날개부의 단면이 에어포일 형태를 갖도록 하여,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압력차이에 의한 선수부에 하강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선수 트림으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는, 날개부의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날개부를 회전시켜서 선수 트림의 양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선박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으로 선수 트림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10)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서 항해하는 선박(1) 등 을 포함하며 해상에 부유하는 해양 구조물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10)이나, 선박(1) 외의 다른 구조물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10)는, 날개부(100),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날개부(100)는, 선박(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이격 설치된다. 날개부(100)를 상면에서 상방으로 이격 설치하는 것은 날개부(100)의 하면을 따라 충분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강력을 충분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날개부(100)를 선박(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설치하기 위해서는 후술할 지지부(2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날개부(100)는 지지부(200)에 의해 받쳐진 상태로 선박(1)에 설치될 수 있다.
날개부(100)는, 상면보다 하면이 상대적으로 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에어포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날개부(100)는 상방과 하방이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정도보다, 하면이 하방으로 볼록한 정도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즉 날개부(100)는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의 에어포일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면이 평면이고 하면이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이 경우 날개부(10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10)에서, 날개부(100)는 선박(1)이 전진할 때 전방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로 구분하게 된다.
이때 다른 예측 불가한 변수가 없다고 가정하면, 날개부(100)의 전단에서 상하로 나뉘어 유입된 공기는, 날개부(100)의 후단에서 동일한 시점에 서로 만나게 된다. 즉 날개부(100)의 상방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유속(V1)은, 날개부(100)의 하방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유속(V2)보다 느리게 나타난다. 이는 날개부(100)가 하방으로 더 볼록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날개부(100)의 하방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경로가 날개부(100)의 상방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경로보다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이다.
이 경우 베르누이 원리에 따르면, 날개부(100)의 상방에서의 압력(P1)과 날개부(100)의 하방에서의 압력(P2)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편의상 날개부(100)의 상방과 하방에서의 높이 차이가 거의 없다고 가정한다면, 압력은 속도와 반대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속도가 빠르면 압력이 낮고, 속도가 느리면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다. 이를 통해 날개부(100)의 상방에서의 압력(P1)은, 날개부(100) 상방의 유속(V1)이 날개부(100) 하방의 유속(V2)보다 느리기 때문에, 날개부(100) 하방에서의 압력(P2)보다 높을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100)에서 상방의 압력(P1)이 하방의 압력(P2)보다 높으므로, 날개부(10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내리누르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즉 날개부(100)가 위치한 선박(1)의 일 지점에는 하강력이 발생된다.
날개부(100)는, 선박(1)의 전후 방향으로 중심에서 전측으로 치우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100)를 통해 발생된 하강력은, 선박(1)에 선수 트림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선박(1)의 선수 방향이 하강하도록 선수 트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선수 트림 발생 시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래 표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 표 1 내지 표 3은, 일정한 로딩 컨디션에서 일정한 마력을 갖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흘수가 10m(표 1), 11m(표 2), 12m(표 3)인 경우를 산정하여 제동파워(단위 kW)를 측정해 나타낸 것이다.
Trim

Speed
-1.0m
(Trim by Head)
0.0m
(Even keel)
+0.5m
(Trim by Stern)
+1.0m
(Trim by Stern)
+1.5m
(Trim by Stern)
14.0 knots 8171 8412 8658 8876 8977
15.0 knots 9899 10160 10530 10786 10911
16.0 knots 11861 12172 12625 12915 13083
17.0 knots 14089 14518 14933 15235 15485
18.0 knots 16527 17102 17435 17744 18075
19.0 knots 19126 19758 20160 20491 20884
20.0 knots 21909 22631 23124 23485 23895
21.0 knots 25047 25905 26493 26862 27246
22.0 knots 28516 29592 30238 30587 30892
Trim

Speed
-1.0m
(Trim by Head)
0.0m
(Even keel)
+0.5m
(Trim by Stern)
+1.0m
(Trim by Stern)
+1.5m
(Trim by Stern)
14.0 knots 8247 8566 9021 9202 9461
15.0 knots 10039 10464 10941 11191 11509
16.0 knots 12068 12600 13140 13446 13798
17.0 knots 14336 14976 15627 15947 16270
18.0 knots 16847 17571 18319 18602 18879
19.0 knots 19529 20316 21023 21243 21532
20.0 knots 22466 23287 23919 24094 24446
21.0 knots 25871 26725 27408 27616 28039
22.0 knots 29747 30625 31488 31805 32301
Trim

Speed
-1.0m
(Trim by Head)
0.0m
(Even keel)
+0.5m
(Trim by Stern)
+1.0m
(Trim by Stern)
+1.5m
(Trim by Stern)
14.0 knots 8145 8586 8590 8852 8954
15.0 knots 10109 10508 10599 10813 10924
16.0 knots 12359 12682 12882 13046 13139
17.0 knots 14910 15120 15442 15601 15616
18.0 knots 17643 17792 18192 18386 18305
19.0 knots 20441 20684 21060 21281 21175
20.0 knots 23541 23891 24223 24439 24414
21.0 knots 27403 27604 28023 28193 28348
22.0 knots 32019 31885 32450 32523 32970
상기의 표 1 내지 표 3에서 살펴보면, 흘수가 다른 상황에서도 제동에 필요한 파워는 모두 선수 트림이 발생하였을 경우(표에서 -1.0m(Trim by Head)에 해당), 즉 선수가 일정 깊이만큼 하강하였을 경우 가장 적게 소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특정한 조건에서는 선수 트림이 불리한 경우도 나타날 수 있겠으나, 선수 트림에 의한 제동 파워의 전체적인 감소는 선박(1)의 에너지 효율을 분명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100)는, 선수 트림을 발생시킴으로써 선박(1)의 항해 시 필요한 제동력을 충분히 감소시켜줄 수 있고, 이를 통해 날개부(100)는 선박(1)에서 사용되는 연료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지며, 연료 소비 절감을 통해 배기량 절감 효과 및 환경 보호 효과를 함께 확보할 수 있다.
날개부(100)는, 좌우 방향으로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선박(1)에 선수 트림을 발생시킬 때 선박(1)의 좌우 방향으로 중앙 지점에 하강 압력을 집중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날개부(100)의 두께는 상기와 같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날개부(100)는, 보조 날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날개(110)는, 날개부(100)의 좌우 양단에 상방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되도록 연장된다. 날개부(100)의 좌우 양단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유동으로 인해 와류가 발생할 수 있고, 와류는 저항 증가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날개부(100)의 양단에 보조 날개(110)를 설치함으로써, 보조 날개(110)를 통해 와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보조 날개(110)는 날개부(100)보다 전후 폭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으며, 날개부(10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날개부(100)의 상방 외에 하방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200)는, 선박(1)의 상면에서 날개부(100)를 지지한다. 지지부(200)는, 프레임 형태로 구비되어 날개부(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부(200)의 전방과 후방에는 컨테이너 등의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선실일 수 있다. 다만 날개부(100)를 설치함에 따라 날개부(100)의 하방에 위치한 지지부(200)의 내부에서는 날개부(100)로 인해 시야 확보에 지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선실은 지지부(200) 외에도 날개부(100) 자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날개부(100)는 내부에 조타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조타수 등은 날개부(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문제없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박(1)의 상부에 위치하여 에어포일 형태의 단면을 갖는 날개부(100)를 통해 선박(1)에 선수 트림을 발생시킴으로써, 선박(1)의 운항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10)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대비할 때, 날개부(100)의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구성이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도면 번호를 같이 한다고 하여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날개부(100)는, 리딩 에지(120)와 트레일링 에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날개부(100)에서 공기가 가장 먼저 닿게 되는 모서리는 리딩 에지(120)로 정의하고, 날개부(100)에서 공기가 가장 마지막에 닿게 되는 모서리는 트레일링 에지(130)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날개부(100)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날개부(100)의 리딩 에지(120)에 유입되어 리딩 에지(120)를 기준으로 상방과 하방으로 나뉘어 흐르며, 상방과 하방으로 나뉘어 흐른 공기의 흐름은 날개부(100)의 트레일링 에지(130)를 기준으로 합류하여 날개부(100)의 후방으로 흐르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는 달리 구동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날개부(100)를 움직인다. 구동부(300)는 구체적으로 날개부(100)의 리딩 에지(120)의 상하 위치가 가변되도록 날개부(100)를 회전운동 또는 병진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300)는, 날개부(100)의 리딩 에지(120)와 트레일링 에지(130)의 상하 위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날개부(100)를 움직일 수 있다. 즉 구동부(300)는 날개부(100)의 리딩 에지(120)가 상승하도록 하는 동시에 날개부(100)의 트레일링 에지(130)가 하강하도록 날개부(100)를 움직일 수 있으며, 반대로 구동부(300)는 날개부(100)의 리딩 에지(120)가 하강하도록 하는 동시에 날개부(100)의 트레일링 에지(130)가 상승하도록 날개부(100)를 움직일 수 있다.
즉 구동부(300)는, 날개부(100)의 영각을 가변시켜 선수 트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날개부(100)의 영각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리딩 에지(120)의 상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며, 선수 트림의 양은 선박(1)의 적재량이나 선속 등과 같이 선박(1)이 놓여있는 상태에 따라 최적의 값으로 구동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지지부(200)의 상면과 날개부(100) 사이에 구비되며, 제1 승강부(310)와 제2 승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강부(310)는 날개부(100)의 전측을 지지하며, 제2 승강부(320)는 날개부(100)의 후측을 지지한다.
날개부(100)의 전후 길이가 지지부(200)의 전후 길이보다 길 수 있는바, 제1 승강부(310)는 날개부(100)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을 지지하며, 제2 승강부(320)는 날개부(100)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승강부(310) 및 제2 승강부(320)는, 유압식 피스톤일 수 있다. 즉 제1 승강부(310)와 제2 승강부(320)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된 피스톤일 수 있고, 유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날개부(100)의 리딩 에지(12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날개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승강부(310) 및 제2 승강부(320)는, 공기 등의 유체 주입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주머니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제1 승강부(310)와 제2 승강부(320)의 내부에 연결되는 유체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체 펌프로부터 제1 승강부(310) 및/또는 제2 승강부(320)로 유체가 공급되면, 제1 승강부(310) 및/또는 제2 승강부(320)는 부피가 가변되어 날개부(100)를 지지하는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 외에도 제1 승강부(310)는 피스톤으로 구비하고 제2 승강부(320)는 주머니 형태로 구비하는 등의 다양한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300)가 포함하는 제1 승강부(310)와 제2 승강부(320)의 구성을 상기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구동부(300)는, 승강부(310, 320)를 대신하여 또는 승강부(310, 320)와 함께 회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330)는 날개부(100)의 좌우 방향 회전축(331)을 기준으로 날개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날개부(100)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날개부(100)의 전측과 후측은 날개부(10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부(200)의 상단에 맞닿을 수 있으며, 날개부(100)와 지지부(200)의 충돌 시 날개부(100) 등의 파손이 우려되는바, 지지부(200)는 상면에 완충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완충부(210)는 지지부(200)의 상면에서 날개부(100)의 전측에 인접한 전방 및 날개부(100)의 후측에 인접한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며, 날개부(100)와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탄성부재 또는 충격흡수부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회전부(330)를 이용해 날개부(100)를 회전시키더라도 날개부(100)와 지지부(200)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날개부(100)의 영각이 구동부(30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선수 트림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박(1)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기울기를 구현하여 선박(1)의 운항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박 10: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100: 날개부 110: 보조 날개
120: 리딩 에지 130: 트레일링 에지
200: 지지부 210: 완충부
300: 구동부 310: 제1 승강부
320: 제2 승강부 330: 회전부
331: 회전축

Claims (8)

  1. 선박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이격 설치되는 날개부; 및
    상기 선박의 상면에서 상기 날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부는, 상면보다 하면이 상대적으로 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에어포일 형태를 가짐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의 양력을 발생시켜 상기 선박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선박의 전후 방향으로 중심에서 전측으로 치우쳐 설치되어 상기 선박에 선수 트림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선박의 선수 방향이 하강하도록 선수 트림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면이 평면이고 하면이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좌우 방향으로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좌우 양단에 상방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보조 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날개는,
    상기 날개부보다 전후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선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KR1020140089682A 2014-07-16 2014-07-16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KR20160009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682A KR20160009745A (ko) 2014-07-16 2014-07-16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682A KR20160009745A (ko) 2014-07-16 2014-07-16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745A true KR20160009745A (ko) 2016-01-27

Family

ID=5530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682A KR20160009745A (ko) 2014-07-16 2014-07-16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285A (ko) 2017-05-29 2018-12-07 아시아검정 주식회사 선박용 탱크의 액체용량 측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285A (ko) 2017-05-29 2018-12-07 아시아검정 주식회사 선박용 탱크의 액체용량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7829B1 (en) Low-drag, high-speed ship
US8096255B2 (en) Ship with stern equipped with a device for deflecting a flow of water
AU2004304957B2 (en) Low drag ship hull
US7207285B2 (en) Variable hybrid catamaran air cushion ship
KR20070029232A (ko) 탠덤/카나드형 위그선
CN102438900A (zh) 水陆两用飞机上的翼尖和安定翼交互
US10414464B2 (en) Forepart of a vessel
KR20160027555A (ko)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US3918382A (en) Fixed wing surface effect craft
CN104981395A (zh) 快船
US20200247509A1 (en) Active stabilizing device and method
KR102438509B1 (ko) 풍압저항이 적은 선박
US20200331563A1 (en) Marine vessel
US20070245943A1 (en) Wing In Ground Effect Hydrofoil Vessel
US20120132124A1 (en) SPAR Based Maritime Access Vehicle
KR20160009745A (ko) 선박의 트림 제어 장치
US5626669A (en) High efficiency marine vehicle
KR20150078736A (ko) 날개를 구비한 선박
CN109070973B (zh) 大型排水型船体船
KR20160027545A (ko) 선박
US20050145156A1 (en) Watercraft
JP2017035975A (ja) 抵抗低減、安定性向上の双胴船
US7055450B2 (en) Transportation vehicle and method operable with improved drag and lift
US20010045492A1 (en) Triple hybrid water craft
CN103180203A (zh)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