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283A - 2차 전지 관통시험기 - Google Patents

2차 전지 관통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283A
KR20160009283A KR1020140089551A KR20140089551A KR20160009283A KR 20160009283 A KR20160009283 A KR 20160009283A KR 1020140089551 A KR1020140089551 A KR 1020140089551A KR 20140089551 A KR20140089551 A KR 20140089551A KR 20160009283 A KR20160009283 A KR 20160009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etration
test
cells
cel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임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89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283A/ko
Publication of KR2016000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전지 관통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2차 전지(Cell)용 관통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전지(Cell)를 관통한 관통핀으로 하여금 전지(Cell)의 폭발여부와 전류값의 변화 및 전지의 온도 변화를 확인 또는 검출하여 얻어진 데이터로 하여금 신제품 개발이나 제조 공정에 활용하도록 하되, 이러한 관통 시험 시에는 전지(Cell)를 완전히 관통할 것인지 관통 깊이를 정하여 관통할 것인지 관통핀의 관통 구간(위치)을 고속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정밀 시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관통핀과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한 변화값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시험시 챔버내 폭발 위험에 대하여는 별도의 충격댐퍼로 하여금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전지(Cell)를 고정한 지그는 이송장치에 의해 관통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시험 후 관통핀이 상향 복귀시에는 강제 지지판으로 하여금 전지(Cell)이 관통핀에 의해 매달려 딸려 올라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통 후 전지(Cell)로부터 흘러내리는 전해액이 등이 지그에 흘러내려 챔버 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 내구성과 챔버 내 연속시험 환경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차 전지 관통시험기{Nail tester for cell}
본 발명은 2차 전지(Cell)용 관통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전지(Cell)를 관통한 관통핀으로 하여금 전지(Cell)의 폭발여부와 전류값의 변화 및 전지의 온도 변화를 확인 또는 검출하여 얻어진 데이터로 하여금 신제품 개발이나 제조 공정에 활용하도록 하되, 이러한 관통 시험 시에는 전지(Cell)를 완전히 관통할 것인지 관통 깊이를 정하여 관통할 것인지 관통핀의 관통 구간(위치)을 고속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정밀 시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변화값 데이터는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시험시 챔버내 폭발 위험에 대하여는 별도의 충격댐퍼로 하여금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전지(Cell)를 고정한 지그는 이송장치에 의해 관통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시험 후 관통핀이 상향 복귀시에는 강제 지지판으로 하여금 전지(Cell)이 관통핀에 의해 매달려 딸려 올라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치 내구성과 챔버 내 연속시험 환경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관통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9-011513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력저장 장치, 무정전 전원 장치 등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2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각형이나 파우치형 2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에너지 밀도와 단위 시간 당 방전 용량이 높은 리튬 계열의 2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러한 2차 전지에서 주요 연구 과제 중의 하나는 2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에, 리튬 2차 전지는 내부 단락, 과충전, 과방전 등에 의한 발열로 인해 전해질 분해 반응과 열폭주 현상이 발생할 경우 전지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전지의 폭발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리튬 2차 전지의 내부 단락은 네일 같이 날카로운 물체가 2차 전지의 외부케이스를 뚫고서 내부의 전극판을 관통하는 직접적인 충격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단락된 양극판과 음극판에서는 각 전극판에 저장되어 있던 높은 전기 에너지가 순식간에 도전되므로 과충전이나 과방전과 같은 다른 안전 사고와 달리 폭발의 위험이 높다.
이러한 폭발성은 단순히 2차 전지가 파손되는 것 이외에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가할 수 있으므로 2차 전지 설계자는 단락에 의한 폭발 현상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에서 2차 전지 설계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새로운 설계 기술이 적용되어 양산된 2차 전지는 내부 단락으로 인한 폭발 방지 설계가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지 평가하는 안전성 평가 시험을 거치게 된다.
이에, 2차 전지의 안전성 항목 중 내부 단락시의 발열 거동을 평가하는 전지 평가 시험은, 리튬 전지를 위한 UL규격(UL 1642), 일본 전지 공업회 지침(SBA G1101-1997 리튬 2차 전지 안전성 평가 기준 가이드 라인)등과 같은 규격서에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지 평가 시험들은 2차 전지 표면으로 무거운 물체를 낙하 충돌시키거나, 중량체를 이용하여 압축시키거나, 날카로운 네일로 관통시켜 내부 단락을 유발한 후 안전성이 보증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들이다.
그러나, 현재 당업계에서 실시하고 있는 2차 전지 시험장치들은 일정한 표준없이 임의 제작된 것으로, 특별한 선행기술도 전무할 뿐더러 시험 성적과 관련한 정밀성과 작업 효율성이 현저하게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요지는 2차 전지(Cell)용 관통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전지(Cell)를 관통한 관통핀으로 하여금 전지(Cell)의 폭발여부와 전류값의 변화 및 전지의 온도 변화를 확인 또는 검출하여 얻어진 데이터로 하여금 신제품 개발이나 제조 공정에 활용하도록 하되, 이러한 관통 시험 시에는 전지(Cell)를 완전히 관통할 것인지 관통 깊이를 정하여 관통할 것인지 관통핀의 관통 구간(위치)을 고속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정밀 시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변화값 데이터는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시험시 챔버내 폭발 위험에 대하여는 별도의 충격댐퍼로 하여금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전지(Cell)를 고정한 지그는 이송장치에 의해 관통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시험 후 관통핀이 상향 복귀시에는 강제 지지판으로 하여금 전지(Cell)이 관통핀에 의해 매달려 딸려 올라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치 내구성과 챔버 내 연속시험 환경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관통시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 서보모터(110)가 형성되어 구동축(120)으로 하여금 종동축(130)과 축 결합된 볼스크류(140)에 동력원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의 볼스크류(140)가 회전하면 상하향 업다운되면서 측정용 셀(10)을 관통 시험할 수 있도록 하되, 일측에는 가이드축(210)을 갖는 가압플레이트(220)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220)와 대향되는 하부에는 가이드축(210)을 잇는 이동플레이트(23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30)의 저면에는 고정척(240)이 결합되어 관통핀(250)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관통부(200)와; 상기 측정용 셀(10)을 지지 고정하도록 하되, 일측에는 판형의 지그본체(310)가 형성되고, 상기 지그본체(310)의 하부에는 위치 제어용 이송체(320)가 형성되며, 상기 지그본체(310)의 상부에는 관통 실험 후 측정용 셀(10)이 관통핀(250)의 복귀에 따라 위로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강제 지지판(330)이 더 형성되는 고정부(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관통부(200)는 볼스크류(140)를 따라 업다운되는 가압플레이트(220)의 측면 일측 및 타측에는 리미트스위치(260)가 형성되어 설정된 높낮이 또는 설정된 상하향 구간에 대하여 관통시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지그본체(310) 상면에 라운드 홈(341)이 형성된 보조 지그본체(340)가 더 구비되어 외주면이 원통체이거나 호형의 2차 전지가 유동없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0)와 관통부의 가이드축(210) 하부, 이동플레이트(230) 및 고정척(240)과 관통핀(250)은 프레임(20)의 밀폐된 챔버(30)에 내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챔버(30) 일측에는 충격댐퍼(400)가 형성되어 시험 중 측정용 셀(10)이 폭발하면 발생된 연소가스가 상기 충격댐퍼(400)를 통해 순간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측정용 셀(10)은 데이터케이블(510)로 하여금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관통시 발생된 측정용 셀의 온도, 전류값을 전송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차 전지(Cell)용 관통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전지(Cell)를 관통한 관통핀으로 하여금 전지(Cell)의 폭발여부와 전류값의 변화 및 전지의 온도 변화를 확인 또는 검출하여 얻어진 데이터로 하여금 신제품 개발이나 제조 공정에 활용하도록 하되, 이러한 관통 시험 시에는 전지(Cell)를 완전히 관통할 것인지 관통 깊이를 정하여 관통할 것인지 관통핀의 관통 구간(위치)을 고속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정밀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셀과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로 하여금 시험에 따른 변화값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시험시 챔버내 폭발 위험에 대하여는 별도의 충격댐퍼로 하여금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Cell)를 고정한 지그는 이송장치에 의해 관통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관통 시험 후 관통핀이 상향 복귀시에는 강제 지지판으로 하여금 전지(Cell)이 관통핀에 의해 매달려 딸려 올라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치 내구성과 챔버 내 연속시험 환경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통시험기의 일측면도,
도 2는 도 1의 타측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와 관통부의 확대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확대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댐퍼의 확대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와 관통부(200) 및 고정부(3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구동부(100)는 일측에 서보모터(110)가 형성되어 구동축(120)으로 하여금 종동축(130)과 축 결합된 볼스크류(140)에 동력원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종동축은 타이밍 풀리와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구동축과 연동축을 분절하여 커플러에 의해 별도의 샤프트가 축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조립성과 제작성 및 취급성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관통부(200)는 상기 구동부의 볼스크류(140)가 회전하면 상하향 업다운되면서 측정용 셀(10)을 관통 시험할 수 있도록 하되, 일측에는 가이드축(210)을 갖는 가압플레이트(220)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220)와 대향되는 하부에는 가이드축(210)을 잇는 이동플레이트(23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30)의 저면에는 고정척(240)이 결합되어 관통핀(250)이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관통부(200)는 볼스크류(140)를 따라 업다운되는 가압플레이트(220)의 측면 일측 및 타측에는 리미트스위치(260)가 형성되어 설정된 높낮이 또는 설정된 상하향 구간에 대하여 관통시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가압플레이트와 가이드축 및 볼스크류를 감싸는 터널식 브라켓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일정한 구간을 정하여 상,하측 각각에 위치되면 가압플레이트에 구비된 접촉판이 상기한 구간에서 승하강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구간 설정과 위치 범위는 제작자와 수요자의 임의 설정 및 요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정용 셀(10)은 데이터케이블(510)로 하여금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관통시 발생된 측정용 셀의 온도, 전류값을 전송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측정용 셀(10)을 지지 고정하도록 하되, 일측에는 판형의 지그본체(310)가 형성되고, 상기 지그본체(310)의 하부에는 위치 제어용 이송체(320)가 형성되며, 상기 지그본체(310)의 상부에는 관통 실험 후 측정용 셀(10)이 관통핀(250)의 복귀에 따라 같이 위로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강제 지지판(330)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지그본체(310)의 상면에는 측정용 셀(10)이 자리를 잡도록 평편한 판으로서, 관통핀이 상하향 이송되면 간섭없이 관통될 수 있도록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이 위치한 자리 상면에 상기한 측정용 셀이 놓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 제어용 이송체(320)는 축샤프트(322)가 형성되어 핸들(321)을 돌리면 베어링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되, 축샤프트(322)의 단부에는 회전기어(323)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기어(323)는 좌우 측방향 이송기어(324)와 맞물리게 형성되어 레일(325)을 따라 픽커(326)가 좌우측으로 벌려졌다가 조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지그본체(310)에 놓여진 측정용 셀(10)을 물리거나 해제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그본체의 강제 지지판(330) 상부에는 지지봉(350)을 갖는 제2강제 지지판(36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봉은 제2강제 지지판 면상에 형성된 장공에 단부가 결합되며, 이후 상하 높이가 조절되면(설정된 위치가 되면) 조임 또는 결속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지지봉과 제2강제 지지판은 크기가 대형인 측정용 셀을 고정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핀이 관통된 후 승강시 딸려 올라가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대형의 측정용 셀은 지지봉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지그본체(310) 상면에 라운드 홈(341)이 형성된 보조 지그본체(340)가 더 구비되어 외주면이 원통체이거나 호형의 2차 전지가 유동없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300)와 관통부의 가이드축(210) 하부, 이동플레이트(230) 및 고정척(240)과 관통핀(250)은 프레임(20)의 밀폐된 챔버(30)에 내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챔버(30) 일측에는 충격댐퍼(400)가 형성되어 시험 중 측정용 셀(10)이 폭발하면 발생된 연소가스가 상기 충격댐퍼(400)를 통해 순간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충격댐퍼(400)는 챔버(30)와 연통된 통공홈(420)이 형성된 위치에 원통(410)이 대응되어 위치되도록 하되, 원통(410)의 개구된 상부 일측에는 힌지(440)가 구비되어 덮개판(430)의 힌지축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덮개판(430)은 저면에 원통(410) 내부 측과 연결된 스프링(450)이 형성되어 챔버 내에서 셀의 폭발이 발생되면 순간적으로 통공홈(420)을 통해 연소가스가 덮개판(430)을 열면서 배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스프링(450)은 장력에 의해 배기 가스의 분출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되어 챔버의 파괴를 방지하면서 안전 배기를 유도함으로써 폭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통핀(네일)을 이용하여 측정용 셀에 관통 시험을 수행할 경우 관통한 깊이에 따라 셀의 저항 증가 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발열 정도와 폭발 유무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용 셀(2차 전지)의 안정성 평가 시험에 매우 적합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며 신뢰성 있는 시험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셀 20 ... 프레임
30 ... 챔버
100 ... 구동부 110 ... 서보모터
120 ... 구동축 130 ... 종동축
140 ... 볼스크류
200 ... 관통부 210 ... 가이드축
220 ... 가압플레이트 230 ... 이동플레이트
240 ... 고정척 250 ... 관통핀
300 ... 고정부 310 ... 지그본체
320 ... 이송체 330 ... 강제 지지판
340 ... 보조 지그본체 341 ... 라운드 홈
400 ... 충격댐퍼
500 ... 제어부 510 ... 데이터케이블

Claims (5)

  1. 일측에 서보모터(110)가 형성되어 구동축(120)으로 하여금 종동축(130)과 축 결합된 볼스크류(140)에 동력원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의 볼스크류(140)가 회전하면 상하향 업다운되면서 측정용 셀(10)을 관통 시험할 수 있도록 하되, 일측에는 가이드축(210)을 갖는 가압플레이트(220)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220)와 대향되는 하부에는 가이드축(210)을 잇는 이동플레이트(23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30)의 저면에는 고정척(240)이 결합되어 관통핀(250)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관통부(200)와;
    상기 측정용 셀(10)을 지지 고정하도록 하되, 일측에는 판형의 지그본체(310)가 형성되고, 상기 지그본체(310)의 하부에는 위치 제어용 이송체(320)가 형성되며, 상기 지그본체(310)의 상부에는 관통 실험 후 측정용 셀(10)이 관통핀(250)의 복귀에 따라 같이 위로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강제 지지판(330)이 더 형성되는 고정부(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관통시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200)는 볼스크류(140)를 따라 업다운되는 가압플레이트(220)의 측면 일측 및 타측에는 리미트스위치(260)가 형성되어 설정된 높낮이 또는 설정된 상하향 구간에 대하여 관통시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관통시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는 지그본체(310) 상면에 라운드 홈(341)이 형성된 보조 지그본체(340)가 더 구비되어 외주면이 원통체이거나 호형의 2차 전지가 유동없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관통시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와 관통부의 가이드축(210) 하부, 이동플레이트(230) 및 고정척(240)과 관통핀(250)은 프레임(20)의 밀폐된 챔버(30)에 내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챔버(30) 일측에는 충격댐퍼(400)가 형성되어 시험 중 측정용 셀(10)이 폭발하면 발생된 연소가스가 상기 충격댐퍼(400)를 통해 순간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관통시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용 셀(10)은 데이터케이블(510)로 하여금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관통시 발생된 측정용 셀의 온도, 전류값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관통시험기.
KR1020140089551A 2014-07-16 2014-07-16 2차 전지 관통시험기 KR20160009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551A KR20160009283A (ko) 2014-07-16 2014-07-16 2차 전지 관통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551A KR20160009283A (ko) 2014-07-16 2014-07-16 2차 전지 관통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283A true KR20160009283A (ko) 2016-01-26

Family

ID=5530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551A KR20160009283A (ko) 2014-07-16 2014-07-16 2차 전지 관통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28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8818A (zh) * 2016-02-01 2016-07-06 哈尔滨工业大学 通用蓄电池参数在线检测平台
KR20180047359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가스분석장치
KR102207376B1 (ko) * 2020-08-20 2021-01-25 신두성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CN114942362A (zh) * 2022-07-25 2022-08-26 深圳众城卓越科技有限公司 伺服驱动器一拖三老化测试一体化系统及测试方法
US11635473B2 (en) 2018-08-01 2023-04-25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for testing internal short,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internal short of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8818A (zh) * 2016-02-01 2016-07-06 哈尔滨工业大学 通用蓄电池参数在线检测平台
KR20180047359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가스분석장치
US11635473B2 (en) 2018-08-01 2023-04-25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for testing internal short,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internal short of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2207376B1 (ko) * 2020-08-20 2021-01-25 신두성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CN114942362A (zh) * 2022-07-25 2022-08-26 深圳众城卓越科技有限公司 伺服驱动器一拖三老化测试一体化系统及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687B1 (ko) 2차 전지 압축시험기
KR20160009283A (ko) 2차 전지 관통시험기
KR101081427B1 (ko) 2차 전지 전용 파괴시험장치
US9318730B2 (en) Tray for holding pouch-type batteries
CN100595967C (zh) 电池的内部短路时的安全性评价方法及其装置
WO2012081447A1 (ja) 電池パック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101590956B1 (ko) 배터리 관통시험장치 및 배터리 관통시험방법
KR102175940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1152662B1 (ko) 이차전지 폭발방지장치
KR101521267B1 (ko) 이차전지용 검사 트레이
KR102439598B1 (ko) 이차 전지의 내부 가스 발생 가속 구간 판단 방법
KR20180061614A (ko) 충격에 대한 전지팩의 안정성을 테스트하는 장치
KR20160009284A (ko) 2차 전지 충돌시험기
KR20130043478A (ko) 배터리 관통 실험 장치 및 방법
CN211043616U (zh) 一种电池膨胀力与位移测量设备
CN104795605A (zh) 贴快巴纸扫码测试机
KR20220018676A (ko) 전지 모듈과 전지 팩에 대한 열 전파를 동시에 모사할 수 있는 열 전파 모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열 전파 모사 방법
JP6578438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Reichert et al. Lithium-ion cell nail penetration safety experiments under adiabatic conditions
CN204595177U (zh) 快巴纸扫码测试装置
KR101777903B1 (ko) 이차전지 관통 시험 장치 및 관통 시험 방법
Doose et al. Scaling Methodology to Describe the Capacity Dependent Responses During Thermal Runaway of Lithium‐Ion Batteries
Hoelle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rmal runaway propagation in lithium-ion battery cell stack
CN204596915U (zh) 贴快巴纸扫码测试机
KR102526980B1 (ko) 원통형 이차전지 디개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