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376B1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376B1
KR102207376B1 KR1020200104386A KR20200104386A KR102207376B1 KR 102207376 B1 KR102207376 B1 KR 102207376B1 KR 1020200104386 A KR1020200104386 A KR 1020200104386A KR 20200104386 A KR20200104386 A KR 20200104386A KR 102207376 B1 KR102207376 B1 KR 102207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contact
eleva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두성
Original Assignee
신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두성 filed Critical 신두성
Priority to KR102020010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연한이 지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잔여수명을 확인하기 위한 전기적 특성 진단 시, 진단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A fixing device to test of electrical diagnosis for a battery of an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연한이 지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잔여수명을 확인하기 위한 전기적 특성 진단시, 진단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현대사회는 문명과 기술이 발달함과 동시에 환경오염도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지구온난화 문제로 인해 세계 곳곳의 이상 기후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매연을 통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기오염의 주범이 되는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축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들이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 대신에 전기를 연료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의 보급과 개발을 위한 우대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개발역사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비슷한 19세기에 이미 개발되었지만, 당시 기술의 한계로 인한 기술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보급과 대중화가 늦어졌다.
하지만, 기술발전과 환경오염이라는 사회적 문제로 인해 전기자동차의 보급과 대중화가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며, 세계 유명 자동차 제조사들이 경쟁적으로 전기자동차 시장에 참여하면서, 순수 전기차, 연료 전지 전기차, 하이브리드 전기차가 개발되면서 내연기관 자동차의 성능에 근접하게 되었다.
또한, 현재 전기자동차의 대중화에 걸림이 되는 것은 고가의 배터리로 인한 경제성과 배터리 충전의 효율성에 관한 기술적인 문제로서, 전기자동차의 미래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화석연료에 해당되는 배터리에 달려있는 것이다.
특히, 사용연한이 지난 배터리도 전기적 특성 진단을 통해 잔여수명을 확인하면 진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를 재생하여 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폐기물 발생도 감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연한이 지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잔여수명을 확인하기 위한 전기적 특성 진단 시, 진단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2859호 배터리 진단 기능을 갖는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4745호 배터리 모듈 체결 장치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0566호 임피던스 분광법을 이용하여 배터리 수명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상태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연한이 지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잔여수명을 확인하기 위한 전기적 특성 진단 시, 진단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는,
상측에 배터리 고정장치의 세부구성들이 설치되는 베이스판(100)과;
진단을 위한 배터리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100) 상측에 설치되는 배터리 고정부(200)와;
승하강부(400)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을 진단할 수 있도록 승, 하강하여 배터리 단자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단자접촉부(300)와;
상기 단자접촉부(300)를 승, 하강 시키는 승하강부(400)와;
일측은 상기 베이스판(100)에 타측은 승하강부(40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400)가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연한이 지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잔여수명을 확인하기 위한 전기적 특성 진단 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배터리 진단 정확도가 향상되고, 진단 결과를 통해 잔여수명이 남은 배터리를 발견해 재 사용 함으로서, 배터리 폐기물 발생도 감축시켜 환경보호에도 일조하고 친환경적인 전기차 보급에도 기여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고정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1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2
도 7은 본 발명의 단자접촉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승하강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3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이하 ‘본 발명’)는 사용연한이 지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잔여수명을 확인하기 위한 전기적 특성 진단을 진행하도록 배터리(20)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10)은 배터리(20) 진단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잔여수명이 남은 배터리(20)를 발견하여 재 사용 함으로서, 배터리(20) 폐기물 발생도 감축시켜 환경보호에도 일조하고 친환경적인 전기차 보급에도 기여하는 효과를 얻는 발명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10)은 베이스판(100), 배터리 고정부(200), 단자접촉부(300), 승하강부(400), 지지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터리 고정장치의 세부구성들이 설치되는 베이스판(100)과;
진단을 위한 배터리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100) 상측에 설치되는 배터리 고정부(200)와;
승하강부(400)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을 진단할 수 있도록 승, 하강하여 배터리 단자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단자접촉부(300)와;
상기 단자접촉부(300)를 승, 하강 시키는 승하강부(400)와;
일측은 상기 베이스판(100)에 타측은 승하강부(40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400)가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판(100)은 상측에 본 발명(10)의 세부구성들인 배터리 고정부(200), 단자접촉부(300), 지지대(500)가 설치되는 공간 제공 및 진단 대상인 배터리(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와 두께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안정적으로 본 발명(10)의 세부구성들과 배터리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가급적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금속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측에는 배터리 고정부(200), 단자접촉부(300), 지지대(500)가 설치되는 위치를 각각 표시한 복수의 설치마크(101)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설치마크(101)를 통해 본 발명(10)의 세부구성들이 베이스판(100)의 상측에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배터리(20)가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전기적 특성 진단이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측에 본 발명(10)의 세부구성들을 설치하는 방식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부재에 의한 방식과 용접에 의한 영구적인 결합방식이 있으며, 사용자는 각 방식의 특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고정부(200)는 베이스판(100) 상측에 설치되어 진단을 위한 배터리(20)가 베이스판(100) 상에서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구성으로서, 배터리 안착부(210), 슬라이딩부(220), 안내레일(230), 추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안착부(210)는 진단 대상인 배터리(20)가 베이스판(100)의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배터리(2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조절되는 구성으로, 베이스판(100)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제1 이격판(211)과, 슬라이딩부(220)에 의해 베이스판(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형 제2 이격판(21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베이스판(100) 상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형 제1 이격판(211)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형 제2 이격판(212)의 이격 거리를 조정(배터리(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형 제1 이격판(211)과 이동형 제2 이격판(212)의 이격 거리가 멀어 지도록 조정)되는 것을 통해 배터리(20)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배터리(20)가 안착되면 베이스판(100) 상에서 제2 이격판(212)이 고정형 제1 이격판(211)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배터리(2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한다.
한편, 안착된 배터리(20)에 접하는 고정형 제1 이격판(211)의 내측면에는 제1 안내턱(2111)이, 안착된 배터리(20)에 접하는 이동형 제2 이격판(212)의 내측면에는 제2 안내턱(21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안내턱(2111)과 제2 안내턱(2121)은 고정형 제1 이격판(211)과 이동형 제2 이격판(212)의 사이공간에 안착된 배터리(20)가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안내해준다.
따라서 상기 제1 이격판(211)은 베이스판(10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이격판(212)은 제1 이격판(211)에 대한 이격 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슬라이딩부(22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220)는 제2 이격판(212)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이격판(212)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23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일종의 대차와 같은 구성이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220)의 상측은 제2 이격판(212)에 결합되고, 슬라이딩부(220)의 하측은 안내레일(23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안착된 배터리(20)를 제2 이격판(212)이 가압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230)에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안내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부(220)의 상측에는 추력부(24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받도록, 상기 추력부(240)의 제1 추력전달체(241)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레일(230)은 슬라이딩부(2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판(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일종의 레일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레일(230)은 슬라이딩부(220)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베이스판(100)의 상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되어야 하며, 도면에서는 2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추력부(240)는 슬라이딩부(220)에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제1 추력전달체(241), 제2 추력전달체(242), 추력전달축(243), 제1 레버형 손잡이부(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력부(240)는,
상기 슬라이딩부(220)에 고정 설치되고, 추력전달축(243)이 연결되는 제1 추력전달체(241)와,
추력전달축(243)이 관통되는 축 관통구(2421)가 형성되고 베이스판(100)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추력전달체(242)와,
제2 추력전달체(24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은 제1 레버형 손잡이부(244)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추력전달체(241)에 연결되는 추력전달축(243)과,
제2 추력전달체(242)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추력전달축(243)을 이동시켜 슬라이딩부(220)에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1 레버형 손잡이부(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추력전달체(241)의 하측은 슬라이딩부(22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제1 추력전달체(241)의 측면 일측에는 추력전달축(243)이 연결된다.
상기 제2 추력전달체(242)는 제1 추력전달체(24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베이스판(100)의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추력전달체(242)의 일측에는 추력전달축(243)이 관통되는 축 관통구(2421)가 형성된다.
상기 추력전달축(243)은 제2 추력전달체(242)의 축 관통구(242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추력전달축(243)의 일측은 제1 레버형 손잡이부(244)에, 타측은 제1 추력전달체(241)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 레버형 손잡이부(244)는 제2 추력전달체(242)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력전달축(243)을 전후진 이동시켜 슬라이딩부(220)에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레버형 손잡이부(244)는,
제2 추력전달체(242)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힌지 지지대(2441)와,
일측은 손잡이(2443)에 타측은 제1 힌지 지지대(2441)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잡이(2443) 조작 시, 손잡이(2443)와 제1 힌지 지지대(2441) 모두에 대해서 힌지 회동하는 제1 힌지부(2442)와
추력전달축(243)을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1 손잡이(24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사용자가 추력전달축(243)을 전진 이동(제2 이격판(212)을 제1 이격판(211)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손잡이(2443)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손잡이(2443)에 결합된 추력전달축(243)이 전진 이동되어 제2 이격판(212)이 제1 이격판(211)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힌지부(2442)는 제1 힌지 지지대(2441)와 제1 손잡이(2443) 모두에 대해 힌지 회동하여 추력전달축(243)을 전진 이동(제2 이격판(212)을 제1 이격판(211)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2443)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추력전달축(243)을 후진 이동(제2 이격판(212)을 제1 이격판(2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손잡이(2443)를 이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손잡이(2443)에 결합된 추력전달축(243)이 후진 이동되어 제2 이격판(212)이 제1 이격판(2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이때 제1 힌지부(2442)는 제1 힌지 지지대(2441)와 제1 손잡이(2443) 모두에 대해 힌지 회동하여 추력전달축(243)을 후진 이동(제2 이격판(212)을 제1 이격판(2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손잡이(2443)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배터리 고정부(200)를 이용하여 진단 대상인 배터리(20)가 베이스판(100) 상에서 안착 고정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20)를 고정형 제1 이격판(211)과 이동형 제2 이격판(212)의 사이 공간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제1 레버형 손잡이부(244)를 조작(제2 이격판(212)을 제1 이격판(211)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하면, 도 6과 같이, 슬라이딩부(22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이동형 제2 이격판(212)이 고정형 제1 이격판(211)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배터리(20)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단자접촉부(300)는 승하강부(400) 하측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고정부(200)에 의해 베이스판(100)의 상측에 안착 고정된 배터리(20)의 전기적 특성을 진단할 수 있도록 승, 하강하여 배터리 단자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구성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자접촉부(300)는 접촉부 몸체(310), 몸체 이송부(320), 단자접촉체(330), 스프링(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접촉부(300)는,
승, 하강 하는 접촉부 몸체(310)와,
접촉부 몸체(310)에 결합되고, 승하강부(400)가 제공하는 승, 하강 이동력에 의해 승하강부(400)의 승하강 안내가이드(420)를 따라 승, 하강 하여 접촉부 몸체(310)를 승, 하강 시키는 몸체 이송부(320)와,
접촉부 몸체(310)에 형성되고, 접촉부 몸체(310) 하강 시, 배터리 단자에 접촉되고,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 상측으로 변위하되 스프링(340)이 제공하는 접촉 텐션에 의해 배터리 단자와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는 단자접촉체(330)와,
상기 단자접촉체(330) 상측의 접촉부 몸체(310) 내부에 형성되고, 단자접촉체(330)가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 상측으로 변위하는 단자접촉체(330)가 배터리 단자와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접촉 텐션을 제공하는 스프링(3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 몸체(310)는 단자접촉부(300)의 몸체로서, 몸체 이송부(320), 단자접촉체(330), 스프링(340)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몸체 이송부(320)는 접촉부 몸체(310)에 결합되고, 몸체 이송부(320)에는 승하강부(400)의 승하강 안내가이드(420)가 관통되는 이송구(3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구(321)에는 승하강 안내가이드(420)가 관통되어 승하강 안내가이드(420)를 따라 접촉부 몸체(310)의 승, 하강이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구(321)는 접촉부 몸체(310)가 승하강 안내가이드(42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일정한 무게를 갖는 접촉부 몸체(310)가 승하강 안내가이드(4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되도록 상기 몸체 이송부(320)는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고, 몸체 이송부(320)마다 형성되는 이송구(321)는 몸체 이송부(320)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된다. 도 7에는 4개의 이송구(321)가 형성된 1개의 몸체 이송부(320)가 접촉부 몸체(310)에 결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자접촉체(330)는 접촉부 몸체(310)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 몸체(310)가 하강하면 배터리(20) 단자에 접촉하고, 스프링(340)이 제공하는 접촉 텐션에 의해 위치가 변위되는 구성으로서, 도 7과 같이, 단자결합부(331)와 접촉단자(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단자접촉체(330)는 1개 또는 2개로 형성되는데, 단자접촉체(330)가 1개인 경우는 단자가 1개 형성된 배터리를 진단하기 위함이고, 단자접촉체(330)가 2개인 경우는 단자가 2개 형성된 배터리를 진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후술할 스프링(340)은 단자접촉체(330)의 개수에 따라 1개 또는 2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접촉체(330)는,
접촉부 몸체(310) 내부에 형성되고, 접촉단자(332)가 탈부착 형식으로 결합되고, 접촉단자(332)가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 상측으로 변위하되 스프링(340)이 제공하는 접촉 텐션에 의해 배터리와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변위하는 단자결합부(331)와,
단자결합부(331)에 탈부착 형식으로 결합되고, 배터리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부 몸체(310) 외부로 노출되는 접촉단자(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결합부(3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 몸체(310)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간(311)에 삽입 설치되어, 접촉단자(332)가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 상측으로 변위하되 스프링(340)이 제공하는 접촉 텐션에 의해 접촉단자(332)가 배터리 단자에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변위하는 구성이다. 즉, 접촉단자(332)가 배터리 단자에 비 접촉 시에는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단자결합부(331)는 삽입공간(311) 최하측에 위치하다가 접촉단자(332)가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에는 배터리와의 접촉 가압력에 의해 삽입공간(311)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다. 이때 스프링(340)이 제공하는 접촉 텐션에 의해 접촉단자(332)가 배터리 단자와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삽입공간(311)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다.
상기 접촉단자(332)는 단자결합부(331)에 탈부착 형식으로 결합되고, 배터리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부 몸체(310)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접촉단자(332)를 단자결합부(331)에 탈부착 형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 단자 형태를 고려한 것이다.
즉, 배터리 단자가 외부로 돌출되는 양각형인 경우는 양각형인 배터리 단자에 결합되는 부분이 홈 형상인 홈형 접촉단자(3322)를 사용해야 되고, 배터리 단자가 내부로 오목한 음각형인 경우는 음각형인 배터리 단자에 결합되는 부분이 돌기 형상인 돌기형 접촉단자(3321)를 사용해야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대응하도록, 돌기형 접촉단자(3321) 또는 홈형 접촉단자(3322)를 필요에 따라 접촉단자(332)에 탈부착 형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340)은 단자접촉체(330) 상측의 접촉부 몸체(310) 내부에 형성되고, 단자접촉체(330)가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 상측으로 변위하는 단자접촉체(330)가 배터리 단자와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접촉 텐션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즉, 단자접촉체(330)의 접촉단자(332)가 배터리 단자에 비 접촉 시에는 단자접촉체(330)의 단자결합부(331)가 삽입공간(311) 최하측에 위치하도록 단자결합부(331)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접촉단자(332)가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에는 접촉단자(332)가 배터리 단자와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배터리와의 접촉 가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는 단자결합부(331)에 접촉 텐션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단자접촉부(300)는 단자접촉체(330)가 배터리(20) 단자에 접촉하면, 상기 배터리(20)의 전기적 특성인 전압, 전류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연결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350)는 단자접촉체(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부 몸체(310)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부(400)는 배터리(20)의 전기적 특성 진단을 위해 배터리 고정부(200)에 의해 베이스판(100) 상에 안착 고정된 배터리(20)의 단자에 단자접촉부(300)가 접촉되도록 단자접촉부(300)를 승, 하강 시키는 구성으로, 설치 브라켓(410), 승하강 안내가이드(420), 승하강력 전달축(430), 제2 레버형 손잡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 9를 참조하면, 상기 설치 브라켓(410)은 단자접촉부(300)가 승 하강하도록 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대(500)에 의해 베이스판(100)의 상측 일정높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하측에는 승하강 안내가이드(420)가 형성되고, 승하강력 전달축(430)이 관통 설치되고, 상측에는 제2 레버형 손잡이부(440)가 설치된다.
상기 설치 브라켓(410)은 설치 브라켓(410)에 결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대(500)에 의해 베이스판(100)의 상측 일정높이에 형성되는데, 도 9에는 2개의 지지대(500)에 의해 설치 브라켓(410)이 베이스판(100)의 상측 일정높이에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 안내가이드(420)는 단자접촉부(300)의 승, 하강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 브라켓(410) 하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승하강 안내가이드(420)는 단자접촉부(300)에 형성된 이송구(321)에 관통되어 단자접촉부(300)의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한다.
즉, 단자접촉부(300)에 연결된 승하강력 전달축(430)의 승, 하강 이동에 따라 단자접촉부(300)가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도 8에는 승하강 안내가이드(420)가 4개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력 전달축(430)은 설치 브라켓(4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2 레버형 손잡이부(440)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단자접촉부(300)를 승, 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승하강력 전달축(430)의 일측은 제2 레버형 손잡이부(440)에 연결되고, 타측은 단자접촉부(300)의 접촉부 몸체(310)에 연결된다.
상기 제2 레버형 손잡이부(440)는 설치 브라켓(410)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승하강력 전달축(430)을 승하강시켜 단자접촉부(300)에 승, 하강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2 레버형 손잡이부(440)는,
설치 브라켓(410) 상측에 형성되는 제2 힌지 지지대(441)와,
일측은 제2 손잡이(443)에 타측은 제2 힌지 지지대(441)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제2 손잡이(443) 조작 시, 제2 손잡이(443)와 제2 힌지 지지대(441) 모두에 대해서 힌지 회동하는 제2 힌지부(442)와
승하강력 전달축(430)을 승하강 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2 손잡이(4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사용자가 승하강력 전달축(430)을 하강 이동(단자접촉부(300)를 하강시키기 위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손잡이(443)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손잡이(443)에 결합된 승하강력 전달축(430)이 하강 이동되고, 승하강력 전달축(430)에 연결된 단자접촉부(300)가 하강한다. 이때 제2 힌지부(442)는 제2 힌지 지지대(441)와 제2 손잡이(443) 모두에 대해 힌지 회동하여 승하강력 전달축(430)을 하강 이동(단자접촉부(300)를 하강시키기 위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손잡이(443)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승하강력 전달축(430)을 승강 이동(단자접촉부(3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손잡이(443)를 이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손잡이(443)에 결합된 승하강력 전달축(430)이 승강 이동되고, 승하강력 전달축(430)에 연결된 단자접촉부(300)가 승강한다. 이때 제2 힌지부(442)는 제2 힌지 지지대(441)와 제2 손잡이(443) 모두에 대해 힌지 회동하여 승하강력 전달축(430)을 승강 이동(단자접촉부(3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손잡이(443)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도 3,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500)는 승하강부(400)가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승하강부(400)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어야 하고, 도 3, 9에는 2개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500)의 일측은 베이스판(100)에 결합되고, 지지대(500)의 타측은 승하강부(400)의 설치 브라켓(410)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400)가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도록 지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20 : 배터리
100 : 베이스판
200 : 배터리 고정부
300 : 단자접촉부
400 : 승하강부
500 : 지지대

Claims (9)

  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측에 배터리 고정장치의 세부구성들이 설치되는 베이스판(100)과;
    진단을 위한 배터리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100) 상측에 설치되는 배터리 고정부(200)와;
    승하강부(400)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을 진단할 수 있도록 승, 하강하여 배터리 단자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단자접촉부(300)와;
    상기 단자접촉부(300)를 승, 하강 시키는 승하강부(400)와;
    일측은 상기 베이스판(100)에 타측은 승하강부(40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400)가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대(50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접촉부(300)는,
    승, 하강 하는 접촉부 몸체(310)와,
    접촉부 몸체(310)에 결합되고, 승하강부(400)가 제공하는 승, 하강 이동력에 의해 승하강부(400)의 승하강 안내가이드(420)를 따라 승, 하강 하여 접촉부 몸체(310)를 승, 하강 시키는 몸체 이송부(320)와,
    접촉부 몸체(310)에 형성되고, 접촉부 몸체(310) 하강 시, 배터리 단자에 접촉되고,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 상측으로 변위하되 스프링(340)이 제공하는 접촉 텐션에 의해 배터리 단자와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는 단자접촉체(330)와,
    상기 단자접촉체(330) 상측의 접촉부 몸체(310) 내부에 형성되고, 단자접촉체(330)가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 상측으로 변위하는 단자접촉체(330)가 배터리 단자와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접촉 텐션을 제공하는 스프링(340)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접촉체(330)는,
    접촉부 몸체(310) 내부에 형성되고, 접촉단자(332)가 탈부착 형식으로 결합되고, 접촉단자(332)가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 상측으로 변위하되 스프링(340)이 제공하는 접촉 텐션에 의해 배터리와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변위하는 단자결합부(331)와,
    단자결합부(331)에 탈부착 형식으로 결합되고, 배터리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부 몸체(310) 외부로 노출되는 접촉단자(332)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단자(332)는 배터리와 접촉되는 부분에 돌기가 형성된 돌기형 이거나 홈이 형성된 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승하강부(4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대(500)가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410)과,
    단자접촉부(300)의 승, 하강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 브라켓(410) 하측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승하강 안내가이드(420)와,
    설치 브라켓(4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은 제2 레버형 제1 손잡이부(440)에 연결되고, 타측은 승하강 안내가이드(420)를 따라 승, 하강 하여 접촉부 몸체(310)를 승, 하강 시키는 몸체 이송부(320)에 연결되는 승하강력 전달축(430)과,
    설치 브라켓(410)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승하강력 전달축(430)을 승하강시켜 단자접촉부(300)에 승, 하강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2 레버형 제1 손잡이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고정부(200)는,
    사이 공간에 배터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거리로 이격되는 고정형 제1 이격판(211)과, 이동형 제2 이격판(212)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안착부(210)와,
    상기 제2 이격판(212)에 결합되어 제2 이격판(212)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23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부(220)와,
    상기 슬라이딩부(2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판(100)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안내레일(230)과,
    상기 슬라이딩부(220)에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하는 추력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격판(211)은 베이스판(10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이격판(212)은 제1 이격판(211)에 대한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22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부(240)는,
    상기 슬라이딩부(220)에 고정 설치되고, 추력전달축(243)이 연결되는 제1 추력전달체(241)와,
    추력전달축(243)이 관통되는 축 관통구(2421)가 형성되고 베이스판(100)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추력전달체(242)와,
    제2 추력전달체(24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은 제1 레버형 제1 손잡이부(244)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추력전달체(241)에 연결되는 추력전달축(243)과,
    제2 추력전달체(242)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추력전달축(243)을 전후진 이동시켜 슬라이딩부(220)에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1 레버형 제1 손잡이부(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이송부(320)에는 승하강부(400)의 승하강 안내가이드(420)가 관통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구(3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이송부(320)는 접촉부 몸체(310)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접촉체(330)는 1개 또는 2개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340)은 단자접촉체(330)의 개수에 따라 1개 또는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접촉부(300)는,
    단자접촉체(330)가 배터리 단자에 접촉 시, 배터리의 전압, 전류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연결부(3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350)는 단자접촉체(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촉부 몸체(3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9. 삭제
KR1020200104386A 2020-08-20 2020-08-2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KR10220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86A KR102207376B1 (ko) 2020-08-20 2020-08-2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86A KR102207376B1 (ko) 2020-08-20 2020-08-2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376B1 true KR102207376B1 (ko) 2021-01-25

Family

ID=7423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386A KR102207376B1 (ko) 2020-08-20 2020-08-2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3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0225A1 (en) * 2002-10-31 2004-08-19 Kung C. H. Combination battery, light bulb, and fuse tester
WO2009016491A2 (en) * 2007-08-02 2009-02-05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Storage battery assembly
KR20150037189A (ko) * 2013-09-30 2015-04-08 세향산업 주식회사 배터리 내구연한 시험용 충방전 프로브 및 그의 지그장치
KR20160009283A (ko) * 2014-07-16 2016-01-26 주식회사 일우하이텍 2차 전지 관통시험기
KR102002859B1 (ko) 2018-03-26 2019-07-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배터리 진단 기능을 갖는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4745B1 (ko) 2019-07-03 2020-01-13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모듈 체결 장치
KR20200020566A (ko) 2018-08-17 2020-02-26 (주)엠텍정보기술 임피던스 분광법을 이용하여 배터리 수명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상태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0225A1 (en) * 2002-10-31 2004-08-19 Kung C. H. Combination battery, light bulb, and fuse tester
WO2009016491A2 (en) * 2007-08-02 2009-02-05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Storage battery assembly
KR20150037189A (ko) * 2013-09-30 2015-04-08 세향산업 주식회사 배터리 내구연한 시험용 충방전 프로브 및 그의 지그장치
KR20160009283A (ko) * 2014-07-16 2016-01-26 주식회사 일우하이텍 2차 전지 관통시험기
KR102002859B1 (ko) 2018-03-26 2019-07-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배터리 진단 기능을 갖는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20566A (ko) 2018-08-17 2020-02-26 (주)엠텍정보기술 임피던스 분광법을 이용하여 배터리 수명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상태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102064745B1 (ko) 2019-07-03 2020-01-13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모듈 체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677B1 (ko) 버스바홀더
JP5891042B2 (ja) 着脱自在の充放電検査装置を有する電池の充放電検査設備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の充放電検査方法
WO2019189170A1 (ja) 充放電装置
US20150243947A1 (en) Power source device, electric vehicle comprising power source device, accumulator device
CN102686355B (zh) 用于电池模块的焊接验证系统和方法
CN1868687A (zh) 动力工具
KR101211212B1 (ko) 전지 고정방식을 개선한 전지 고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충방전용 지그 장치
JP2011063944A (ja) 充電機能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KR20100126120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US20130288550A1 (en) Terminal contacting part included in a jig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 secondary battery and the jig including the same
KR102207376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적 특성 진단용 배터리 고정장치
US9252410B2 (en) Power storage apparatus
KR102387606B1 (ko) 원통형 셀의 충방전용 통전 지그
KR101331000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CN112440812A (zh) 一种电动汽车换电装置
CN107503531B (zh) 集装箱换电站及其安装方法
CN114128077B (zh) 用于对二次电池进行充电和放电的装置
KR101394908B1 (ko) 배터리 연결장치
CN113401838B (zh) 用于电动汽车的调平设备和它的换电方法以及换电站
CN109624779B (zh) 一种汽车换电装置及电动汽车
KR101891892B1 (ko) 캡플레이트 반제품의 제조장치
JP7089680B2 (ja) 充放電装置の接続機構
CN211995234U (zh) 换电设备
KR20120137685A (ko) 이차전지 검사용 트레이
KR101550607B1 (ko) 연료전지 적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