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235A - 시추선 - Google Patents

시추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235A
KR20160009235A KR1020140089451A KR20140089451A KR20160009235A KR 20160009235 A KR20160009235 A KR 20160009235A KR 1020140089451 A KR1020140089451 A KR 1020140089451A KR 20140089451 A KR20140089451 A KR 20140089451A KR 20160009235 A KR20160009235 A KR 20160009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abin
hull
air conditioning
life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114B1 (ko
Inventor
방정훈
이승환
황인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1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시추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추선은, 선체에 마련되는 거주구; 및 거주구에 복수의 층으로 마련되며, 거주자의 침실로 제공되는 캐빈(cabin)과 구명정이 수용되는 구명정 수용공간부가 구비된 캐빈 데크를 포함하고, 캐빈 데크는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까지 확장되어 캐빈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구명정 수용공간부에는 화재 또는 폭발로부터 구명정을 보호하는 보호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추선{DRILLSHIP}
본 발명은, 시추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무원이 거주하는 캐빈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과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런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 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 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시추선(Drill ship), 반잠수식 리그(semi-submersible rig) 등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 및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군소 유전 개발을 위해서는 그 위치를 자주 옮겨야 하는 작업 조건에 따라, 시추선은 예인선 없이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한편 최근에는 심해에서 유전을 개발하므로 드릴 파이프, 라이저 파이프,머드 장비 등을 포함하는 시추 장비의 개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시추 장비를 다루는 승무원의 수요도 증가하게 되었다.
도 1은 시추선의 선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정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시추선은 메인 데크(MD)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승무원이 거주하는 캐빈(cabin)이 마련된 캐빈 데크(20)의 대부분이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까지 연장 되지 않고 빈 공간이 많았다.
이 경우 캐빈 데크(20)에 거주하는 승무원의 수가 180~200명인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더 이상의 인원 예를 들어 240명 이상의 승무원이 거주할 경우 캐빈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최근의 심해 시추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충분한 인원의 승무원이 안락하게 거주할 수 있는 캐빈 데크의 개선책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전의 시추선에는 사고 시 승무원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구명정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좌현과 우현 가장자리에 마련된다.
하지만 이전의 시추선에는 구명정이 장착된 영역의 선미부 방향이 개방되어 있어 화재 시 승무원이 화염이나 독 가스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위험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책도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4-0021106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2014. 02. 2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최근의 심해 시추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충분한 인원의 승무원이 안락하게 거주함과 아울러 화재 시 승무원이 안정하게 구명정으로 탈출할 수 있는 시추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마련되는 거주구; 및 상기 거주구에 복수의 층으로 마련되며, 거주자의 침실로 제공되는 캐빈(cabin)과 구명정이 수용되는 구명정 수용공간부가 구비된 캐빈 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캐빈 데크는 상기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까지 확장되어 상기 캐빈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구명정 수용공간부에는 화재 또는 폭발로부터 상기 구명정을 보호하는 보호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캐빈 데크는, 메인 데크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1 데크; 상기 제1 데크의 상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데크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데크; 상기 제2 데크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까지 확장되는 제3 데크; 및 상기 제3 데크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까지 확장되는 제4 데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데크의 상부에는 메스룸(messroom) 데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데크는 상기 메스룸 데크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명정 수용공간부는 상기 제1 데크와 상기 제3 데크 사이의 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명정 수용공간부는 리세스(recess)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빈 데크의 상부에는 탑 데크가 마련되고, 상기 탑 데크에 상기 캐빈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조화 장비가 설치되는 공조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거주구의 선미 방향에는 입구 도어가 마련되고, 상기 입구 도어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거주구에는 상기 입구 도어를 통해 통행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보호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거주구에 거주하며 승선중인 사람은 240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선체의 사이드 플랫폼에는 다운 캠버(down camber)가 적용되고, 상기 선체의 후방 플랫폼에는 선미 현호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빈 데크의 대부분을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까지 연장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추가적인 거주 공간을 확보하여 충분한 인원의 승무원이 안락하게 거주할 수 있다.
또한 구명정이 마련되는 구명정 수용공간부에 보호벽을 마련하여 화재 또는 폭발로부터 구명정과 승무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시추선의 선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정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추선의 선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정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3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3 데크의 선미부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서 사이드 플랫폼에 다운 캠버가 적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탑 데크에 제1 공조실이 마련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예에서 메인 데크와 선저부 사이에 제2 공조실이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루프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 예에서 거주구에 비상 계단 트렁크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제4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 예에서 거주구에 세탁물 슈트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추선의 선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정면 일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3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3 데크의 선미부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에서 사이드 플랫폼에 다운 캠버가 적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1)은, 선체에 마련되는 거주구(10)와, 거주구(10)에 복수의 층으로 마련되며 거주자의 침실로 제공되는 캐빈(21, cabin)과 구명정(LB)이 수용되는 구명정 수용공간부(26)가 구비된 캐빈 데크(20)를 구비한다.
거주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데크(MD)에 마련되어 거주자의 숙식 제공 장소, 항해 시 시야를 확보하는 장소, 헬리 콥터가 이착륙되는 헬리 데크(50)와 연결 장소 등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서 거주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데크(MD)의 상부에 위치되며 식당과 조리실과 양식 창고 등이 구비된 메스룸 데크(11)와, 캐빈 데크(20)의 상부에 마련되며 조타실이 구비된 네비게이션 데크(12)와, 네비게이션 데크(12)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 공조실(30)이 구비된 탑 데크(13)와, 탑 데크(13)의 상부에 마련되며 헬리 데크(50)와 나란한 높이를 갖는 루프 데크(14)를 포함한다.
캐빈 데크(20)는, 승무원의 침실로 제공되는 캐빈(21)이 마련되는 장소로, 본 실시 예는 캐빈 데크(20)의 대부분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로 연장하여 240명 이상의 승무원이 거주할 수 있는 캐빈(21)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캐빈 데크(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스룸 데크(11)의 상부에 마련되며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1 데크(22)와, 제1 데크(22)의 상부에 마련되며 구명정(LB)이 설치되는 구명정 수용공간부(26)를 확보하기 위해 제1 데크(22) 보다 짧은 거리로 마련되는 제2 데크(23)와, 제2 데크(23)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 데크(22)와 같이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3 데크(24)와, 제3 데크(24)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3 데크(24)와 같이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4 데크(25)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제3 데크(24)와 제4 데크(25)를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까지 연장하여 확보된 공간에 캐빈(21)을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240명 이상의 거주자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캐빈 데크(20)의 제1 데크(22)와 제3 데크(24) 사이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정 수용공간부(26)가 마련된다.
구명정 수용공간부(26)는, 화재 또는 폭발 등의 발생 시 거주자 또는 승무원이 해상으로 안정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구명정(LB)이 마련되는 장소이다.
이전에 구명정(LB)이 마련되는 장소는 선수부와 선미부 방향 모두가 개방되어 있어 주변에 화재가 발생 시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바로 구명정(LB)이 마련되는 장소로 유입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 예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정 수용공간부(26)의 선미부 방향에 보호벽(27)을 마련하여 전술한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명정 수용공간부(26)를 기준으로 선수부 방향은 머드나 기름유 등이 거의 없어 화재의 위험이 적으나 선미부 방향은 선수부에 비해 화재의 위험이 훨씬 높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구명정 수용공간부(26)의 선미부에 보호벽(27)을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명정 수용공간부(26)의 선수부 방향에도 보호벽(27)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명정 수용공간부(26)에 마련되는 보호벽(2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크(22)로부터 제3 데크(24)까지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벌크 헤드(bulkhead)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캐빈 데크(20)의 선미부 방향에 제3 데크(24)로부터 제4 데크(25)까지 오르내릴 수 있도록 비상 계단(100)을 마련할 수 있고, 해당 데크에는 비상 계단(100)을 드나들 수 있도록 입구 도어(D)가 마련된다.
이 입구 도어(D)가 마련된 선미부 방향도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거주자나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전술한 보호벽(27)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전술한 입구 도어(D)는 네비게이션 데크(12)와 탑 데크(13) 사이의 영역에도 마련될 수 있으므로, 이 영역에도 전술한 보호벽(27)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선체의 사이드에 사이드 플랫폼(SP)을 마련할 수 있고, 사이드 플랫폼(SP)의 가장자리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캠버(down camber)를 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 플랫폼(SP)에서의 주 통행 통로를 인지할 수 있고, 배수가 자연스럽게 되어 캠버가 형성되지 않은 내측에 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결빙이 생기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선체의 후방 플랫폼에 선미 현호(sheer)를 줄 수 있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탑 데크에 제1 공조실이 마련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 예에서 메인 데크와 선저부 사이에 제2 공조실이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의 공조실과 관련된 내용을 도 3,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공조실(3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데크(13)에 마련하고, 제2 공조실(40)을, 도 3에 도시된 선저 데크(BD)에 마련하여 운영할 수 있다.
그 결과 공조실이 이전과 같이 캐빈 데크(20) 영역이 아닌 거주자나 승무원의 이동이 많지 않은 곳에 마련되므로 공조실로 인한 소음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조실(30)이 탑 데크(13)에 마련되므로 메인 데크(MD)에 마련된 데크 크레인으로 공조 장비(31)를 인입할 수 있어 공조 장비(31)를 편리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나아가 탑 데크(13)의 외측 상부의 넓은 영역을 공조 장비(31)의 적재 장소로 활용할 수 있어 원활한 장비 배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 예는 각각의 공조실을 연결하는 공조 트렁크가 2개로 나뉘어 졌기 때문에 공조 덕트를 심플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제1 공조실(30)이 네비게이션 데크(12)로부터 루프 데크(14)까지 담당하고, 제2 공조실(40)이 선저 데크(BD)로부터 캐빈 데크(20)의 제4 데크(25)까지 제1 공조실(30)과 독립적으로 담당하므로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제1 공조실(30)과 제2 공조실(40)의 공조 장비(31)가 예비로 갖추어져 있으므로 하나의 장비가 고장이 나더라도 전체 시스템이 다운되는 문제는 없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공조실(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데크(13)에 마련될 수 있고, 탑 데크(13)에는 공조 장비(31)가 배치되는 제1 공조실(30) 뿐만 아니라 비상 발전기(32)가 배치되는 비상 발전기 룸(33)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탑 데크(13)에 제1 공조실(30)을 마련하면 탑 데크(13)가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여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탑 데크(13)에 비상 발전기 룸(33)을 마련하면 비상 발전기(32)에서 배출되는 배기가 바로 대기로 배출되므로 비상 발기기와 연결되는 배관과 관련 구성을 간단히 마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공조실(40)은, 도 3에 도시된 선저 데크(BD)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선저 데크(BD)는 메인 데크(MD)와 선저부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고, 제2 공조실(4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냉각기(41)와 공조 장비(3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루프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도 3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실시 예에서 헬리 데크(50)의 접근 가능 및 이동 경로의 편의성을 높인 것을 설명한다.
이전에 헬리 데크(50)와 주변의 시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떨어져 있고, 헬리 데크(50)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탑 데크(13)에 있는 탑 데크 룸(60)을 나온 후 경사진 계단을 통해 접근해야 했다. 이 경우 헬리 데크(50)로의 접근성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데크 룸(60)과 헬리 데크(50)의 사이에 별도의 헬리데크 플랫폼(70)을 마련하고, 탑 데크 룸(60)의 최상부면과 헬리데크 플랫폼(70)의 최상부면 높이를 헬리 데크(50)의 바닥 높이와 맞춤으로써 헬리 데크(50)의 접근성과 이동 경로의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데크 룸(60)에 루프 데크 룸(80)과 연통되는 루프 데크계단(81)을 마련하고, 루프 데크 룸(80)으로 엘리베이터(82)를 연장시켜 헬리 데크(50)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본 실시 예에서 엘리베이터(8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데크계단(8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헬리 데크(50)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탑 데크 룸(60)을 별도로 마련하였으므로, 이전의 통신탑이 설치되고 통신 관련 장비가 내부에 설치되는 루프 데크 룸(80)을 탑 데크 룸(60)의 상부에 마련한다.
도 12는 본 실시 예에서 거주구에 비상 계단 트렁크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제4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240명 이상의 거주자를 수용하기 위해 캐빈 데크(20)의 상부 영역인 제3 데크(24)와 제4 데크(25)가 선체의 폭 방향까지 연장되어 선체의 폭 방향에 공간이 없다.
따라서 이전과 같이 제3 데크(24) 영역과 제4 데크(25) 영역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많은 인원이 한번에 탈출할 수 있는 탈출 루트용 플랫폼(ER, 도 2 참조)을 마련할 수 없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 데크(20)의 제1 데크(22)로부터 네비게이션 데크(12)까지 복수의 비상 계단 트렁크(90)를 마련하여 안전한 탈출 루트(escape root)를 확보할 수 있다.
복수의 비상 계단 트렁크(9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데크(25)의 선수부에 마련되어 거주자의 탈출 통로로 제공되는 제1 비상계단트렁크(91)와, 제4 데크(25)의 선미부에 마련되어 거주자의 탈출 통로로 제공되는 제2 비상계단트렁크(92)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복수의 비상 계단 트렁크(90) 외에 제1 데크(22)와 네비게이션 데크(12)를 연결하여 적은 인원의 탈출 경로로 제공되는 복수의 비상 계단(10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비상 계단 트렁크(90)와 복수의 비상 계단(1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로(11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 예에서 거주구에 세탁물 슈트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13과 도 14를 참고하여 세탁실 작업자가 세탁물을 직접 수거하는 번거로움을 감소할 수 있는 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 데크(20)의 제4 데크(25)로부터 메인 데크(MD)까지 연통되는 세탁물 슈트(120)를 마련하고, 세탁물 슈트(120)를 통해 세탁물을 투하함으로써 세탁물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세탁물 슈트(1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비상계단트렁크(92)와 접한 룸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세탁물 슈트(120)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이 도어는 메인 데크(MD) 영역의 세탁물 슈트(120)에 세탁물이 일정 높이로 쌓인 경우 세탁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닫혀질 수 있다.
나아가 도어가 마련되는 세탁물 슈트(120)의 일측에는 거주자의 이름과 캐빈 호실을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세탁물 전표 출력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세탁물 전표 출력부는 일반 세탁실(130)에서 사용하는 공지된 전표 입력 및 출력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세탁물 슈트(120)가 마련되는 룸에는 세탁물을 봉지에 담을 수 있도록 세탁물 봉지 거치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세탁물 봉지 거치대는 우산을 담을 수 있는 봉지가 거치되는 공지된 우산 봉지 거치대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메인 데크(MD) 영역의 세탁물 슈트(120)에는 투하되는 세탁물과 세탁물 봉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쿠션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쿠션부재는 사각형 형태의 세탁물 슈트(120)에 고정되며 메인 데크(MD)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그물망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세탁실(13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데크(MD)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세탁실(130)을 메인 데크(MD)에 마련하면 거주자가 거주구(10)로 복귀하거나 작업 장소로 가는 동안에 직접 세탁물을 맡길 수도 있고, 거주구(10)의 대부분의 데크에서 세탁물을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캐빈 데크의 대부분을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까지 연장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추가적인 거주 공간을 확보하여 충분한 인원의 승무원이 안락하게 거주할 수 있다.
또한 구명정이 마련되는 구명정 수용공간부에 보호벽을 마련하여 화재 또는 폭발로부터 구명정과 승무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시추선 10 : 거주구
11 : 메스룸 데크 12 : 네비게이션 데크
13 : 탑 데크 14 : 루프 데크
20 : 캐빈 데크 21 : 캐빈
22 : 제1 데크 23 : 제2 데크
24 : 제3 데크 25 : 제4 데크
26 : 구명정 수용공간부 27 : 보호벽
30 : 제1 공조실 31 : 공조 장비
32 : 비상 발전기 33 : 비상 발전기 룸
40 : 제2 공조실 41 : 냉각기
50 : 헬리 데크 60 : 탑 데크 룸
70 : 헬리데크 플랫폼 80 : 루프 데크 룸
81 : 루프 데크계단 82 : 엘리베이터
90 : 비상 계단 트렁크 91 : 제1 비상계단트렁크
92 : 제2 비상계단트렁크 100 : 비상 계단
110 : 이동 통로 120 : 세탁물 슈트
130 : 세탁실 BD : 선저 데크
D : 입구 도어 ER : 탈출 루트용 플랫폼
LB : 구명정 MD : 메인 데크
SP : 사이드 플랫폼

Claims (9)

  1. 선체에 마련되는 거주구; 및
    상기 거주구에 복수의 층으로 마련되며, 거주자의 침실로 제공되는 캐빈(cabin)과 구명정이 수용되는 구명정 수용공간부가 구비된 캐빈 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캐빈 데크는 상기 선체의 폭 방향 가장자리까지 확장되어 상기 캐빈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구명정 수용공간부에는 화재 또는 폭발로부터 상기 구명정을 보호하는 보호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빈 데크는,
    메인 데크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제1 데크;
    상기 제1 데크의 상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데크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데크;
    상기 제2 데크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까지 확장되는 제3 데크; 및
    상기 제3 데크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까지 확장되는 제4 데크를 포함하는 시추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크의 상부에는 메스룸(messroom) 데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데크는 상기 메스룸 데크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명정 수용공간부는 상기 제1 데크와 상기 제3 데크 사이의 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명정 수용공간부는 리세스(recess)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빈 데크의 상부에는 탑 데크가 마련되고,
    상기 탑 데크에 상기 캐빈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조화 장비가 설치되는 공조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의 선미 방향에는 입구 도어가 마련되고,
    상기 입구 도어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거주구에는 상기 입구 도어를 통해 통행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보호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에 거주하며 승선중인 사람은 240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사이드 플랫폼에는 다운 캠버(down camber)가 적용되고,
    상기 선체의 후방 플랫폼에는 선미 현호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
KR1020140089451A 2014-07-16 2014-07-16 시추선 KR101623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451A KR101623114B1 (ko) 2014-07-16 2014-07-16 시추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451A KR101623114B1 (ko) 2014-07-16 2014-07-16 시추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235A true KR20160009235A (ko) 2016-01-26
KR101623114B1 KR101623114B1 (ko) 2016-05-20

Family

ID=5530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451A KR101623114B1 (ko) 2014-07-16 2014-07-16 시추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1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791A (ko) * 2016-10-14 2019-01-14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의 거주 구역 구조 및 화물 운반선
KR20210014939A (ko) * 2019-07-31 2021-02-10 (주)한국해사기술 안정적인 거주구역 확보가 가능한 연구조사선 공간배치 방법 및 공간배치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1106A (ko) 2012-08-07 2014-02-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1106A (ko) 2012-08-07 2014-02-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791A (ko) * 2016-10-14 2019-01-14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의 거주 구역 구조 및 화물 운반선
CN110072770A (zh) * 2016-10-14 2019-07-30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的居住区结构及货物运输船
KR20210014939A (ko) * 2019-07-31 2021-02-10 (주)한국해사기술 안정적인 거주구역 확보가 가능한 연구조사선 공간배치 방법 및 공간배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114B1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14016A1 (en) System for evacuation of personnel from a capsized vessel
KR20080102398A (ko) 심해 설치선
EP3416883B1 (en) Survival craft
CN109835442A (zh) 超深水半潜式钻井平台
CN106573666B (zh) 用于石油钻探的浮力结构
KR101623114B1 (ko) 시추선
KR20190013705A (ko) 해저 원격 동작 차량(rov) 허브
US9731796B2 (en) Well intervention semisubmersible vessel
KR20160009239A (ko) 비상 계단 트렁크가 구비된 시추선
KR20160009237A (ko) 공조실이 탑 데크에 구비된 시추선
KR101282120B1 (ko) 선박
CN207466925U (zh) 超深水半潜式钻井平台
KR102160479B1 (ko) 헬리데크 플랫폼이 구비된 시추선
KR20160009236A (ko) 세탁물 슈트가 구비된 시추선
US10023278B1 (en) Pneumatic fender system for vessels
KR101956673B1 (ko) 드릴쉽의 구명보트용 배치 및 탑승 영역 배치 구조
EP2983979B1 (en) Drillship
KR20170121860A (ko) 선실의 비상탈출로가 구비된 선박
CN106741735A (zh) 充气救援艇
Serck-Hanssen IMR in Subsea 7 for Statoil, past and future, the new IMR vessel “Seven Viking”
RU2629625C1 (ru) Подводное судно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подводных добычных комплексов на арктическом шельфе и других подводно-технических работ
Barr et al. Enhanced Arctic Lifeboat Design and Operation
Price The Ocean Ranger Disaster
Adelere Structural design of a multi-role support offshore vessel of 100m long
KR101615007B1 (ko) 침몰대비 객실 분리시스템이 구축된 여객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