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144A - Drop Experiencing Apparatus for Safety Training - Google Patents

Drop Experiencing Apparatus for Safety Tr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144A
KR20160009144A KR1020140088954A KR20140088954A KR20160009144A KR 20160009144 A KR20160009144 A KR 20160009144A KR 1020140088954 A KR1020140088954 A KR 1020140088954A KR 20140088954 A KR20140088954 A KR 20140088954A KR 20160009144 A KR20160009144 A KR 2016000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bile unit
motor
safety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4765B1 (en
Inventor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엠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8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765B1/en
Publication of KR2016000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1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7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falling experience apparatus with safety belts for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lling experience apparatus with safety belts for safety education includes: a fixation unit which has rings for holding the safety belts that users wear; a moving unit which has footholds on which the user can stand and is formed to fall down with respect to the fixation unit; a driving unit which moves the moving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driving unit.

Description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Drop Experiencing Apparatus for Safety Train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belt falling experience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 등에 투입되기 전 체험자가 추락 시 안전벨트의 텐션을 체험할 수 있는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safety edu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a safety education in which an experience person can experience the tension of the seat belt in a fall.

최근에 들어서도 여전히 관계기관 및 국민들의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각종 대형 사고의 피해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 현장에서의 재래형 사고들 또한 안전관리 요원이 상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번하게 발생한다.Recently, it has still not been able to escape from the damage of various types of accidents due to the safety insufficiency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citizens. Especially, the conventional accidents on the construction site are frequently occurred even though the safety personnel are resident.

이러한 건설 현장에서의 사고는 현장 책임자, 안전관리요원 그리고 무엇보다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 불감증 및 부주의에 기인한 것으로서, 자료에 의하면 건설 현장에서의 재해는 추락, 충돌, 낙하비래, 협착, 전도 등 재래형 재해가 전체 재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재해들은 관계자나 사고 당사자들이 사전에 조금만 관심을 갖고 주의를 기울였다면 피해 정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들이었으며, 결국, 무관심과 부주의로 인해 매년 그 피해 정도가 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Accidents at these construction sites are caused by safety insufficiencies and carelessness of field officers, safety supervisors and above all, workers working on the site. According to the data, disaster at the construction site is caused by falling, collision, Of the total disasters account for more than 70% of the total disasters. These disasters could have greatly reduced the extent of damage if the concerned person or persons concerned had paid little attention in advance, and as a result, the damage wa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indifference and carelessness.

이와 같은 건설 현장에서의 각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안전 관리 및 사전 교육이 필요하나,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건설 현장은 사전 교육이 재대로 되고 있지 아니할뿐더러 법적인 제재 또한 현실성이 없거나 그 한계로 인하여 현장의 많은 작업자들이 각종 사고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작업 전 각종 안전 교육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요구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thorough safety management and preliminary education are necessary. However, most of the construction sites are not pre-education, and legal sanctions are not realistic, Since many workers are exposed to various accidents in an unprotected manner, there is a constant need for safety education before work.

특히, 대단위 규모의 작업 현장이나 고층의 작업 현장에서는 곳곳에 추락사고의 위험성이 늘 상존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안전의식은 물론이고, 사전 교육이 더욱더 절실히 요구된다.Especially, in the case of a large scale work site or a high - level work site, there is always a danger of a fall accident in every place. Therefore, not only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but also pre - education is more urgently required.

하지만,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작업 현장에서는 안전관리 책임자가 일방적으로 작업자에게 전달하거나 단순히 주입식 교육에 그치고 있고 이러한 교육의 한계로 인해 작업자 스스로가 사고의 위험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바, 여전히 사고 발생률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However, in most workplaces, the safety management officer unilaterally delivers to the worker, or simply the injection training, and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training, the worker himself is not taking the risk of the accident seriously, It is not.

도 1은 종래의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at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종래에는 건설 작업자가 현장에 투입되기 전 추락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은 추락 체험 장치가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a fall experience apparatus as shown in Fig. 1 was used so that a construction worker can experience a fall situation before being put into the field.

바닥면에서 위쪽으로 최소한 사람 키보다 높게 설치된 지지구조물(1), 지지구조물(1)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안전벨트(20)에 의해 체험자(10)를 매달 수 있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2), 지지구조물(1)에 대해 지지프레임(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 지지프레임(2)의 내부에 설치되어 체험자에게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자유낙하 느낌을 느끼게 하는 낙하기구(4)로 이루어진다.A support structure (1) installed at least above a human key upward from a floor surface, a supporting frame (1)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side a support structure (1) (3) for moving the support frame (2)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tructure (1); a dropping device (3)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frame (2) And a mechanism (4).

그러나, 종래의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에 의하면 체험자(10)가 연결된 지지프레임(2)이 지지구조물(1)에 대하여 상승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체험자는 추락 시의 느낌이 아닌 몸이 위로 당겨지는 느낌을 받아 실제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느낌을 받을 수는 없다. 또한, 체험자(10)의 몸이 위로 당겨지는 경우에는 추락 시 안전벨트(20)가 체험자를 당기는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인지하기 어렵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eat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since the support frame 2 to which the experiencer 10 is connected is rais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tructure 1, the experience person feels that the body is pulled up You can not get a feeling of going down in a real high place. Further, when the subject of the experiencer 10 is pulled up, it is difficult to know how much the seat belt 20 pulls the experiencer during the fall.

선행문헌 1: 한국공개특허 10-2009-0094886Prior Ar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09-009488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체험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였을 경우에 안전벨트에 의해 추락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직접 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a safety education that enables a user to directly experience a phenomenon in which a user does not fall by a seat belt when the user wears a seat belt.

둘째,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등에 투입되기 전 체험자가 추락 시의 안전벨트의 텐션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a safety education in which a user can vividly experience the tension of the seat belt at the time of falling down before being put into a construction site.

셋째, 본 발명은 체험자가 실제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a safety education in which the experience can feel like a fall in an actual high place.

넷째, 본 발명은 여러 명의 체험자가 동시에 안전벨트 추락 체험을 할 수 있는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a safety educ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an experience a fall of a seat belt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는 고정유닛, 이동유닛, 구동유닛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comprising a fixed unit, a movable unit, a drive unit, and a controller.

상기 고정유닛에는 체험자의 몸에 묶인 안전벨트가 걸리는 고리가 구비된다.The fastening unit is provided with a hook for fastening the seat belt tied to the body of the practitioner.

상기 이동유닛에는 상기 체험자가 설 수 있는 발판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에 대하여 추락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mobile unit is provided with a footrest on which the user can stand, and the mobile unit is provided so as to fall down with respect to the fixed unit.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킨다.The drive unit moves the mobile unit up and down.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e unit.

상기 구동유닛은 모터, 구동 스프로킷, 체인, 종동 스프로킷 및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unit may include a motor, a drive sprocket, a chain, a driven sprocket, and a clutch.

상기 모터는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motor may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mobile unit.

상기 구동 스프로킷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체인은 일면이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 스프로킷은 상기 체인에 의해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The drive sprocket rotates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and the chain may rotate on one side in engagement with the drive sprocket. The driven sprocket can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procket by the chain.

또한, 상기 클러치는 상기 모터와 상기 구동 스프로킷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인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clutch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tor and the driving sprocket so as to selectively transmit the driving sprocket to the driving sprocket.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The mobile unit may be coupled to the chain and may be lifted or lowered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chain.

여기서, 상기 모터는 전자브레이크를 모터 케이스 안에 내장한 브레이크 모터일 수 있다.Here, the motor may be a brake motor in which an electromagnetic brake is incorporated in a motor case.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속위치센서를 포함되며, 상기 감속위치센서에 상기 이동유닛이 일정 높이만큼 추락하였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모터의 감속이 일어날 수 있다.Wherein the drive unit includes a deceleration position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mobile unit, and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mobile unit has fallen by a predetermined height is sensed to the deceleration position sensor, power is applied to the brake, Can happen.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센서에 상기 이동유닛이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였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모터는 상기 이동유닛의 상승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unit, and when the position sensor senses that the mobile unit is elev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motor may stop the movement of the mobile unit have.

상기 고정유닛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의 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installed on the floor and absorbing an impact when the mobile unit is lowered.

상기 고정유닛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유닛의 일측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동유닛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unit may be formed with a guide groove which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guide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movable unit.

상기 이동유닛에는 상기 이동유닛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위하여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The mobil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that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and rotate to smoothly move the mobile unit up and down.

상기 발판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여러 명의 상기 체험자가 동시에 추락 체험을 할 수 있다.The foot plate may b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the experienced users can experience falling down at the same time.

상기 발판에는 복수 개의 안전 손잡이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ootres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afety hand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는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에 의하면 체험자가 딛고 있는 발판이 급격히 추락하여 체험자가 실제로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step on which the experimenter stands may fall rapidly, and the user may feel that the user falls down at a high place.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에 의하면 안전벨트의 길이가 여유가 있는 상태로 양 단이 각각 체험자와 고정유닛에 연결되어 체험자가 추락 시 안전벨트가 체험자를 당기는 정도, 즉 안전벨트의 텐션을 미리 인지할 수 있다.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에 의하면 발판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여러 명의 체험자가 동시에 추락 체험을 할 수 있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ngth of the seat belt is sufficient,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experience person and the fixed unit, respectively, Third, in the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ot plate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that it can be performed.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장치에 의하면 체험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였을 경우에 안전벨트에 의해 추락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직접 몸으로 체험할 수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safety belt falling device for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ears a seat belt, the user can directly experience a phenomen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fall by the seat bel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의 이동유닛이 상승한 상태에서 체험자가 발판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의 이동유닛이 상승한 상태에서 체험자가 발판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의 이동유닛이 추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의 이동유닛이 추락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there are shown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at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IG. 2 is a front view of a safety-belts seat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user is placed on a footbath in a state that a mobile unit is elevated; FIG.
FIG. 3 is a side view of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a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xperience person is placed on a foot plate in a state that the mobile unit is elevated; FIG.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obile unit of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a safety education has fall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obile unit of a safety-training seat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collapsed stat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that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numerals, but are substantially not identical to element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의 이동유닛이 상승한 상태에서 체험자가 발판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의 이동유닛이 상승한 상태에서 체험자가 발판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a safety-beltail seat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experient is placed on a foot plate in a state in which a mobile unit of a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is raised. Fig.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는 고정유닛(100), 이동유닛(200) 및 구동유닛(300)을 포함한다.2 and 3, the safety-training seat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unit 100, a mobile unit 200, and a drive unit 300. As shown in FIG.

고정유닛(100)은 지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10)의 양 측에서 상부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측부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10)에는 체험자(10)의 몸에 묶인 안전벨트(20)가 걸리는 복수 개의 고리(1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xed unit 100 may include a top frame 110 and a side frame 120 that supports the top frame 110 on both sides of the top frame 110. [ The upper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ings 112 to which the seat belt 20 tied to the body of the subject 10 is caught.

또한, 고정유닛(100)의 전방은 개방되며, 실제 건설 현장과 유사한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고정유닛(100)의 측면 및 후면에는 건설 현장 이미지(100a)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fixed unit 100 is opened, and a construction site image 100a may be disposed on the side and rear of the fixed unit 100 to create an atmosphere similar to an actual construction site.

이동유닛(200)은 고정유닛(1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유닛(200)은 체험자(10)가 딛고 설 수 있는 발판(210)을 포함한다. 이로써, 체험자(10)가 발판(210) 위에 올라서서 체험자(10)의 몸에 묶인 안전벨트(20)를 고리(112)에 걸면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이동유닛(200)이 하강하고, 체험자(10)는 상부 프레임(110)에 고정된 안전벨트(20)에 의해 공중에 매달리게 된다.The mobile unit 200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xed unit 100. [ Then, the mobile unit 200 includes a footrest 210 on which the experiente 10 can stand. The mobile unit 200 descends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experient 10 is placed on the foot plate 210 and the seat belt 20 tied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10 is hooked on the loop 112, (10) is suspended in the air by a seat belt (20) fixed to the upper frame (110).

이와 같이, 안전벨트 추락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유닛(200)은 하강 속도가 매우 빨라 하부로 급격하게 추락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afety belt fall experience can be performed. More specifically, the mobile unit 200 can descend rapidly to the bottom because the descending speed is very fast.

추락 체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이동유닛(200)은 체험자(10)가 인지하지 못한 순간에 불시에 추락할 수 있으며, 이로써 체험자(10)로 하여금 실제로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느낌을 느끼게 할 수 있다.In order to maximize the fall experience effect, the mobile unit 200 may suddenly fall down at an unrecognized moment of the experience 10, thereby making the experience 10 feel the fall of the experience 10 .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안전벨트 추락 장치는 체험자(10)가 안전벨트(20)에 의해 묶여있는 지지프레임(2)이 지지구조물(1)에 대하여 상승함으로써 체험자(10)의 추락 체험이 이루어진다.In the conventional seatbelt collapsing apparatus shown in Fig. 1, the support frame 2, in which the experimenter 10 is bound by the seatbelt 20, is rais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tructure 1, so that the experiencing person 10 experiences a fall .

그러나, 종래의 안전벨트 추락 장치에 의하면 체험자(10)가 위로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체험자(10)는 실제로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얻을수 없으며, 또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흔들어 주기는 하지만 이미 체험자(10)의 몸에 밀착된 안전밸트(20)의 착용감에 의하여 추락과 같은 동일한 느낌을 받을 수 없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eatbelt fall device, the experiencer 10 is lifted up,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10 can not feel a feeling of falling down from a high place and shakes vertically in the lifted state The same feeling as a fall can not be received due to the feeling of wearing of the safety belt 20 which is already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experiencer 10,

그러나, 본 실시예의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장치에 의하면 체험자(10)가 딛고 서있는 이동유닛(20)이 급격히 하부로 추락함으로써 체험자(10)는 실제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safety training seat belt fa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bile unit 20 standing on the subject 10 suddenly falls downward,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10 can feel a feeling of falling down from a real high place.

한편, 체험자(10)의 몸에 묶인 안전벨트(20)의 길이는 체험자(10)의 몸에 안전벨트(20)가 묶이는 지점으로부터 상부 프레임(110)에 구비된 고리(112)까지의 거리보다 충분히 여유있는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eat belt 20 tied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10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seat belt 20 is tied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10 to the ring 112 provided on the upper frame 110 It can be formed long in a sufficiently long length.

그리고, 이동유닛(200)의 추락 거리는 적어도 안전벨트(20)의 여유분의 길이보다 더 멀게 형성되어 발이 발판(210)에서 떨어지면서 이동유닛(200)이 추락 시 체험자(10)도 안전벨트(20)의 여유분의 길이만큼 추락함으로써 체험자(10)로 하여금 추락 시 안전벨트(20)의 텐션, 즉 안전벨트(20)가 체험자(10)를 당기는 느낌이 어느 정도인지 체험할 수 있다.The falling distance of the mobile unit 200 is formed to be at least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xcess portion of the seat belt 20 so that the feet 10 are separated from the foot plate 210, So that the experience person 10 can experience the tension of the seat belt 20 during the fall, that is, the feeling of the seat belt 20 pulling the experiencer 10 to a certain degree.

또한, 체험자(10)가 안전벨트(20)를 착용하였을 경우에 체험자(10)는 일정 거리만큼만 추락할 수 있다. 즉, 안전벨트(20) 여유분의 길이만큼만 추락하게 되어 일정 높이 이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체험자(10)는 안전벨트(20)에 의해 추락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직접 몸으로 체험하여 안전벨트(20)를 하면 추락 시에도 안전하며, 안전벨트(20)의 착용이 매우 중요함을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perience wearer 10 wears the seat belt 20, the experience wearer 10 can only fall a certain distanc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idental person 10 from falling down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lower by only falling the length of the excess portion of the seatbelt 20, So that it is safe when the seat belt 20 falls down and it is felt that wearing of the seat belt 20 is very important.

본 실시예의 발판(21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여러 명의 체험자(10)가 동시에 추락 체험을 할 수 있다. 발판(210)에는 체험자(10)가 잡을 수 있는 안전 손잡이(212)가 구비될 수 있다. 안전 손잡이(212)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체험자(10)는 이격된 안전손잡이(212) 사이마다 위치할 수 있다.The footrest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experience users 10 can simultaneously experience a fall. The pedestal 210 may be provided with a safety handle 212 that can be held by the experiencer 10. The safety handles 212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the practitioner 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paced safety handles 212.

고정유닛(100)은 바닥에 설치되어 이동유닛(200)의 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130)로는 유압댐퍼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완충부재(130)는 유압댐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동유닛(200)이 추락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고무패드, 스펀지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fixed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ing member 130 installed on the floor for absorbing an impact when the movable unit 200 is lowered. As the buffer member 130, a hydraulic damper may be applied. However, the cushioning member 130 is not limited to the hydraulic damper, and may be a rubber pad, a sponge, or the like, as long as the movable unit 200 can absorb an impact upon falling.

완충부재(130)는 체험자(10)가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유닛(200)의 하부에는 완충부재(130)와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패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유닛(200)이 급격히 추락하여 완충부재(130)와 충돌 시 충돌음을 줄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The buffer member 13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experiencer 10 is located. A rubber pad or the like capable of absorbing an impact upon contact with the buffer member 1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unit 20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reducing the impact noise when the mobile unit 200 collides with the shock absorber 130 suddenly.

한편, 고정유닛(100)의 측부 프레임(120)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동유닛(200)의 일측이 삽입됨으로써 이동유닛(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A guide groove 122 may be formed in the side frame 120 of the fixed unit 100 so as to guide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200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movable unit 200, have.

그리고, 이동유닛(200)의 양측에는 가이드홈(122)에 삽입되는 삽입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삽입부재(220)가 가이드홈(122)에 삽입되어 이동유닛(200)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 할 수 있다.The insertion unit 220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bile unit 200. Thereby, the insertion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2, so that the mobile unit 200 can stably move up and down without shaking.

또한, 이동유닛(200)에는 가이드 롤러(232)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232)는 가이드홈(122)에 삽입되어 이동유닛(200)의 이동 시 가이드홈(122)의 내벽과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이동유닛(200)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도울 수 있다. 가이드 롤러(232)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를 지칭하여 가이드 롤러 어셈블리(230)라 하기로 한다.Further, the mobile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232. The guide roller 23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2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122 when moving the mobile unit 200 to facilitate smooth up and down movement of the mobile unit 200.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232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may be referred to as a guide roller assembly 230.

가이드홈(122)은 측부 프레임(1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재(220) 및 가이드 롤러 어셈블리(230)는 이동유닛(200)의 양 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s 122 may b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frame 120 and the insertion member 220 and the guide roller assembly 23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bile unit 200.

한편, 구동유닛(300)은 이동유닛(2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유닛(300)은 고정유닛(100)의 측부 프레임(1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유닛(300)은 한 쌍의 측부 프레임(120)의 내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e unit 300 can move the mobile unit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drive unit 300 may be located inside the side frame 120 of the fixed unit 100. [ The drive unit 300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pair of side frames 12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구동유닛(300)은 모터(310), 구동 스프로킷(320a), 체인(330), 종동 스프로킷(320b) 및 클러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rive unit 300 may include a motor 310, a drive sprocket 320a, a chain 330, a driven sprocket 320b, and a clutch 340.

모터(310)는 이동유닛(20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310)는 전자브레이크(미도시)를 모터 케이스 안에 내장한 브레이크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미도시)에 전원이 제거되면 브레이크(미도시)가 풀려 모터(310)의 출력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고, 브레이크(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면 브레이크(미도시)가 작동하여 감속이 일어날 수 있다.The motor 310 may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mobile unit 200.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310 may be a brake motor in which an electromagnetic brake (not shown) is incorporated in the motor case. Accordingly, when the power is removed from the brake (not shown), the brake (not shown) is released and the output of the motor 310 is delivered to the outside as it is. When a power is applied to the brake (not shown) Deceleration may occur.

구동 스프로킷(320a)은 모터(3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체인(330)의 일면이 구동 스프로킷(320a)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종동 스프로킷(320b)은 체인(330)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320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동유닛(200)은 삽입부재(220)에 의해 체인(330)에 결합되어 체인(330)의 이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The driving sprocket 320a is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310 and one side of the chain 330 can be rotated by engaging with the driving sprocket 320a. The driven sprocket 320b is rotated by the chain 330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procket 320a. The mobile unit 200 is coupled to the chain 330 by the insertion member 220 and can be lift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ain 330.

구동 스프로킷(320a), 종동 스프로킷(320b) 및 체인(330)은 이동유닛(200)의 양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310)와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20a)은 하나의 구동축(350)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310)가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20a)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축(350) 상에는 복수 개의 베어링(360)이 구비되어 구동축(35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The drive sprocket 320a, the driven sprocket 320b, and the chain 33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bile unit 200. The motor 310 and the pair of drive sprockets 320a may be connected to one drive shaft 350. Therefore, one motor 310 can operate the pair of drive sprockets 320a. In addition, a plurality of bearings 360 are provided on the drive shaft 350 so that the drive shaft 350 can rotate smoothly.

모터(310)와 구동 스프로킷(320a) 사이에는 클러치(340)가 구비되어 모터(310)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구동 스프로킷(320a)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모터(310)와 클러치(340)가 이격되면 모터(310)의 구동력이 구동 스프로킷(320a)에 전달되지 않아 이동유닛(200)이 급격히 추락하고, 모터(310)와 클러치(340)가 맞닿으면 모터(310)의 구동력이 구동 스프로킷(320a)에 전달되어 이동유닛(200)이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A clutch 340 is provided between the motor 310 and the driving sprocket 320a to selectively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10 to the driving sprocket 320a. That is, when the motor 310 and the clutch 3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10 is not transmitted to the driving sprocket 320a so that the mobile unit 200 abruptly falls and the motor 310 and the clutch 340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10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sprocket 320a so that the moving unit 200 can be mov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10. [

모터(31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motor 310 may rotat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상술하는 구동유닛(3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추락 체험 장치의 구동유닛(300)의 구성은 이동유닛(200)을 승하강 및 추락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식으로든 구성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300 of the fall experience apparatus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300 in any way so long as it can raise and lower the mobile unit 200 .

이하, 이동유닛(200)을 상승시키는 모터(310)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이라 하고, 이동유닛(200)을 하강시키는 모터(310)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이라 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310 for moving the mobile unit 200 is referred to as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310 for moving the mobile unit 200 is referred to as the reverse direction.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동유닛(300)의 작동에 따른 이동유닛(200)의 승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obile unit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이동유닛(200)의 상승 시에는 모터(310)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3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310)에 내장된 브레이크(미도시)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클러치(340)는 모터(310)와 서로 맞닿은 상태로서, 모터(310)의 구동력이 그대로 이동유닛(200)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When the mobile unit 200 is lifted, power is applied to the motor 310 so that the motor 31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Power is not applied to the brake (not shown) built in the motor 310 and the clutch 3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tor 310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1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bile unit 200 Can lead to a rise.

구동유닛(300)은 이동유닛(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최고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최고위치센서는 고정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최고위치센서에 이동유닛(200)이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였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모터(310)는 이동유닛(200)의 상승을 정지시킬 수 있다.The drive unit 300 may include a top position sensor that senses the position of the mobile unit 200. The highest position senso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unit 100.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mobile unit 200 is elev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is sensed by the highest position sensor, the motor 310 stops the movement of the mobile unit 200 .

이때, 모터(310)에 내장된 브레이크(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31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됨으로 체험자 및 발판(210)의 자중으로 인하여 체인(330)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발판(210)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when power is applied to a brake (not shown) built in the motor 310, the rotation of the motor 310 is stopped, so that the chain 330 is not rotated due to the weight of the pedestal 210, ) Is maintained in an elevated stat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의 이동유닛이 추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의 이동유닛이 추락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unit of a safety training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a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allen, FIG. 5 is a front view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it has fallen. Fig.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동유닛(300)의 작동에 따른 이동유닛(200)의 하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scent of the mobile unit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이동유닛(200)의 추락 시에는 클러치(340)가 모터(310)와 이격되기 때문에 모터(310)의 구동력 전달이 일시에 끊어져 구동 스프로킷(320a)의 회전이 멈출 수 있다. 이로써, 체인(330)에 결합된 이동유닛(200)은 급격히 추락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unit 200 falls, the clutch 340 is separated from the motor 310, so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10 is temporarily interrupt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procket 320a can be stopped. As a result, the mobile unit 200 coupled to the chain 330 can fall rapidly.

이동유닛(200)에 추락하는 도중에도 모터(310)는 역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나, 클러치(340)와 모터(310)가 이격되어 모터(310)의 구동력이 구동 스프로킷(320a)에 전달되지 않을 뿐이다.The motor 310 continuously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during the fall of the mobile unit 200 and the clutch 340 and the motor 3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10 is not transmitted to the driving sprocket 320a Only.

한편, 구동유닛(300)은 이동유닛(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속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감속위치센서는 고정유닛(100)의 일측 구비되어 이동유닛(200)의 추락 시 감속위치센서에 이동유닛(200)이 일정 높이만큼 추락하였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클러치(340)가 모터(310)와 맞닿아 모터(310)의 구동력이 다시 구동 스프로킷(320a)에 전달되고, 이와 함께 브레이크(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310)의 감속이 일어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unit 300 may include a deceleration position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unit 200. The deceleration position senso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xed unit 100 so that when the signal indicating that the mobile unit 200 has fallen by a certain height is sensed to the deceleration position sensor at the time of the fall of the mobile unit 200,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10 is again transmitted to the driving sprocket 320a and the power is applied to the brake (not shown), so that the motor 310 may be decelerated.

즉, 이동유닛(200)은 일정 높이만큼은 매우 급속히 추락하나, 감속위치센서에 이동유닛(200)이 감지된 이후로는 모터(310)의 감속에 의해 저속으로 하강할 수 있다.That is, the mobile unit 200 falls very rapidly by a certain height, but can be lowered by the deceleration of the motor 310 after the mobile unit 200 is detected by the deceleration position senso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에는 구동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러(400)에는 이동유닛(200)의 추락, 상승, 하강 등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afety belt fall experience apparatus for a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ler 4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300. The controller 400 may be provided with buttons such as a fall, rise, and fall of the mobile unit 200.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장치에 의하면 건설현장에 투입되기 전 체험자(10)가 추락 시의 느낌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추락 시 안전벨트(20)가 체험자(10)를 당기는 정도, 즉 안전벨트(20)의 텐션이 어느 정도인지 인지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safety belt falling device for a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xperiencing person 10 can vividly experience the feeling of falling before being put into a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the seat belt 20 pulls the subject 10 during the fall, that is, the degree of tension of the seat belt 2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 챔버 2: 발판
3: 완충부재 10: 체험자
20: 안전벨트 100: 고정유닛
100a: 건설현장 이미지 110: 상부 프레임
112: 고리 120: 측부 프레임
122: 가이드 130: 완충부재
200: 이동유닛 210: 발판
212: 손잡이 220: 삽입부재
230: 가이드 롤러 어셈블리 232: 가이드 롤러
300: 구동유닛 310: 모터
320a: 구동 스프로킷 320b: 종동 스프로킷
330: 체인 340: 클러치
350: 구동축 360: 베어링
400: 컨트롤러
1: chamber 2: scaffold
3: Buffer member 10: Experient
20: seat belt 100: fixed unit
100a: Construction site image 110: Upper frame
112: loop 120: side frame
122: guide 130: buffer member
200: mobile unit 210: footstool
212: handle 220: insertion member
230: guide roller assembly 232: guide roller
300: driving unit 310: motor
320a: drive sprocket 320b: driven sprocket
330: chain 340: clutch
350: drive shaft 360: bearing
400: controller

Claims (2)

체험자의 몸에 묶인 안전벨트가 걸리는 고리가 구비되는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을 지지하고 내측에 위치센서를 부설한 가이드홈이 형성된 측부프레임;
상기 체험자가 1인 이상 설 수 있는 발판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
A side frame having a fixed unit provided with a hook for hanging a seat belt tied to a body of a user and a guide groove supporting the fixed unit and having a position sensor installed inside;
A moving unit in which the pedestal capable of standing by at least one person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bile unit up and dow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And a safety belt fall experienc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브레이크가 부착된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
일면이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맞물려 회전하는 체인;
상기 체인에 의해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 스프로킷; 및
상기 모터와 상기 구동 스프로킷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인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having an electromagnetic brake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mobile unit;
A drive sprocket for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and rotating;
A chain having one side rotatable with the drive sprocket;
A driven sprocket rotatabl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procket by the chain; And
And a clutch disposed between the motor and the driving sprocket and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driving sprocket to the driving sprocket,
Wherein the mobile unit is coupled to the chain and is lifted or lowered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chain.
KR1020140088954A 2014-07-15 2014-07-15 Drop Experiencing Apparatus for Safety Training KR1016547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54A KR101654765B1 (en) 2014-07-15 2014-07-15 Drop Experiencing Apparatus for Safety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54A KR101654765B1 (en) 2014-07-15 2014-07-15 Drop Experiencing Apparatus for Safety Trai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144A true KR20160009144A (en) 2016-01-26
KR101654765B1 KR101654765B1 (en) 2016-09-07

Family

ID=5530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954A KR101654765B1 (en) 2014-07-15 2014-07-15 Drop Experiencing Apparatus for Safety Tr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7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3603A (en) * 2016-07-08 2016-12-07 北京城建建设工程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ensureing large scale and concrete structural support system safe construction of encorbelmenting
CN107967858A (en) * 2017-12-26 2018-04-27 中交海峡建设投资发展有限公司 A kind of metro safety construction train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583A (en) * 1994-12-22 1996-07-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kydiving and parachute descent training simulator
KR20070023231A (en) * 2005-08-23 2007-02-28 김재균 The apparatus for training experience of skydiving
KR20090094886A (en) 2008-02-20 2009-09-09 (주)영우산업 An apparatus for having experience of a safety belt
KR200455057Y1 (en) * 2010-04-22 2011-08-12 (주)청아아이앤시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for construction si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583A (en) * 1994-12-22 1996-07-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kydiving and parachute descent training simulator
KR20070023231A (en) * 2005-08-23 2007-02-28 김재균 The apparatus for training experience of skydiving
KR20090094886A (en) 2008-02-20 2009-09-09 (주)영우산업 An apparatus for having experience of a safety belt
KR200455057Y1 (en) * 2010-04-22 2011-08-12 (주)청아아이앤시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for construction si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3603A (en) * 2016-07-08 2016-12-07 北京城建建设工程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ensureing large scale and concrete structural support system safe construction of encorbelmenting
CN107967858A (en) * 2017-12-26 2018-04-27 中交海峡建设投资发展有限公司 A kind of metro safety construction trai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765B1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8023B2 (en) Suspension system for walk training
KR101032877B1 (en)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EP2730266B1 (en) Gait training apparatus
KR101117277B1 (en)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DK2542750T3 (en) Device to assist a user of a ladder
US20060254857A1 (en) Cable Ladder Device for High Building Rescue
KR101654765B1 (en) Drop Experiencing Apparatus for Safety Training
WO2020218416A1 (en) Training device
JP2015171511A (en) Walking training device
KR101026277B1 (en) Emergency descending apparatus for high building
KR101302741B1 (en) Stepper type sporting apparatus
CN202143772U (en) Crawling exercise machine with running function
CN201565003U (en) High-rise self-escape device
CN102039008A (en) High-altitude slow descending device
KR102092308B1 (en) A smith machine that is safety-enhanced
KR101889084B1 (en) Drop experiencing apparatus
JP2011110301A (en) Walking training device
US20160324714A1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20190119546A (en) Rope riding exercise equipment
KR20060114874A (en) A descending device for escape
KR102396482B1 (en) Simulation experience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accident of fall
KR20110128457A (en) The child stewed and obstinate experience system
KR102321581B1 (en) Self driving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CN110584687A (en) Coordination force measurement and evaluation device
CN211187299U (en) Coordination force measurement and evalu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