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817A - 히터용 전원 단자 - Google Patents

히터용 전원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817A
KR20160008817A KR1020140089011A KR20140089011A KR20160008817A KR 20160008817 A KR20160008817 A KR 20160008817A KR 1020140089011 A KR1020140089011 A KR 1020140089011A KR 20140089011 A KR20140089011 A KR 20140089011A KR 20160008817 A KR20160008817 A KR 20160008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opening
insulating
shaft memb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도희
Original Assignee
엠아이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아이지 (주) filed Critical 엠아이지 (주)
Priority to KR102014008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817A/ko
Publication of KR2016000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아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용 전원 단자를 제공한다. 히터용 전원 단자는 i) 상호 이격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히터판과 이격되도록 적용된 고정부, ii) 고정부와 히터판을 연결하는 한쌍의 지지부들, iii) 고정부와 히터판을 연결하는 제1 축부재, iv) 제2 개구부에 삽입된 제2 축부재, v) 제2 축부재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적용된 링터미널, 및 vi) 제2 축부재를 덮으면서, 링터미널의 전원 접속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히터용 전원 단자 {POWER TERMINAL FOR HEATER}
본 발명은 전원 단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아크(arc)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용 전원 단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히터는 반도체 웨이퍼,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 등의 제품을 제조하는데 모두 사용되며 증착용 히터, 예열 히터, 어닐링 히터, 세정용 히터 등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히터로서 대면적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면형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단자는 전선과 히터를 상호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히터용 전원 단자에서 전선을 체결하기 위해 볼트에 링 터미널을 끼워 히터판에 직접 체결하거나, 너트 등을 사용하여 볼트와 함께 체결한다. 전원 단자는 아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로 덮어서 사용한다.
히터용 전원 단자의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히터용 전원 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용 전원 단자는, i) 상호 이격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히터판과 이격되도록 적용된 고정부, ii) 고정부와 히터판을 연결하는 한쌍의 지지부들, iii) 고정부와 히터판을 연결하는 제1 축부재, iv) 제2 개구부에 삽입된 제2 축부재, v) 제2 축부재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적용된 링터미널, 및 vi) 제2 축부재를 덮으면서, 링터미널의 전원 접속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축부재는, i) 제1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1 볼트, 및 ii) 제1 볼트에 삽입되고 고정부와 이격된 제1 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용 전원 단자는 제1 너트와 고정부의 상면 사이에 위치한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용 전원 단자는 절연부와 연결되고, 제1 볼트를 감싸며, 고정부를 히터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또다른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의 직경은 제1 너트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절연부와 또다른 절연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축부재는, i) 제2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2 볼트, 및 ii) 제2 개구부에 삽입된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들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은 고정부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들 사이에 제1 개구부가 위치하고, 제1 개구부의 직경은 제2 개구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고정부는, i) 한 쌍의 지지부들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된 제1 측면, 및 ii) 제1 측면과 이웃하고 절연 하우징과 대향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지지부의 타단은 절연판 위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제1 측면의 길이는 제2 측면의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고정부와 한 쌍의 지지부들은 일체로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부들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와 히터판의 이격 거리는 8mm 내지 12mm일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들과 히터판 사이에 절연판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와 히터판의 이격 거리에 대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의 중심간의 거리의 비는 1 내지 3일 수 있다.
고정부는 i) 제1 에지부, 및 ii) 제1 에지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에지부를 포함하고, 제1 에지부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의 배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용 전원 단자는, i) 고정부의 상면과 링터미널 사이에 위치한 절연부, 및 ii) 절연부와 제2 너트 사이에 위치한 또다른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용 전원 단자를 이용하여 아크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단자에서 발생한 누설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아크열에 의해 히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용 전원 단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히터용 전원 단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히터용 전원 단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정부와 한 쌍의 지지부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히터용 전원 단자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터용 전원 단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히터용 전원 단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의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용 전원 단자(100)는 고정부(10), 지지부들(20), 제1 축부재(30), 제2 축부재(40), 제1 절연부(50), 제2 절연부(60), 링 터미널(70), 절연 하우징(80), 및 절연판(90)을 포함한다. 이외에, 히터용 전원 단자(100)는 필요에 따라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고정부(10)는 히터판(H)과 이격되어 있고, y축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고정부(10)는 한 쌍의 지지부들(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이루어지고 특정 형상을 가진 부재를 벤딩 가공하여 벤딩부(201)를 형성하면서 고정부(10)와 한 쌍의 지지부들(2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들(20)은 고정부(10)의 측면과 맞닿아 일체로 형성된다.
이외는 달리, 만약 한 쌍의 지지부들(20)이 고정부(10)가 별개로 형성되어 상호 접합된 경우, 고정부(10)와 한 쌍의 지지부들(20)을 용접하여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10)가 작으므로, 레이저용접 등의 정밀 용접이 필요하여 제조 원가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0)는 일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축부재(30)의 일단은 히터판(H)에 고정(도 3에 도시)되고, 제1 축부재(30)의 타단은 +z축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히터판(H)에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한다. 즉,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히터판(H)에 안정적으로 고정해야 히터판(H)에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히터판(H)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0)를 히터판(H)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1 축부재(30)를 사용한다. 제1 축부재(30)는 제1 볼트(301) 및 제1 너트(303)을 포함한다. 제1 너트(303)는 제1 볼트(301)에 삽입되고, 고정판(10)과 이격된다. 즉, 제1 너트(303)와 고정판(10) 사이에는 제1 절연부(50)가 삽입된다. 여기서, 제1 절연부(50)는 제1 너트(303)와 고정판(10) 사이에서 이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아크를 방지한다. 또한 제1 절연부(50)를 삽입하여 이종 금속을 결합할 때 발생하는 전위차에 의한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제2 축부재(40)는 제2 볼트(401) 및 제2 너트(403)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 볼트(401)는 제2 너트(403)와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링터미널(70)을 고정부(10)의 상면(105)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킨다. 따라서 제2 너트(403)과 상면(105)은 이격되고, 그 사이에 링터미널(70)이 위치한다. 여기서, 제2 축부재(40)를 사용하여 고정부(10)에 링터미널(70)을 견고하게 고정해야 링터미널(70)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안정적으로 단자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제2 축부재(40)를 사용한다.
링터미널(70)은 제2 너트(403)와 상면(105) 사이에 위치하고, 전원 접속구(701)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전원 접속구(701)에 전원 전선(미도시, 이하 동일)과 이로부터 벗겨낸 심선(미도시, 이하 동일)이 삽입된다. 전원 접속구(701)는 삽입된 전선 및 심선과 함께 압착하여 링터미널(70)과 연결하고 단자에 전원을 인가한다. 링터미널(70)은 전원공급 방향에 따라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xy평면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방향을 설정하여 제2 축부재(4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을 공급하는 방향에 맞추어 링터미널(70)을 돌려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구조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절연 하우징(80)은 도 1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용 전원단자(100)를 덮으며 히터판(H)과 연결된다. 절연 하우징(80)은 복수의 홈들(801)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절연 하우징(80)이 포함하는 복수의 홈들(801)은 히터용 전원 단자(100)에 돌출된 제1 볼트(301), 제1 너트(303), 제2 볼트(401) 및 제2 너트(403) 등을 덮어 상호 대향한다. 절연 하우징(80)의 소재로서 비도전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경도, 강도 및 내열성을 가지는 세라믹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절연 하우징(80)은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덮어서 링터미널(70)에서 전류가 인가될 때 발생되는 아크, 및 공기중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절연 하우징(80)과 동일한 원리로 절연판(90)이 한 쌍의 지지부들(20)과 히터판(H) 사이에 삽입된다. 외부 진동 등에 의하여 한 쌍의 지지부들(20)이 히터판(H)과 이격될 수 있고, 이 경우 양자간에 흐르는 전류로 인하여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판(90)을 한 쌍의 지지부들(20)과 히터판(H) 사이에 삽입하여 지지부들(20)과 히터판(H)의 이격으로 인해 아크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사용 상태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히터판(H)에 장착된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형의 히터판(H) 위에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히터용 전원 단자(100)는 열선이 위치한 히터판(H)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히터용 전원 단자(1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히터판(H)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열선에 열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반도체 등의 건조 공정에 히터판(H)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하나만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복수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의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단면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단면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지지부들(20)과 절연판(90)은 도1의 Ⅲ-Ⅲ선을 따라 자르는 경우, 실제로 절단되지 않고 그 뒤에서 보이므로 해칭된 부품들과는 달리 해칭하지 않고 나타낸다.
도 3의 히터용 전원 단자(100)는 아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설계된 구조를 가진다. 즉, 종래에는 링터미널에 삽입된 전선부와 히터판 표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의 변화에 의해 링터미널과 히터판 표면 사이에 아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좀더 상세하게는, 전류를 통전하고 있던 접점이 미세한 간격에 의해 접점 사이로 진공의 아크가 발생하였다. 이 경우, 접점의 구조 및 형상에 의해 발생된 자계에 의해 영향을 받아 아크가 확산된다.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 아크열에 의해 제품이 손상되고, 2차 단락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거나 설비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구조를 가지는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설치하여 아크 발생 가능성을 차단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0)는 히터판(H)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종래에는 링터미널과 전원을 수평으로 연결하였으므로, 히터판의 표면에 흐르는 유도 전류로 인해 여 링터미널에 연결된 전원에 아크가 발생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와 히터판(H)을 이격시켜 링터미널과 전원부의 연결 구조를 수직으로 형성한다. 즉, 다수의 부품들이 실장되고 통전된 고정부(10)와 히터판(H)의 이격 거리(d1)가 작은 경우, 양자 사이에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 거리(d1)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고정부(10)를 히터판(H)과 이격시킴으로써 아크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고정부(10)와 히터판(H)의 이격 거리(d1)는 8mm 내지 12mm일 수 있다. 이격 거리(d1)가 너무 작은 경우, 고정부(10)와 히터판(H) 사이의 간격이 너무 작아서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격 거리(d101)가 너무 큰 경우, 설계 구조상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제조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정부(10)와 히터판(H)의 이격 거리(d1)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한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이격 거리(d1)는 9mm 내지 10mm일 수 있다.
고정부(10)와 히터판의 이격 거리(d1)에 대한 제1 개구부(101)의 중심(c101)과 제2 개구부(103)의 중심(c103)간의 거리(d10)의 비는 1 내지 3일 수 있다. 전술한 비가 너무 작은 경우, 제1 너트(303)와 제1 절연부(5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비가 너무 큰 경우,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3)를 형성하는 고정부(10)의 장변, 즉 y축 방향의 길이가 커진다. 이 경우, 고정부(10)가 커지고, 이에 따라 절연 하우징(80)(도 1에 도시)의 크기도 커져야 하므로,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제조 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전체적인 y축 방향의 길이가 커져서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고정부(10)와 한 쌍의 지지부들(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나타낸다. 편의상 설명을 위하여 도 1의 히터용 전원 단자(100)에서 고정부(10)와 한 쌍의 지지부들(2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은 그 도시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0)는 히터판(H) 위에 고정되어 위치하며,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형상을 가진다. 고정부(10)는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3)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히터용 전원 단자에 개구부를 하나만 형성하였다. 즉, 하나의 개구부에 외부 전력이 인가되는 부품과 전력을 히터로 전송하는 부품이 함께 결합되어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개구부에 연결된 부품들의 수가 증가하고 그 사이에 미세한 이격 공간이 발생하여 부품들간에 아크가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체결되는 부품들의 수를 줄여서 아크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 전원과의 연결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개구부를 하나로 형성하지 않고 고정부(10)에 각각 별도의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3)를 형성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제2 개구부(103)에는 링터미널(70)(도 3에 도시)을 결합하여 전력을 인가하고, 제1 개구부(101)에는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축부재(30)(도 3에 도시)를 결합시켜서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3)가 각각 별개의 기능을 가지도록 한다. 즉, 외부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는 부분과 고정 부분을 나누어서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0)는 제1 측면(111)과 제2 측면(113)을 포함한다. 제1 측면(111)은 지지부(20)의 일단(203)과 연결된다. 제2 측면(113)은 제1 측면(111)과 y축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 측면(111)의 y축 방향의 길이는 제2 측면(113)의 y축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만약, 제1 측면(111)의 y축 방향의 길이가 제2 측면(113)의 y축 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경우, 제1 측면(111)과 연결된 지지부들(20)의 면적이 작아진다. 이 경우,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무게중심이 제2 개구부(103)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부(10)가 휘어지는 등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제1 측면(111)과 제2 측면(113)의 길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한다.
고정부(10)는 제1 에지부(107)와 제2 에지부(109)를 포함한다. 제1 에지부(107)는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3)의 배열방향과 평행한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2 에지부(109)는 제1 에지부(107)의 방향과 직각인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위치한다. 여기서, 제1 에지부(107)의 길이는 제2 에지부(109)의 길이보다 크다. 좀더 상세하게는, 고정부(10)는 장변인 제1 에지부(107)와 단면인 제2 에지부(109)를 가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03)를 적절하게 이격시켜서 히터용 전원 단자(100)에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들(20)은 고정부(10)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한다. 만약, 한 쌍의 지지부들(20)이 y축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한다면, 외부 전원과의 연결시 링터미널 등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부들(20)은 제1 에지부(107)에 연결되어 고정부(1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의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다. 편의상 도시를 위하여 도 5에서는 고정부(10), 한 쌍의 지지부들(20), 볼트들(301, 401) 및 너트들(303, 40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은 그 도시를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101)의 직경(d101)은 제2 개구부(103)의 직경(d103)보다 크다. 즉, 제1 개구부(101)의 직경을 제2 개구부(103)의 직경보다 크게 조절하여 큰 직경을 가지는 제1 볼트(301)에 의해 히터용 전원 단자(100)를 히터판(H)(도 1에 도시)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부(101)를 통하여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구조적인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절연부(50)의 직경(d50)은 제1 너트(303)의 직경(d303)보다 크다. 좀더 상세하게는, 제1 너트(303)와 고정부(10) 사이의 이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아크를 좀 더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제1 절연부(50)의 직경(d50)을 크게 조절한다. 만약, 제1 절연부(50)의 직경이 제1 너트(30)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경우, 제1 절연부(50)가 제1 너트(30)의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 없어서 제1 너트(30)와 고정부(10) 사이에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연부(50)의 직경(d50)을 크게 조절하여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터용 전원 단자(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의 히터용 전원 단자(200)의 구조는 도 1의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용 전원 단자(200)는 제1 축부재(30)와 제2 축부재(40)를 포함한다. 즉, 히터용 전원 단자(200)에 리벳 형태를 가지는 제1 축부재(30)와 제2 축부재(4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축부재(30)와 제2 축부재(40)를 리벳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접합 강도가 향상되어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히터용 전원 단자(300)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의 히터용 전원 단자(300)의 구조는 도 3의 히터용 전원 단자(1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용 전원 단자(300)는 고정부(10)와 링터미널(70) 사이에 설치된 제3 절연부(95)를 포함한다. 또한, 제4 절연부(97)가 링터미널(70)과 제2 너트(403) 사이에도 위치한다. 즉, 제3 절연부(95)와 제4 절연부(97)가 링터미널(70)과 상하로 접한 구조를 형성한다. 링터미널(70)에 전류가 인가되거나 전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아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3 절연부(95)와 제4 절연부(97)를 사용하여 링터미널(70)과 그 주변과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절연부(95)와 제4 절연부(97)의 소재로는 세라믹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고정부
20. 지지부들
30. 제1 축부재
40. 제2 축부재
50. 제1 절연부
60. 제2 절연부
70. 링터미널
80. 절연 하우징
90. 절연판
95. 제3 절연부
97. 제4 절연부
100, 200, 300. 히터용 전원 단자
101. 제1 개구부
103. 제2 개구부
105. 상면
107. 제1 에지부
109. 제2 에지부
111. 제1 측면
113. 제2 측면
201. 벤딩부
203. 지지부일단
205. 지지부타단
301. 제1 볼트
303. 제1 너트
401. 제2 볼트
403. 제2 너트
701. 전원 접속구
H. 히터판

Claims (17)

  1. 상호 이격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히터판과 이격되도록 적용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히터판을 연결하는 한쌍의 지지부들,
    상기 고정부와 상기 히터판을 연결하는 제1 축부재,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된 제2 축부재,
    상기 제2 축부재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적용된 링터미널, 및
    상기 제2 축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링터미널의 전원 접속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연 하우징
    을 포함하는 히터용 전원 단자.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축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1 볼트, 및
    상기 제1 볼트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와 이격된 제1 너트
    를 포함하는 히터용 전원 단자.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고정부의 상면 사이에 위치한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히터용 전원 단자.
  4. 제3항에서,
    상기 절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볼트를 감싸며, 상기 고정부를 상기 히터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또다른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히터용 전원 단자.
  5. 제4항에서,
    상기 절연부의 직경은 상기 제1 너트의 직경보다 큰 히터용 전원 단자.
  6. 제4항에서,
    상기 절연부와 상기 또다른 절연부가 일체로 형성된 히터용 전원 단자.
  7. 제1항에서,
    상기 제2 축부재는,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2 볼트,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된 제2 너트,
    를 포함하는 히터용 전원 단자.
  8.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들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은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히터용 전원 단자.
  9. 제8항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들 사이에 상기 제1 개구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개구부의 직경은 상기 제2 개구부의 직경보다 큰 히터용 전원 단자.
  10.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들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된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이웃하고 상기 절연 하우징과 대향하는 제2 측면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절연판 위에 연결된 히터용 전원 단자.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제1 측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측면의 상기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히터용 전원 단자.
  12.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들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들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히터용 전원 단자.
  13.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히터판의 이격 거리는 8mm 내지 12mm인 히터용 전원 단자.
  14. 제1항에서,
    상기 한쌍의 지지부들과 상기 히터판 사이에 절연판이 삽입된 히터용 전원 단자.
  15.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히터판의 이격 거리에 대한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의 중심간의 거리의 비는 1 내지 3인 히터용 전원 단자.
  16.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제1 에지부, 및
    상기 제1 에지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지부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히터용 전원 단자.
  17.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면과 상기 링터미널 사이에 위치한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와 상기 제2 너트 사이에 위치한 또다른 절연부
    를 더 포함하는 히터용 전원 단자.
KR1020140089011A 2014-07-15 2014-07-15 히터용 전원 단자 KR20160008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011A KR20160008817A (ko) 2014-07-15 2014-07-15 히터용 전원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011A KR20160008817A (ko) 2014-07-15 2014-07-15 히터용 전원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817A true KR20160008817A (ko) 2016-01-25

Family

ID=5530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011A KR20160008817A (ko) 2014-07-15 2014-07-15 히터용 전원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8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264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앵커볼트
USD875118S1 (en) 2018-02-22 202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6842S1 (en) 2018-07-31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6720S1 (en) 2018-02-22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10120633A1 (en) * 2019-02-19 2021-04-22 Ngk Insulators, Ltd. Ceramic he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264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앵커볼트
USD875118S1 (en) 2018-02-22 202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6720S1 (en) 2018-02-22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6669S1 (en) 2018-02-22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15340S1 (en) 2018-02-22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6842S1 (en) 2018-07-31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10120633A1 (en) * 2019-02-19 2021-04-22 Ngk Insulators, Ltd. Ceramic he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8817A (ko) 히터용 전원 단자
US10373853B2 (en) Electrostatic chuck and wafer processing apparatus
EP3214662B1 (en) Light-emitting apparatus
KR20170093742A (ko) 접속 부재, 접속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지지 어셈블리, 및 배터리 모듈
JP2008098513A (ja) 静電チャック装置
JP2012244176A (ja) パワー半導体
JP201115978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90875U (ja) 締結クリップを備えるリレー組立体
US10559736B2 (en) Thermoelectric generator
US9772097B2 (en) Efficient board to board connection
KR101950439B1 (ko) 기판 지지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WO2014034745A1 (ja) ヒータの給電構造
KR20150124908A (ko) 2개의 전자 기판 사이의 전기 접속 유닛
WO2016117276A1 (ja) ジャック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
KR101585549B1 (ko) 용접 장치용 팁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US10609818B2 (en) Integrated wiring board assembly
US10480770B2 (en) Lamp
US9893601B2 (en) Brush plate
KR20150060845A (ko) 모듈
JP2006278385A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08035B1 (ko) 고온용 진공커넥터
KR200466284Y1 (ko) 이종의 릴레이를 호환장착 가능한 릴레이소켓
JP7346214B2 (ja) 電気導体を接続デバイスにはんだ付け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2011124437A (ja)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71081A (ja) 棒状ハンダ及びこれを用いたハンダ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