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567A - eIMTA 간섭 완화를 위한 향상된 전력 제어의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eIMTA 간섭 완화를 위한 향상된 전력 제어의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567A
KR20160008567A KR1020157033269A KR20157033269A KR20160008567A KR 20160008567 A KR20160008567 A KR 20160008567A KR 1020157033269 A KR1020157033269 A KR 1020157033269A KR 20157033269 A KR20157033269 A KR 20157033269A KR 20160008567 A KR20160008567 A KR 20160008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subframe
subframes
sub
control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805B1 (ko
Inventor
밍하이 펑
넝 왕
차오 웨이
지레이 허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송신될 TDD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식별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타입과 연관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특정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이웃 셀들에서 송신 방향들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도 있다. 송신될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은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으로서 식별될 수도 있고, 서브프레임 타입과 연관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되는 서브프레임들에 전력 제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타입의 서브프레임에 적용될 서브프레임들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식별이,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UE) 로 송신될 수도 있다. 정보가,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UE 로 송신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eIMTA 간섭 완화를 위한 향상된 전력 제어의 시그널링{SIGNALING OF ENHANCED POWER CONTROL FOR eIMTA INTERFERENCE MITIGATION}
상호 참조
본 특허출원은 2013년 5월 10일자로 출원되고,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참조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원용되는 발명의 명칭이 “Signaling of Enhanced Power Control for eIMTA Interference Mitigation” 인 Qualcomm Incorporated 등에 대한 국제 특허 출원 PCT/CN2013/075452 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직한 신호 송신 구성들을 갖는 기지국들과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보이스,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 액세스 (multiple-access) 시스템들일 수도 있다. 그러한 멀티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CDMA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및 OFDMA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일부 시스템들은, 단일 캐리어 주파수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 양자 모두에 사용되는 시분할 듀플렉스 (TDD) 를 이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고, 일부 시스템들은, 별개의 캐리어 주파수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TDD 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시스템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이 비대칭적일 수도 있는 상이한 포맷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TDD 포맷들은 데이터의 프레임들의 송신을 포함하고, 각각은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일 수도 있는 다수의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TDD 포맷들의 재구성은 특정 시스템의 데이터 트래픽 패턴들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사용자들에게 추가적인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용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개요
설명된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하나 이상의 개선된 방법들, 시스템들 및/또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이, 각각의 서브프레임 타입과 연관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및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식별될 수도 있고 송신될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은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으로서 식별될 수도 있고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과 연관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되는 서브프레임들에 전력 제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타입의 서브프레임에 적용될 서브프레임들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식별이,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UE) 로 송신될 수도 있다. 정보가,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UE 로 송신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그 방법은 또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표시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과 연관된 비트맵 (bitmap) 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비트맵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비트맵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값은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으로서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된 서브프레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그 방법은 또한,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그 방법은 서빙 셀 및 이웃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및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을 식별하는 단계는 서빙 및 이웃 셀들의 TDD UL-DL 구성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그 방법은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을 위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noise) 를 측정하는 단계, 제 1 고정 방향과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들 사이의 IoT 의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IoT 의 차이에 기초할 수도 있다.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은, 예를 들어, TDD UL-DL 구성과 상관 없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그 방법은 또한, 서브프레임 동안 이웃 셀로부터의 신호가 다운링크 (DL) 기준 신호 (RS) 를 포함한다는 것을, 서빙 셀에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을 식별하는 단계는 서브프레임 동안 DL RS 의 존재에 기초할 수도 있다. DL RS 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들은 서빙 셀의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일 때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상이하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되지 않은 남아있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방법은 또한, 프레임 내에서 제 2 업링크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할 수도 있고,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다운링크 (UL-D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할 수도 있고,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라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타겟 수신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를 포함할 수도 있다.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서빙 셀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 및/또는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에 대한 오프셋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그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수단,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수단, 및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 장치는 또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표시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과 연관된 비트맵 (bitmap) 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비트맵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비트맵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값은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으로서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된 서브프레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그 장치는 또한,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그 장치는 서빙 셀 및 이웃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및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은 서빙 및 이웃 셀들의 TDD UL-DL 구성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그 장치는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을 위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noise) 를 측정하는 수단, 제 1 고정 방향과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들 사이의 IoT 의 차이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결정은 IoT 의 차이에 기초할 수도 있다.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은, 예를 들어, TDD UL-DL 구성과 상관 없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그 장치는 또한, 서브프레임 동안 이웃 셀로부터의 신호가 다운링크 (DL) 기준 신호 (RS) 를 포함한다는 것을, 서빙 셀에서,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은 서브프레임 동안 DL RS 의 존재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L RS 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들은 서빙 셀의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일 때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할 수도 있고,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에 적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치는 프레임 내에서 제 2 업링크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할 수도 있고,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에 업링크-다운링크 (UL-D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할 수도 있고,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라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타겟 수신된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은 서빙 셀에 의해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 및/또는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에 대한 오프셋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또 다른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일반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그 명령들은,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또 다른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 및 서빙 기지국으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준정적 (semi-static)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와 같은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타겟 수신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를 포함할 수도 있다.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을 수신하는 수단,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수단,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수단, 및 서빙 기지국으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식별을 수신하는 수단은,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준정적 식별, 또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와 같은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을 수신하고,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그리고 서빙 기지국으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한다. 식별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준정적 식별일 수도 있거나,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수신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일반적으로,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을 수신하고,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그리고 서빙 기지국으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식별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준정적 식별,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수신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일 수도 있다.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이용가능성의 범위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 및 도면들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설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들이 당업자에게 분명해질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예시로써만 주어질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본질 및 이점들의 추가 이해는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첨부 도면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 또는 피쳐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갖는다. 또한, 동일한 타입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참조 라벨 다음에 대시 (dash) 에 의해 그리고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구별하는 제 2 라벨에 의해 구별될 수도 있다. 제 1 참조 라벨만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그 설명은 제 2 참조 라벨에 무관하게 동일한 제 1 참조 라벨을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의 어느 컴포넌트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을 예시하는 표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셀 클러스터들에 따라 그룹화되는 셀들을 갖는 셀 클러스터링 간섭 완화 환경을 예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유연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TDD 프레임들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상이한 송신 방향들 및 연관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가질 수도 있는 이웃 셀 클러스터들 및 서브프레임들의 TDD 프레임들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상이한 송신 방향들 및 연관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가질 수도 있는 이웃 셀 클러스터들 및 서브프레임들의 TDD 프레임들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c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서브프레임 그룹화를 위한 비트맵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기지국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기지국의 또 다른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TDD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TDD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TDD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도 13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TDD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상세한 설명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은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제공한다.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송신될 TDD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식별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타입과 연관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서빙 셀 및 이웃 셀이 특정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상이한 송신 방향들을 가질 수도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도 있다. 송신될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은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으로서 식별될 수도 있고 각각의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과 연관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되는 서브프레임들에 전력 제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타입의 서브프레임에 적용될 서브프레임들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식별이,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UE) 로 송신될 수도 있다. 정보가,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UE 로 송신될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기법들은 셀룰러 무선 시스템, 피어-투-피어 무선 통신, 무선 로컬 액세스 네트워크 (WLAN), 애드 혹 네트워크, 위성 통신 시스템,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또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이들 무선 통신 시스템은,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rthogonal FDMA), SC-FDMA (Single-Carrier FDMA) 및/또는 다른 무선 기술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은 무선 액세스 기술 (RAT) 로 불리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기술들의 표준화된 구현에 따라 수행된다. 무선 액세스 기술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로 불릴 수도 있다.
CDMA 기술들을 채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CDMA2000,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등을 포함한다. CDMA2000 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을 커버 (cover) 한다. IS-2000 릴리즈 0 및 A 는 보통 CDMA2000 1X, 1X 등으로 지칭된다. IS-856 (TIA-856) 는 보통 CDMA2000 1xEV-DO, 고속 패킷 데이터 (HRPD) 등으로 지칭된다. UTRA는 WCDMA (Wideband 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들의 예들은,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의 다양한 구현들을 포함한다. OFDM 및/또는 OFDMA 를 채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UMB (Ultra Mobile Broadband), E-UTRA (Evolved UTRA),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등을 포함한다. UTRA 및 E-UTRA는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의 부분이다.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및 LTE-A (LTE-Advanced) 는 E-UTRA 를 사용하는 UMTS 의 새로운 릴리즈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 은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로 명명된 기관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GPP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로 명명된 기관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기법들은, 상술된 시스템 및 무선 기술들 그리고 다른 시스템 및 무선 기술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음의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고, 청구항들에 제시된 범위, 이용가능성, 또는 구성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논의된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열에 있어서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절차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히 생략, 치환 또는 추가할 수도 있다. 가령,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실시형태들에 관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조합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일 예를 도시한다. 시스템 (100) 은 기지국들 (또는 셀들) (105), 통신 디바이스들 (115), 및 코어 네트워크 (130) 를 포함한다. 기지국 (105)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코어 네트워크 (130) 또는 기지국 (105) 의 부분일 수도 있는, 기지국 제어기 (미도시) 의 제어 하에서 통신 디바이스들 (11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재구성가능한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들에 따라 동작하는 이웃 기지국들 (105) 을 위한 간섭 완화가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기지국들 (105) 은 제어 정보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 (130) 와 백홀 링크들 (132) 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백홀 링크들은 유선 백홀 링크들 (예를 들어, 구리, 파이버 등) 및/또는 무선 백홀 링크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등) 일 수도 있다. 실시형태들에서, 기지국 (105) 들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일 수도 있는 백홀 링크 (134) 상에서 서로, 직접 또는 간접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다수의 캐리어들 (상이한 주파수들의 파형 신호) 에 대한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멀티 캐리어 송신기들은 변조된 신호들을 동시적으로 다수의 캐리어들 상에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통신 링크 (125) 는 위에 설명된 다양한 무선 기술들에 따라 변조된 멀티-캐리어 신호일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상이한 캐리어 상에서 전송될 수도 있고 제어 정보 (예를 들어,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등), 오버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반송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안테나들을 통해 통신 디바이스들 (115)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 사이트들의 각각은 각각의 지리적 영역 (110)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기지국들 (105) 은 기지 송수신국 (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무선 송수신기, 기본 서비스 세트 (BSS), 확장 서비스 세트 (ESS), NodeB, eNodeB (eNB), Home NodeB, Home eNodeB, 또는 기타 적합한 전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 (110) 은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만을 구성하는 섹터들 (미도시) 로 분할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 (105) (예를 들어, 매크로, 마이크로, 및/또는 피코 기지국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기술들에 대해 오버랩핑되는 커버리지 영역들이 있을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동기 또는 비동기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동기 동작을 위해, 기지국들 (105) 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기지국들 (105) 로부터의 송신들은 대략 시간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비동기 동작을 위해, 기지국들 (105) 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기지국들 (105) 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적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형태들에서, 일부 기지국들 (105) 은 동기식일 수도 있는 한편 다른 기지국들 (105) 은 비동기식일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 (115) 은 시스템 (100) 전체에 걸쳐 분산되고, 각각의 디바이스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일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 (115) 는 또한, 이동국, 가입자국, 이동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이동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이동 가입자 국, 액세스 단말, 이동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비, 이동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기술용어로서 당업자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 (115) 는 셀룰러 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 (WLL) 국 등일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 (115) 는 매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릴레이 기지국 등과 통신가능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100) 에 나타낸 송신 링크들 (125) 은 통신 디바이스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으로의 업링크 (UL) 송신, 및/또는 기지국 (105) 으로부터 통신 디바이스 (115) 로의 다운링크 (DL) 송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송신은 또한 순방향 링크 송신으로 불릴 수도 있는 한편, 업링크 송신은 또한 역방향 링크 송신으로 불릴 수도 있다. 실시형태들에서, 통신 링크들 (125) 은 트래픽 프레임들 내에서 양방향 트래픽을 반송하는 TDD 캐리어들이다.
실시형태들에서, 시스템 (100) 은 LTE/LTE-A 네트워크이다. LTE/LTE-A 네트워크에서, 용어들 eNB (evolved Node) 및 사용자 장비 (UE) 는 일반적으로, 각각 기지국 (105) 및 통신 디바이스 (115) 를 기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상이한 타입의 eNB들 (105) 이 다양한 지리적 지역들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이종 LTE/LTE-A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eNB (105) 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타입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반경 수 킬로미터) 를 커버하고, 네트워크 제공자에 관하여 서비스 가입으로 UE들 (115) 에 의한 비제한 액세스를 허락할 수도 있다. 피코 셀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고, 네트워크 제공자에 관하여 서비스 가입으로 UE들 (115) 에 의한 비제한 액세스를 허락할 수도 있다. 펨토 셀은 또한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가정) 을 커버하고, 비제한 액세스에 더하여, 또한, 펨토 셀과 연관을 갖는 UE들 (115) (예를 들어, 폐쇄 가입자 그룹 (CSG) 에 있는 UE들, 가정에 있는 사용자들을 위한 UE들 등) 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을 위한 eNB (105) 는 매크로 eNB 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피코 셀을 위한 eNB (105) 는 피코 eNB 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펨토 셀을 위한 eNB (105) 는 펨토 eNB 또는 Home eNB 로 지칭될 수도 있다. eNB (105) 는 하나 또는 다수의 (예를 들어, 2개, 3개, 4개 등의) 셀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LTE/LTE-A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따른 시스템 (100) 은 EPS (Evolved Packet System) (100) 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EPS (100) 는 하나 이상의 UE들 (115), E-UTRAN (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PC (Evolved Packet Core) (130)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130)), HSS (Home Subscriber Server), 및 오퍼레이터의 IP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EPS (100) 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하여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상호접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PS (100) 는 하나 이상의 서빙 GPRS 지원 노드들 (SGSN들) 을 통해 UTRAN-기반 네트워크 및/또는 CDMA-기반 네트워크와 상호접속할 수도 있다. UE 들 (115) 의 이동성 및/또는 부하 밸런싱을 지원하기 위하여, EPS (100) 는 소스 eNB (105) 와 타겟 eNB (105) 사이의 UE 들 (115) 의 핸드오버 (handover) 를 지원할 수도 있다. EPS (100) 는 동일한 RAT (예를 들어, 다른 E-UTRAN 네트워크들) 의 기지국들 및/또는 eNB들 (105) 사이의 인트라-RAT 핸드오버, 및 상이한 RAT들 (예를 들어, EUTRAN 에서 CDMA 로 등) 의 기지국들 및/또는 eNB들 (105) 사이의 인터-RAT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도 있다. EPS (100) 는 패킷 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당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하게 될 바처럼,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E-UTRAN 는 eNB들 (105) 을 포함할 수도 있고 UE (115) 를을 향해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료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eNB들 (105) 은 X2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백홀 링크 (134)) 를 통해 다른 eNB들 (105) 에 접속될 수도 있다. eNB들 (105) 은 UE들 (115) 을 위해 EPC (130) 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eNB들 (105) 은 S1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백홀 링크 (132)) 에 의해 EPC (130) 에 접속될 수도 있다. EPC (130) 내의 논리적 노드는 하나 이상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 하나 이상의 서빙 게이트웨이, 및 하나 이상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PDN) 게이트웨이 (미도시)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MME 는 베어러 (bearer) 및 접속 관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모든 사용자 IP 패킷들은 서빙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서빙 게이트웨이 그 자체는 PDN 게이트웨이에 접속될 수도 있다. PDN 게이트웨이는 UE IP 어드레스 할당 그리고 다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PDN 게이트웨이는 IP 네트워크 및/또는 오퍼레이터의 IP 서비스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들 논리 노드들은 별개의 물리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이 단일 물리 노드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IP 네트워크/오퍼레이터의 IP 서비스들은, 인터넷, 인트라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및/또는 패킷 교환 (PS) 스트리밍 서비스 (PSS) 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들 (115) 은 예를 들어,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P (Coordinated Multi-Point), 또는 다른 스킴들을 통해 다수의 eNB들 (105) 과 협동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IMO 기법들은 eNB들 (105) 상의 다수의 안테나들 및/또는 UE (115) 상의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다중경로 환경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한다. CoMP 는 UE (115) 를 위한 전체적인 송신 품질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및 스펙트럼 이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eNB들 (105) 에 의한 송신 및 수신의 동적인 조정 (coordination) 을 위한 기법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CoMP 기법은 UE (115) 를 위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 통신들을 조정하기 위하여 eNB들 (105) 간의 통신을 위한 백홀 링크 (132 및/또는 134) 를 이용한다.
다양한 개시된 실시형태들의 일부를 수용할 수도 있는 통신 네트워크들은 계층화된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동작하는 패킷 기반 네트워크들일 수도 있다. 사용자 평면에서, 베어러 또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에서의 통신은 IP 기반할 수도 있다. 무선 링크 제어 (RLC) 계층은 논리적 채널 상에서 통신하기 위하여 패킷 세그먼트화 및 리어셈블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계층은 전송 채널들로의 논리적 채널들의 우선순위 핸들링 및 멀티플렉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MAC 계층은 또한 링크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MAC 계층에서재송신을 제공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ARQ (HARQ)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 평면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 (RRC) 프로토콜 계층은, UE (115) 와 사용자 평면 데이터에 사용된 네트워크 사이의 RRC 접속의 확립, 구성, 및 유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물리적 계층에서, 전송 채널들은 물리적 채널들로 맵핑될 수도 있다.
LTE/LTE-A 는 다운링크에 대해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access) 그리고 업링크에 대해 SC-FDM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access) 를 이용한다. OFDMA 및 SC-FDMA 는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K)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셔닝할 수도 있고, 이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톤, 빈 등으로 지칭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도 있다. 인접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간격은 고정될 수도 있고, 서브캐리어들의 전체 수 (K) 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K 는, 1.4, 3, 5, 10, 15, 또는 20 메가헤르쯔 (MHz) 의 (가드밴드를 갖는)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15 킬로헤르쯔 (KHz) 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각각 갖는 72, 180, 300, 600, 900, 또는 1200 와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대역폭은 부대역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대역은 1.08 MHz 를 커버할 수도 있고, 1, 2, 4, 8 또는 16 개의 부대역들이 있을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CA) 또는 다중 캐리어 동작으로 지칭될 수도 있는, 다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캐리어는 또한 컴포넌트 캐리어 (CC), 채널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용어들 "캐리어", "CC" 및 "채널" 은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를 위해 사용된 캐리어는 다운링크 CC 로 지칭될 수도 있고, 업링크를 위해 사용된 캐리어는 업링크 CC 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 (115) 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해 다수의 다운링크 CC들 및 하나 이상의 업링크 CC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eNB (105) 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CC들 상에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UE (115) 로 송신할 수도 있다. UE (115) 는 하나 이상의 업링크 CC들 상에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eNB (105) 로 송신할 수도 있다.
캐리어들은 양방향 통신 FDD (예를 들어, 쌍의 스펙트럼 자원들), TDD (예를 들어, 쌍이 아닌 스펙트럼 자원들) 을 송신할 수도 있다. FDD 를 위한 프레임 구조들 (예를 들어, 프레임 구조 타입 1) 및 TDD (예를 들어, 프레임 구조 타입 2) 가 정의될 수도 있다. 각각의 프레임 구조는 무선 프레임 길이
Figure pct00001
를 가질 수도 있고, 길이
Figure pct00002
의 2 개의 절반 프레임들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절반 프레임은 길이
Figure pct00003
의 5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TDD 프레임 구조들에 대하여,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UL 또는 DL 트래픽을 반송할 수도 있고, 특별 서브프레임들 ("S") 이 DL 에서 UL 로의 송신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프레임들 내의 UL 및 DL 서브프레임들의 할당은 대칭이거나 비대칭일 수도 있으며 준정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백홀을 통한 RRC 메시지들 등). 특별 서브프레임들은 일부 DL 및/또는 UL 트래픽을 반송할 수도 있고 DL 과 UL 트래픽 사이에서 가드 기간 (GP) 을 포함할 수도 있다. UL 에서 DL 트래픽으로의 스위칭은, UL 과 DL 서브프레임들 사이의 가드 기간 또는 특별 서브프레임들의 사용없이 UE들에서의 타이밍 어드밴스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 기간 (예를들어, 10 ms) 또는 프레임 기간의 절반 (예를 들어, 5 ms) 과 동등한 스위치 포인트 주기성을 갖는 UL-DL 구성들이 지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DD 프레임들은 하나 이상의 특별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특별 프레임들 사이의 기간은 프레임에 대한 TDD DL-대-UL 스위치 포인트 주기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LTE/LTE-A 에 대하여, 표 200 에서 도 2 의 표에 예시된 바와 같이 40% 와 90% DL 서브프레임들 사이에서 제공하는 7 개의 상이한 UL-DL 구성들이 정의된다. 표 200 에서 나타낸 바처럼, 2개의 스위칭 주기성들 5 ms 및 10 ms 가 있다. 5 ms 스위칭 주기성들을 갖는 구성들에 대하여, 프레임 당 2개의 특별 서브프레임들이 있고, 10 ms 스위칭 주기성들을 갖는 구성들에 대하여, 프레임당 하나의 특별 서브프레임이 있다. 이들 구성들 중 일부는 대칭적으로서, 동일한 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한편, 일부는 비대칭적으로서, 상이한 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UL-DL 구성 1 은 대칭적으로서, 4 개의 업링크 및 4 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갖고, UL-DL 구성 5 는 다운링크 스루풋에 유리하고 UL-DL 구성 0 은 업링크 스루풋에 유리하다.
eNB (105) 에 의해 사용되는 특정 TDD UL/DL 구성이 특정 커버리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요건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을 다시 참조하면, 커버리지 영역 (110) 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사용자들이 그들이 송신하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수신하면, 연관된 eNB (105) 에 대한 UL-DL 구성이 다운링크 스루풋에 유리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커버리지 영역 (110) 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사용자들이 그들이 수신하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송신하면, 연관된 eNB (105) 에 대한 UL-DL 구성이 업링크 스루풋에 유리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으며 eNB (105) 는 UL-DL 구성 0 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eNB (105) 는 프레임 바이 프레임 (frame-by-frame) 에 기초하여 TDD UL-DL 구성들을 동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재구성되는 UE들 (115) 은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재구성된 UL/DL 구성을 사용하여 후속 TDD 프레임들 상에서 서브프레임들을 송신/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한 능력들은 순시 트래픽 상황 (instantaneous traffic situation) 에 따라 재구성된 UE들 (115) 에 대한 상대적으로 빠른 스위칭을 허용하며, UE들 (115) 과 eNB (105) 사이에서 향상된 패킷 스루풋을 제공할 수도 있다. UE (115) 는, 예를 들어, 초기 TDD UL-DL 구성을 사용하여 eNB (105) 와 통신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초기 TDD UL/DL 구성은 이후 시점에서 효율적인 패킷 스루풋에 불리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업링크 대 다운링크 송신 데이터의 비는 현저한 변화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의 결과로 이전의 유리한 UL-DL 구성은 불리한 UL-DL 구성이 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eNB 의 TDD UL-DL 구성은 eNB 에서의 현재 트래픽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변화될 수도 있다. 하지만, TDD 구성들에서 그러한 동적 변화들은, 이전 TDD UL-DL 구성을 이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이전 TDD UL-DL 구성에 기초하여 적용된 연관된 간섭 소거 및/또는 간섭 완화 기법들을 가질 수도 있는, 이웃 기지국들과의 추가된 간섭을 초래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이, 하나 이상의 이웃 eNB 들을 위한 동일한 송신 방향들을 가질 수도 있는 TDD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식별될 수도 있다.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이, 하나 이상의 이웃 eNB 들을 위한 상이한 송신 방향들을 가질 수도 있는 TDD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식별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타입과 연관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서빙 eNB 와 하나 이상의 이웃 eNB 들 사이에 향상된 간섭 완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별될 수도 있다.
도 3 은 셀 클러스터들에 따라 그룹화되는 eNB 들을 갖는 셀 클러스터링 및 간섭 완화 (CCIM) 시스템 (300) 의 일 예를 예시한다. CCIM 시스템 (300) 은,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양태들을 예시할 수도 있다. 셀 클러스터들은 하나 이상의 eNB들을 포함할 수 있고 셀 클러스터 내의 eNB 들은 상이한 타입들 (예를 들어, 매크로 eNB, 피코 eNB, 펨토 eNB 및/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 일 수도 있다. 도 3의 예에 예시된 바처럼, CCIM 시스템 (300) 은 셀 클러스터들 (320-a, 320-b, 및 320-c) 을 포함한다. 셀 클러스터 (320-a) 는 eNB (105-a) 및 eNB (105-b) 를 포함할 수도 있고, 셀 클러스터 (320-b) 는 eNB (105-c) 를 포함할 수도 있고, 셀 클러스터 (320-c) 는 (105-d 및 105-e)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셀 클러스터들 (320) 은 정적으로 또는 준정적으로 정의될 수도 있고 셀 클러스터 (320) 에 있는 각각의 eNB (105) 는 그의 클러스터의 다른 eNB (105) 들을 인지할 수도 있다. 셀 클러스터들 (320-a, 320-b, 및/또는 320-c) 는 TDD 캐리어들을 전개할 수도 있고 각각의 셀 클러스터 내의 TDD UL-DL 구성이 동기화될 수도 있다.
셀 클러스터 내의 동기화된 TDD UL-DL 구성을 위한 트래픽 적응화는 클러스터의 셀들 사이의 TDD UL-DL 재구성의 조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십 프레임 정도의) 준정적 TDD UL-DL 재구성은 (예를 들어, S1 및/또는 X2 인터페이스들 등을 통해) eNB 들 중의 제어 평면 메시징의 교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준정적 TDD UL-DL 재구성은 일부 조건들하에서 적절한 성능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클러스터 내의 트래픽 조건들이 빠르게 변화할 때, 준정적 TDD UL-DL 재구성은 클러스터에서 사용되는 TDD 캐리어들에 대해 UL-대-DL 서브프레임들의 차선의 할당 (sub-optimal allocation) 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트래픽 조건들은, 특정 UE (115) 에 대한 UL-DL 구성이 동적으로 재구성될 수도 있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통해 수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동적 재구성은, eNB (105) 로부터의 시그널링을 통해, 이를테면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통해서, UE (115) 로 송신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후속 TDD 프레임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재구성들은, 일부 네트워크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향상된 간섭 관리 및 트래픽 적응화" (eIMTA) 에 따라 성취될 수도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들에서, eIMTA 호환성 UE 들은, TDD 프레임 내의 특정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송신 방향이 변화될 수도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동적 재구성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네트워크들에서, 적응화 레이트는 10 ms 와 같이 상대적으로 빠를 수도 있으며, 따라서 프레임 바이 프레임에 기초하여 TDD UL-DL 구성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일부 상황들에서 제공한다. 위에 언급된 바처럼, 셀들의 구성에 따라, 셀간 간섭이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셀 클러스터 (320-c) 는,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서브프레임 구성 DSUUDDSUUD 을 갖는) TDD UL-DL 구성 #1 에 따라 동작하는 eNB (105-d) 및 (서브프레임 구성 DSUDDDSUDD 을 갖는) TDD UL-DL 구성 #2 에 따라 동작하는 eNB (105-e)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서브프레임 3 및 8 에서 eNB (105-d) 에 대한 업링크 송신들은 eNB (105-e) 와 통신하는 UE 들의 다운링크 수신과 간섭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eNB들 (105-d 및 105-e) 은 그러한 간섭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스로 그리고 하나 이상 UE들과 조정할 수도 있다. 동적으로 재구성가능한 TDD UL-DL 구성들에 따라 동작할 때,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프레임에서의 TDD UL-DL 구성의 동적 및 신뢰성 있는 결정이 제공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업링크-대-업링크 (UL-UL) 또는 다운링크-대-업링크 (DL-UL) 간섭 타입에 기초하여 2개의 그룹들로 분할될 수도 있고, 상이한 그룹들에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간섭 완화를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간섭은, 310-a, 310-b, 및 310-c 에서 나타낸 eNB-대-eNB 간섭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간섭은 또한, 예를 들어, 315-a 및 315-b 에서 나타낸 UE-대-UE 간섭, 및/또는 320 에서 나타낸 UE-eNB 간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eNB들 (105) 은 이웃 셀들간의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셀 클러스터 (305) 에 할당될 수도 있다. 동적으로 재구성가능한 TDD UL-DL 구성들에 따라 동작할 때,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셀 클러스터 (305) 내의 셀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간섭을 가질 수도 있고 그러므로 셀 클러스터 내의 각각의 eNB 는 동일한 TDD UL-DL 구성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이웃 셀 클러스터들 (305) 은 상이한 TDD UL-DL 구성들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간섭 완화 기법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셀의 TDD UL-DL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시그널링이 다른 셀들 및/또는 UE 들에 제공될 수도 있고, 다른 셀들의 UE들 및 eNB들은 TDD UL-DL 구성에 응답한 다양한 간섭 완화 기법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개시는 TDD 프레임들에서 서브프레임들의 하나 이상의 식별된 그룹들에 대한 UL-DL 구성을 표시하는 시그널링을 제공한다. 도 4는, TDD UL-DL 재구성에 따라 송신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재구성될 수도 있는 유연 서브프레임들인 것으로서 서브프레임들의 수가 표시될 수도 있는 TDD 프레임 (405) 의 일 예 (400) 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프레임 (405) 은 5개의 유연 서브프레임들 (415), 2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 (420), 2개의 특별 서브프레임들 (425), 및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430) 을 포함한다.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 (415) 중의 하나 이상이 eIMTA 기법들을 통해 동적으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기지국에 의한 TDD UL-DL 재구성의 시그널링이 다른 셀들 및/또는 UE들로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셀들로 TDD 구성을 시그널링하는 방법들은, 예를 들어, S1 및/또는 X2 인터페이스 링크를 통한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들로의 시그널링이 또한, 간섭 완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이는 상이한 전력 제어 기법들의 적용을 위해 식별될 수도 있는 특정 서브프레임들에 관한 정보 및/또는 TDD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에 언급된 바처럼,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서브프레임들은 가능한 간섭 타입에 기초하여 2개의 그룹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제 도 5a 를 참조하여, 서브프레임 그룹화 (500) 의 일 예가 논의된다. 이 예에서, 셀 클러스터 I 는 프레임 포맷 (505) 을 갖는 TDD UL-DL 구성 #1 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셀 클러스터 II 는 프레임 포맷 (510) 을 갖는 TDD UL-DL 구성 #2 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서브프레임들 (515) 은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으로 그룹화될 수도 있고, 도 4의 유연 서브프레임들 (415) 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들 (520) 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로 그룹화될 수도 있다.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20) 내에, 셀 클러스터들 사이의 UL-DL 간섭의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는 한편,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내에는 UL-UL 간섭의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제 1 및 제 2 그룹들 (515, 520) 로의 서브프레임들의 분할은 셀들 사이의 SIB1 구성들의 백홀 교환에 기초하여 정적일 수도 있다. 앵커 서브프레임 (anchor subframe) 들로도 지칭되는 서브프레임들 (515) 은, 업링크 프레임들에서 UL-UL 간섭의 가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예들에서의 유연 서브프레임들 (520) 은, 업링크 프레임들에서 DL-UL 간섭의 가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셀은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셀은, 각각의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TDD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언급된 바처럼, 도 5a 의 예에서와 같이 서브프레임들의 분할은 정적 또는 준정적일 수도 있고, SIB1 구성들의 백홀 교환을 통해 이웃 셀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제 1 및 제 2 그룹들로의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분할이 간섭 완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제 도 5b를 참조하여, 동적 서브프레임 (500) 의 일 예 (500-a) 가 논의된다. 이 예에서, 셀 클러스터 I 는 프레임 포맷 (505-a) 을 갖는 TDD UL-DL 구성 #1 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셀 클러스터 II 는 프레임 포맷 (510-a) 을 갖는 TDD UL-DL 구성 #2 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상이한 송신 방향들을 갖는 서브프레임들, 즉, 서브프레임들 (525 및 530) 만이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으로 그룹화되며, 남아있는 서브프레임들 (535) 은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으로 그룹화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25, 530) 내에, 셀 클러스터들 사이의 UL-DL 간섭이 있는 한편,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35) 내에는, UL-UL 간섭만이 있다. 이 예에서, 제 1 및 제 2 그룹들로의 서브프레임들의 분할은 동적일 수도 있고, 제 1 및 제 2 그룹들의 서브프레임들의 식별은 셀에 대한 TDD UL-DL 구성이 변화될 때 일어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및 제 2 그룹들로의 서브프레임들의 분할은, 셀간 조정 및/또는 eNB-eNB 측정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들 (525 및 530) 은, 업링크 프레임들에서 DL-UL 간섭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고, 남아있는 서브프레임들 (535) 은 업링크 프레임들에서 UL-UL 간섭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상이한 그룹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의 식별이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셀은 셀들간에 백홀 교환되는 구성들에 기초하여 공통 UL 방향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할 수도 있고, 다음으로 다른 서브프레임들이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속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셀은, 이웃 셀의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를 측정할 수도 있고,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IoT 의 차이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들의 송신 방향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IoT 는, 예를 들어,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에 대해, 서브프레임들의 송신 방향들의 차이를 표시하는 IoT 값들의 차이로, 측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셀은 (언급된 TDD UL-DL 구성들의 각각에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따라서 TDD UL-DL 구성에 상관 없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인)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 에 대한 IoT 를 측정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다른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IoT 를 측정할 수도 있다. 다른 서브프레임의 측정된 IoT 가 서브프레임 #2 의 IoT 보다 더 높으면, 특정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고 따라서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속하는 것으로서 식별되야 한다는 것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그러한 측정은, 유연 서브프레임들인 것으로 지정된 서브프레임들 동안과 같이, 미리결정된 서브프레임들 동안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셀은, 유연 서브프레임에서 셀 특정 간섭 신호 (CRS) 와 같은 다운링크 참조 신호 (DL RS) 의 존재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들의 상이한 그룹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CRS 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되고, CRS 가 서빙 셀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이웃 셀로부터 검출되면, 서브프레임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되며, 다른 서브프레임들은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5a 및 도 5b 를 참조하면, 위에 언급된 바처럼,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15, 535) 에 그리고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20, 525, 530) 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15, 535) 에 대한 일 세트의 UL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적용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세트의 UL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20, 525, 530) 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제 1 그룹들 (515, 535) 에 있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들 (520, 525, 530) 의 각각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15, 535) 에 사용될 수도 있고, 서브프레임 의존 UL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20, 525, 530) 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그룹들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타겟 수신된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와 같은 개방 루프 전력 제어 (OLPC)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UL OLPC 파라미터들은,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업링크 프랙셔널 (fractional) 개방 루프 전력 제어는 다음과 같이 LTE/LTE-A 규격에 따라 명시된다:
Figure pct00004
식중에서:
PO_PUSCH 는 셀 특정 컴포넌트 PO_nominal_PUSCH 및 UE 특정 컴포넌트 PO_UE_PUSCH 로 이루어지고,
α 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되는 3-비트 셀 특정 파라미터이고,
MPUSCH 는 모바일이 서브프레임 i 에서 송신하고 있는 자원 블록들의 번호이고
PL 은 다운링크 경로 손실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UL OLPC 파라미터들은,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있는 것으로서 식별된 서브프레임들을 위해 확립된 기법들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고, UL OLPC 파라미터들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위해 서빙 셀에 있는 UE 의 UL 송신 전력에 대한 전력 증가를 초래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그러한 OLPC 파라미터들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과 연관된 UL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UL 제어 채널 (PUCCH) 및 물리 UL 공유 채널 (PUSCH) 의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세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PO, α) 이 제 1 타입의 서브프레임들에 제공될 수도 있고, 제 2 세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PO*, α*) 이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 2 세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UL-DL 간섭의 존재로부터 발생되는 증가된 경로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따라서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보다 높은 송신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시그널링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 중의 어느 것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PO, α) 에 대한 기존 RRC 시그널링이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15, 535) 에 사용될 수도 있고, 새로운 OLPC 시그널링이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20, 525, 530) 에 있는 서브프레임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준정적 UL 전력 제어 파라미터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실시형태들에서, 시그널링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그러한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각각의 비트가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0” 는 연관된 서브프레임이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1” 는 연관된 서브프레임들이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도 5c 는 서브프레임 그룹화 (500) 를 위한 비트맵 (550) 의 일 예를 예시한다. “0” 비트들 (555) 은 제 1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15) 에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표시한다. “1” 비트들 (560) 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520) 에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표시한다. 다른 예들에서, 시그널링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표시하기 위한 여러 비트들의 송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 비트 표시자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있는 8개의 이용가능한 세트의 서브프레임들을 맵핑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비트맵 또는 비트들의 송신은,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서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 이를테면 PDCCH 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위에 언급된 바처럼,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시그널링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제 2 세트의 OLPC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RRC 시그널링에서 송신되고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사용될 수도 있는 제 2 쌍의 절대 (PO, α) 값들, 즉 (PO*, α*) 이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기존 (PO, α) 값들에 대한 오프셋이,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의 적용을 위해 RRC 시그널링에서 제공 및 송신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형태들에서, 셀의 eNB 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UL OLPC 파라미터들을 준정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UL OLPC 파라미터들은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 중의 특정 서브프레임들에의 적용을 위해 동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절대 값들이 OLPC 파라미터들을 위해 제공되는 실시형태들에서, 그러한 파라미터들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 중의 하나에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어느 쌍의 (PO*, α*) 가 사용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맵핑될 수도 있는 log2(N) 비트들과 함께, 다수의 쌍들의 (PO*, α*) 값들이 정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여러 비트들이 시그널링될 수도 있으며, 상이한 비트 값들은 새로운 쌍의 (PO*, α*) 절대 값들을 표시하기 위하여 맵핑된다. 각각의 경우에, PO*, 또는 α*, 또는 PO* 및 α* 양자 모두는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있는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상이할 수도 있다. 기존 (PO, α) 값들에 대한 오프셋이 사용되는 실시형태들에서, 다수의 상이한 오프셋 값들이 정의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M 비트들은 어느 오프셋이 사용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이한 오프셋들로 맵핑된다. 그러한 오프셋들은, 예를 들어, PO 오프셋, α 오프셋, 또는 PO 및 α 의 공동의 고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절대 또는 오프셋 (PO, α) 값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는 것은 PDCCH 시그널링과 같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그러한 시그널링은 새로운 비트들을 다운링크 제어 정보 포맷 0 (DCI 0) 또는 확장에서 송신 전력 제어 (TPC) 커맨드에, 예를 몇개 들자면, 새로운 비트들을 DL 그랜트 DCI 포맷 (예를 들어, DCI 1C) 에서 추가하는 것을 통해, 또는 새로운 DCI 포맷의 정의를 통해, 추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방식에서, eNB 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제 2 그룹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UL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OLPC 파라미터들에 대한 조정은 셀 에지에서의 UE 들의 송신 전력을 너무 많이 감소시킬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너무 현저한 송신 전력 감소를 피하기 위하여, 일부 실시형태들은 송신 전력 (Ptx) 을 다음과 같이 제공한다:
Figure pct00005
식중 (PO, α) 는 서브프레임 그룹 1에 대한 OLPC 파라미터들이고, (PO*, α*) 는 서브프레임 그룹 2에 대한 OLPC 파라미터들이다.
따라서, eIMTA 시스템들에서 간섭 완화 및 동적 자원 할당이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상이한 초기 TDD UL-DL 구성들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 적용될 수도 있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및 서브프레임들의 그룹들의 식별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간섭 완화를 제공할 수도 있는 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 (600) 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엔티티 디바이스 (600) 은 eNB (105), UE (115), 코어 네트워크 (130), 또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100) 또는 도 3의 시스템 (300) 의 다른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600) 는, 하나 이상의 셀들의 TDD UL-DL 구성에 관한 하나 이상의 표시들을 수신할 수도 있는 수신기 (605) 를 포함한다. 간섭 완화 모듈 (610) 은 TDD UL-DL 구성들에 기초하여 제공될 간섭 완화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간섭 완화 모듈 (610) 은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적용될 제 1 및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간섭 완화 모듈 (610) 은 또한,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송신될 서브프레임들에 적용될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송신기 (615) 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들의 송신에서의 사용을 위해 간섭 완화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7은 TDD UL-DL 구성의 재구성에 기초하여 간섭 완화를 위해 구성될 수도 있는 통신 시스템 (700) 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시스템 (700) 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100) 또는 도 3의 시스템 (300) 의 앙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기지국 (105-f) 은 도 1 또는 도 3의 eNB (105) 의 일 예일 수도 있거나, 또는 도 6의 디바이스 (600) 의 일 예일 수도 있다. 시스템 (700) 은 기지국 (105-f)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f) 은 안테나들 (750), 송수신기 모듈 (755), 메모리 (770), 및 프로세서 모듈 (760) 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은 각각 서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버스들 (780) 을 통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송수신기 모듈 (755) 은, UE들 (115-a, 115-b) 과, 안테나(들) (750) 을 통해, 양방향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송수신기 모듈 (755) (및/또는 기지국 (105-f) 의 다른 컴포넌트들) 은 또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과 양방향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기지국 (105-f) 은 네트워크 통신 모듈 (765)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30-a) 와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f) 은, eNodeB 기지국, Home eNodeB 기지국, eNodeB 기지국 및/또는 Home eNodeB 기지국의 일 예일 수도 있다.
기지국 (105-f) 은 또한, 기지국 (105-m) 및 기지국 (105-n) 와 같은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기지국 (105-f) 은 기지국 통신 모듈 (715) 을 이용하여 105-m 및/또는 105-n 와 같은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기지국 통신 모듈 (715) 은 기지국 (105) 들 중의 일부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LTE 무선 통신 기술 내에서 X2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기지국 (105-f) 는 코어 네트워크 (130-a) 를 통해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 (770) 는 RAM (random access memory) 및 ROM (read-only memory)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770) 는 또한, 실행될 때, 프로세서 모듈 (760) 로 하여금 여기에 기재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TDD UL-DL 재구성, 간섭 완화, 전력 제어 파라미터 결정 등)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 (775) 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 (775) 는 프로세서 모듈 (760) 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한 것이 아니라,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를 들어, 컴파일되고 실행될 때, 여기에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760) 은 지능형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제어기,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수신기 모듈(들) (755) 은, 패킷들을 변조하고 그 변조된 패킷들을 송신을 위한 안테나(들) (750) 에 제공하고, 안테나(들) (750) 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f) 의 일부 예들은 단일 안테나 (750) 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 (105-f) 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할 수도 있는 다수의 링크들을 위한 다수의 안테나들 (75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링크들이 UE들 (115-a, 115-b) 과의 매크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의 아키텍처에 따르면, 기지국 (105-f) 은 통신 관리 모듈 (745)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관리 모듈 (745) 은 다른 기지국들 (105) 과의 통신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로써, 통신 관리 모듈 (745) 은 버스 (780) 를 통하여 기지국 (105-f) 의 다른 컴포넌트들의 일부 또는 전부와 통신하는 기지국 (105-f)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다르게는, 통신 관리 모듈 (745) 의 기능은 송수신기 모듈 (755) 의 컴포넌트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및/또는 프로세서 모듈 (760) 의 하나 이상의 제어기 엘리먼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기지국 (105-f) 은, 기지국 (105-f) 과 통신하는 다양한 UE 들을 위한 TDD UL-DL 구성들을 결정할 수도 있는 TDD UL-DL 구성 선택 모듈을 포함한다. 간섭 완화 모듈 (725) 이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간섭 완화 기법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의 예에서, 간섭 완화 모듈 (725) 은, 간섭 완화를 위해 적용할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타입들을 식별할 수도 있는 서브프레임 타입 식별 모듈 (730) 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타입들은, 위에 논의된 바처럼, 다른 기지국들로부터의 시그널링을 통해, 및/또는 예를 들어, IoT 측정들 또는 CRS 검출을 통해서와 같이 송신 방향들의 결정을 통해, 식별될 수도 있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 모듈 (735) 은 전술된 바와 유사하게 제 1 및/또는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들에의 적용을 위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전력 제어 송신 모듈 (740) 은 하나 이상의 UE 들 (115-a, 115-b) 에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및/또는 서브프레임 타입들 및 서브프레임 그룹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UE 들 (115-a, 115-b) 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따라서 이웃 기지국들 사이의 TDD UL-DL 구성 차이로부터 발생될 수도 있는 시스템에서의 간섭이 완화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UE 및 하나 이상의 이웃 기지국들과 연관된 TDD UL-DL 구성 및 재구성을 결정하고, 또한 UE 가 기지국과의 통신에 사용할 간섭 완화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UE 는 이 정보를 수신하고 기지국에 의해 표시되는 바대로 통신을 수행할 것이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상이한 TDD UL-DL 구성들을 위한 간섭 완화를 수행하는 일 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 (800) 이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 (800) 은,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기지국 (105-g) 과 통신할 수도 있는 UE (115-c) 를 포함하고, 도 1의 시스템 (100), 도 3의 시스템 (300) 또는 도 7의 시스템 (700) 의 양태들의 일 예일 수도 있다. UE (115-c) 는 도 1, 도 3 또는 도 7의 UE (115) 의 일 예일 수도 있거나, 또는 도 6의 디바이스 (600) 의 일 예일 수도 있다. UE (115-c) 는, 차례로 제어 모듈 (820) 에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수신기 모듈(들) (810) 및 송신기 모듈(들) (815) 에 통신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805) 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 (820) 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모듈(들) (825),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 (835) 를 포함할 수도 있는 메모리 (830), 및 전력 제어 모듈 (84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 (835) 는 프로세서 모듈 (825) 및/또는 전력 제어 모듈 (840) 에 의한 실행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들) (825) 은 지능형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제어기,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830) 는 RAM (random access memory) 및 ROM (read-only memory)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830) 는, 실행될 때 (또는 컴파일 및 실행될 때), 프로세서 모듈 (825) 및/또는 전력 제어 모듈 (840) 로 하여금 여기에 기재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 (835) 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전력 제어 모듈 (840) 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모듈(들) (825) 의 일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CPU 또는 ASIC 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송신기 모듈들 (815) 은 위에서 설명된 바처럼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E-UTRAN, UTRAN 등) 과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기지국 (105-g) (및/또는 다른 기지국들) 에 송신할 수도 있다. 송신기 모듈(들) 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은 전력 제어 모듈 (840) 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전력 제어 모듈 (840) 은, 기지국 (105-g) 으로부터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TDD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서브프레임의 타입 및 연관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이를테면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이 특정 서브프레임 구성들로 맵핑된 구성의 비트맵 또는 다른 표시의 수신에 기초하여,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력 제어는,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은 OLPC 파라미터들, OLPC 에 대한 오프셋들 및/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는 식별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수신기 모듈(들) (810) 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기지국 (105-g) (및/또는 다른 기지국들) 으로부터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송신은 사용자 장비 (115-c) 에서 수신 및 프로세싱된다. UE (115-c)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하드웨어에서 적용가능한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언급될 모듈들의 각각은 UE (115-c) 의 동작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도 9는 기지국 (105-h) 및 UE (115-d) 를 포함하는 시스템 (900) 의 블록도이다. 이 시스템 (900) 은 도 1의 시스템 (100), 도 3의 시스템 (300), 도 8의 시스템 (800), 또는 도 10 의 방법 (1000) 의 일 예일 수도 있다. 기지국 (105-h) 은 안테나들 (934-a 내지 934-x) 이 구비될 수도 있고, UE (115-d) 는 안테나들 (952-a 내지 952-n) 이 구비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5-h) 에서, 송신 프로세서 (920) 는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920) 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920) 는 또한, 기준 심볼들 및 셀 특정 기준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 (TX) MIMO 프로세서 (930) 는, 적용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볼, 제어 심볼 및/또는 기준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 (예를 들어, 프리코딩) 을 수행할 수도 있고, 송신 변조기들 (932-a 내지 932-x) 에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 (932) 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한) 각각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 (932) 는 또한, 다운링크 (DL)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프로세싱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 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변조기들 (932-a 내지 932-x) 로부터의 DL 신호들은, 특정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따라 안테나들 (934-a 내지 934-x) 를 통해 각각 송신될 수도 있다.
UE (115-d) 에서, 이동 디바이스 안테나들 (952-a 내지 952-n) 은 기지국 (105-h) 으로부터 특정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따라 DL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기들 (954-a 내지 954-n) 에 각각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복조기 (954) 는 입력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각각의 수신된 신호들을 컨디셔닝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 변환 및 디지털화) 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복조기 (954) 는 또한,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한) 입력 샘플들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MIMO 검출기 (956) 는 모든 복조기들 (954-a 내지 954-n) 로부터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하다면 수신된 심볼들에 대한 MIMO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프로세서 (958) 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 (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하여, 데이터 출력으로 UE (115-d) 를 위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프로세서 (980) 또는 메모리 (982) 에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980) 는,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은 상이한 TDD UL-DL 구성들을 가질 수도 있는 이웃 셀들에 대해 간섭 완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이한 그룹의 식별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을 통해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는 전력 제어 모듈 (840-a) 과 연결될 수도 있다.
업링크 (UL) 상에서, UE (115-d) 에서, 송신 프로세서 (964) 는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964) 는 또한, 기준 신호를 위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964) 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하다면 송신 MIMO 프로세서 (966) 에 의해 프리코딩될 수도 있고, 또한 (예를 들어, SC-FDMA 등을 위한) 복조기들 (954-a 내지 954-n)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기지국 (105-h) 으로부터 수신된 송신 파라미터들 및 전력 제어 모듈 (840-a) 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라 기지국 (105-h) 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5-h) 에서, UE (115-d) 로부터의 UL 신호들은 안테나들 (934) 에 의해 수신되고, 변조기들 (932)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 (936) 에 의해 검출되고, 또한 수신 프로세서 (938) 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수신 프로세서 (938) 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으로 그리고 프로세서 (940) 로 제공할 수도 있다. 메모리 (942) 는 프로세서 (940) 와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940) 는 현재 TDD UL/DL 구성에 따라 프레임 포맷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간섭 완화 모듈 (725-a) 은, 서브프레임들의 송신 동안 존재할 수도 있는 간섭의 타입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의 그룹들을 식별할 수도 있고,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서브프레임들의 상이한 그룹들에 적용할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위에 논의된 것과 유사하게, 시스템 (900) 은, 각각 기지국 (105-h) 과 UE (115-d) 사이에 송신되는 상이한 주파수들의 파형 신호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UE (115-d) 와 기지국 (105-h) 사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을 반송할 수도 있고, 기지국 (105-h) 은, 각각 상이한 TDD 구성들을 가질 수도 있는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UE (115-d)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하드웨어에서 적용가능한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언급될 모듈들의 각각은 시스템 (900) 의 동작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 (105-h)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하드웨어에서 적용가능한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언급될 컴포넌트들의 각각은 시스템 (900) 의 동작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도 10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 기지국, 또는 다른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방법 (1000) 을 예시한다. 방법 (1000) 은, 예를 들어, 도 1, 3, 7, 8, 또는 9 의 UE 또는 기지국, 또는 도 6의 디바이스 (600) 에 의해, 또는 이들 도면들에 대해 설명된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초기에, 블록 1005 에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이 식별된다. 블록 1010 에서,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이 식별된다. 마지막으로, 블록 1015 에서, 각각의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이 식별된다. TDD 서브프레임들이 식별될 수도 있고,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다양한 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바처럼 적용된다.
도 11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다른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방법 (1100) 을 예시한다. 방법 (1100) 은, 예를 들어, 도 1, 3, 7, 8, 또는 9 의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 또는 도 6의 디바이스 (600) 에 의해, 또는 이들 도면들에 대해 설명된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초기에, 블록 1105 에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이 식별된다. 블록 1110 에서,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이 식별된다. 블록 1115 에서, 각각의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이 식별된다. 마지막으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의 표시가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수도 있다. TDD 서브프레임들이 식별될 수도 있고,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다양한 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바처럼 적용된다.
도 12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다른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방법 (1200) 을 예시한다. 방법 (1200) 은, 예를 들어, 도 1, 3, 7, 8, 또는 9 의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 또는 도 6의 디바이스 (600) 에 의해, 또는 이들 도면들에 대해 설명된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초기에, 블록 1205 에서, 서빙 셀 및 이웃 셀의 TDD UL-DL 구성이 결정된다. TDD UL-DL 구성은,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백홀 링크를 통해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및/또는 이웃 셀의 송신들을 평가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블록 1210 에서, 제 1 및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적용과 각각 연관된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이 식별된다. 블록 1215 에서, 각각의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이 식별된다. 마지막으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의 표시가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수도 있다. TDD 서브프레임들이 식별될 수도 있고,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다양한 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바처럼 적용된다.
도 13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방법 (1300) 을 예시한다. 방법 (1300) 은, 예를 들어, 도 1, 3, 7, 8, 또는 9 의 UE, 또는 도 6의 디바이스 (600) 에 의해, 또는 이들 도면들에 대해 설명된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초기에, 블록 (1305) 에서, TDD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을 식별하는 시그널링이 수신된다.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준정적 식별,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 신호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시그널링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310 에서,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시그널링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에 적용된다.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타겟 수신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와 같은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라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OLPC 파라미터들은,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블록 1315 에서, 하나 이상의 TDD 서브프레임들이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위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 실시형태들을 설명하고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구현될 수도 있는 실시형태들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본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 사용된 "예시적" 이라는 용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의 역할을 하는 것" 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거나" 또는 " 다른 실시형태들보다 유리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설명된 기술들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들 기술들은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 일부 실례에서, 널리 알려진 구조 및 디바이스는 설명된 실시형태들의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블록도 형태로 보여진다.
정보 및 신호들은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 및 기법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의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 또는 자기입자, 광학장 (optical field) 또는 광학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 및 모듈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르게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 및 구현들이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및 사상 내에서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성질에 기인하여, 상술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 중의 어느 것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포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포지션들에서 물리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된, "중의 적어도 하나" 를 서문으로 하는 아이템들의 리스트에서 사용된 "또는" 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 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 (즉, A 및 B 및 C) 를 의미하도록 하는 이접적인 리스트를 표시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로부터 또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반송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그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상기의 조합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제조 또는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변경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용어 "예" 또는 "예시적" 은 예 또는 실례를 나타내고 언급된 예에 대한 어떠한 선호를 의미하거나 또는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는 여기에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가 허여되야 한다.

Claims (76)

  1.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과 연관된 비트맵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비트맵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의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값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또는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서빙 셀 및 이웃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및 이웃 셀들의 상기 TDD UL-DL 구성들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에 대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noise) 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고정 방향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들간에 IoT 의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IoT 의 차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은 상기 TDD UL-DL 구성과 상관 없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선택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동안 이웃 셀로부터의 신호가 다운링크 (DL) 기준 신호 (RS) 를 포함한다는 것을, 서빙 셀에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DL RS 의 존재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L RS 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들은 상기 서빙 셀의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일 때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 식별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상이한,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되지 않은 남아있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적용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다운링크 (UL-D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상기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타겟 수신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빙 셀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에 대한 오프셋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수단;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수단; 및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과 연관된 비트맵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비트맵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의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값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또는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서빙 셀 및 이웃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은 상기 서빙 및 이웃 셀들의 상기 TDD UL-DL 구성들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9.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에 대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noise) 를 측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고정 방향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들간에 IoT 의 차이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결정은 상기 IoT 의 차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은 상기 TDD UL-DL 구성과 상관 없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선택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1. 제 22 항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동안 이웃 셀로부터의 신호가 다운링크 (DL) 기준 신호 (RS) 를 포함한다는 것을, 서빙 셀에서,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은 상기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DL RS 의 존재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DL RS 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들은 상기 서빙 셀의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일 때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 식별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상이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되지 않은 남아있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적용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7. 제 22 항에 있어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2 업링크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다운링크 (UL-D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상기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타겟 수신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빙 셀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에 대한 오프셋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3.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이상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서빙 셀 및 이웃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은 상기 서빙 및 이웃 셀들의 상기 TDD UL-DL 구성들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에 대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noise) 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고정 방향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들간에 IoT 의 차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결정은 상기 IoT 의 차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8.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서브프레임 동안 이웃 셀로부터의 신호가 다운링크 (DL) 기준 신호 (RS) 를 포함한다는 것을, 서빙 셀에서,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은 상기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DL RS 의 존재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9.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0.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다운링크 (UL-D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상기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빙 셀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3.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그리고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에 대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noise) 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고정 방향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들간에 IoT 의 차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결정은 상기 IoT 의 차이에 기초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6.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서브프레임 동안 이웃 셀로부터의 신호가 다운링크 (DL) 기준 신호 (RS) 를 포함한다는 것을, 서빙 셀에서,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은 상기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DL RS 의 존재에 기초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7.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 및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준정적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9.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1.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상기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타겟 수신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4.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수단;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수단; 및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을 수신하는 수단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준정적 식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6.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을 수신하는 수단은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8.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상기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9.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그리고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준정적 식별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1.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은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수신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3.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그리고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준정적 식별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5.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은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수신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57033269A 2013-05-10 2014-05-09 eIMTA 간섭 완화를 위한 향상된 전력 제어의 시그널링 KR102235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3/075452 2013-05-10
PCT/CN2013/075452 WO2014179979A1 (en) 2013-05-10 2013-05-10 SIGNALING OF ENHANCED POWER CONTROL FOR eIMTA INTERFERENCE MITIGATION
PCT/CN2014/077129 WO2014180344A1 (en) 2013-05-10 2014-05-09 SIGNALING OF ENHANCED POWER CONTROL FOR eIMTA INTERFERENCE MITIG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567A true KR20160008567A (ko) 2016-01-22
KR102235805B1 KR102235805B1 (ko) 2021-04-02

Family

ID=5186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269A KR102235805B1 (ko) 2013-05-10 2014-05-09 eIMTA 간섭 완화를 위한 향상된 전력 제어의 시그널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11188B2 (ko)
EP (1) EP2995137B1 (ko)
JP (1) JP6599311B2 (ko)
KR (1) KR102235805B1 (ko)
CN (1) CN105191440B (ko)
WO (2) WO2014179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3665A2 (en) * 2012-09-17 2014-03-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elf-optimization of backhaul radio reseources and small cell backhaul delay estimation
CN104066093B (zh) * 2013-03-18 2018-03-23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无线通信系统的干扰管理方法、锚点设备、基站及其系统
WO2014179979A1 (en) * 2013-05-10 2014-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ENHANCED POWER CONTROL FOR eIMTA INTERFERENCE MITIGATION
CN105309017B (zh) * 2013-06-18 2019-12-31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支持无线资源的用途的改变的无线通信系统中控制传输功率的方法及其装置
EP3033915B1 (en) * 2013-08-15 2019-11-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r equipment and radio network node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system
US10015790B2 (en) * 2014-04-25 2018-07-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radio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39530B1 (en) * 2014-05-23 2018-10-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direction of secondary carrier
KR20160019867A (ko) * 2014-08-12 2016-02-22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고효율 무선랜 디바이스 전송 전력 제어
ES2862953T3 (es) 2014-09-26 2021-10-08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Comunicación inalámbrica que emplea agregación de portadoras en bandas sin licencia
CN105992357B (zh) * 2015-02-06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基于x2接口的微小区动态上下行子帧配置的方法及装置
US11831584B2 (en) * 2015-12-15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indicating a dynamic subframe type
WO2017111807A1 (en) * 2015-12-24 2017-06-29 Intel Corporation Uplink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full- duplex cellular networks
US10517104B2 (en) 2016-02-02 2019-12-24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for networks with variab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US10904839B2 (en) * 2016-03-31 2021-01-2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nterference control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7317653B (zh) * 2016-04-26 2022-06-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DE112016007007T5 (de) 2016-06-22 2019-03-07 Intel Corporation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vollduplex-disposition
JP2019145866A (ja) * 2016-07-05 2019-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764832B2 (en) * 2016-09-28 2020-09-01 Idac Holdings, Inc. Uplink power control
US10681708B2 (en) * 2016-12-16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Subslot bundling and acknowledgement
US10531453B2 (en) * 2017-02-06 2020-01-07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management for low latency wireless communications
CN108574982B (zh) * 2017-03-07 2021-05-28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功率调整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US10425900B2 (en) * 2017-05-15 2019-09-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control
EP3642978A1 (en) * 2017-06-22 2020-04-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erence mitigation control
CN109219121B (zh) * 2017-06-29 2020-12-01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相关设备
US11272458B2 (en) 2017-10-13 2022-03-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063733B2 (en) * 2017-11-09 2021-07-13 Qualcomm Incorporated Duplexing modes based on power configurations for transmissions
CN110139352B (zh) * 2018-02-09 2021-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的方法和通信装置
US11229047B2 (en) * 2018-04-06 2022-01-18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block repetition handling for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s
US11025373B2 (en) * 2018-05-11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Repetition-based transmission
EP3874837A4 (en) * 2018-11-02 2022-08-03 Intel Corporation UPLINK POWER CONTROL FOR A NEUFUNK USER DEVICE
US10728009B1 (en) 2019-10-10 2020-07-28 T-Mobile Usa, Inc.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and microwave backhaul transceivers
US20210112550A1 (en) * 2019-10-10 2021-04-15 T-Mobile Usa, Inc. Detecting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and microwave backhaul transceivers
US20210321416A1 (en) * 2020-04-09 2021-10-14 Qualcomm Incorporated Asymmetric time division duplexing coexistence techniques
CN112332899B (zh) * 2020-09-14 2021-08-24 浙江大学 一种星地联合的天地一体化大规模接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8197A2 (ko) * 2011-04-08 201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20282964A1 (en) * 2011-05-06 2012-11-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Cell Access
WO2013004007A1 (en) * 2011-07-05 2013-01-10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chanism for enhancing power control in time division based communications
KR20130016364A (ko) * 2010-05-07 2013-02-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업링크 채널들 상에서의 제어 정보의 송신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2133B1 (en) * 1999-07-26 2001-04-03 Mccoy Kim Low power GPS receiver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7158804B2 (en) * 2002-11-27 2007-01-02 Lucent Technologies Inc. Uplink scheduling for wireless networks
US7974195B2 (en) * 2003-06-12 2011-07-0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ngestion control
JP2008511205A (ja) * 2004-08-17 2008-04-10 カリフォルニア・インスティチュート・オブ・テクノロジー キュー制御と1方向遅延測定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の輻輳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131407B2 (en) * 2005-03-14 2015-09-08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to measure delay for QoS monitoring in WLAN 802.11 networks
CN100385822C (zh) * 2005-11-25 2008-04-30 凯明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时分同步码分多址系统中不连续发射状态功率控制的方法
US20070253449A1 (en) * 2005-12-22 2007-11-01 Arnab Da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determining, communicating, and/or using delay information
CA2661393C (en) * 2006-08-22 2014-10-14 Brilliant Telecommunic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synchronizing distribution of packet services across a distributed network
KR101400990B1 (ko) * 2008-04-03 2014-05-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의 동작방법
US9826409B2 (en) * 2008-10-24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emi-static interference avoidance in cellular networks
BRPI1011595A2 (pt) * 2009-03-17 2016-03-22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em uma estação base de rádio para operar controle de potência de malha exterior de um equipamento de usuário, método em um nó de controle de rede para determinar um parâmetro de controle de potência de malha exterior, estação base de rádio, e, nó de controle de rede."
KR101472750B1 (ko) * 2009-04-01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적 셀 구조에서 간섭 완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KR20100113435A (ko) * 2009-04-13 2010-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블록 송신 장치 및 방법
US20100271962A1 (en) * 2009-04-22 2010-10-28 Motorola, Inc. Available backhaul bandwidth estimation in a femto-cell communication network
US8751627B2 (en) * 2009-05-05 2014-06-10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pplication migration in a cloud
KR20110007026A (ko) * 2009-07-15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US8824968B2 (en) * 2009-12-10 2014-09-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35582A1 (en) 2010-03-25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Subframe dependent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anagement
US8489100B2 (en) 2010-04-13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in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US8634364B2 (en) 2010-04-20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grants in heterogeneous networks
US20130114562A1 (en) * 2010-07-16 2013-05-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R112013011154B1 (pt) * 2010-11-05 2022-02-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Inc. Medições de camada 2 relacionadas à interface de nó de retransmissão e manipulação do nó de retransmissão em equilíbrio de carga de rede, método para realizar medições de uso de rádio, nó b e sistema para mudança automática de um nó de retransmissão
WO2012107102A1 (en) 2011-02-11 2012-08-16 Nokia Siemens Networks Oy Tdd data transmission on multiple carriers with sub frames reserved for predetermined transmission directions
US9107150B2 (en) * 2011-03-03 2015-08-11 Telecom Italia S.P.A Link scheduling algorithm for OFDMA wireless networks with relay nodes
KR101785313B1 (ko) * 2011-04-12 201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서브프레임 운용 및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95430B1 (ko) * 2011-07-28 2016-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보고 방법 및 장치
JP2013038506A (ja) 2011-08-04 2013-02-21 Fujitsu Ltd 移動局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CN103327594B (zh) * 2012-03-22 2017-04-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功率控制方法、设备及系统
EP2983423B1 (en) * 2013-04-04 2020-01-08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EP2983422B1 (en) * 2013-04-04 2021-02-24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WO2014181618A1 (ja) * 2013-05-09 2014-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4181836A1 (ja) * 2013-05-09 2014-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4179979A1 (en) * 2013-05-10 2014-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ENHANCED POWER CONTROL FOR eIMTA INTERFERENCE MITIGATION
WO2015005461A1 (ja) * 2013-07-12 2015-01-1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0172121B2 (en) * 2013-07-12 2019-01-01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364A (ko) * 2010-05-07 2013-02-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업링크 채널들 상에서의 제어 정보의 송신
WO2012138197A2 (ko) * 2011-04-08 201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20282964A1 (en) * 2011-05-06 2012-11-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Cell Access
WO2013004007A1 (en) * 2011-07-05 2013-01-10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chanism for enhancing power control in time division based communicat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1502* *
3GPP R1-1316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91440A (zh) 2015-12-23
WO2014179979A1 (en) 2014-11-13
US20160066288A1 (en) 2016-03-03
JP6599311B2 (ja) 2019-10-30
EP2995137B1 (en) 2020-04-22
KR102235805B1 (ko) 2021-04-02
EP2995137A4 (en) 2016-12-14
JP2016521512A (ja) 2016-07-21
EP2995137A1 (en) 2016-03-16
WO2014180344A1 (en) 2014-11-13
US10111188B2 (en) 2018-10-23
CN105191440B (zh)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805B1 (ko) eIMTA 간섭 완화를 위한 향상된 전력 제어의 시그널링
EP2982202B1 (en) Interference cancellation/suppression in td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EP3152966B1 (en) Techniques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nnectivity wireless communications
EP3063990B3 (en) Techniques for using carrier aggregation in dual connectivity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265832B1 (ko) Lte-tdd eimta에 대한 csi 보고
KR102193000B1 (ko) Tdd 적응을 위한 하이브리드 재구성 방법들 및 장치
US9985773B2 (en) Techniques for performing half/full-duplex oper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60056907A1 (en) DUAL THRESHOLD BASED CELL CLUSTERING INTERFERENCE MITIGATION FOR eIMTA
KR20150122790A (ko) 멀티-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20150113053A (ko) Dtx/drx의 구성을 이용한 tdd 재구성
JP2023501145A (ja) マルチdciベースのマルチ送受信ポイントに対するオーバーブッキ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