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401A -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 Google Patents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401A
KR20160008401A KR1020140088550A KR20140088550A KR20160008401A KR 20160008401 A KR20160008401 A KR 20160008401A KR 1020140088550 A KR1020140088550 A KR 1020140088550A KR 20140088550 A KR20140088550 A KR 20140088550A KR 20160008401 A KR20160008401 A KR 20160008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pole
substrate
parasitic
dipole element
po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526B1 (ko
Inventor
오정근
박수현
정필규
김병환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Priority to KR102014008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5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가 개시된다. 개시된 다이폴 안테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직교하여 결합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상에 형성되며 급전과 연결되는 제1 다이폴 엘리먼트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2 다이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 상기 제2 기판상에 형성되며 급전과 연결되는 제3 다이폴 엘리먼트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4 다이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 및 상기 제1 다이폴 엘리먼트 내지 상기 제4 다이폴 엘리먼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기생 소자를 포함한다. 개시된 안테나에 의하면, 광대역 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다중 편파 안테나에서 크로스 편파 비의 레벨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Multi Polarization Dipole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국 등에 사용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는 기지국 안테나에서 다중 편파를 지원하기 위한 방사 소자로 많이 이용된다. 여기서, 다중 편파는 주로 +45도 및 -45도의 편파를 의미하며, 대부분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안테나가 +45도 및 -45도의 편파를 지원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되고 있으며, +45도의 편파를 지원하기 위한 제1 다이폴 소자와 -45도의 편파를 지원하기 위한 제2 다이폴 소자를 포함한다.
제1 다이폴 소자와 제2 다이폴 소자는 각각 급전점 및 접지와 연결되어 RF 신호를 방사하거나 수신한다.
기지국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양화되면서 기지국 안테나의 광대역화 및 다중 대역화에 대한 요구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기지국 안테나는 고속이 데이터 전송을 요구되고 있어서, 데이터의 고속 전송을 위한 광대역 특성 확보는 기지국 안테나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다중 편파를 지원하는 기지국 안테나는 다중 편파로 인해 크로스 편파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크로스 편파 비(Cross Polarization Ratio)는 안테나의 송수신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대역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편파 안테나에서 크로스 편파 비의 레벨을 낮출 수 있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직교하여 결합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상에 형성되며 급전과 연결되는 제1 다이폴 엘리먼트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2 다이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 상기 제2 기판상에 형성되며 급전과 연결되는 제3 다이폴 엘리먼트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4 다이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 및 상기 제1 다이폴 엘리먼트 내지 상기 제4 다이폴 엘리먼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기생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는, 상기 제1 다이폴 엘리먼트와 동일 평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기생 소자 및 상기 제1 기생 소자가 형성된 면의 맞은편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생 소자와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생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는, 상기 제2 다이폴 엘리먼트와 동일 평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 기생 소자 및 상기 제3 기생 소자가 형성된 면의 맞은편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기생 소자와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기생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는, 상기 제3 다이폴 엘리먼트와 동일 평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5 기생 소자 및 상기 제5 기생 소자가 형성된 면의 맞은편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5 기생 소자와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 기생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는, 상기 제4 다이폴 엘리먼트와 동일 평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7 기생 소자 및 상기 제7 기생 소자가 형성된 면의 맞은편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7 기생 소자와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8 기생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다이폴 엘리먼트는 상기 제1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다이폴 엘리먼트는 상기 제1 기판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다이폴 엘리먼트는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4 다이폴 엘리먼트는 상기 제2 기판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직교하여 결합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상에 형성되며 급전과 연결되는 제1 다이폴 엘리먼트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2 다이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제1 편파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 및 상기 제2 기판상에 형성되며 급전과 연결되는 제3 다이폴 엘리먼트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4 다이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편파와 직교하는 제2 편파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 및 상기 제1 다이폴 엘리먼트 내지 상기 제4 다이폴 엘리먼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기생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중 편파 다이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에 의하면, 광대역 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다중 편파 안테나에서 크로스 편파 비의 레벨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의 전면 및 후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판의 전면 및 후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기생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솔더링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에서 +45도의 편파로 동작할 경우 기생 소자들의 전류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에서 -45도의 편파로 동작할 경우 기생 소자들의 전류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는 소로 교차하는 두 개의 기판(100, 110)을 포함한다.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110)은 대략 T자 형상을 가지며, 서로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되며, 교차 지점은 각 기판(100, 102)의 센터부일 수 있다.
이러한 교차 구조로 인해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110)의 결합체는 크로스 구조를 가지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110)으로 분리하여 정의하였으나,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110)이 하나의 일체하된 기판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110) 및 제2 기판에는 각각 제1 다이폴 방사 소자(120)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130)가 형성된다. 제1 기판(100)에 형성되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120)는 +45도의 편파를 가지는 RF 신호를 방사한다. 또한, 제2 기판(110)에 형성되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130)는 -45도의 편파를 가지는 RF 신호를 방사한다.
제1 다이폴 방사 소자(120)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130)는 금속 패턴의 형태로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110)에 결합되며, 금속 패턴을 기판에 결합하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에칭, 도전성 잉크 프린팅, 직접 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110)의 결합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120, 130)는 서로 90도의 편파 차이를 가지는 신호를 독립적으로 방사하게 된다.
제1 다이폴 방사 소자(120)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안테나는 일례로 기지국 안테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는 기지국 안테나에 배열되는 방사체로 사용되어 복편파 신호를 제공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는 데이터의 고속 전송을 위해 광대역 특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다이폴 방사 소자만으로는 고속 전송을 위한 광대역 특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본 발명은 보다 넓은 대역의 신호에 대한 방사가 가능한 다이폴 안테나 구조를 제안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광대역 특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의 전면 및 후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판의 전면 및 후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a)는 제1 및 제2 기판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제1 및 제2 기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110)에는 동일한 구조의 다이폴 방사 소자가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0)에 결합되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120)는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 및 제2 다이폴 엘리먼트(124)를 포함한다.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120)에서 급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엘리먼트이며, 제2 다이폴 엘리먼트(124)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120)에서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엘리먼트이다.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는 제1 기판(100)의 전면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는 하프(Half)-T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다이폴 엘리먼트(124)는 제1 기판(100)의 후면의 우측 영역에 형성된다. 제2 다이폴 엘리먼트(124) 역시 하프(Half)-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는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 및 제2 다이폴 엘리먼트(124)가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 및 제2 다이폴 엘리먼트(124)는 제1 기판(100)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기판(100)의 전면에는 급전 패턴(200)이 형성되며, 급전 패턴(200)은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와 결합되어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에 급전 신호를 제공한다. 물론,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로의 급전은 급전 패턴(200)을 이용하지 않고 케이블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급전 패턴(200)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1 기판(100)의 전면에는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의 위에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와 이격되어 제1 기생 소자(300)가 결합된다. 제1 기생 소자(300)는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와 전자기적 커플링에 의한 기생 캐패시턴스를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도 채용될 수 있다.
제1 기생 소자(300)가 형성된 제1 기판 전면의 맞은 편(후면)에는 제1 기생 소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기생 소자(302)가 형성된다. 제2 기생 소자(302)는 제1 기판에 형성된 쓰루홀(through hole)을 통해 제1 기생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기생 소자(302)의 형태는 제1 기생 소자(300)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요구되는 대역폭 특성에 따라 제1 기생 소자(300)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기판(100)의 후면에는 제2 다이폴 엘리먼트(124) 위에 제2 다이폴 엘리먼트(124)와 이격되어 제3 기생 소자(304)가 결합된다. 제3 기생 소자(304)의 형태는 제1 기생 소자(300)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원하는 대역폭 확보를 위해 제1 기생 소자(300)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3 기생 소자(304)가 형성된 제1 기판 후면의 맞은 편(전면)에는 제3 기생 소자(304)에 대응하여 제4 기생 소자(306)가 형성된다. 제3 기생 소자(304)와 제4 기생 소자(304)는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기판(102)에 결합되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130)는 제3 다이폴 엘리먼트(132) 및 제4 다이폴 엘리먼트(134)를 포함한다. 제3 다이폴 엘리먼트(132)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130)에서 급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엘리먼트이며, 제4 다이폴 엘리먼트(134)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130)에서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엘리먼트이다.
제3 다이폴 엘리먼트(132) 및 제4 다이폴 엘리먼트(134)의 구조 및 기능은 각각 제1 다이폴 엘리먼트(122) 및 제2 다이폴 엘리먼트(124)와 동일하다.
제2 기판(102)의 전면에는 제3 다이폴 엘리먼트(132)의 위에 제3 다이폴 엘리먼트(134)와 이격되어 제5 기생 소자(308)가 결합된다. 또한, 제5 기생 소자(308)가 형성된 제2 기판의 전면 맞은편(후면)에는 제5 기생 소자(308)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6 기생 소자(310)가 형성된다. 제5 기생 소자(308)와 제6 기생 소자(310)는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기판(102)의 후면에는 제4 다이폴 엘리먼트(134)위에 제4 다이폴 엘리먼트(134)와 이격되어 제7 기생 소자(312)가 결합된다. 또한, 제7 기생 소자(312)가 형성된 제2 기판의 후면 맞은편(전면)에는 제7 기생 소자(312)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8 기생 소자(314)가 형성된다. 제7 기생 소자(312)와 제8 기생 소자(314)는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102)에 형성되는 기생 소자들(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은 다이폴 안테나의 광대역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구성 요소이다. 제1 다이폴 방사 소자(120)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130)의 각 다이폴 엘리먼트들(122, 124, 132, 134)과 기생 소자들(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사이에는 전자기적 커플링이 발생하며, 전자기적 커플링을 통해 보다 넓은 대역폭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생 소자들(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요구되는 대역폭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기생소자간 쓰루홀을 통해 연결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기생 소자들(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102)의 교차 영역에는 솔더링을 하여 기생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는 기생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솔더링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A 영역에 솔더링을 수행하며, 솔더링을 통해 모든 기생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생 소자들은 크로스 편파의 레벨을 낮춰 궁극적으로 CPR(Cross Polarization Ration)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1 다이폴 방사 소자(120)가 +45도 편파의 신호를 방사할 경우 기생 소자들은 다른 각도의 편파 신호의 크기를 억제시킨다.
또한, 8개의 기생 소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기생 소자들은 각 다이폴 방사 소자의 편파 각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에서 +45도의 편파로 동작할 경우 기생 소자들의 전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화살표(500)는 +45도 편파 방향이며, 다른 화살표들은 각 기생 소자의 전류 방향이다. 도 5에서, 각 기생 소자들의 전류들은 벡터 합성을 통해 상쇄 또는 보강된다. 이때, -45도 방향의 성분들은 상쇄되고 +45도 방향의 성분들은 보강되어 벡터 합성 결과 전류 방향을 +45도 방향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45도의 편파 방향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에서 -45도의 편파로 동작할 경우 기생 소자들의 전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살표(600)는 -45도 편파 방향이며, 다른 화살표들은 각 기생 소자들의 전류 방향이다. 도 6에서, 각 기생 소자들의 전류들은 벡터 합성을 통해 상쇄 또는 보강되며, 벡터 합성을 통해 -45도 방향의 성분만이 남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에는 기생 소자가 포함될 경우의 반사 손실 및 기생 소자가 포함될 경우의 반사 손실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생소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기생 소자가 포함될 경우 안테나의 방사 대역이 확장되어 광대역 특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기생 소자들은 보다 양호한 임피던스 매칭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폴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는 기생 소자가 포함된 경우의 방사 패턴과 기생 소자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의 방사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생 소자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크로스 편파 방사 패턴의 레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CPR(Cross Polarization Ratio)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직교하여 결합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상에 형성되며 급전과 연결되는 제1 다이폴 엘리먼트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2 다이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
    상기 제2 기판상에 형성되며 급전과 연결되는 제3 다이폴 엘리먼트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4 다이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 및
    상기 제1 다이폴 엘리먼트 내지 상기 제4 다이폴 엘리먼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기생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는,
    상기 제1 다이폴 엘리먼트와 동일 평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기생 소자 및 상기 제1 기생 소자가 형성된 면의 맞은편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생 소자와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생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는,
    상기 제2 다이폴 엘리먼트와 동일 평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 기생 소자 및 상기 제3 기생 소자가 형성된 면의 맞은편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기생 소자와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기생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는,
    상기 제3 다이폴 엘리먼트와 동일 평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5 기생 소자 및 상기 제5 기생 소자가 형성된 면의 맞은편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5 기생 소자와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 기생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는,
    상기 제4 다이폴 엘리먼트와 동일 평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7 기생 소자 및 상기 제7 기생 소자가 형성된 면의 맞은편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7 기생 소자와 쓰루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8 기생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폴 엘리먼트는 상기 제1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다이폴 엘리먼트는 상기 제1 기판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다이폴 엘리먼트는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4 다이폴 엘리먼트는 상기 제2 기판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10.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직교하여 결합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상에 형성되며 급전과 연결되는 제1 다이폴 엘리먼트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2 다이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제1 편파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 및
    상기 제2 기판상에 형성되며 급전과 연결되는 제3 다이폴 엘리먼트 및 접지와 연결되는 제4 다이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편파와 직교하는 제2 편파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 및
    상기 제1 다이폴 엘리먼트 내지 상기 제4 다이폴 엘리먼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기생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기생 소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KR1020140088550A 2014-07-14 2014-07-14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KR10159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550A KR101599526B1 (ko) 2014-07-14 2014-07-14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550A KR101599526B1 (ko) 2014-07-14 2014-07-14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401A true KR20160008401A (ko) 2016-01-22
KR101599526B1 KR101599526B1 (ko) 2016-03-07

Family

ID=5530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550A KR101599526B1 (ko) 2014-07-14 2014-07-14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5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8603A1 (zh) * 2017-06-01 2018-12-06 华为技术有限公司 双极化辐射单元、天线、基站及通信系统
WO2022095305A1 (zh) * 2020-11-03 2022-05-12 摩比天线技术(深圳)有限公司 低频辐射单元及基站天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062Y1 (ko) * 2003-08-22 2003-11-21 주식회사 굿텔 유전체 기판을 이용한 다이폴 안테나
KR20130112518A (ko) * 2012-04-04 2013-10-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062Y1 (ko) * 2003-08-22 2003-11-21 주식회사 굿텔 유전체 기판을 이용한 다이폴 안테나
KR20130112518A (ko) * 2012-04-04 2013-10-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8603A1 (zh) * 2017-06-01 2018-12-06 华为技术有限公司 双极化辐射单元、天线、基站及通信系统
US11043738B2 (en) 2017-06-01 2021-06-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ual-polarized radiating element, antenna,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
WO2022095305A1 (zh) * 2020-11-03 2022-05-12 摩比天线技术(深圳)有限公司 低频辐射单元及基站天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526B1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665B1 (ko)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KR101920748B1 (ko) 무선통신 모듈
US10008782B2 (en) Low coupling full-duplex MIMO antenna array with coupled signal cancelling
US6593891B2 (en) Antenna apparatus having cross-shaped slot
KR100641636B1 (ko) 이중편파 안테나 및 rfid 리더기
US20100127939A1 (en) Patch antenna with metal walls
JP4952789B2 (ja) 二偏波アンテナ
US10333228B2 (en) Low coupling 2×2 MIMO array
JP2014150526A (ja) アンテナアセンブリ及び該アンテナアセンブリを備える通信装置
US20140354510A1 (en) Antenna system providing simultaneously identical main beam radiation characteristics for independent polarizations
US9509062B2 (en) Alford loop antennas with parasitic elements
CN104600422A (zh) 一种双极化共轴八木天线系统
US8988303B1 (en) Extended performance SATCOM-ORIAN antenna
EP3091608B1 (en) Antenna system and antenna module with a parasitic element for radiation pattern improvements
US1199069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ntenna configuration method
US20120218167A1 (en) Low cost patch antenna utilized in wireless lan applications
KR101599526B1 (ko)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US9437917B2 (en) Antenna designs
KR101412135B1 (ko) Mimo용 수평 편파 무지향성 안테나
JP4031253B2 (ja) アンテナ装置
KR101507900B1 (ko) 원편파 안테나 구현 방법 및 원편파 안테나
KR20090046590A (ko)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타입의 안테나
JP2007006062A (ja) 無指向性アンテナ
US9761956B2 (en) Antenna systems providing simultaneously identical main beam radiation characteristics
US8228237B2 (en) Antenna with double groun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