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518A -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 Google Patents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518A
KR20130112518A KR1020120034954A KR20120034954A KR20130112518A KR 20130112518 A KR20130112518 A KR 20130112518A KR 1020120034954 A KR1020120034954 A KR 1020120034954A KR 20120034954 A KR20120034954 A KR 20120034954A KR 20130112518 A KR20130112518 A KR 20130112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pole
radiating element
dipole radiating
dipole antenna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관
박래혁
육태경
김호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2518A/ko
Publication of KR2013011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at the feed, e.g. for 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44Resonant antennas with a plurality of divergent straight elements, e.g. V-dipole, X-antenna; with a plurality of elements having mutually inclined substantially straight portion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는, 반사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통신 신호의 송수신 매체가 되는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며 다이폴 방사 소자의 길이와 다른 길이를 가지는 금속성 재질의 기생소자가 패터닝되고,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이 구비된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은 중심 부위에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에 구비된 각 기생소자들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부위에서 상호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Dual polarization dipole antenna for broad-band and antenna array using it}
본 발명은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생소자와 정합 선로가 구비된 다이폴 방사 소자를 통해 광대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무선 통신에서 소정 공간 영역으로 전파를 방사하거나 방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매개체가 되는 요소로서 신호 송신 라인(급전 라인)으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전파 에너지로 변환하여 공간에 전파 빔으로 복사하는 역할과 외부에 존재하는 전파 에너지를 반파장 공조에 의하여 수신하고 이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신호 수신 라인(급전 라인)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매개체가 된다.
상기 안테나는 실시형태와 적용 스펙 등에 따라 다양한 제품군을 이루고 있는데, 그 중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는 개방된 형태의 도선에 교류가 인가될 때 전기력선이 축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분포시키는 안테나 형태를 의미하며, 한쪽 패턴의 길이를 수신 대상 파장의 반파장이 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다이폴 안테나는 이동통신 또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수신 신호에 주로 이용되며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이중편파 안테나는 수직 또는 수평 편파만을 가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단일 편파 안테나 대비 일정 각도(±45도)의 편파 2개를 동시에 갖는 안테나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수신(Rx) 경로의 이중화를 구현하거나 송신(Tx)과 수신(Rx)을 하나의 이중편파 안테나로 구현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수신(Rx) 경로를 이중화하는 경우, 이중편파 안테나의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 모두 수신용으로 활용하여 각 신호를 분리 수신 후 합성 비교 분석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의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에서 문제가 되어왔던 페이딩(fading) 현상에 의한 통신 열화를 상당히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수직, 수평 편파에 송신과 수신을 각각 할당할 경우, 기존 2개의 안테나를 하나의 단일 이중편파 안테나로 구현 가능하므로 공간적 활용도가 상당히 높아 비용적인 면에서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일반적인 구조로서 4개의 개별 다이폴을 2개씩 대칭구조로 배열하는 정방형 다이폴(Dipole Square) 구조 또는 2개의 다이폴을 일직선상으로 연장, 크로스 배열하는 크로스 다이폴(Cross Dipole) 구조가 있다. 상기 이중편파 안테나 다이폴 쌍들은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어서 수직과 수평으로 정렬될 수 있는 2개의 선형 편파 신호를 송신(또는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안테나는 수평은 물론이고 수직 편파를 동시에 가지며 편파방향이 ±45도 각도로 작동 가능하다.
한편, 현재의 이동통신 환경은 2G, 3G의 상용화 전개뿐만 아니라 차세대 4G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는 가운데, 통신 시스템 또는 통신 사업자 그리고 여러 국가에 따라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 주파수 대역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슈에 따라 최근 다양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각양 통신기지국의 서비스를 하나의 안테나만을 설치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여 기지국 설치와 운용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이용되는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신호 체계를 이중화하거나 송신 또는 수신 신호를 이원화하는 등의 활용도를 가지나 송수신 대상이 되는 신호의 대역이 특정 대역으로 제한되어 상기와 같은 다원화된 통신 신호 체계가 지향되는 통신 환경에 최적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나의 예로서, 안테나 스트립 라인 간의 간극 조정을 통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최적화시키는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가 종래 개시되어 있으나, 발룬(Balun) 방법에서 벗어나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어느 정도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통신 대역이 협소하여 특정 신호 대역에만 제한된다는 종래 문제를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
또한, 기타 다른 종래의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추가적인 설비 내지 부가 장치가 부설되어야만 구동될 수 있는 등 장치의 설치 및 실현 과정에서 상당한 비효율성이 있으며, 또한, 각 부품을 개별적으로 생산 및 조립하여야 하는 등 양산 체계에 부적합한 물리적 구조로 되어 있어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고 이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상당히 낮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를 광대역 통신 환경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안테나 구조를 개선시키고 더욱 높은 생산성과 활용성을 가질 수 있으면서 격리도가 확보되어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는, 반사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통신 신호의 송수신 매체가 되는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며 다이폴 방사 소자의 길이와 다른 길이를 가지는 금속성 재질의 기생소자가 패터닝되고,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이 구비된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은 중심 부위에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에 구비된 각 기생소자들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부위에서 상호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은 중심 부위에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피씨비 기판의 홈부는 상기 기생소자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제1 피씨비 기판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피씨비 기판의 홈부는 상기 제1 피씨비 기판의 홈부에 대응되며, 제2 피씨비 기판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피씨비 기판의 기생소자는 상기 제1 피씨비 기판의 홈부에 끼워지는 중심부에 제1 피씨비 기판의 기생소자와 상호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비아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에 구비된 각 기생소자들은 상호 솔더링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에 구비된 기생소자는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에 구비된 기생소자와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 간의 이격 거리는 다이폴 방사 소자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λ)의 0.5 ~ 1.5λ를 만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은 상기 급전 라인 측의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접지 라인 측의 다이폴 방사 소자를 가로지르는 정합 선로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합 선로는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와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이 형성된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의 타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합 선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터브가 구비되고, 상기 스터브의 길이를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의 높이는 다이폴 방사 소자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λ)의 0.2 ~ 0.3λ를 만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의 높이는 다이폴 방사 소자의 길이 L을 기준으로 0.1L ~ 0.15L을 만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는 상기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과 만나는 지점에 일정 폭으로 금속성 재질이 제거된 슬릿이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릿의 폭은 다이폴 방사 소자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λ)의 0.3λ 이하를 만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은 상기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이 형성된 부위의 폭이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가 형성된 부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진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가 복수 개 구비된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가 반사면을 제공하며 장방형의 몸체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의 다이폴 방사 소자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편파 특성을 그대로 보유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더욱 현저한 광대역 특성을 지닌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대량 생산에 적합한 형태의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어 더욱 향상된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구조상 더욱 높은 내구성을 가지면서 높은 격리도 확보로 안테나 특성이 향상된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적합성 내지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최적화할 수 있음은 물론 다원화된 신호 체계에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통신 환경에 최적화된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의 기본적인 인프라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결합도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의 일면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의 타면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가 동작했을 때의 반사손실 및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결합도이고, 도 3은 제1 피씨비 기판(a)과 제2 피씨비 기판(b)의 일면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피씨비 기판(a)과 제2 피씨비 기판(b)의 타면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 급전 라인(231a, 231b), 접지 라인(232a, 232b), 기생소자(240a, 240b) 및 정합 선로(250a, 25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상기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2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송수신 전파를 반사하는 반사면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은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200)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이 중심 부위에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통신 신호가 복사 내지 방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직립된 형태로 이루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부위에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는 홈부(215a, 215b)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가 중심 부위에 형성된 서로 간의 홈부(215a, 215b)로 끼움 결합되어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피씨비 기판(210a)은 상기 홈부(215a)가 상기 기생소자(240a)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제1 피씨비 기판(210a)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피씨비 기판(210b)은 상기 홈부(215b)가 상기 제1 피씨비 기판(210a)의 홈부(215a)에 대응되며, 제2 피씨비 기판(210b)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에 구비되는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 급전 라인(231a 231b), 접지 라인(232a, 232b), 기생소자(240a, 240b) 및 정합 선로(250a, 250b)는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의 홈부(215a, 215b)에 의한 구조에 의해 안테나 특성이 열화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신호의 송수신 매체가 되는 요소로서 급전 라인(231a, 231b)을 통하여 전달된 신호를 외계 공간에 전파 빔으로 방사하고, 외계 공간에 존재하는 전파 에너지를 반파장 공조에 의하여 수신하고 이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급전 라인(231a, 231b)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매개체가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급전 라인(231a, 231b)은 소정의 단말, 모듈 또는 시스템 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됨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는 동작하고자 하는 공진 주파수에 따라 길이(L)가 설계되며, 광대역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높이(h)를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λ)의 0.2 ~ 0.3λ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의 면적이 종래의 다이폴 방사 소자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의 길이(L)을 기준으로 0.1L ~ 0.15L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는 상기 급전 라인(231a, 231b) 및 접지 라인(232a, 232b)과 만나는 지점에 일정 폭(w)으로 금속성 재질이 제거된 슬릿(221a, 221b)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슬릿(221a, 221b)은 그 폭(w)이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λ)이 0.3λ 이하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슬릿(221a, 221b)에 의해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에 흐르는 전류에 섭동이 유발되어 전류의 흐름이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의 전체 면적에서 고르게 분포하게 되어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조와 활용의 효율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는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의 일면에 패터닝된 형태로 구현되는데,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는 상기 급전 라인(231a, 231b)에 대응되는 접지 라인(232a, 232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조의 루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 상기 급전 라인(231a, 231b) 및 접지 라인(232a, 232b)의 형태에 대응되는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은 상기 급전 라인(231a, 231b) 및 접지 라인(232a, 232b)이 형성된 부위의 폭이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가 형성된 부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의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 상기 급전 라인(231a, 231b) 및 접지 라인(232a, 232b)이 패터닝될 수 있는 베이스면을 이룰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상기 급전 라인(231a, 231b)과 접지 라인(232a, 232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의 일면 즉,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가 위치한 동일면에 패터닝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 등의 배선 또는 피씨비 패터닝 구현과 케이블 연결의 조합에 의한 방식 등을 포함하여 당업자가 활용 가능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 피씨비 기판(210a)에 구비된 급전 라인(231a)과 접지 라인(232a)의 배치와, 상기 제2 피씨비 기판(210b)에 구비된 급전 라인(231b)과 접지 라인(232b)의 배치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술한 설명에 있어 참조되는 도면 등에 도시된 급전 라인과 접지 라인은, 상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이므로 상호 대응 관계가 있다면 도시된 좌우 방향 등의 위치 관계에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상기 기생소자(240a, 24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의 일면 즉,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가 위치한 동일면에 금속성 재질이 패터닝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기생소자(240a, 240b)는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의 길이(L)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의 이격 거리(s)는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λ)의 0.5 ~ 1.5λ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기생소자(240a, 240b)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결합 효과를 발생시키게 되어 이중 공진에 의한 광대역 확장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 기생소자(240a, 240b)는 동일한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 상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기생결합(Parasitic Coupling) 효과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생 결합 효과는 신호가 인가되는 다이폴 방사 소자와 인접한 위치에 금속성의 소자가 구비되면, 방사 신호가 상기 금속성 소자에 여기되고 상기 금속성 소자의 길이(λ/2)에 대응되는 주파수에서 추가 공진이 발생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f1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다이폴 방사 소자(복사 소자) 근처에 f2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금속성의 소자가 배치되면, f1 및 f2의 이중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생소자(240a, 240b)는 안테나의 격리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피씨비 기판(210a)에 구비된 기생소자(240a)와 제2 피씨비 기판(210b)에 구비된 기생소자(240b)들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부위에서 상호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피씨비 기판(210a)의 기생소자(240a)는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홈부(21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피씨비 기판(210b)의 기생소자(240b)는 제1 피씨비 기판(210a)의 홈부(215a)에 끼워지는 중심부에 제1 피씨비 기판(210a)의 기생소자(240a)와 상호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비아홀(2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생소자(240a, 240b)들을 상호 솔더링 접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그러면, 중심 부분(도 1의 245)을 기준으로 4개의 방향으로 배치된 각 기생소자(240a, 240b)들이 모두 일체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어 안테나의 격리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정합 선로(250a, 25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210a, 210b)의 타면 즉,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 급전 라인(231a, 231b) 및 접지 라인(232a, 232b)과 기생소자(240a, 240b)가 위치한 반대면에 구비되며, 상기 급전 라인(231a, 231b) 측의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 접지 라인(232a, 232b) 측의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제1 피씨비 기판(210a)에 구비된 정합 선로(250a)의 배치와, 제2 피씨비 기판(210b)에 구비된 정합 선로(250b)의 배치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합 선로(250a, 250b)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터브(251a, 251b)가 구비되고, 상기 스터브(251a, 251b)의 길이(t)를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정합 선로(250a, 250b)는 급전 라인(231a, 231b)과 접지 라인(232a, 232b)가 상호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음으로 상기 급전 라인(231a, 231b) 및 접지 라인(232a, 232b)들이 상호 미치는 신호 간섭 등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급전 라인(231a, 231b)과 접지 라인(232a, 232b)이 상호 인접하고 있을 때, 신호 간섭 현상에 의한 불필요한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추가적으로 발생된 커패시턴스 성분은 신호 특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신호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커패시턴스 성분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합 선로(250a, 250b)가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 급전 라인(231a, 231b) 및 접지 라인(232a, 232b)이 형성된 피씨비 기판(210a, 210b)의 반대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정합 선로(250a, 250b)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커패시턴스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급전 라인(231a, 231b) 측의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 접지 라인(232a, 232b) 측의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면서 일정 간격 이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으로 일종의 간섭 성분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여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커패시턴스 성분이 상쇄될 수 있는 전기 물리적 구조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가 동작했을 때의 반사손실 및 격리도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200)는 다이폴 방사 소자(220a, 220b)와 함께 기생소자(240a, 240b)와 정합 선로(250a, 250b)를 추가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각 피씨비 기판(210a, 210b)에 구비된 기생소자(240a, 240b)들이 상호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반사손실이 -15dB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이 1710MHz 내지 2170MHz의 광대역의 대역폭을 커버하면서 해당 주파수 대역폭에서의 격리도가 -25dB 이하로 매우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양호한 광대역 임피던스 매칭 특성과 격리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200)를 복수 개 어레이 구조로 구성하되,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밴드를 이원화 내지 다원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의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200a, 200b, 200c)가 함께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200 :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210a, 210b :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
220a, 220b : 다이폴 방사 소자 231a, 231b : 급전 라인
232a, 232b : 접지 라인 240a, 240b : 기생소자
250a, 250b : 정합 선로

Claims (19)

  1. 반사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통신 신호의 송수신 매체가 되는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며 다이폴 방사 소자의 길이와 다른 길이를 가지는 금속성 재질의 기생소자가 패터닝되고,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이 구비된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은 중심 부위에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에 구비된 각 기생소자들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부위에서 상호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은 중심 부위에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씨비 기판의 홈부는 상기 기생소자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제1 피씨비 기판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씨비 기판의 홈부는 상기 제1 피씨비 기판의 홈부에 대응되며, 제2 피씨비 기판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씨비 기판의 기생소자는 상기 제1 피씨비 기판의 홈부에 끼워지는 중심부에 제1 피씨비 기판의 기생소자와 상호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비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에 구비된 각 기생소자들은 상호 솔더링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에 구비된 기생소자는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에 구비된 기생소자와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 간의 이격 거리는 다이폴 방사 소자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λ)의 0.5 ~ 1.5λ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은 상기 급전 라인 측의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접지 라인 측의 다이폴 방사 소자를 가로지르는 정합 선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선로는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와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이 형성된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선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터브가 구비되고, 상기 스터브의 길이를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의 높이는 다이폴 방사 소자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λ)의 0.2 ~ 0.3λ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의 높이는 다이폴 방사 소자의 길이 L을 기준으로 0.1L ~ 0.15L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는 상기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과 만나는 지점에 일정 폭으로 금속성 재질이 제거된 슬릿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폭은 다이폴 방사 소자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λ)의 0.3λ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씨비 기판은 상기 급전 라인 및 접지 라인이 형성된 부위의 폭이 상기 다이폴 방사 소자가 형성된 부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가 복수 개 구비된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는,
    반사면을 제공하며 장방형의 몸체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의 다이폴 방사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KR1020120034954A 2012-04-04 2012-04-04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KR20130112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954A KR20130112518A (ko) 2012-04-04 2012-04-04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954A KR20130112518A (ko) 2012-04-04 2012-04-04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18A true KR20130112518A (ko) 2013-10-14

Family

ID=4963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954A KR20130112518A (ko) 2012-04-04 2012-04-04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2518A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578A1 (ko) * 2013-11-22 2015-05-28 한국공항공사 전자식 스캔 tacan 안테나
KR20160008401A (ko) * 2014-07-14 2016-01-22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KR101637123B1 (ko) * 2015-04-10 2016-07-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 지향 방사 패턴을 가지는 다이폴 안테나
CN106058416A (zh) * 2016-05-13 2016-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振子、天线和无线通信设备
WO2016176106A1 (en) * 2015-04-28 2016-11-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Solderless dipole clip with capacitive coupling
CN106450751A (zh) * 2015-08-06 2017-02-22 哗裕实业股份有限公司 具片状金属群负载的偶极单元及其应用的天线装置
KR20170039525A (ko) * 2015-10-01 2017-04-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다이폴 espar 안테나
US10033110B2 (en) 2013-11-05 2018-07-24 Kmw Inc. Multi-band, multi-polarized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KR20190123236A (ko) * 2018-04-23 2019-10-31 더 보잉 컴파니 위상 어레이들을 위한 단위 셀 안테나
WO2020141918A1 (ko) * 2019-01-03 2020-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어레이 안테나
CN111463568A (zh) * 2020-03-30 2020-07-28 肇庆市祥嘉盛科技有限公司 一种120°扇区双极化宽频带高增益天线
KR102358984B1 (ko) * 2020-10-28 2022-02-07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휴대형 rfid 리더기용 크로스 야기 안테나
KR102392921B1 (ko) * 2020-12-04 2022-04-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팬-빔 특성을 가지는 밀리미터 웨이브 슬롯 배열 안테나
US11688947B2 (en) 2019-06-28 2023-06-27 RLSmith Holdings LLC Radio frequency connectors, omni-directional WiFi antennas, omni-directional dual antennas for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and related devices, systems, methods, and assemblies
WO2023182753A1 (ko) * 2022-03-23 2023-09-28 휴림네트웍스 주식회사 비발디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모듈
US11777232B2 (en) 2020-09-10 2023-10-03 Integrity Microwave, LLC Mobile multi-frequency RF antenna array with elevated GP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3110B2 (en) 2013-11-05 2018-07-24 Kmw Inc. Multi-band, multi-polarized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US10290929B2 (en) 2013-11-22 2019-05-14 Korea Airports Corporation Electrically scanned TACAN antenna
WO2015076578A1 (ko) * 2013-11-22 2015-05-28 한국공항공사 전자식 스캔 tacan 안테나
KR20160008401A (ko) * 2014-07-14 2016-01-22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다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KR101637123B1 (ko) * 2015-04-10 2016-07-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 지향 방사 패턴을 가지는 다이폴 안테나
WO2016176106A1 (en) * 2015-04-28 2016-11-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Solderless dipole clip with capacitive coupling
CN106450751A (zh) * 2015-08-06 2017-02-22 哗裕实业股份有限公司 具片状金属群负载的偶极单元及其应用的天线装置
KR20170039525A (ko) * 2015-10-01 2017-04-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다이폴 espar 안테나
CN106058416A (zh) * 2016-05-13 2016-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振子、天线和无线通信设备
KR20190123236A (ko) * 2018-04-23 2019-10-31 더 보잉 컴파니 위상 어레이들을 위한 단위 셀 안테나
WO2020141918A1 (ko) * 2019-01-03 2020-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어레이 안테나
US11978951B2 (en) 2019-01-03 2024-05-07 Lg Innotek Co., Ltd. Automotive array antenna
US11688947B2 (en) 2019-06-28 2023-06-27 RLSmith Holdings LLC Radio frequency connectors, omni-directional WiFi antennas, omni-directional dual antennas for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and related devices, systems, methods, and assemblies
CN111463568B (zh) * 2020-03-30 2022-02-08 肇庆市祥嘉盛科技有限公司 一种120°扇区双极化宽频带高增益天线
CN111463568A (zh) * 2020-03-30 2020-07-28 肇庆市祥嘉盛科技有限公司 一种120°扇区双极化宽频带高增益天线
US11777232B2 (en) 2020-09-10 2023-10-03 Integrity Microwave, LLC Mobile multi-frequency RF antenna array with elevated GP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358984B1 (ko) * 2020-10-28 2022-02-07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휴대형 rfid 리더기용 크로스 야기 안테나
KR102392921B1 (ko) * 2020-12-04 2022-04-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팬-빔 특성을 가지는 밀리미터 웨이브 슬롯 배열 안테나
WO2023182753A1 (ko) * 2022-03-23 2023-09-28 휴림네트웍스 주식회사 비발디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2518A (ko) 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EP2346114B1 (en) Dual-frequency / polarization antenna for mobile-communications base station
KR20120086838A (ko) Pcb 기판형 광대역 이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JP5727587B2 (ja) 二偏波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KR20130134793A (ko) 이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AU2004201942B2 (en) Antenna element, feed probe, dielectric spacer, antenna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devices
JP6981475B2 (ja) アンテナ、アンテナの構成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CN201655979U (zh) 复合式多输入多输出天线模块及其系统
US9287633B2 (en) Dual frequency coupling feed antenna and adjustable wave beam module using the antenna
CN102055072B (zh) 宽波束多环形天线模块
CN112956076A (zh) 包括多谐振交叉偶极子辐射元件的天线和相关辐射元件
KR100957852B1 (ko) 고격리 무선 중계기용 광대역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KR20040002481A (ko) 단일의 트윈 접힘 다이폴 안테나
TWI628861B (zh) 複合天線
CN115693182A (zh) 具有成角度馈电柄的辐射元件和包括该辐射元件的基站天线
CN202585725U (zh) 双极化全向吸顶天线
US11264730B2 (en) Quad-port radiating element
GB2424765A (en) Dipole antenna with an impedance matching arrangement
CN111819731B (zh) 多频带基站天线
CN102576936A (zh) 用于减少通信设备中的近场辐射和特殊吸收比率(sar)值的方法
US20170170555A1 (en) Decoupled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3036400A (zh) 辐射元件、天线组件和基站天线
CA2576631A1 (en) Dipole aerial
KR101082775B1 (ko) 광대역 패치 안테나 및 그것을 이용한 중계기
EP2005522B1 (en) Broadband dual polarized base station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