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378A -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378A
KR20160008378A KR1020140088496A KR20140088496A KR20160008378A KR 20160008378 A KR20160008378 A KR 20160008378A KR 1020140088496 A KR1020140088496 A KR 1020140088496A KR 20140088496 A KR20140088496 A KR 20140088496A KR 20160008378 A KR20160008378 A KR 20160008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information
sector
beam direction
user ge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753B1 (ko
Inventor
윤성록
이명환
오종호
장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753B1/ko
Priority to US14/798,870 priority patent/US9629122B2/en
Publication of KR2016000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은,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빔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다른 무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빔 방향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면서 빔포밍을 위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IN WIRELESS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장치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기기 간의 접속은 주변 무선 기기를 탐색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무선 기기는 탐색 기간 동안에 통신 가능한 임의의 채널을 선택하고, 임의의 시간 동안에 해당 채널에 머문 후 다른 임의의 채널로 이동한다. 무선 기기는 각 채널에 머무는 동안 탐색 모드(search mode) 혹은 청취 모드(Listen mode)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기기는 탐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자신의 존재를 주변 무선 기기들로 알리기 위해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 또한, 무선 기기는 청취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주변 무선 기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채널에 위치한 두 무선 기기들 중 하나의 무선 기기가 탐색 모드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의 무선 기기가 청취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이 동일하다면, 두 무선 기기는 서로의 존재를 탐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수행하는 제 1 무선 기기가 탐색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서로 다른 빔 방향으로 비콘 신호를 다수 번 발생한다. 예컨대, 탐색 모드의 제 1 무선 기기는 자신과 통신 가능한 모든 방향의 무선 기기들로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자신이 전송 가능한 모든 방향에 대해 빔을 변경해가면서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청취 모드의 제 2 무선 기기는 탐색 모드의 제 1 무선 기기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 중에서 가장 신호 품질이 우수한 비콘 신호의 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청취 모드의 제 2 무선 기기는 제 1 무선 기기가 사용할 빔 방향을 선택한 후, 선택된 빔 방향 정보를 섹터 스윕 신호에 실어 제 1 무선 기기로 전달한다. 이때 제 2 무선 기기는 자신이 사용할 빔 방향을 아직 결정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자신이 전송 가능한 모든 방향에 대해 빔을 변경해가면서 섹터 스윕 신호를 전송한다. 제 1 무선 기기는 제 2 무선 기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섹터 스윕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섹터 스윕 신호를 바탕으로 자신이 사용할 빔 방향과 가장 신호 품질이 우수한 섹터 스윕 신호의 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 무선 기기는 선택된 빔 방향을 섹터 스윕 신호에 실어 제 2 무선 기기로 전달한다. 이후, 제 1 무선 기기와 제 2 무선 기기는 각 무선 기기의 정보 혹은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빔포밍을 지원하는 무선 기기간 통신은 제 1 무선 기기가 탐색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과 제 2 무선 기기 가 청취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이 겹치는 경우에만 제 1 무선 기기와 제 2 무선 기기가 서로를 탐색할 수 있으므로, 실제 무선 기기가 서로를 탐색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기기들 각각은 전송 가능한 모든 빔 방향(예: 802.11ad 표준에서는 최대 128개의 방향)에 대해 각각 비콘 신호 및 섹터 스윕 신호를 송신하는 절차를 수행해야하므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많은 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무선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한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무선 기기 간의 탐색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OOB(Out of Band) 무선 기술을 통해 무선 기기 간의 접속을 위한 정보를 사전 교환하여, 무선 기기 간의 빔 방향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빔 방향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사전에 교환하여, 무선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한 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 선호 정보와 안테나 배치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기기 간의 빔 방향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기기에서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대 무선 기기와 통신을 위한 빔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은,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빔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다른 무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장치는,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빔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다른 무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OOB 무선 기술을 통해 무선 기술을 사용자 제스처 정보를 교환하고, 교환된 사용자 제스처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기기 간의 초고주파 통신을 위한 초기 빔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빔 방향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면서 빔포밍을 위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 간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무선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한 빔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무선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해 빔 방향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 간의 상세한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a 내지 도 6c는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 간의 빔 방향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명세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무선 기기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단말(mobile station, MS),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무선 기기 간의 빔 방향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 간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무선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한 빔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기기는 101단계에서 다른 무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빔 방향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는 101단계에서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다른 무선 기기로부터 OOB를 이용하는 통신 기술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제스처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예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해 다른 무선 기기가 감지될 시,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다른 무선 기기와 후면을 맞대고 있는 상황임을 감지하고, 후면의 빔 방향을 초기 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R(Infrared Ray)을 통해 다른 무선 기기가 감지될 시,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무선 기기의 상단 정면(혹은 상단 측면)과 다른 무선 기기의 상단 정면(혹은 상단 측면)이 마주한 상황임을 감지하고, 상단 정면(혹은 상단 측면)의 빔 방향을 초기 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기기의 좌 측면이 다른 무선 기기가 위치한 방향임을 감지하고, 좌 측면의 빔 방향을 초기 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c에 대한 보다 상세한 예로, 무선 기기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을 기반으로 초기 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 기기는 다른 무선 기기를 감지한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상대 무선 기기가 자신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대 무선 기기가 자신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 기기는 각각의 통신 기술과 빔 방향의 매핑 관계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따라 무선 기기는 NFC가 무선 기기의 후면 빔 방향과 매핑되고, IR이 무선 기기의 상단 정면 빔 방향과 매핑됨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서는, OOB의 예로 NFC와 IR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OOB를 이용하는 다른 통신 기술 혹은 특정 방향성을 갖는 다른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무선 기기가 다른 무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빔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OOB를 이용하여 빔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 혹은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빔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무선 기기는 다른 무선 기기와 60GHz를 통해 직접 방향성 정보를 교환하여 빔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무선 기기와 다른 무선 기기 각각은 카메라를 통해 상대 무선 기기를 촬영하여 상대 무선 기기가 위치한 방향에 대응하는 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무선 기기는 103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빔 방향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는 101단계에서 설정된 빔 방향을 통해 상대 무선 기기와의 링크 설정 절차를 수행하여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는 무선 기기에서 지원 가능한 모든 방향으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여 빔 방향을 결정하는 빔 훈련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101단계와 같이 설정된 빔 방향을 이용하여 60Ghz 대역으로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무선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 간의 통신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무선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해 빔 방향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빔 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경우이고, 도 3b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빔 방향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서 제 1 무선 기기(300)는 수신 기기이고, 제 2 무선 기기(310)는 송신 기기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무선 기기(3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안테나 빔 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 수신 그래픽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301)되는 것을 감지하고, 데이터 수신 그래픽이 회전된 좌측 방향으로 빔 방향을 설정(302)한다. 또한, 제 2 무선 기기(31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컨텐츠가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303) 되는 것을 감지하여 우측 방향으로 빔 방향을 설정(304)할 수 있다. 이후, 송신 기기인 제 2 무선 기기(310)는 설정된 빔 방향으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무선 기기(310)는 제 2 무선 기기(310)로부터의 프로브 요청를 수신하여 CIR(Channel Impulse Response) 값을 추정(305)하고, 추정된 CIR을 기반으로 가시 경로(LOS: Line Of Sight)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무선 기기(310)는 CIR 값이 가시 경로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경우, 프로브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대 무선 기기와 초고주파 통신을 위한 링크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무선 기기(300)와 제 2 무선기기(31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빔 방향을 설정하고 서로의 존재를 감지함으로써, 일반적인 무선 기기간의 탐색 과정에서 수행되는 모든 동작들(예: 주변 무선 기기 탐색, 및 빔 방향 설정 등)을 생략하고,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 1 무선 기기(3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안테나 빔 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 수신 그래픽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311)되는 것을 감지하고, 데이터 수신 그래픽이 회전된 좌측 방향으로 빔 방향을 설정(312)한다. 또한, 제 2 무선 기기(31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컨텐츠가 2시 방향으로 드래그(313) 되는 것을 감지하여 2시 방향으로 빔 방향을 설정(314)할 수 있다. 이후, 송신 기기인 제 2 무선 기기(310)는 설정된 빔 방향으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무선 기기(310)는 제 2 무선 기기(310)로부터의 프로브 요청를 수신하여 CIR(Channel Impulse Response) 값을 추정(315)하고, 추정된 CIR을 기반으로 가시 경로(LOS: Line Of Sight)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무선 기기(310)는 CIR 값이 가시 경로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NACK을 전송하거나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무선 기기(300)와 제 2 무선 기기(310) 중 적어도 하나는 빔 방향 설정 오류를 나타내거나 빔 방향 재설정을 요구하는 그래픽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빔 방향에 대해, 프로브 신호를 송수신하여 가시 경로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사용자의 순간적인 손 떨림 등에 의해 빔 방향이 정확히 설정되지 않은 상황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도 3a 및 도 3b에서는, 사용자가 빔 방향을 설정하는 일 예로써, 다른 방식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빔 방향이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상대 무선 기기가 위치한 방향 정보(혹은 빔 방향 정보)를 텍스트, 문자, 혹은 숫자 형태로 직접 입력받거나, 메뉴 혹은 아이콘 선택을 통해 상대 무선 기기가 위치한 방향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 간의 상세한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기기는 401단계에서 OOB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 간의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사전 정보를 교환한다. 여기서, 사전 정보는 무선 기기의 식별 정보, 무선 기기기와 상대 무선 기기의 인접성을 나타내는 정보,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사용자 제스처 관련 정보, 혹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통신 기술 방식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통신 방향에 대한 정보, 안테나 배치 정보, 및 암호 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기능이 켜진 상태의 무선 기기가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NFC 기능이 켜진 다른 무선 기기와 임계 거리(예: 약 1cm 이내) 이내로 밀착되면, 무선 기기는 밀착된 상대 무선 기기를 NFC를 통해 감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R 기능이 켜진 상태의 무선 기기가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IR 기능이 켜진 다른 무선 기기가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게 될 시, 무선 기기는 임계 거리 이내의 상대 무선 기기와 IR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기기는 빔 방향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포함하는 사전 정보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교환할 수 있다.
이후, 무선 기기는 403단계에서 사전 교환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대 무선 기기와의 거리를 추정하고, 405단계에서 추정된 거리가 임계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무선 기기는 상대 무선 기기와의 거리가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한 예로, 무선 기기는 IR을 통해 사전 정보가 교환된 경우, 상대 무선 기기와 사전 정보 교환 절차 시에 송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RTT(Round Trip Time)를 측정하고, 측정된 RTT를 바탕으로 상대 무선 기기와의 거리를 추정한 후, 추정된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무선 기기는 RTT 값을 임계 RTT와 비교하여 상대 무선 기기와의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c 및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빔 방향이 설정된 경우, 무선 기기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RTT를 측정하고, 측정된 RTT를 바탕으로 상대 무선 기기와의 거리를 추정한 후, 추정된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NFC를 통해 사전 정보가 교환된 경우, 거리 추정 및 추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생략하고, 하기 407단계로 바로 진행할 수 있다. 이는, NFC는 무선 기기와 상대 무선 기기가 밀착된 이후에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NFC가 가능한 거리인 경우, 무신 기기간의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일, 추정된 거리가 임계 거리 이상일 경우, 무선 기기는 상대 무선 기기와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423단계로 진행하여 트라이 밴드 링크 설정 프로토콜에 따라 상대 무선 기기로 빔 방향을 형성하는 송수신 빔을 결정 할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는 표준 규격에서 정의한 통신 방식의 링크 설정 프로토콜에 따라 상대 무선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후, 무선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추정된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무선 기기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초고주파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 409단계로 진행하여 사전 교환된 정보를 기반으로 빔 방향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는 401단계에서 OOB를 통해 교환된 사전 정보를 기반으로 상대 단말이 위치한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초기 빔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예로, 무선 기기는 상대 기기와 NFC를 통해 사전 정보를 교환한 경우, NFC와 미리 매핑된 후면 방향에 대응하는 빔 방향을 초기 빔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무선 기기는 상대 기기와 IR을 통해 사전 정보를 교환한 경우, IR과 미리 매핑된 상단 정면(혹은 상단 측면)에 대응하는 빔 방향을 초기 빔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무선 기기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방향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방향에 가장 가까운 빔 방향을 초기 빔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무선 기기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무선 기기의 안테나 배치도에 선택된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안테나 배치도는 무선 기기에 설치된 빔 안테나 혹은 배열 안테나의 위치, 방향, 섹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섹터는 빔 폭이 좁은 다수 개의 빔 방향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빔 폭의 빔 방향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빔 폭이 좁은 다수 개의 빔 방향을 포함하는 빔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는 설계 방식에 따라 모든 방향에 대해 빔 안테나 혹은 배열 안테나를 구비할 수도 있고, 특정 방향에 대해서만 빔 안테나 혹은 배열 안테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기기는 무선 기기의 후면 방향, 전면 방향, 좌측 방향, 우측 방향, 하단 측면 방향, 및 상단 측면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방향 각각에 대해 빔 안테나 혹은 배열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기기는 무선 기기의 상단 측면 방향,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에 대해 빔 안테나 혹은 배열 안테나들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기기는 무선 기기의 안테나 배치도에서 나타내는 다수의 섹터들 중에서 선택된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혹은 초기 빔 방향을 포함하는 섹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선택된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 기기는 421단계로 진행하여 안테나 배치도에서 나타내는 모든 섹터에 대한 SLS(sector Level Sweep)를 수행하여 빔을 결정한다. 여기서, SLS는 802.11ad 시스템에서 링크 감지(link detection)를 수행하는 프로토콜로서, 무선 기기들이 빔의 방향만을 변경하면서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송수신하고, 성공적으로 수신된 프레임들 중에서 수신 채널 링크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예: SNR(Signal to Rat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이 가장 좋은 빔 방향을 선택하는 빔 훈련 방식을 의미한다. 예컨대, 무선 기기에서 초기 빔 방향으로 후면 방향이 선택되었으나, 후면 방향으로 배치된 안테나 혹은 배열 안테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대 무선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빔 방향을 찾기 위해, 자신이 지원 가능한 모든 빔 방향으로 비콘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예컨대,무선 기기의 후면 방향에 상대 무선 기기가 위치해 있고, 무선 기기가 후면 방향으로의 빔 형성이 불가능하더라도 반사 등에 의해 무선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빔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무선 기기에서 지원 가능한 모든 빔 방향으로 비콘 프레임을 송수신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채널 링크의 성능 지표가 가장 좋은 방향에 대응하는 빔을 송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무선 기기는 419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빔 방향에 대응하는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상대 무선 기기와 결합 및 핸드웨이크 절차를 수행하여,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무선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선택된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할 경우, 무선 기기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안테나 배치도에서 선택된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의 수가 다수 개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빔 방향이 후면 방향인 경우, 안테나 배치도에서 후면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다수 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다른 예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방향이 3시 방향인 경우, 3시 방향에 대응하는 빔을 기준으로 인접한 소정 개수의 빔들을 확인한 후, 해당 빔들이 다수 개의 섹터에 포함되는지, 혹은 하나의 섹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만일, 선택된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다수개인 경우, 무선 기기는 415단계에서 선택된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섹터에 대한 부분적인 SLS를 수행하여 하나의 섹터를 선택하고, 417단계에서 선택된 섹터에 대한 BRP(Beam Refinement Protocol)를 수행하여 보다 세밀한 좁은 빔 폭을 갖는 빔을 결정한다. 예컨대, 무선 기기는 후면 방향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섹터들에 대한 SLS를 수행하여 후면 방향의 섹터들 중에서 채널 링크의 성능 지표가 가장 좋은 섹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섹터에 대한 BRP를 수행하여 해당 섹터에 대응하는 빔 방향들 중에서 데이터 전송율을 최대화할수 있는 방향에 대응하는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BRP는 특정 빔 방향에서 데이터 전송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빔 방향을 세밀하게 조절하는 프로토콜로서, BRP 프로토콜을 위해 정의된, 빔 훈련 정보와 훈련 결과를 보고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BRP 프레임을 이용하여 빔 방향을 선택하는 빔 훈련 방식이다. 예를 들어, BRP는 SLS 혹은 다른 수단을 통해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BRP 프레임을 송수신하고, 성공적으로 송수신된 BRP 프레임의 끝 부분에 포함된 빔 훈련 시퀀스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빔 훈련을 수행하는 빔 훈련 방식을 의미한다. SLS는 빔 훈련을 위해서 프레임 자체를 이용하나, BRP는 빔 훈련 시퀀스만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의 수가 다수개인 경우, 섹터 단위로 SLS를 수행하여 하나의 섹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섹터에 대해 BRP를 수행하여 섹터보다 좁은 빔 폭을 가지면서 전송율을 최대화시키는 방향의 빔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설계 방식에 따라 섹터보다 좁은 빔 폭 단위로 SLS를 수행하여 채널 링크 성능 지표가 가장 좋은 빔을 결정함으로써 BRP를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빔 훈련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섹터 단위로 SLS를 수행하고 BRP를 수행하는 것이, 좁은 빔 폭 단위로 SLS를 수행하는 것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 수가 단일 개이면서 섹터에 대응하는 빔 폭이 좁은 경우에는 SLS와 BRP를 모두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무선 기기는 419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빔 방향에 대응하는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상대 무선 기기와 결합 및 핸드웨이크 절차를 수행하여,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무선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선택된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하나인 경우, 무선 기기는 417단계에서 선택된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하나의 섹터에 대한 BRP(Beam Refinement Protocol)를 수행하여 보다 세밀한 빔 방향을 결정한다. 예컨대, 무선 기기는 후면 방향에 대응하는 특정 섹터에 대한 BRP를 수행하여 후면 방향으로 보다 좁은 빔 폭을 갖는 송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무선 기기는 419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빔 방향에 대응하는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상대 무선 기기와 결합 및 핸드웨이크 절차를 수행하여,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무선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종료한다.
상술한 도 4에서는, 사전 교환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초기 빔 방향이 세밀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여,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SLS 및/혹은 BRP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사전 교환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초기 빔 방향이 세밀한 경우, SLS 및 BRP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도 4에서는, 무선 기기가 OOB를 통해 상대 무선 기기와 사전 정보를 교환하여 빔 방향을 선택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무선 기기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빔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고, 60GHz를 통해 직접 방향성 정보를 교환하여 빔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상대 무선 기기를 촬영하여 상대 무선 기기가 위치한 방향에 대응하는 빔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기기는 제어부(500), 제 1 통신 시스템(510), 안테나(520), 제 2 통신 시스템(530), 저장부(540), 입력부(550), 및 출력부(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무선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다른 무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초기 빔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OOB(Out Of Band)를 이용하는 통신 기술을 통해 다른 무선 기기와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생성, 입력, 혹은 교환된 정보를 기반으로 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다른 무선 기기와 후면을 맞대고 있는 상황에서, NFC를 통해 다른 무선 기기와 사전 정보를 교환하여 후면 방향을 초기 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5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무선 기기의 상단 정면(혹은 상단 측면)과 다른 무선 기기의 상단 정면(혹은 상단 측면)이 마주한 상황에서 IR(Infrared Ray)을 통해 다른 무선 기기와 사전 정보를 교환하고, 상단 정면(혹은 상단 측면) 방향을 초기 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50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기기의 좌 측면이 다른 무선 기기가 위치한 방향임을 감지하고, 다른 무선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가시 경로를 확인한 후, 좌 측면의 빔 방향을 초기 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설정된 초기 빔 방향이 세밀한 빔에 대응되는 경우, 초기 빔 방향을 기반으로 송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500)는 설정된 초기 빔 방향이 세밀한 빔에 대응되지 않고, 보다 넓은 빔(예: 섹터)에 대응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초기 빔 방향을 기반으로 SLS 및/혹은 BRP를 수행하여 송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초기 빔 방향이 설정된 후, 안테나 배치 정보를 기반으로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하는지 결정한다. 제어부(500)는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하지 않을 시, 무선 기기에서 지원 가능한 모든 빔 방향에 대해 SLS를 수행하여 다른 무선 기기와 통신을 위한 송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할 시, 해당 섹터의 개수에 따라 BRP만을 수행하거나, SLS를 수행한 후 BRP를 수행하여 다른 무선 기기와 통신을 위한 송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500)는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하나의 섹터에 대해 BRP를 수행하여 송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500)는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의 개수가 다수개인 경우, 섹터 단위의 SLS를 수행하여 하나의 섹터를 선택한 후, 선택된 섹터에 대해 BRP를 수행하여 송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500)는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의 개수가 다수개인 경우, 빔 단위의 SLS를 수행하여 BRP를 수행하지 않고, 송수신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 시스템(510)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20)를 통해 다른 무선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시스템(510)은 안테나(520)를 통해 특정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여 60GHz의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통신 시스템(510)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수의 부호화기, 다수의 변조기, 다수의 부반송파 매핑기, 다수의 변조기 및 다수의 RF 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제 1 통신 시스템(510)은 디지털 빔포밍, 안테나를 물리적으로 움직이는 빔포밍, 사전에 정의된 각 빔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안테나 묶음들 혹은 배열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의 송수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통신 시스템(530)은 OOB(Out Of Band)를 통해 다른 무선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시스템(530)은 NFC, IR 혹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다른 무선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 2 통신 시스템(530)은 제어부(500)의 제어 하에, 제 1 통신 시스템이 특정 방향으로 빔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해, 다른 무선 기기와 사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무선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540)는 각각의 통신 기술과 빔 방향의 매핑 관계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무선 기기의 안테나 배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550)는 사용자 제스처에 의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550)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키 버튼, 터치 센서, 터치 패드, 키패드,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50)는 다른 무선 기기와의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출력부(560)는 무선 기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그래픽 데이터 및/혹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56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560)는 다른 무선 기기와의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빔 방향을 사용자에게 설정해줄 것을 요청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 간의 빔 방향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기기 간의 빔 방향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반면,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초기 빔 방향으로 즉시 송수신 빔을 결정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라 초기 빔 방향으로 BRP를 수행하여 송수신 빔을 결정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기기는 상대 무선 기기를 발견(600)한 후, 지원 가능한 128개의 빔 각각에 대해 비콘 신호를 송신하고, 지원 가능한 128개의 빔 각각으로 상대 무선 기기의 신호를 수신한 후, 인증 및 결합 과정(604)을 수행한다. 즉, 무선 기기는 128번 송신 빔을 변경하고, 128번 수신 빔을 변경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는 상대 무선 기기를 발견(610)한 후,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초기 빔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초기 빔 방향을 기반으로 즉시 송수신 빔을 결정(612)하고, 인증 및 결합 과정(614)을 수행함으로써, 총 256번의 빔 변경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는 상대 무선 기기를 발견(620)한 후,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초기 빔 방향을 설정(622)설정된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에 대해 BRP를 수행(623)를 수행하고, 인증 및 결합 과정(624)을 수행함으로써, 256번의 빔 변경을 수행하지 않고,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에 포함된 빔 수만큼만 빔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기기가 송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빔 훈련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은 단일의 제어부에 의해 그 동작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단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이나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지국 또는 릴레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빔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다른 무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빔을 결정하는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빔 방향으로 빔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빔으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가시 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가시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빔을 최종 빔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가시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빔 방향 재설정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빔을 결정하는 과정은,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OOB(Out Of Band) 기반의 통신 기술을 통해 사전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OOB 기반의 통신 기술 및 교환된 사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빔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OOB 기반의 통신 기술 및 교환된 사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빔을 설정하는 과정은,
    OOB 기반의 통신 기술 별 방향 매핑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OOB 기반의 통신 기술에 매핑된 방향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방향을 기반으로 빔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보는, 무선 기기의 식별 정보, 무선 기기기와 다른 무선 기기의 인접성을 나타내는 정보,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사용자 제스처 관련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통신 기술 방식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통신 방향에 대한 정보, 안테나 배치 정보, 및 암호 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빔을 결정하는 과정은,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초기 빔 방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기기의 안테나 배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할 시,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를 대상으로 빔 훈련 절차를 수행하여 최종 빔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를 대상으로 빔 훈련 절차를 수행하여 최종 빔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의 수가 하나일 시, 하나의 섹터에 대해 BRP를 수행하여 최종 빔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를 대상으로 빔 훈련 절차를 수행하여 최종 빔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의 수가 다수개일 시, 상기 다수 개의 섹터에 대해 섹터 단위의 SLS를 수행하여 하나의 섹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하나의 섹터에 대해 BRP를 수행하여 최종 빔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하지 않을 시, 모든 빔들에 대해 빔 훈련 절차를 수행하여 최종 빔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OOB(Out Of Band) 기반의 통신 기술을 통해 상기 무선 기기와 다른 무선 기기가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기기와 상기 다른 무선 기기가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무선 기기와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12.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빔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다른 무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빔 방향으로 상기 빔을 설정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빔으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가시 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가시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빔을 최종 빔으로 결정하고, 상기 가시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빔 방향 재설정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OOB(Out Of Band) 기반의 통신 기술을 통해 사전 정보를 교환하는 서브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OOB 기반의 통신 기술 및 교환된 사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빔을 설정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OOB 기반의 통신 기술 별 방향 매핑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OOB 기반의 통신 기술에 매핑된 방향을 확인고, 상기 확인된 방향을 기반으로 빔을 설정하는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보는, 무선 기기의 식별 정보, 무선 기기기와 상대 무선 기기의 인접성을 나타내는 정보,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사용자 제스처 관련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통신 기술 방식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통신 방향에 대한 정보, 안테나 배치 정보, 및 암호 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초기 빔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무선 기기의 안테나 배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할 시,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를 대상으로 빔 훈련 절차를 수행하여 최종 빔을 결정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의 수가 하나일 시, 하나의 섹터에 대해 BRP를 수행하여 최종 빔을 결정하는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의 수가 다수개일 시, 상기 다수 개의 섹터에 대해 섹터 단위의 SLS를 수행하여 하나의 섹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섹터에 대해 BRP를 수행하여 최종 빔을 결정하는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빔 방향에 대응하는 섹터가 존재하지 않을 시, 모든 빔들에 대해 빔 훈련 절차를 수행하여 최종 빔을 결정하는 장치.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OOB(Out Of Band) 기반의 통신 기술을 통해 상기 무선 기기와 다른 무선 기기가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기기와 상기 다른 무선 기기가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무선 기기와 초고주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KR1020140088496A 2014-07-14 2014-07-14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140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496A KR102140753B1 (ko) 2014-07-14 2014-07-14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US14/798,870 US9629122B2 (en) 2014-07-14 2015-07-14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in wireles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496A KR102140753B1 (ko) 2014-07-14 2014-07-14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378A true KR20160008378A (ko) 2016-01-22
KR102140753B1 KR102140753B1 (ko) 2020-08-03

Family

ID=5506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496A KR102140753B1 (ko) 2014-07-14 2014-07-14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29122B2 (ko)
KR (1) KR1021407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686A (ko) * 2019-04-05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페어링 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
US11088742B2 (en) 2017-12-06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2768B (zh) * 2014-09-10 2019-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连接的建立方法及终端设备
KR102258052B1 (ko) * 2014-09-25 2021-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79525B1 (ko) * 2015-09-24 202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패턴 선택 프로세스 수행 장치 및 방법
WO2017184190A1 (en) * 2016-04-18 2017-10-26 Intel Corporation Selection of beamforming directions based on learned performance
US10154388B2 (en) * 2016-09-15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irectional sharing based on antenna sectors
EP3351957B8 (en) * 2017-01-20 2021-12-29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and device for direction finding with direction evaluation
US10454553B2 (en) 2017-03-01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forming method for a transmitting antenna and a device thereof
WO2018164614A1 (en) 2017-03-08 2018-09-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beamspace
CN107453825B (zh) * 2017-07-26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信控制的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43124B2 (en) 2017-08-15 2022-05-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ase station wireless channel sounding
US10432330B2 (en) 2017-08-15 2019-10-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ase station wireless channel sounding
US10834689B2 (en) 2017-08-15 2020-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ase station wireless channel sounding
US10638340B2 (en) 2017-08-15 2020-04-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ase station wireless channel sounding
JP2019062505A (ja) * 2017-09-28 2019-04-1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1032721B2 (en) 2017-10-13 2021-06-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inimization of drive tests in beamform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091662B1 (en) 2017-10-13 2018-10-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ustomer premises equipment deployment in beamform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9079341A1 (en) * 2017-10-16 2019-04-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IRECT VISIBILITY (LOS)
US11134534B2 (en) * 2017-10-23 2021-09-28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System on a chip with multiple cores
US11510259B2 (en) * 2018-12-03 2022-11-22 Encarnacion Gonzalez Directionally oriented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with optional telephony or network handoff
US11081910B2 (en) 2019-03-30 2021-08-03 AeroCharg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JP7398874B2 (ja) * 2019-04-11 202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並びにその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510243B2 (en) * 2019-07-24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countdown and improvements for a beam based channel access procedure
US11082265B2 (en) 2019-07-31 2021-08-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ime synchronization of mobile channel sound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9731A1 (en) * 2007-04-17 2008-10-23 Happonen Aki P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r controlled beamforming
KR20110134196A (ko) * 2010-06-08 2011-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 리더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구동집적회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집적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구동모듈, 무선이동통신시스템 및 rfid 리더 시스템.
KR20130136561A (ko) * 2011-04-28 2013-12-12 인텔 코오퍼레이션 무선으로 콘텐츠를 전달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48107A1 (en) * 2012-11-28 2014-05-29 Alexander Maltsev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With Beamforming Assistance in a Wirel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5678B1 (en) * 2005-08-05 2011-05-17 F5 Networks, Inc. Link load balancer that controls a path for a client to connect to a resource
KR20090116079A (ko) 2008-05-06 2009-11-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기지국 제어기의 빔 포밍 시스템 및 방법
US9801226B2 (en) * 2013-12-28 2017-10-24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improve link with out-of-band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9731A1 (en) * 2007-04-17 2008-10-23 Happonen Aki P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r controlled beamforming
KR20110134196A (ko) * 2010-06-08 2011-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 리더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구동집적회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집적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구동모듈, 무선이동통신시스템 및 rfid 리더 시스템.
KR20130136561A (ko) * 2011-04-28 2013-12-12 인텔 코오퍼레이션 무선으로 콘텐츠를 전달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48107A1 (en) * 2012-11-28 2014-05-29 Alexander Maltsev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With Beamforming Assistance in a Wireless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Zhang, J. Salmi and E. S. Lohan, "Analysis of kurtosis-based LOS/NLOS identification using indoor MIMO channel measurement",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62, no.6, pp.2871-2874(2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8742B2 (en) 2017-12-06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200117686A (ko) * 2019-04-05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페어링 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753B1 (ko) 2020-08-03
US20160014722A1 (en) 2016-01-14
US9629122B2 (en)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753B1 (ko)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JP6692601B2 (ja) 無線ドッキングの構成及び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21930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stimated direction and position of a target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225694B2 (en) Wireless login with secure proximity detection
US9509418B2 (en) Wireless docking link budget optimization system
US20130178163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CN109690967B (zh) 基于天线扇区的无线定向共享
KR20210034270A (ko) LoS 경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9246565B2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 for selecting remote radio head
US98131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angle
EP3678377A1 (en)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system
WO2019024795A1 (zh) 天线波束侦测系统、方法及移动终端
KR102393824B1 (ko) 복수의 통신 방식들 중 신호의 강도에 기반하여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JP6853272B2 (ja) 送信装置、送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706210B1 (ko) 기지국 및 그것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협력 통신 방법
CN106604293B (zh) 具有无线千兆比特能力的设备配置
US10187807B2 (en) Antenna array uplink sector selection and deselection based on coexistence with other in-device radios
JP2010219794A (ja) 無線機器
CN107438277B (zh) 可快速建立wps联机的网络系统及其wps联机方法
TWI540851B (zh) 射頻訊號處理方法及無線通訊裝置
JP2019533968A (ja) 感圧タッチによる通信強化方法および端末
EP3232707B1 (en) Method for acquiring channel spa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