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116A - Food forming apparatus and sushi mat for food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ood forming apparatus and sushi mat for food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116A
KR20160008116A KR1020150095904A KR20150095904A KR20160008116A KR 20160008116 A KR20160008116 A KR 20160008116A KR 1020150095904 A KR1020150095904 A KR 1020150095904A KR 20150095904 A KR20150095904 A KR 20150095904A KR 20160008116 A KR20160008116 A KR 20160008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base
hors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츠시 누마베
다카시 호소가네
사토시 미무라
준야 우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6000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1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P1/086
    • A23L1/007
    • A23P1/087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Landscapes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haping device which can easily mount a rolling frame on a base or separate the rolling frame from the base as well as remove protrusion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and a rolling frame therefor. The food shaping device includes: a base (3) capable of arranging a rolling frame (2) for rolling a plate-shaped food product to be shaped into a rod shape thereon; and a shaping unit which supplies a food material to the rolling frame (2) arranged on the base (3) while shaping the food material linearly and continuously in order to shape the food material to the plate-like food product. The base (3) includes a suction force generation member (23) generating suction force between itself and the rolling frame (2).

Description

식품 성형 장치 및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Food forming apparatus and sushi mat for food forming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forming apparatus and a food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품을 판형으로 성형하는 식품 성형 장치 및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簾)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molding apparatus for molding a food into a plate shape and a horse shoe for a food molding apparatus.

김말이 초밥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은 말이초밥을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식품 성형 장치가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그 중 하나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품 성형 장치는, 슈퍼마켓이나 회전초밥 점포 등의 넓이가 한정된 작업장에서 특히 자주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품 성형 장치는 넓이가 한정된 작업장에 설치 가능하여 봉상(棒狀) 식품의 성형 작업의 효율화에 기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품 성형 장치는, 식초밥 등의 식재를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식재를 판형으로 압연하는 압연부와, 판형으로 압연된 식품을 말아 봉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말이 발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말이 발은 고정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회전 플레이트는 리프터에 의해 회전된다.A food mold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manufacturing sushi without requiring skill is provided for practical use. The inventio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one of them. The food mold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used particularly frequently in a workshop having a limited area such as a supermarket or a rotary sushi store. Such a food molding apparatus can be installed in a workshop having a limited area,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fficiency of the molding work of the bar-shaped food. The food mold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hopper for inputting a plant material such as sushi, a rolling section for rolling the plant material into a plate shape, and a horse for shaping the food material rolled into a plate shape into a rod shape. The horseshoe has a fixed plate and a rotary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plate. The rotating plate is rotated by the lifter.

상기 말이 발 위에는 판형으로 압연된 식품이 놓인다. 리프터가 말이 발의 회전 플레이트를 밀어올리고, 또한, 회전 플레이트가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판형 식품이 봉상으로 성형된다. 즉, 봉상 김말이는 말이 발 위에 시트형상 김이 놓이고, 또한, 그 김 위에 판형으로 압연된 식품이 놓여서 말이 발로 성형됨으로써 성형된다.On the horse's feet, the plate-rolled food is placed. The lifter pushes up the rotary plate of the foot and the rotary plat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plate so that the plate-like food is formed into a bar shape. That is, the bar-shaped rice husk is formed by putting the sheet-shaped roasting on the horse's foot and placing the food rolled in the form of plate on the roasting to form the horse's foot.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품 성형 장치는 식품을 봉상으로 성형하는 공정까지 행한다. 그 때문에, 식품 성형 장치의 조작자는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균일한 김말이 등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품 성형 장치는 식품을 봉상으로 성형하는 공정까지 행한다. 그 때문에, 식품 성형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식품 성형 장치의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품 성형 장치에 있어서 봉상으로 성형하는 공정의 동작이 복잡하기 때문에, 봉상으로 성형하는 공정의 작업시간 단축에 과제가 있었다.The food mold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lso performs a step of molding the food into a rod shape. Therefore, the operator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can efficiently produce a uniform rice gruel without requiring skill. However, the food mold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lso carries out a step of molding the food into a bar shape.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is complicated and the cost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is increased. Further, in the food molding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operation of the step of molding into the rod-like shape is complicated, and therefor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shortening the working time of the step of molding into the rod-like shape.

그래서, 식품을 봉상으로 성형하는 기구를 생략하고, 식재를 판형으로 성형하는 기구만을 구비한 식품 성형 장치의 수요도 있다. 이 식품 성형 장치는 균일한 양의 식재를 자동으로 판형으로 성형한다. 그 때문에, 이 식품 성형 장치는 작업 효율화가 어려운 공정인 찰기 있는 식재를 판형으로 성형하는 공정에 있어서 작업 능률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식품 성형 장치로 성형된 판형 식품이 봉상으로 성형되기 위해서는 사람 손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한정된 작업 현장에서 대량으로 제조하는 것과 같은 경우 이러한 태양의 작업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lso a demand for a food molding apparatus having only a mechanism for molding a food material into a plate shape by omitting a mechanism for molding food into a rod shape. This food molding machine automatically molds a uniform amount of food into a plate. Therefore, this food molding apparatus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he work efficiency in the step of molding the plate-shaped foodstuff having a stickiness, which is a process which is difficult to be efficiently performed. In order for the plate-shaped food molded by such a food molding apparatus to be formed into a bar shape, a human hand is required. However, in the case of mass production at a limited work site, the work of such a sun is required.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반자동 김말이기는, 식품을 봉상으로 성형하는 기구를 생략한 식품 성형 장치의 예이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반자동 김말이기는, 식재를 판형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성형부의 하방에는 말이 발을 올려놓는 베이스가 있다. 베이스는 진퇴 가능하다. 베이스에는 말이 발이 놓인다. 반자동 김말이기가 식재를 성형부에서 성형하면서 말이 발을 놓은 베이스를 이동시키면, 판형으로 성형된 식초밥 등의 식품이 말이 발 위에 제조된다. 말이 발에는 미리 김이 놓여 있고 그 위에 식품이 성형되어도 된다.The semi-automatic machine tool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s an example of a food molding apparatus in which a mechanism for forming food into a bar shape is omitted. The semiautomatic shearing machin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has a shaping portion for shaping the plant material into a plate shape. Below the forming part, there is a base on which a horse is placed. The base is movable forward. A horse is placed on the base. When semi-automatic food ingredients are molded in the forming section and the base on which the horse is placed is moved, foods such as sushi formed in a plate shape are produced on the feet. The horse may have pre-laver on its feet and the food may be molded thereon.

상기 판형 식품은 말이 발마다 취출되고, 수작업으로 말이 발과 함께 말아진다. 이에 의해, 말이 발 내에서 식품을 봉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식품 성형 후, 말이 발로부터 봉상 식품이 분리되고, 말이 발은 다음 성형에 사용된다. 미리 김이 말이 발에 놓여 있는 경우, 말이 발이 제거된 봉상 식품의 주위는 김으로 둘러싸여 있다.In the plate type food, the horse is taken out every foot, and the horse is rolled together with the foot by hand. Thereby, the food can be formed into a bar shape in the horse's foot. After food molding, the bar-shaped food is separated from the horse's foot, and the horse's foot is then used for molding. When Kim's horse is placed on his / her feet in advance, the circumference of the bar-shaped food in which the horse's feet are removed is surrounded by steaming.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반자동 김말이기에 의하면, 판형으로 성형된 식초밥 등의 식품을 베이스에 놓인 말이 발 위에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다. 판형으로 성형된 식품은 수작업에 의해 봉상으로 성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식품이 자동으로 판형으로 성형되는 것만으로도 식품을 능률적으로 봉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반자동 김말이기와 같은 식품 성형 장치에는 판형 식품을 봉상으로 성형하는 기구가 필요 없어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낮아진다.According to the semi-automatic cooking machin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 horse such as a sushi sushi molded in a plate shape can be automatically manufactured on the foot on the base. The plate-shaped food needs to be shaped into a rod shape by hand. However, even if the food is automatically formed into a plate shape, the food can be efficiently formed into a rod shape. In the food molding apparatus such as the semiautomatic gyroscope, a mechanism for molding the plate-shaped food into the shape of a rod is not required,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is simple and the cost is low.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반자동 김말이기에 있어서, 말이 발이 단지 베이스 상에 놓이기만 하면 베이스의 이동시에서의 말이 발의 베이스에 대한 위치가 어긋나기 쉽다. 그래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반자동 김말이기는 클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램프는 적층 상태에 있는 말이 발(즉, 발) 및 시트형상 김의 단부를 베이스에 고정한다.In the semi-automatic kimono machin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f the horse is placed on the base only, the position of the horse with respect to the base of the foot at the time of movement of the base is liable to be shifted. Therefore, the semi-automatic clamping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has a clamp. This clamp fixes the ends of the horse's feet (i.e. feet) and the sheet-shaped rods in the stacked state to the base.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4-4249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14-42499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3-189806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2003-189806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클램프를 구비한 반자동 김말이기에서는, 클램프에 의한 말이 발 등의 누름 및 누름 해제 조작 등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하다. 또한 베이스 상에 클램프 기구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프 기구에는 식재가 부착된다. 그 때문에, 성형 작업 종료 후의 성형 장치의 청소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부착된 식품의 제거가 어려워 위생상 과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고 위생면에 뛰어난 식품 성형 장치가 요구되었다.In the semiautomatic gyroscope equipped with the clamp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t is necessary to cumbersome operation such as pushing and unclamping operation of the horse by the clamp. Further, since the clamping mechanism is protruded on the base, the clamping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plant material. For this reason, cleaning of the molding apparatus after completion of the molding operation is troublesome and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attached food, which poses a problem of hygiene. 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food molding apparatus that is easy to clean and has excellent hygiene.

본 발명은, 베이스에의 말이 발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고 베이스 상면의 돌기물을 없앨 수 있는 식품 성형 장치 및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molding apparatus and a horse leg for a food mold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a horse to a base and eliminate protrus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는,In the food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판형 식품을 말아 봉상(棒狀)으로 성형하기 위한 말이 발(簾)을 놓을 수 있는 베이스와,A base for shaping the plate-like food into a rod shape and capable of placing curtains thereon,

식재를 선형으로 연속 성형하면서 상기 베이스에 놓은 상기 말이 발 위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식재를 판형 식품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가지며,And a shaping part for shaping the plant material into a plate-shaped food by feeding the horse placed on the base onto the plant while linearly shaping the plant material,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말이 발과의 사이에서 흡인력을 발생하는 흡인력 발생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The main feature of the base is that the horse has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between the horse and the foot.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은,The horse leg for a food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판형 식품을 말아 봉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말이 발을 놓을 수 있는 베이스와,A base on which a horse can be placed for shaping the plate-shaped food into a rod shape,

식재를 선형으로 연속 성형하면서 상기 베이스에 놓은 상기 말이 발 위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판형 식품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가지는 식품 성형 장치용의 상기 말이 발로서,And a shaping section for shaping the food into the plate-like food by feeding the horse on the foot while the plant is linearly and continuously formed, the horse comprising: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흡인력을 발생하는 흡인력 발생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with the base.

말이 발은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베이스 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베이스에 말이 발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베이스 상면의 돌기물을 없앨 수 있다.Since the horse's foot is fixed on the base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horse and the base, the foot is easily mounted and separated on the base. Also, protrus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an be eliminated.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식품 성형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ood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rse leg for a food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 및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and the food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Example

도 1에서, 식품 성형 장치(1)는 상부에 호퍼(11)를 가지며, 호퍼(11)의 하방에 성형부(12)를 가지고 있다. 호퍼(11)에는 식재 예를 들어 쌀밥에 식초를 섞은 식초밥이 투입된다. 호퍼(11) 내에는 교반 날개가 마련되어 있고, 교반 날개가 상기 식재를 교반하면서 성형부(12)로 보낸다.1,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has a hopper 11 on its upper portion and a forming portion 12 below the hopper 11. As shown in Fig. In the hopper 11, for example, rice sushi mixed with vinegar is put into a rice plant. A stirring blade is provided in the hopper 11, and a stirring blade sends the molding material to the molding part 12 while stirring the plant material.

성형부(12)는, 쌍을 이루는 압연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압연 롤러는 적어도 한 쌍, 일반적으로는 복수 쌍 마련되어 있다. 호퍼(11)로부터 성형부(12)로 이송된 식재는 성형부(12)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배출된다. 쌍을 이루는 압연 롤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성형부(12)로 이송된 식재는 소정의 두께로 성형된다. 성형부(12)의 식품 배출구는 식품 성형 장치(1)의 정면을 향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확대되어 있다.The forming section 12 is provided with a pair of rolling rollers. At least one pair of rollers, generally a plurality of rollers, are provided. The plant material transferred from the hopper 11 to the forming section 12 is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forming section 12. The pair of rolling rollers are driven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o that the plant material conveyed to the forming section 12 is formed in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food discharge port of the forming section 12 extends linear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성형부(12)의 식품 배출구의 하측에 베이스(3)가 있다. 베이스(3)는, 식품 성형 장치(1)의 바닥부에 수평면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베이스(3)의 이동 방향은 식품 성형 장치(1)의 전후 방향이다. 베이스(3)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성형부(12)의 상기 식품 배출구가 직선형으로 확대되어 있다.A base (3) is located below the food outlet of the forming part (12). The base 3 is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so as to be slidable in a horizontal plan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ase 3 is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ood-molding apparatus 1. The food discharge port of the molded part 12 is linearly expan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ide moving direction of the base 3. [

도 1은, 베이스(3)가 식품 성형 장치(1)의 본체로부터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베이스(3)의 상면(31) 대부분이 식품 성형 장치(1)의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베이스(3)의 전진 이동 및 후퇴 이동은, 식품 성형 장치(1)의 조작 패널에 마련되어 있는 소정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Fig.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se 3 advances from the main body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Fig. That is, most of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is exposed from the main body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The forward movement and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base 3 are performed by operating a predetermined switch provided on the operation panel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

식품 성형 장치(1)가 베이스(3)를 후퇴시킨 상태로 적절한 조작을 접수하면, 베이스(3)의 전진 개시에 동기하여 성형부(12)가 성형을 개시한다. 식재가 성형부(12)의 식품 배출구로부터 소정 두께의 선형으로 연속 성형되면서 배출되어 베이스(3)로 향하여 공급된다. 상기 배출되는 식재는 전진 이동하고 있는 베이스(3)의 상면(31)에서 받아내어진다. 베이스(3)의 상면(31)에서 받아내어진 식재는 판형으로 성형되어 있다.When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receives an appropriate operation while the base 3 is retracted, the molding section 12 starts mold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tart of advancement of the base 3. The plant material is continuously discharged from the food discharge port of the forming section 12 in a linear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discharged and supplied toward the base 3. The discharged plant material is taken out from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which is moving forward. The plant material taken out from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is formed into a plate shape.

성형 개시부터 소정의 제어에 의해 성형부(12)의 동작과 베이스(3)의 전진 이동이 제어된다. 성형부(12)의 동작과 베이스(3)의 전진 이동 종료에 맞추어 식품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식재가 절단된다. 이렇게 하여 베이스(3)의 상면(31)에는 전후 방향에서 소정의 길이로 성형된 판형 식재가 놓여 있다. 판형 식재의 좌우 방향 폭은 성형부(12)의 식품 배출구의 좌우 방향 길이로 규정된다. 이하, 판형으로 성형된 식재를 「식품」이라고 하여 성형 전의 「식재」와 구별한다.From the start of molding, the operation of the molding section 12 and the forward movement of the base 3 are controlled by a predetermined control. The foo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ood outlet is cu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orming unit 12 and the completion of the forward movement of the base 3. In this manner, the plate-shaped plant material mold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The lateral width of the plate-shaped plant material is defined by the length of the food outlet of the forming part 12 in the lateral direction. Hereinafter, the plate-shaped plant material is referred to as " food "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 plant material "

베이스(3)의 상면(31)에는, 상기 판형 식품을 말아 봉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말이 발을 놓을 수 있다. 베이스(3)는, 그 상면(31)에 상기 말이 발을 놓은 상태로 식품 성형 장치(1)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성형부(12)로부터는 식재가 선형으로 연속하여 공급된다. 성형부(12)의 동작이 종료되면, 베이스(3)가 식품 성형 장치(1)의 전면측에 돌출된다. 이 때, 베이스(3) 상의 말이 발에는 판형으로 성형된 식품이 놓여 있다. 작업자는 말이 발과 함께 판형 식품을 취출할 수 있고, 말이 발을 수작업으로 말아 넣음으로써 식품을 봉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a horse for shaping the plate-shaped food into a rod-like shape can be placed. The base 3 moves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with the horse on its upper surface 31. From the forming section 12, the plant material is supplied linearly and continuously. When the operation of the forming section 12 is completed, the base 3 protrudes to the front side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 At this time, the plate-shaped food is placed on the foot of the horse on the base 3. [ The operator can take the plate-shaped food together with the foot, and the food can be formed into the rod-like shape by manually rolling the horse into the foot.

베이스(3)의 상면(31)에 놓은 말이 발 위에는, 호퍼(11)에 투입하는 식재와는 다른 시트형상 식재를 놓을 수 있다. 시트형상 식재의 예로서 대표적인 것은 김이다. 이하, 시트형상 식재를 「부수 식재」라고 한다. 베이스(3)의 상면(31)에 놓인 말이 발 위에 부수 식재가 놓인 상태로 상기 성형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부수 식재 상에 판형 식품이 성형된다. 작업자가 말이 발을 취출하고, 말이 발을 수작업으로 말아 넣는다. 부수 식재 상에는 판형 식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둘레가 부수 식재로 감겨진 식품을 봉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부수 식재가 김이면 김말이가 가능하다.A sheet-like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terial to be put into the hopper 11 may be placed on the foot of the hors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A typical example of the sheet-shaped planting material is steaming. Hereinafter, the sheet-like planting material is referred to as " auxiliary planting material ". The shap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horses resting on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placed on the feet, so that the plate-like food is formed on the subsidiary food. The operator removes the horse's foot, and the horse rolls the foot manually. Since the plate-shaped food is formed on the subsidiary plant material, the food whose outer periphery is wrapped with the subsidiary plant material can be formed into a rod-like shape. It is possible to do kimmyeong if the accompanying food is cooked.

여기까지 설명한 호퍼(11)와 성형부(12)는,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에 채용되어 있는 호퍼와 성형부와 동일한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1)의 특징은, 베이스(3) 및 베이스(3) 위에 놓이는 말이 발에 있다.The hopper 11 and the molding section 12 described so far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hopper and the molding section employed in the conventional food molding apparatus. The feature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the foot rests on the base 3 and the base 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의 상면(31)에는 말이 발(2)이 놓인다. 베이스(3)는, 말이 발(2)과의 사이에서 흡인력을 발생하는 흡인력 발생 부재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흡인력 발생 부재로서 자기(磁氣)에 의한 흡인력 발생 부재가 이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3)의 전체 또는 일부가 자성체로 제작되어 있다. 베이스(3)는 수지에 의한 성형품이라도 되고, 그 경우 자성체 또는 자석은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매립된다. 베이스(3)의 상면(31)은 요철이 없는 평탄면이다.As shown in Fig. 2, the horse leg 2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The base (3) has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with the horse's foot (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made of magnetism is used as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More specifically, all or a part of the base 3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e base 3 may be a molded article made of resin, in which case the magnetic body or magnet is embedded by insert molding or the like.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is a flat surface without irregularities.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이 발(2)은 조리용 발로서, 복수의 가로살(21)이 날실로 이어진 것이다. 복수의 가로살(21)은 길이를 맞추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로살(21)은 상호의 연결부에서 굴곡 가능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변형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horse leg 2 is a cooking foot, and a plurality of lateral knuckles 21 are connected to a warp. The plurality of transverse bodies 2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length. The plurality of transverse ribs 21 are bendable at the mutual connecting portions and are de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말이 발(2)은 이하의 구조로 함으로써 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으로 제작 가능하다. 즉, 인접하는 가로살(21) 사이의 수지가 가로살(21)보다 얇아지도록 성형됨으로써, 말이 발(2)은 이 얇은 부분의 수지의 탄력으로 굴곡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말이 발(2) 전체는 원통형으로 둥글게 된다.The horse's foot 2 can be manufactured by integral molding by resin by the following structure. That is, the resin between the adjacent lateral ribs 21 is formed so as to be thinner than the lateral ribs 21, so that the ridge 2 can be bent by the elasticity of the resin of the thinner portion. As a result, the horse 2 is entirely rounded in a cylindrical shape.

말이 발(2)을 구성하는 복수의 가로살(21) 중에서 가로살(21)의 배열 방향 양단부의 가로살(22, 22)의 폭이 다른 가로살(21)보다 크게 되어 있다. 가로살(21)의 배열 방향(개개의 가로살(2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는 말이 발(2)의 말기 방향에서의 양단부이기도 하다. 상기 양단부의 가로살(22, 22)에 베이스(3)와의 사이에서 흡인력을 발생하는 흡인력 발생 부재가 내장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흡인력 발생 부재는 자기에 의한 흡인력 발생 부재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23)이다.The widths 22 and 22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direction 21 of the horizontal direction 21 are larger than the other horizontal directions 21 amo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directions 21 constituting the feet 2. Both end portions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ateral ribs 21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ividual lateral ribs 21) are both end portions in the terminal direction of the ridge 2.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with the base 3 is incorporated in the transverse bodies 22 and 22 at both ends.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a magnetic attra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more specifically, a magnet 23.

자석(23)은, 가로살(22, 2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가로살(22, 22)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말이 발(2)의 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이기도 하다. 가로살(22, 22)은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제작되고, 자석(23)이 인서트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The magnets 23 are arrang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bodies 22, 22.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transverse bodies 22 and 22 are both ends of the body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erminal direction of the foot 2. The transverse bodies 22 and 22 may be made by integral molding of the resin and the magnets 23 may be insert molded.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의 전단에는 베이스(3)에 대한 말이 발(2)의 전단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말이 발 규제 부재(32)가 장착되어 있다. 말이 발 규제 부재(32)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테두리부(緣部)가 베이스(3)의 상면(31)보다 위로 돌출되어 있다. 말이 발(2)의 전단을 말이 발 규제 부재(32)에 부딪치게 함으로써, 베이스(3)에 대한 말이 발(2)의 전후 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foot restricting member 32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3 for restricting the front end position of the horse 2 relative to the base 3. The foot restricting member 32 is made of a plate-like member and its upper edge portion protrudes above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 The front end of the foot 2 can be regulated by making the front end of the foot 2 hit against the foot restricting member 32. [

식품 성형 장치(1)의 베이스(3) 및 말이 발(2)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말이 발(2)을 평면형상으로 펴서 베이스(3) 위에 놓으면 말이 발(2)은 베이스(3)에 흡착된다. 베이스(3)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해도, 말이 발(2)은 상기 흡인력에 의해 베이스(3)에 대해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또한 말이 발(2)의 단부가 젖혀져 올라가는 일도 없어, 말이 발(2)은 안정적으로 보유지지된다. 말이 발(2)은 베이스(3)에 대해 위치 맞춤하여 흡착시키는 것만으로 장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베이스(3)에 장착이 용이하다.Since the base 3 and the horse's foot 2 of the food molding apparatus 1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rse 2 is laid flat on the base 3, 3). Even if the base 3 sl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horse's foot 2 is not displac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3 by the suction force. In addition,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end of the horse 2 is lifted up and the horse 2 is stably held. It is possible to mount the horse's feet 2 only by aligning them with respect to the base 3 and adsorbing them. Therefore, mounting on the base 3 is easy.

베이스(3)와 말이 발(2)의 구성은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3 and the legs 2 may be changed as follows.

말이 발(2)에 마련하는 흡인력 발생 부재는, 말이 발(2)의 말기 방향(전후 방향) 일단부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말이 발(2)에 마련되는 흡인력 발생 부재는,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말이 발(2)을 구성하는 가로살(21)의 양단부, 즉 말이 발(2)의 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도 되고, 가로살(21)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어도 된다.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provided on the horse's foot 2 may be provided only at one end in the terminal direction (front-rear direction) of the horse's foot 2.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provided on the horse's foot 2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teral fence 21 constituting the horse's foot 2, that is, at both end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erminal direction of the horse 2 Or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transverse direction 21.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흡인력 발생 부재가 자기에 의한 흡인력 발생 부재인 경우, 베이스(3) 측의 흡인력 발생 부재가 자석, 말이 발(2) 측의 흡인력 발생 부재가 자성체이어도 된다. 베이스(3)에 장착되는 말이 발(2)의 크기가 다양한 것을 고려하여, 베이스(3) 측에 마련되는 흡인력 발생 부재의 면적은 넓어도 된다. 또한, 말이 발(2)과 베이스(3) 각각의 흡인력 발생 부재가 서로 적합(適合)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자력의 흡인력에 의해, 말이 발(2)이 베이스(3)의 적정 위치에 자동으로 배치된다. 그 때문에, 위치 어긋남에 의한 말이 발(2)로부터 식재의 빠져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is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by magnetic force,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on the base 3 side may be a magnet,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on the horse's foot side 2 may be a magnetic body. The area of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ase 3 may be wid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size of the foot 2 mounted on the base 3 varies. In additio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s of the foot 2 and the base 3 may be arranged to fit each other. The horse's foot 2 is automatically arranged at the proper position of the base 3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magnetic for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nt from escaping from the foot 2 due to the positional deviation.

말이 발(2)의 표리에 대해 구별이 없는 것이어도 되고 양면의 구별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양면의 구별로서 예를 들어 일면에만 엠보싱 가공이 실시된다. 다른 일면에 대해서는 평탄면이다. 엠보싱 가공된 면은 상기 가공에 의해 쌀밥이 부착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쌀밥을 직접 마는 경우에 적합하다. 상기 평탄면은 그 위에 놓인 김에 쌀밥이 놓여 김말이를 만드는 경우에 적합하다.There may be no distin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horse's foot (2), or a distinction between both sides. As the distinction of both sides, for example, embossing is performed on one side only. On the other side, it is flat. The embossed surface is suitable for the case where the rice is cooked directly because the rice is hardly adhered by the above processing. The flat surface is suitable for the case where the rice is laid on the laver laid on it to make the rice cakes.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3)의 상면(31)은 평탄한 면이면서 말이 발(2)을 베이스(3) 상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베이스(3)에 대한 말이 발(2)의 착탈이 용이해진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can be positioned on the base 3 with the flat surface thereof. This makes it easier to attach and detach the foot 2 to the base 3.

또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3)의 상면(31)에는 말이 발이나 김 등을 베이스(3) 상에 눌러 고정하는 클램프류가 필요 없다. 베이스(3)의 상면(31)에 상기 클램프류가 없음으로써, 베이스(3) 상에서의 작업이 용이해지고 베이스(3)를 저장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와 같은 요철물이 베이스(3) 상에 있으면 요철물에 쌀밥 등의 식재가 부착되기 쉬운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3)에 식재가 부착되기 어려워 위생적이다. 또한, 베이스(3)에 식재가 부착되었다고 해도 클램프와 같은 요철물이 없기 때문에 청소 작업이 용이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클램프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클램프에 이용되고 있는 나사 등이 벗어나 식품에 혼입되는 사고도 발생하지 않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 is no need for clamping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to press and fix the foot or the cheek on the base 3. The absence of the clamps on the upper surface 31 of the base 3 facilitates work on the base 3 and may save space for storing the base 3. If a metal such as the clamp is placed on the base 3, a planting material such as rice is likely to adhere to the metal.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ing material is hardly attached to the base 3, which is hygienic. Further, even if the plant material is attached to the base 3, since there is no such as a clamp, the cleaning work is easy and a clean state can be maintained. Since it does not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such as a clamp, an accident that screws and the like used for the clamp are released and mixed into the food do not occur.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 및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은 김말이, 계란말이 등의 말이초밥류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봉상 식품 일반을 제조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The horse meat for use in the food molding apparatus and the food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a rice syrup, but also for producing a rod-shaped food in general.

1 식품 성형 장치
2 말이 발
3 베이스
11 호퍼
12 성형부
21 가로살
22 단부재
23 자석(흡인력 발생 부재)
31 베이스의 상면
32 말이 발 규제 부재
1 Food molding machine
2 horse feet
3 base
11 hopper
12 forming part
21 years old
22 member
23 Magnet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31 upper surface of the base
32 horse regulating member

Claims (14)

판형 식품을 말아 봉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말이 발(簾)을 놓을 수 있는 베이스와,
식재를 선형으로 연속 성형하면서 상기 베이스에 놓은 상기 말이 발 위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식재를 판형 식품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말이 발과의 사이에서 흡인력을 발생하는 흡인력 발생 부재를 가지고 있는 식품 성형 장치.
A base on which a horse can be placed for shaping the plate-shaped food into a rod shape,
And a shaping part for shaping the plant material into a plate-shaped food by feeding the horse placed on the base onto the plant while linearly shaping the plant material,
Wherein the base has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between the horse and the foo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인력 발생 부재는, 자기(磁氣)에 의한 흡인력 발생 부재인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is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by magnetic for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기에 의한 흡인력 발생 부재는, 상기 말이 발에 마련되어 있는 자석에 대한 자성체인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by the magnet is a magnetic body for the magnet provided on the foo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기에 의한 흡인력 발생 부재는, 상기 말이 발에 마련되어 있는 자성체에 대한 자석인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by the magnet is a magnet for the magnetic body provided on the foo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판형 식품을 수취하기 위해 상기 성형부에 의한 판형 식품의 성형에 동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품 성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is configured to move in synchronism with the forming of the plate-like food by the forming unit to receive the plate-like food.
판형 식품을 말아 봉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말이 발을 놓을 수 있는 베이스와,
식재를 선형으로 연속 성형하면서 상기 베이스에 놓은 상기 말이 발 위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판형 식품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가지는 식품 성형 장치용의 상기 말이 발로서,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흡인력을 발생하는 흡인력 발생 부재를 가지고 있는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
A base on which a horse can be placed for shaping the plate-shaped food into a rod shape,
And a shaping section for shaping the food into the plate-like food by feeding the horse on the foot while the plant is linearly and continuously formed, the horse comprising:
And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청구항 6에 있어서,
말기 방향의 단부에 상기 흡인력 발생 부재를 가지고 있는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at an end portion in the terminal dir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말기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흡인력 발생 부재를 가지고 있는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at both ends in the terminal dire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흡인력 발생 부재는, 말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is disposed at both 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erminal dir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흡인력 발생 부재는, 자기에 의한 흡인력 발생 부재인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is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by magnetic for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기에 의한 흡인력 발생 부재는 자석인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
The method of claim 10,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by magnet is a magnet for a food molding apparatu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기에 의한 흡인력 발생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어 있는 자석에 대한 자성체인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agnetic attra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is a magnetic body for a magnet provided on the base.
청구항 10에 있어서,
말기 방향의 단부가 수지에 의해 성형되고, 상기 단부에는 상기 자기에 의한 흡인력 발생 부재가 내장되어 있는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nd portion in the terminal direction is formed by a resin,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by the magnet is embedded in the end por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내장되어 있는 상기 흡인력 발생 부재는 자석인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built-in su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is a magnet for a food molding apparatus.
KR1020150095904A 2014-07-09 2015-07-06 Food forming apparatus and sushi mat for food forming apparatus KR2016000811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1510A JP2016015934A (en) 2014-07-09 2014-07-09 Food shaping apparatus and bamboo rolling mat therefor
JPJP-P-2014-141510 2014-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116A true KR20160008116A (en) 2016-01-21

Family

ID=5513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904A KR20160008116A (en) 2014-07-09 2015-07-06 Food forming apparatus and sushi mat for food fo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015934A (en)
KR (1) KR20160008116A (en)
CN (1) CN10526618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9619B2 (en) * 2016-08-05 2019-04-10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Foo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and food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CN110122799A (en) * 2019-06-21 2019-08-16 昆山亨少食品机械有限公司 A kind of volume sea sedge mechanism
WO2022107205A1 (en) * 2020-11-17 2022-05-27 ポーたま株式会社 Jig for forming plate-shaped cooked rice and device for producing plate-shaped cooked r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806A (en) 2001-12-27 2003-07-08 Suzumo Machinery Co Ltd Machine for semi-automatically wrapping vinegared cooked rice with laver
JP2014042499A (en) 2012-08-28 2014-03-13 Audio Technica Corp Device for molding food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3838A (en) * 1978-06-14 1979-12-26 Nobuo Tanaka *makisushi* producing apparatus
JPS5835666B2 (en) * 1981-11-11 1983-08-04 鈴木精機株式会社 Molding equipment for rice, etc.
JPH0527091U (en) * 1991-06-06 1993-04-06 株式会社美喜 Embroidery device for continuous strips
JPH05292933A (en) * 1992-04-24 1993-11-09 Japan Steel Works Ltd:The Method for washing cylinder and die of twin-screw extruder for food and its apparatus
JP2003222122A (en) * 2002-01-31 2003-08-08 Suzumo Machinery Co Ltd Rotary roller bearing unit
CN2685525Y (en) * 2003-12-16 2005-03-16 天津青亚玻璃制品有限公司 Up-down device for clamping louver in double-glass door or window
CN1257341C (en) * 2003-12-16 2006-05-24 天津青亚玻璃制品有限公司 Lifting adjusting structure of Persian blinds
JP2006151593A (en) * 2004-11-29 2006-06-15 Sanwa Newtec Co Ltd Paper sheet conveying device
JP4875999B2 (en) * 2007-02-28 2012-02-15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Cooked rice forming equipment
CN201090123Y (en) * 2007-03-09 2008-07-23 饶栋 Hollow glass window containing blind
JP5103326B2 (en) * 2008-08-20 2012-12-1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Cooked rice molding method
JP2011010553A (en) * 2009-06-30 2011-01-20 Yuji Seki Cooked rice-mold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806A (en) 2001-12-27 2003-07-08 Suzumo Machinery Co Ltd Machine for semi-automatically wrapping vinegared cooked rice with laver
JP2014042499A (en) 2012-08-28 2014-03-13 Audio Technica Corp Device for molding foo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15934A (en) 2016-02-01
CN105266182A (en)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8116A (en) Food forming apparatus and sushi mat for food forming apparatus
KR101668468B1 (en) Peel garlic root cutter
KR200472759Y1 (en) Pickled radish cutting device for gimbap
JP6799303B2 (en) Automatic supply device for auxiliary materials for meat products
KR101469922B1 (en) Verticality cut working apparatus for chicken
EP3282855B1 (en) Machine for slicing fish fillets, in particular salmon fillets
KR101768621B1 (en) Hot dog frying apparatus
EP2807928A1 (en) Industrial slicer
KR101765084B1 (en) cutting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for cheese block
KR101595761B1 (en) Garlic end cutting apparatus
KR102122046B1 (en) System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kewered food
US7481701B2 (en) Device for making a spiral incision on a meat product
KR101394418B1 (en) Horizontality cut working apparatus for chicken
KR20090041636A (en) Fish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1799279B1 (en) Eatable membrane manufacturing equipment
KR101799310B1 (en) Automatic Cutting Device For Laver-Boogak
KR20110100425A (en) Stalks and roots cut-off machine of garlic
KR20190086256A (en) Bean-curd cutting device
KR101004190B1 (en) rice cake cutting machine
KR101849744B1 (en) A cutting apparatus for chicken breasts
JP2852877B2 (en) Food cut processing equipment
JP2012115974A (en) Meat slicer and meat slicing method
US1931982A (en) Food cutter
CN110384117A (en) A kind of cake embryo Special cutting device
CN215395670U (en) Fixed length intercepting device based on plywood processing cu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