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755A - Cruching apparatus for crust of overcooked rice - Google Patents

Cruching apparatus for crust of overcooked r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755A
KR20160007755A KR1020140079522A KR20140079522A KR20160007755A KR 20160007755 A KR20160007755 A KR 20160007755A KR 1020140079522 A KR1020140079522 A KR 1020140079522A KR 20140079522 A KR20140079522 A KR 20140079522A KR 20160007755 A KR20160007755 A KR 20160007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crusher
blade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0880B1 (en
Inventor
이경윤
이재문
한윤경
김훈
신혜수
Original Assignee
(주)대한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식품 filed Critical (주)대한식품
Priority to KR102014007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880B1/en
Publication of KR2016000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8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43Cereal granules or flakes to be cooked and eaten hot, e.g. oatmeal; Reformed rice products
    • A23L7/148Cereal granules or flakes to be cooked and eaten hot, e.g. oatmeal; Reformed rice products made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35Individual or non-extruded flakes, granules or shapes having similar size, e.g. breakfast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us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orched rice crust-crushing apparatus for crushing a flat plate type scorched rice crust into a predetermined size by rotating a first crusher and a second crusher at the same time. An apparatus for crushing crust of scorched rice includes: a first crusher; and a second crusher which is installed oppositely to the first crusher, and in which a crushing blade crossing at right angles to that of the first crusher. The first crusher includes: a first rotating shaf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a first key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crushing blade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key, a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a plurality of crushing teeth crossing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rotating shaft are installed; and a first rotating shaft gear mounted on an one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shaft. The second crusher includes: a second rotating shaf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a second key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crushing blade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key, a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formed horizontally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are installed; and a first rotating shaft gear which is mounted on an one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and which drives rotation of the second crushing blade. The apparatus for crushing crust of scorched rice additionally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drives rotation of the first crusher and the second crusher. An apparatus for crushing crust of scorched r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viding economic effects by enabling mass production of instant scorched rice crust of a uniformed size while improving texture of food by ultimately crushing instant scorched rice crust into uniformed size scorched rice crusts.

Description

누룽지 파쇄장치{CRUCHING APPARATUS FOR CRUST OF OVERCOOKED R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ushing appara- tus for crushing,

본 발명은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파쇄기와 제2 파쇄기를 동시에 회전시켜 평판형 누룽지를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누룽지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us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ushing apparatus for crushing a flat plate-type burnishing paper into a predetermined size by simultaneously rotating a first crusher and a second crusher.

최근 우리나라 소비자의 식생활 패턴은 식사에 필요한 재료준비와 요리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간편성과 식품 선택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패턴으로 변모하고 있다. 우리나라 2인 가구 이하의 가구 수(48.2%) 증가에 따라 간편식 매출이 급증하는 한편, 편의식품 또한 주목받고 있다.Recently, the patterns of dietary patterns of Korean consumers have been changed into a pattern of simplicity and diversity of food choices that can reduce food preparation time and cooking time. As the number of households below the two-person households in Korea has increased (48.2%), sales of convenience foods have surged, and convenience foods are also attracting attention.

특히, 바쁜 현대인들에게 하루 세끼 중 편의성이 가장 필요한 식사는 아침으로서 아침 대용으로 먹을 수 있는 다양한 편의식이 제조, 판매되고 있다.Especially, for the busy modern people, the most convenient meal among the three meals a day is manufactured and sold as a variety of convenient meals for breakfast.

현대인들의 대표적인 아침 대용식은 시리얼이 독보적이라 할 수 있는데, 시리얼은 곡물로 만든 식사 대용식품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는 점과 다른 가공식품에 비해 영양이 풍부하다는 장점에 의해 20년 이상 국내 아침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리얼 제품은 단맛이 높고 수입 곡물을 가공한 것이 많아 한국의 전통적인 누룽지를 아침 대용식으로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일회용 용기에 포장된 누룽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3~6분간 수화시킨 후 식사할 수 있는 즉석 누룽지의 판매가 증가추세에 있다.A typical morning substitute for modern people can be said to be cereal unique. The cereal is easy to be eaten as a substitute food made of cereals, and because it is more nutritious than other processed foods, it occupies a domestic morning market for more than 20 years. have. However, conventional cereal products have a high sweetness and processed many imported grains, so more and more consumers are using Korean traditional rice noodles as morning substitutes. Particularly,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sales of ready-to-eat rice cake which can be eaten after pouring hot water into rice cake wrapped in a disposable container in a suitable size and hydrating for 3 to 6 minutes.

그러나 수작업으로 누룽지를 파쇄할 경우 파쇄 과정에서 누룽지의 크기가 일정하게 파쇄되지 않아 뜨거운 물을 부었을 때 누룽지 크기별로 수화되는 정도가 달라 먹을 때의 식감이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rice is crushed by hand, the size of the rice cake is not shattered uniformly during the crushing process, so that when the hot water is poured, the degree of hydration of the rice cake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ice cake.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40608호로서, 쌀, 누룽지, 현미, 보리, 율무 등의 곡물을 가공하여 스낵, 유과 등의 과자류와 한과류를 제조할 수 있게 한 곡물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을 별도로 적시지 않은 상태에서 압출성형기 스크루로 분쇄하여, 이를 250℃의 열을 가한 후 압출구를 통하여 압출하는 동시에 부풀어 진 후 제1 오븐 건조기로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부풀어 진 반데기에 조청, 물엿, 설탕 등으로 이루어진 시럽과 깨, 팥, 콩, 튀밥가루, 김가루, 새우가루, 송홧가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고물을 코팅기로 코팅시켜 제조된 건과자를 제 2건조기로 완전히 건조시켜 조직이 부드럽고 바삭바삭한 스낵, 유과, 한과, 강정 등의 건과자를 간단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함으로 여러 가지의 건과자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누룽지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맛있는 건과자를 생산하여 공급함으로써 어린이, 청소년, 노인 등 누구나 즐겨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 과잉 생산되는 쌀의 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The patent document describ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040608, which is a product of processing cereals such as rice, nurungji, brown rice, barley, and yulmu to make confectioneries such as snack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process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grains are crushed with an extruder screw without separately wetting the grains, and after heating at 250 ° C, the grains are extruded through an extruding port, and at the same time, the swollen paper is completely dried with a first oven drier, Dry cake prepared by coating syrup consisting of sweet corn syrup, syrup, sugar, and sesame, red bean, bean, tungsten powder, Kim powder, shrimp powder,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various kinds of dry snacks by easily and massively producing dry snacks such as soft and crispy snacks, yu, yu and kangjung. In particular, the above prior art document can be used to produce various types of delicious dry cookies using nurungji so that it can be enjoyed by children, adolescents, the elderly, etc., thereby promoting consumption of overproduced rice.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곡물 가공장치는 누룽지를 압출하는 방식으로 파쇄함으로써 그 크기가 불균일하여 식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grain process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size is uneven due to crushing in the manner of extruding the rice paper,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texture.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곡물 가공장치는 누룽지 파쇄 시 발생하는 분말의 비율이 높으므로, 식자원을 낭비한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grain process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has a problem in that it consumes food resources because the proportion of the powder generated when the rice is crushed is high.

따라서 누룽지를 균일한 크기로 파쇄하여 식감과 즉석 누룽지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누룽지 전용 파쇄장치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crushing apparatus specialized in the burnishing of crushed rice in order to crush the crushed rice in a uniform size to improve the texture and the quality of instant rice cake.

특허번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40608호Patent Numb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4060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룽지를 균일한 크기로 파쇄하여 식감과 즉석 누룽지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누룽지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rnishing apparatus for crushing a burnished rice into uniform size to improve texture and quality of instant burned ri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룽지 파쇄장치는, 제1 파쇄기; 및 상기 제1 파쇄기와 대향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파쇄기의 파쇄날과 직교하는 파쇄날이 형성된 제2 파쇄기; 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bur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rusher; And a second crusher provided opposite to the first crusher and having a crushing blade perpendicular to the crushing blade of the first crusher; .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파쇄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키를 구비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키에 체결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다수 개의 파쇄치가 외주면에 구비된 제1 파쇄날;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외측 일단에 장착되는 제1 회전축 기어; 를 포함한다.The first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otating shaft having a first key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crushing blade coupled to the first key and having a plurality of crushing teeth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tation axi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irst rotary shaft gear mounted on an outer side of the first rotary shaft;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파쇄날은 다수로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에 체결된다.Further, the first crushing bla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large number,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fasten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파쇄날은 상기 제1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 중공이 형성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제1 파쇄치;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이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공의 일측에는 제1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제1 파쇄날을 각각 이격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redding blade may include a first body having a first hollow into which the first rotating shaft is inserted; A plurality of first crush tee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spacing means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Wherein a first keywa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llow, and the separating means separates the first crushing blade from each othe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파쇄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제2 키를 구비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키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과 수평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수평 칼날이 외주면에 구비된 제2 파쇄날;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파쇄날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 회전축 기어; 를 포함한다.The second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rotating shaft having a second key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crushing blade coupled to the second key and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rushing blade; And a second rotary shaft gear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rotary shaf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econd shredding blade;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파쇄날은 다수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여 상기 제2 회전축에 체결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hredding blades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and are fasten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s adjacent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파쇄날은 상기 제2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 중공이 형성된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제2 파쇄치; 및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축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2 파쇄치;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 파쇄치는 서로 인접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수평 칼날을 형성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hredding blade includes a second body having a second hollow into which the second rotating shaft is inserted; A second crush too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a plurality of second crush tee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the plurality of second crush teeth being orthogonal to the second rotational axis;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crush teeth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룽지 파쇄장치는 상기 제1 파쇄기와 상기 제2 파쇄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burnishing rubb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rst crusher and the second crush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 컨트롤러; 상기 모터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1 모터 기어; 및 상기 제1 모터 기어에 체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 을 포함한다.
An invert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 first motor gear mounted on one end of the motor rotation shaft and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chain coupled to the first motor gea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윈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누룽지 파쇄장치는 회전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된 파쇄날과 수평으로 배열된 파쇄날을 회전시켜 평판형 누룽지를 소정의 크기로 파쇄함으로써, 균일한 크기의 즉석 누룽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bur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crushing blade arranged vertically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horizontally arranged crushing blade to crush the flat type burnishing rubbers to a predetermined size to provide a uniform sized instant burning rush .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누룽지 파쇄장치는 분쇄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즉석 누룽지의 분말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bur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powder of instant noodle by controlling the rotating speed of the mill.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누룽지 파쇄장치는 궁극적으로 균일한 크기로 즉석 누룽지를 파쇄함으로써 식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균일한 크기의 즉석 누룽지의 대량생산이 가능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bur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conomical effects by mass-producing instantly sized burned rice, while improving the texture by breaking the instant burned rice in a uniform size ultimately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룽지 파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누룽지 파쇄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쇄기와 제2 파쇄기의 파쇄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쇄날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파쇄날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쇄기와 제2 파쇄기의 파쇄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쇄날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파쇄날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룽지 파쇄장치의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r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urnish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hredding part in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ushing structure of a first crusher and a second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first crush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econd crush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ushing structure of a first crusher and a second crus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crushing bla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econd crushing bla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of a bur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below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expressly have the opposite meaning.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 내지 도 8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1 to 8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회전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된 파쇄날과 수평으로 배열된 파쇄날을 회전시켜 평판형 누룽지를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것이다.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otate a crushing blade arranged vertically to a rotation axis and a horizontally arranged crushing blade to crush the flat-type burnishing material to a predetermined size.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룽지 파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누룽지 파쇄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r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urnishing apparatu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룽지 파쇄장치(100)는 파쇄부(110), 구동부(120), 및 하우징(130)을 포함한다.The burni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ushing unit 110, a driving unit 120, and a housing 130.

다음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룽지 파쇄장치(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1 and 2, the burni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파쇄부(110)는 상부 하우징(131)에 내장된다. 그리고 파쇄부(110)는 제1 가이드판(132)으로부터 유입되는 평판형의 누룽지를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여 제2 가이드판(134)으로 배출한다.First, the crushing unit 110 is embedded in the upper housing 131. The crushing unit 110 crushes the flat plate-shaped burnished rice introduced from the first guide plate 132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discharges the same to the second guide plate 134.

바람직하게, 상부 하우징(131)은 제1 가이드판(132)으로부터 유입되는 평판형 누룽지가 파쇄부(110)에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소정의 각도(α)를 갖는 인입판(135)을 구비한다.The upper housing 131 is provided with a draw plate 135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lat plate burned rice introduced from the first guide plate 132 can easily be drawn into the crushing unit 110.

이와 같이 평판형 누룽지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인입판(133)에 의해 파쇄부(110)로 유입되고, 유입된 평판형 누룽지는 파쇄부(110)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다.In this way, the flat plate-type burnishing paper is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unit 110 by the draw plate 133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introduced flat burning paper is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by the crushing unit 110.

이를 위해 파쇄부(110)는 제1 회전축(111a)에 직교하여 형성된 제1 파쇄날(111b)과 제2 회전축(112a)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2 파쇄날(112b)을 서로 회전시켜 평판형 누룽지를 균일하게 파쇄한다. 이때, 파쇄부(110)는 구동부(120)의 모터(121)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동력을 제공받는다.The crushing unit 110 rotates the first crushing blade 111b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tating shaft 111a and the second crushing blade 112b horizontally formed on the second rotating shaft 112a, Is uniformly crushed. At this time, the crushing unit 110 is provided with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from the motor 121 of the driving unit 120.

한편, 구동부(120)의 인버터 컨트롤러(122)는 하부 하우징(133)의 외부에 장착되고, 모터(121)는 하부 하우징(133)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버터 컨트롤러(122)가 하부 하우징(133)의 외부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는 모터(121)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모터(121)가 하부 하우징(133)에 내장됨으로써 구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컨트롤러(122)와 모터(121)는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모터(121)는 감속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verter controller 122 of the driving unit 120 ma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housing 133 and the motor 121 may be housed in the lower housing 133. The inverter controller 122 i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housing 13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21. When the motor 121 is housed in the lower housing 133, Noise can be attenu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verter controller 122 and the motor 121 are electrically conducted, and the motor 121 is a decelerating motor.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110)는 제1 파쇄기(111), 및 제2 파쇄기(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파쇄기(111)와 제2 파쇄기(112)는 대향하여 구비되고, 평판형 누룽지가 진입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the crush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rusher 111 and a second crusher 112. The first crusher 111 and the second crusher 112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lat plate-type scorched papers can enter and pass through.

한편, 제1 파쇄기(111)는 제1 회전축(111a), 제1 파쇄날(111b), 제1 회전축 기어(111c), 및 제1 모터 기어(111d)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파쇄기(112)는 제2 회전축(112a), 제2 파쇄날(112b), 제2 회전축 기어(112c)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rusher 111 includes a first rotating shaft 111a, a first crushing blade 111b, a first rotating shaft gear 111c, and a first motor gear 111d. The second crusher 112 includes a second rotating shaft 112a, a second crushing blade 112b, and a second rotating shaft gear 112c.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110)에 대해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rushing unit 11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B.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쇄기와 제2 파쇄기의 파쇄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쇄날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파쇄날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crushing part in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crushing structure of the first crushing part and the second crush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econd crush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econd crush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제1 파쇄기(111)의 제1 회전축(111a)이 개시된다.First, the first rotating shaft 111a of the first crusher 111 starts.

제1 회전축(111a)은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제1 키(a)를 연속 구비한다. 그리고 제1 키(a)는 제1 파쇄날(111b)의 제1 중공(c) 일측에 구비된 제1 키홈(b)과 체결된다. 즉, 제1 회전축(111a)은 제1 바디(g)에 구비된 제1 중공(c)에 삽입된다. 이때, 제1 회전축(111a)은 제1 파쇄치(d)와 직교하도록 제1 중공(c)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1 파쇄치(d)는 제1 파쇄날(111b)의 외주를 따라 하방으로 일정각도 구부러진 단면형태를 갖는다. 즉, 제1 파쇄치(d)는 평판형 누룽지를 인입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파쇄날(111b)은 제1 파쇄치(d)에 의해 평판형 누룽지를 인입하면서, 평판형 누룽지를 수직으로 커팅(cutting)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 shaft 111a is provided with a first key a continuous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key (a) is fastened to the first key groove (b)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hollow (c) of the first shredding blade (111b). That is, the first rotation shaft 111a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c provided in the first body g.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on shaft 111a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c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crushing teeth d. Here, the first crushing teeth d have a cross-sectional shape bent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rushing blade 111b at a certain angl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rush tooth (d) is formed in a shape that allows easy entry of the flat plate type burnishing paper. Therefore, the first crushing blade 111b can vertically cut the flat plate-type burnishing rubbers while drawing the flat-type burnishing rubbers by the first crushing teeth d.

제1 파쇄날(111b)은 제1 파쇄날(111b) 각각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수단(f)을 구비한다. 이격수단(f)은 제1 파쇄날(111b)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간격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이격수단(f)은 제1 파쇄날(111b)의 일면에 형성되거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rushing blade 111b has spacing means f for separating each of the first crushing blades 111b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pacing means f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hredding blade 111b and the spacing distance may be arbitrarily set.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ing means f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hredding blade 111b or on both surfaces thereof.

한편, 제1 회전축(111a)은 일단에 제1 회전축 기어(111c)를 장착하고, 제1 회전축 기어(111c)는 제1 파쇄날(111b)을 회전 구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otary shaft 111a is provided with a first rotary shaft gear 111c at one end thereof, and the first rotary shaft gear 111c rotatably drives the first shredding blade 111b.

또한, 제1 회전축 기어(111c)는 제2 회전축 기어(112c)와 맞물리고, 제1 회전축(111c) 기어의 원주는 제2 회전축 기어(112c)의 원주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차 파쇄날(111a)의 회전 속도가 2차 파쇄날(112a)의 속도보다 빠르면 평판형 누룽지의 입자가 크게 파쇄되거나, 파쇄되지 않고 아래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회전축 기어(111c)의 원주가 제2 회전축 기어(112c)의 원주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제1 파쇄날(111b)의 회전속도를 제2 파쇄날(112b)의 회전속도보다 느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otation axis gear 111c is engaged with the second rotation axis gear 112c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rotation axis 111c gear is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otation axis gear 112c. If the rotation speed of the primary crushing blade 111a is faster than the speed of the secondary crushing blade 112a, the particles of the flat-type burnishing rubbers are largely crushed or fall down without crushing.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rotary shaft gear 111c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otary shaft gear 112c,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shredding blade 111b is set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shredding blade 112b It is desirable to make the time slow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회전축 기어(111c)가 한번 회전할 때, 제2 회전축 기어(112c)가 세 번 회전(1 : 3)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그 회전비율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 : 1 ~ 1 : 5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rotary shaft gear 112c rotates three times (1: 3) when the first rotary shaft gear 111c rotates once. Howev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purposes such as 1: 1 to 1: 5.

한편, 제1 회전축 기어(111c)와 제1 회전축(111a)의 종단 사이에는 제2 모터 기어(111d)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터 기어(111d)는 체인(124)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제1 회전축(111a)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회전축(111a)에 장착된 제1 회전축 기어(111c)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축 기어(111c)와 맞물린 제2 회전축 기어(112c)도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제1 파쇄날(111b)과 제2 파쇄날(112b)은 동시에 회전하되, 원주가 서로 다른 기어(111c, 112c)에 의해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motor gear 111d may be mounted between the first rotary shaft 111c and the end of the first rotary shaft 111a. Here, the second motor gear 111d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chain 124 and rotates the first rotating shaft 111a. Then, as the first rotation axis gear 111c mounted on the first rotation axis 111a rotates, the second rotation axis gear 112c engaged with the first rotation axis gear 111c also rotates together. Therefore, the first shredding blade 111b and the second shredding blade 112b can be rotated at the same time by the gears 111c and 112c having different circumferenc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2 모터 기어(111d)는 제1 회전축(111a)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제2 모터 기어(111d)는 제2 회전축(112a)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motor gear 111d is assumed to be provid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111a but the second motor gear 111d is not limi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11b, (112a).

한편, 제1 회전축 기어(111c)와 맞물린, 제2 회전축 기어(112c)는 제2 회전축(112a)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2 회전축(112a)은 제2 파쇄날(112b)을 체결한다.The second rotary shaft gear 112c engaged with the first rotary shaft gear 111c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otary shaft 112a and the second rotary shaft 112a is engaged with the second shredding blade 112b.

제2 회전축(112a)도 제1 회전축(111a)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제2 키(a')를 연속 구비한다. 그리고 제2 키(a')는 제2 중공(c') 일측에 구비된 제2 키홈(b')에 체결된다. 즉, 제2 바디(g')에 구비된 제2 중공(c')은 제2 회전축(112a)을 삽입한다.Similarly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11a, the second rotation shaft 112a is provided with a second key a 'continuous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key 'a' is fastened to the second key groove b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ollow c'. That is, the second hollow c 'provided in the second body g' inserts the second rotary shaft 112a.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파쇄날(112b)은 제1 파쇄날(111b)과 달리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외주면에 다수 개의 수평 칼날(e)이 형성된다. 이때 수평 칼날(e)은 제2 회전축(112a)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파쇄부(110)로 인입되는 평판형 누룽지는 제1 회전축(111a)과 직교하여 형성된 제1 파쇄날(111b)에 의해 수직으로 커팅되고, 제2 회전축(112a)과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칼날(e)에 의해 수평으로 커팅됨으로써 균일한 크기의 형상(사각형)으로 파쇄된다. 또한, 누룽지 파쇄장치(100)는 평판형 누룽지의 커팅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가루를 거를 수 있는 거름체(미도시)를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shredding blade 112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egrally unlike the first shredding blade 111b,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lade e is form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ry shaft 112a. Therefore, the plate-type burnished paper that is drawn into the crushing unit 110 is cut vertically by the first crushing blade 111b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rotation axis 111a, e) to be crushed into a uniformly sized shape (squar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urnishing apparatus 100 incorporates a squeeze member (not shown) which can remove fine powder generated during the cutting process of the flat plate burnishing paper.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룽지 파쇄장치의 파쇄부(21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rushing unit 210 of the bur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쇄기와 제2 파쇄기의 파쇄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쇄날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파쇄날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ushing structure of a first crusher and a second crus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crushing bla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crushing bla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210)는 제2 파쇄날(212)이 다수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110)와 차이가 있다.The crushing unit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rush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second crushing blade 21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한편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기재하였다.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is omitted, while the sam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제2 파쇄날(212)은 서로 인접하여 제2 회전축(111a)에 체결된다. 따라서 다수의 제2 파쇄치(d')는 제2 회전축(111a)과 수평으로 다수의 수평 칼날(e')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파쇄부(210)로 인입되는 평판형 누룽지는 제1 회전축(111a)과 직교하여 형성된 제1 파쇄날(111b)에 의해 수직으로 커팅되고, 다수의 제2 파쇄치(d')가 형성하는 수평 칼날(e')에 의해 수평으로 커팅됨으로써 균일한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파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second shredding blades 212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fastene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111a.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econd crush teeth d 'form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e'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on axis 111a. The flat plate type rubbing paper which is formed in this manner by the crushing part 210 is vertically cut by the first crushing blade 111b formed orthogonally to the first rotating axis 111a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rushing teeth d ' And the horizontal cutting edge e 'of the cutting edge can form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uniform size.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120)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driv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120)는 모터(121), 인버터 컨트롤러(122), 제1 모터 기어(123), 및 체인(124)을 포함한다.2, a driv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121, an inverter controller 122, a first motor gear 123, and a chain 12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121)는 감속모터로서, 회전력을 모터 회전축(미도시)으로 전달하고, 인버터 컨트롤러(122)는 주파수를 변화시켜 모터(121)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상기 모터 회전축의 일단에는 제1 모터 기어(123)가 장착되고, 제1 모터 기어(123)와 제2 모터 기어(111d)는 폐루프(close loop)로 형성된 체인(124, chain)이 감긴다. 따라서 체인(124)은 제1 모터 기어(123)의 회전력을 제2 모터 기어(111d)로 전달할 수 있다.The motor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celeration motor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a motor rotation shaft (not shown), and the inverter controller 122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21 by changing the frequency. A first motor gear 123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motor rotation shaft and a chain 124 formed of a closed loop is wound on the first motor gear 123 and the second motor gear 111d . Therefore, the chain 124 can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gear 123 to the second motor gear 111d.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된 누룽지 파쇄장치(100)에 의해 평판형 누룽지를 1x1cm가 되도록 파쇄 설정하여 실시한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n experiment conducted by setting the plate-type burnished paper to a size of 1 x 1 cm by crushing with the burnishing apparatus 100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험 예><Experimental Examp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된 누룽지 파쇄장치(100)는 2개의 파쇄날(111b, 112b)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였다. 즉, 1차 파쇄날(111b)에서 평판형 누룽지를 인입시키는 회전속도보다, 2차 파쇄날(112b)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수직(날 간격은 11mm, 도 5a 참조)과 수평(날 간격은 23mm, 도 5b 참조)이 만났을 때의 각도가 사각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1차 파쇄날(111b)과 수평 칼날(e)이 교차각을 형성하여 규격 치수(10x10mm)의 누룽지 파쇄물을 얻을 수 있었다.The burni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rotational speeds of the two crushing blades 111b and 112b. That i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ary crushing blade 112b is made higher than the rotational speed at which the flat plate type burnishing rudder is pulled in the primary crushing blade 111b, and the vertical (blade interval is 11 mm, see FIG. 5A) 23 mm, see Fig. 5B) was set to be a square. By setting in this manner, the primary crushing blade 111b and the horizontal blade e form an intersecting angle, so that the crushed crushed material of the standard size (10 x 10 mm) can be obtained.

또한, 회전속도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한 이유는, 1차 파쇄날(111b)의 회전속도가 2차 파쇄날(112b)보다 빠르면 누룽지 입자가 크게 파쇄되거나, 파쇄되지 않고 밑으로 바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여 1차 파쇄날(111b)의 회전속도를 2차 파쇄날(112b)의 속도보다 느리게 하여 평판형 누룽지가 파쇄되지 않고 하부로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The reason why the rotational speed is set as described above is that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imary crushing blade 111b is faster than that of the secondary crushing blade 112b, the phenomenon that the crushing particles are largely crushed, It is because it occurred. Accordingly, the rotation speed of the primary crushing blade 111b is made slower than the speed of the secondary crushing blade 112b to prevent the plate-type burnishing rupture from being broken down without being broken.

보다 구체적으로, 1차 파쇄날(111b)의 제1 파쇄치(d) 수를 42개로 설정하였고, 2차 파쇄날(112b)의 수평 칼날(e) 수를 20개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제1 회전축 기어(111c)의 톱니 수를 57개로 설정하였고, 제2 회전축 기어(112c)의 톱니 수를 18개로 설정하였다.More specifically, the number of first crushing teeth (d) of the primary crushing blade 111b was set to 42, and the number of horizontal blades (e) of the secondary crushing blade 112b was set to 20 pieces.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rotating shaft gear 111c was set to 57, and the number of teeth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gear 112c was set to 18. [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제1 회전축 기어(111c)가 1번 회전할 때, 제2 회전축 기어(112c)가 3번 회전하였다. 또한, 모터(121)는 20:1의 감속모터로서, 1HP의 인버터 컨트롤러(122)에 의해 회전속도를 제어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룽지 파쇄장치(100)는 모터(121)의 회전속도를 45 내지 60 RPM으로 제어하였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파쇄치(d) 사이의 간격을 11mm로 설정하고, 수평 칼날(e) 사이의 간격을 23mm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설정하여 파쇄된 누룽지의 사진은 도 8에 도시하였다.By this setting, the second rotary shaft gear 112c is rotated three times when the first rotary shaft gear 111c rotates once. The motor 121 is a deceleration motor of 20: 1, and the rotation speed is controlled by the inverter controller 122 of the 1HP. The burni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21 to 45 to 60 RPM. Further,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crushing teeth d was set at 11 mm,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horizontal blades e was set at 23 mm. 8 shows a photograph of the burned rice cake set as described abov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룽지 파쇄장치의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8 is a photograph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of a bur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실험 결과 파쇄된 누룽지의 최소 치수는 1x1cm 였고, 손실(loss)율은 10% 미만이었다.Referring to FIG. 8, the minimum size of the scorched rice cake was 1 x 1 cm and the loss rate was less than 10%.

한편, 본 발명의 실험 예에서는 1x1cm의 파쇄 누룽지를 얻기 위해 실험하였으나, 상술한 수치에 한정하지 않고 제1 파쇄날(111b)의 제1 파쇄치(d) 간격은 10mm 내지 20mm로 설정하고, 제2 파쇄날(112b)의 수평 칼날(e) 간격은 21mm 내지 60mm로 설정하는 등의 설정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회전축 기어(111c)의 원주와 제2 회전축 기어(112c)의 원주 비율도 2 : 1 내지 4 : 1 등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obtain 1 x 1 cm of crushed rubber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values, and the interval of the first crushing teeth d of the first crushing blade 111b is set to 10 mm to 20 mm, The interval between the horizontal blades (e) of the two shredding blades 112b can be set to 21 mm to 60 mm.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ircumferential ratio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rotary shaft gear 111c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otary shaft gear 112c is in the range of 2: 1 to 4: 1.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누룽지 파쇄장치 110,210: 파쇄부
120: 구동부 130: 하우징
111: 제1 파쇄기 112,212: 제2 파쇄기
111a: 제1 회전축 111b: 제1 파쇄날
111c: 제1 회전축 기어 111d: 제1 모터 기어
112a: 제2 회전축 112b: 제2 파쇄날
112c: 제2 회전축 기어 121: 모터
122: 인버터 컨트롤러 123: 제1 모터 기어
124: 체인 a, a': 제1, 제2 키
b, b': 제1, 제2 키홈 c, c': 제1, 제2 중공
d, d': 제1, 제2 파쇄치 e, e': 수평 칼날
f: 이격수단 g, g': 제1, 제2 바디
100: burner crusher 110, 210: crusher
120: driving part 130: housing
111: first crusher 112, 212: second crusher
111a: first rotating shaft 111b: first crushing blade
111c: first rotating shaft gear 111d: first motor gear
112a: second rotating shaft 112b: second crushing blade
112c: second rotating shaft gear 121: motor
122: inverter controller 123: first motor gear
124: chain a, a ': first and second keys
b, b ': first and second keyways c and c': first and second hollows
d, d ': first and second breaking values e and e': horizontal blade
f: separation means g, g ': first and second bodies

Claims (9)

제1 파쇄기; 및
상기 제1 파쇄기와 대향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파쇄기의 파쇄날과 직교하는 파쇄날이 형성된 제2 파쇄기; 를 포함하는 누룽지 파쇄장치.
A first crusher; And
A second crusher provided opposite to the first crusher and having a crushing blade perpendicular to the crushing blade of the first crusher; And a crushing device for crushing the crushed r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키를 구비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키에 체결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다수 개의 파쇄치가 외주면에 구비된 제1 파쇄날;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외측 일단에 장착되는 제1 회전축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파쇄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rusher
A first rotation shaft having a first key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crushing blade coupled to the first key and having a plurality of crushing teeth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tation axi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irst rotary shaft gear mounted on an outer end of the first rotary shaft; And a crushing device for crushing the crushed garbag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날은
다수로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파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hredding blade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날은
상기 제1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 중공이 형성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제1 파쇄치;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이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공의 일측에는 제1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제1 파쇄날을 각각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파쇄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hredding blade
A first body having a first hollow into which the first rotating shaft is inserted;
A plurality of first crush tee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Spacing means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first body; / RTI &gt;
Wherein a first keywa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llow, and the spacing means separate the first shredding blad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쇄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제2 키를 구비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키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과 수평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수평 칼날이 외주면에 구비된 제2 파쇄날;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파쇄날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 회전축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파쇄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rusher
A second rotation shaft having a second key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crushing blade coupled to the second key and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rushing blade; And
A second rotary shaft gear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rotary shaf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econd shredding blade; And a crushing device for crushing the crushed garbag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쇄날은
다수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여 상기 제2 회전축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파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shredding blade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rotary shafts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fastened to the second rotary shaf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쇄날은
상기 제2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 중공이 형성된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제2 파쇄치; 및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축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2 파쇄치;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 파쇄치는 서로 인접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수평 칼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파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shredding blade
A second body having a second hollow for receiving the second rotation shaft;
A second crush too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A plurality of second crush tee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otational axis; Lt; / RTI &gt;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crush teeth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기와 상기 제2 파쇄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파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rst crusher and the second crusher; Further comprising: a crushing device for crushing the crushing material.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1 모터 기어;
상기 제1 모터 기어에 체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 및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파쇄장치.
9. The apparatus of claim 8,
A mot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first motor gear mounted on one end of the motor rotation shaft and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 chain coupled to the first motor gea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d
An invert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a crushing device for crushing the crushed garbage.
KR1020140079522A 2014-06-27 2014-06-27 Cruching apparatus for crust of overcooked rice KR1017508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522A KR101750880B1 (en) 2014-06-27 2014-06-27 Cruching apparatus for crust of overcooked r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522A KR101750880B1 (en) 2014-06-27 2014-06-27 Cruching apparatus for crust of overcooked r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755A true KR20160007755A (en) 2016-01-21
KR101750880B1 KR101750880B1 (en) 2017-06-29

Family

ID=5530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522A KR101750880B1 (en) 2014-06-27 2014-06-27 Cruching apparatus for crust of overcooked r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8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00B1 (en) * 2020-07-27 2021-03-05 농업회사법인 라이스푸드 주식회사 Nurungji Crushing Device
KR20230072829A (en) * 2021-11-18 2023-05-25 정준영 Mask disposal apparatus having serrated type crushing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608A (en) 2003-10-29 2005-05-03 송재순 A processing device for dry confectionery made of cere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5772B2 (en) * 2003-10-24 2008-09-03 敷島製パン株式会社 Food molding equipment
KR200441050Y1 (en) * 2007-12-18 2008-07-18 김의소 disinteg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608A (en) 2003-10-29 2005-05-03 송재순 A processing device for dry confectionery made of cere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00B1 (en) * 2020-07-27 2021-03-05 농업회사법인 라이스푸드 주식회사 Nurungji Crushing Device
KR20230072829A (en) * 2021-11-18 2023-05-25 정준영 Mask disposal apparatus having serrated type crush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880B1 (en)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40099B2 (en) No bake granola product and methods of preparation
JP5449795B2 (en) Automatic bread machine
CA2148016C (en) Manufacture of pasta
JPS63500143A (en) Extrusion manufacturing method for bran products
RU2414128C1 (en) Snack chips containing buckwheat husks
JP72249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laky cereal without the use of a flaking mill
KR101750880B1 (en) Cruching apparatus for crust of overcooked rice
RU2624948C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grain flakes
JP6132516B2 (en) Rice past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462833B1 (en) Embossed noodle cutter
EP3079494B1 (en) Extruded flakes and manufacturing method
EP3073841B1 (en) Extruded flakes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0829120B1 (en) The Manufacture of ricenoodle
KR20190075261A (en) A fruit cutting machine
EP3908438A1 (en) Extrusion device with a granulating turbine and food-grade granulates
KR101173086B1 (en) Cooked rice noodl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equipment
KR100560331B1 (en) Process method and apparatus for fresh dough flake
KR102062762B1 (en) Dough flake forming apparatus
JP2673134B2 (en) Processed brown rice
KR101954740B1 (en) Manufcaturing method of rice flour for bakery and confectionery
KR100494260B1 (en) Food waste disposer and automatic disposing process
KR200100943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Corn Noodles And Corn Noodles Made By The Same
KR200325754Y1 (en) Food waste disposer and automatic disposing process
KR20160007775A (en) Manufacturing unit of corn and buckwheat noodles
KR102381820B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rice c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