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156A -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156A
KR20160007156A KR1020140087426A KR20140087426A KR20160007156A KR 20160007156 A KR20160007156 A KR 20160007156A KR 1020140087426 A KR1020140087426 A KR 1020140087426A KR 20140087426 A KR20140087426 A KR 20140087426A KR 20160007156 A KR20160007156 A KR 20160007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ginseng extract
androgen
extract
doxorubic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무
한창균
김영숙
이승호
경종수
김용순
한병철
임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40087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7156A/ko
Publication of KR2016000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생체 내에서 안드로겐 수용체를 효과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들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ndrogen Insensitivity Syndrome Comprising Red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안드로겐(androgen)은 남성 호르몬의 작용을 나타내는 모든 물질을 일컫는 말로서, 남성 생식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을 모두 총칭하여 남성 호르몬이라고 한다. 남성의 2차 성징 발달에 작용하는 호르몬으로 주로 남성의 정소에서 분비되며 일부는 부신피질과 여성의 난소에서도 분비된다. 안드로겐은 1936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태아의 성분화를 촉진시키고, 남성생식기관(전립선, 정낭, 부정소, 외부생식기 등)의 기능을 유지한다. 또한, 남성의 2차 성징이 나타나도록 하며, 정자 형성을 촉진 및 황체형성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시키기도 하고, 피지선을 자극해 피지의 생성을 촉진시키기도 한다.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은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가 결핍된 질병으로 가슴이 발달하고 겨드랑이에 체모 발생이 거의 없거나 드물다(비특허문헌 1). 여성의 외부 생식기를 가지고 있지만 짙게 폐색되어 있으며 모든 내부 생식기가 결여되어 있다. 내분비상으로는 테스토스테론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고 생식선 자극호르몬의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정상적인 테스토스테론의 수준과 정상 남성 보다 높은 수준의 에스트로겐이 관찰된다. 보통 X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 이상에 의해 일어나므로, 열성 반성 유전을 한다. 아이의 경우 양쪽 성별에 공통적으로 안드로겐에 의해 나타나는 음모의 발달 등이 나타나지 않고, 완전형의 경우 여성의 2차 성징이 나타나며, 완전히 차단되지 않은 경우는 불임 남성에서 여성에 가까운 정도까지 다양하다. 완전형의 경우는 남성호르몬의 전환에 의해 여성의 외모와 거의 비슷할 수도 있다.
한편, 인삼(Panax Ginseng)은 한의학뿐만 아니라 민간요법에서 자양강장제로 널리 사용되어 온 오가피(Araliaceae) 과의 인삼(Panax)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수삼, 홍삼, 백삼, 산삼, 미삼, 원삼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인삼은 가공방법에 따라 인삼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수삼, 홍삼, 백삼 등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수삼은 수확 후 건조되지 않은 인삼의 뿌리이며, 백삼은 수삼의 잔뿌리를 제거하고 껍질을 벗겨낸 다음, 햇볕에 말린 인삼의 뿌리이다. 홍삼은 인삼의 뿌리를 쪄서 말리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인삼의 사포닌은 부신에서 카테콜아민(Cartecholamine)의 분비를 촉진하고 지질의 과산화 과정을 저해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지니며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알킬화제에 의한 염색체 이상 및 미세핵 방어효과, 배양세포에서 돌연변이 감소 및 세포변형 감소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최근에는 홍삼에서 효능이 알려진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집중적으로 높여 효과를 극대화 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홍삼의 약효로는 노화억제, 동맥경화 및 고지혈증 개선, 간기능항진, 방사선장애 제거, 면역증강, 항혈전, 뇌기능항진, 항스트레스, 혈당강하, 혈압강하, 항암 효과 등이 있으나(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홍삼이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문헌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홍삼의 추출물이 뛰어난 안드로겐 수용체 발현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782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433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185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3477호
O. Hiort and P.-M. Holterhus, International Journal of andrology, 26:16-20 (2003)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홍삼은 수삼, 바람직하게는 6년근 수삼을 정선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홍삼은 특수 가공기술로 증숙, 건조시키는 과정 중에 우리 몸에 유익한 항암성분(진세노사이드 Rh2), 암세포 독소 활성 억제성분(파낙사트리올), 혈소판 응집 억제성분(말톨), 비만 억제 성분 등 여러 생리활성 성분들이 생성되며, 미량의 정유 성분을 함유한다. 상기 홍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건조된 홍삼은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한 양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C1 내지 C4의 알코올, 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또는 수용액,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넣고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될 수 있으며,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추출 또는 가열추출 등과 같이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추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상기 홍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 홍삼 추출물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능 상승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형이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적절하게 제형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되고,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병소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패취, 연고, 스프레이 등의 형태로 피부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패취, 연고, 스프레이,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피부 외용 연고제는 상기 홍삼 추출물 이외에 바셀린 30 내지 70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 내지 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배출률, 약물 배합 및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단위 용량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홍삼의 추출물은 약 1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의 단위 용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약 100 내지 3,000 ㎎ 범위가 보통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1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홍삼 추출물은 독소루비신 투여로 야기되는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 감소를 현저히 억제하였다(도 6 참조). 상기 결과는 홍삼 추출물이 독소루비신 투여로 야기되는 혈중 남성 호르몬 함량 감소의 억제와 더불어 남성 호르몬 수용체의 발현 감소를 억제하므로 고환 세포가 호르몬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생체 내에서 안드로겐 수용체를 효과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이나 이와 관련된 질환들, 예컨대 남성 불임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 증상의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홍삼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되는 홍삼 추출물의 함량은 건강식품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홍삼 추출물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 활성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양을 사용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조성물의 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홍삼 추출물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건강식품으로 제조되는 경우, 식품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건강식품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상기 홍삼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천연 추출액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생체 내에서 안드로겐 수용체를 효과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들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독소루비신 투여량에 따른 래트의 체중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독소루비신 투여에 따른 체중 변화에 홍삼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독소루비신 노출 래트의 고환 및 부고환의 무게에 홍삼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독소루비신 노출 래트의 고환 항산화효소 단백질 발현에 홍삼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전기영동 사진 및 그래프이다.
YC: 젊은 쥐 대조군(Young Control), DOX: 독소루비신,
EX 1: 홍삼 추출물(100 ㎎/㎏ b.w.), EX 2: 홍삼 추출물(200 ㎎/㎏ b.w.)
도 5는 독소루비신 노출 래트 고환에서 정자 생성 관련 단백질 발현에 홍삼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전기영동 사진 및 그래프이다.
DOX: 독소루비신, EX 1: 홍삼 추출물(100 ㎎/㎏ b.w.)
EX 2: 홍삼 추출물(200 ㎎/㎏ b.w.)
도 6은 독소루비신 노출 래트 고환에서 성호르몬 수용체 발현에 홍삼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전기영동 사진 및 그래프이다.
YC: 젊은 쥐 대조군, DOX: 독소루비신,
EX 1: 홍삼 추출물(100 ㎎/㎏ b.w.), EX 2: 홍삼 추출물(200 ㎎/㎏ b.w.)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 추출물의 제조
6년근 홍삼(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1 ㎏에 증류수 10 ℓ(10배, v/w)를 가해 85℃에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여, 잔사를 여과하여 제거 한 추출액을 모아 건조하여 홍삼 추출물 481.5 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독소루비신-유발 고환 세포 독성에 대한 홍삼 추출물의 생체내 방어 효과
1.1. 고환 선택적 독성 유발 독소루비신의 적정 투여량 조사
본 동물 실험에 앞서 래트에서 고환 선택적으로 독성을 야기할 수 있는 독소루비신의 투여량을 조사하였다. 8주령 스프라그 돌리(Sprague-Dawley) 수컷 래트(대한바이오, 한국)는 2주간의 교화 기간을 거친 후 23±2℃, 습도 55±5%, 명암주기 12시간으로 유지되는 항온, 항습의 SPF(Specific Pathogen Free) 사육실에서 사육하였다. 실험군 설정은 대조군(control, YC)과 독소루비신 0.5, 1.0, 2.0 ㎎/kg b.w. 투여군(DOX 0.5, DOX 1, DOX 2)으로 하였으며, 각 군당 5마리씩 배당하였다. 독소루비신은 생리 식염수에 각각 0.5, 1, 2 ㎎/㎖로 녹여 체중 대비 주 1회 복강 주사하였다. 총 투여기간은 8주로 하였으며, 주 2회 체중 확인은 물론 외적으로 나타나는 독성 반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은 체중 증가에 기복이 없이 8주 연속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독소루비신 투여군의 경우 전반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체중 증가가 투여량-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 ㎎/㎏ b.w. 투여군의 경우 6주부터 체중이 전혀 증가하지 못하였으며 심지어 외적인 독성 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투여량이 과다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1 ㎎/㎏ b.w. 투여군에서는 대조군 대비 현저한 체중 증가 억제가 관찰되었으나, 조사기간 동안 외적으로 심한 독성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도 1).
1.2. 홍삼 추출물이 체중 증가에 미치는 효과
8주령 스프라그-돌리 수컷 래트는 2주간의 교화기간을 거친 다음 23±2℃, 습도 55±5%, 명암주기 12시간으로 유지되는 항온, 항습의 SPF 동물실에서 사육하였다. 실험군 설정은 대조군(G1), 독소루비신 단독 투여군(G2), 홍삼 추출물(100 ㎎/㎏ b.w.) + 독소루비신 투여군(G3), 홍삼 추출물(200 ㎎/㎏ b.w.) + 독소루비신 투여군(G4)으로 하였으며 각 군은 6마리씩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체중 증가에 따른 홍삼 추출물의 사료 첨가량을 결정하기 위해 사료 섭취량/일을 조사하였다. 홍삼 추출물은 래트용 분말 사료에 첨가, 펠렛으로 제조하여 100, 200 ㎎/㎏ b.w./일이 되도록 사료에 첨가하여 급이하였다. 또한, 주당 2회 체중과 일일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여 증가한 체중을 보상하여 줌으로써 체중 대비 1일 섭취량을 계산한 다음, 매 2주 간격으로 새로운 사료를 제조하였다. 제조 사료는 독소루비신 투여 1주일 전부터 급이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쳤으며, 독소루비신 투여는 예비 실험을 통하여 고환 선택적으로 독성을 야기하는 투여량인 1.0 ㎎/㎏ b.w.로 하였고, 주 1회 복강 주사하였으며, 총 투여기간은 외적으로 나타나는 독성 반응에 근거하여 7주로 하였다.
그 결과, 본 동물 모델에서는 독소루비신 노출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현저한 체중 증가율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도 2).
1.3. 독소루비신 노출 래트의 혈중 성호르몬 함량에 홍삼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
홍삼 추출물이 간 기능(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γ-GPT: γ-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ALB: albumin), 당 및 지질대사 기능(Glu: glucose, T-cho: total cholesterol, LDL: LDL-cholesterol, HDL: HDL-cholesterol, TG: triacylgrycerol), 신장 기능(CA: calcium, IP: inorganic phosphorus, BUN: Blood urea nitrogen, Crea: creatine), 혈중 성호르몬 함량(testosterone, LH, FSH)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기 혈액화학지수는 생화학자동분석기(Hitachi Medical Co., Ltd., Model 747, Tokyo, Japan)를 이용하여 통상의 임상검사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독소루비신에 노출된 래트의 경우 테스토스테론, 여포 자극 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황체형성 호르몬(luteonizing hormone, LH)의 혈중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이와 대조적으로, 홍삼 추출물 투여군, 특히 200 ㎎/㎏ b.w. 투여군에서는 독소루비신에 의한 성호르몬의 감소가 유의하게 회복되었다(p<0.05∼0.01).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의 경우 독소루비신 투여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하기였으나, 홍삼 추출물 투여군은 독소루비신 투여에 의해 감소하는 에스트라디올의 함량을 회복시켰다(표 1). 상기 결과로부터, 독소루비신에 의해 혈중 성호르몬 함량에 불균형이 야기되며 홍삼 추출물이 이를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테스토스테론
(ng/㎖)
FSH
(mIU/㎖)
LH
(mIU/㎖)
에스트라디올
(pg/㎖)
G1 4.630.74 17.243.26 21.563.67 4.260.85
G2 3.250.98* 12.251.41* 14.692.56* 3.480.76
G3 3.820.87 14.211.62 18.543.62** 3.850.66
G4 4.160.74** 16.642.32** 19.262.49** 3.920.82
*: 정상 대조군과의 현저한 차이(p<0.01)
**: 독소루비신 대조군과의 현저한 차이(p<0.05∼0.01)
1.4. 독소루비신 노출 래트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에 홍삼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
조직의 병리 조직 검사를 하기 위하여, NBF(neutral buffer formalin) 용액에 고정한 조직을 탈수(dehydration), 클리어링(clearing), 침투(infiltration) 및 파라핀-포매(paraffin-embedding) 과정을 거친 다음 자동 조직 처리기(automatic tissue processor)(Leica ASP 300, Wetzlar, Germany)를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마이크로톰(microtome)(Leica RM 2245, Wetzlar, Germany)을 이용하여 얇은 절편(4∼6 ㎛ 두께)으로 만들었다. 박편으로 제작한 검체는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matoxylin & eosine, H&E)으로 염색하였고, 광학현미경(CX31, Olympus Corp.,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검경하였다. 정자 생성과 관련된 지수 조사를 위해서는 마리당 11개의 정세관을 조사하여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독소루비신 투여군(G2)은 대조군인 G1에 비해 고환 무게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삼 추출물 투여군(G3, G4)에서는 독소루비신에 의해 야기되는 고환과 부고환 무게 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3). 또한, 독소루비신 투여군(G2)에서는 세포 괴사(cell necrosis)는 0.9, 간소엽 구조의 파괴(destruction of lobular structure)는 0.8, 지방공포의 변성(fatty change)은 2.3, 수포 변성(hydrophic change)은 1.2로 나타났으며, 이를 종합한 간의 손상과 섬유화 정도는 5.2로 관찰되었다. 홍삼 추출물 투여군(G3, G4)에서는 독소루비신 단독투여군(G2)에서 보였던 세포핵의 과염색상, 세포질의 호산성 변화 및 공포형성, 수포변성과 지방변성 등을 포함하여 유의한 소견들이 대부분의 개체에서 유의하게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저용량 투여군인 G3군 보다는 G4군에서 유의하게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세포 괴사 간소엽 구조의
파괴
지방공포의
변성
수포 변성 간의 손상 및
섬유화 정도
(최대 점수 4.00)
G1 0 0 1.1 0.2 1.4
G2 0.9 0.8 2.3 1.2 5.2
G3 0.6 0.3 1.7 0.9 3.5
G4 0.3 0.2 1.2 0.6 2.3
독소루비신에 노출된 래트의 정세관 크기에 있어서는 군당 총 66개를 관찰한 결과 G2군에서 현저한 위축이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홍삼 추출물 투여군의 정세관 크기는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홍삼 추출물이 독소루비신에 의해 야기되는 정세관 위축을 방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세관의 수 정세관의 크기(㎛)
G1 66 215.6±49.5
G2 66 195±56.2
G3 66 226.5±46.7
G4 66 211.9±50.4
한편, 독소루비신에 노출된 래트의 정세관이 정자를 함유하고 있는 비율은 59.2%로 대조군 75.5%에 비해 약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G2군의 정자수/정세관은 1.75×103으로서 정상 대조군의 2.12×103에 비해 82.5%에 불과하였다(p<0.05). 이와 대조적으로, 홍삼 추출물의 투여는 정자 생성 지수를 현저히 개선하였다(p<0.05).
정세관의 수 정자를 갖는 정세관의
백분율(%)
정자의 수(×103)
G1 66 74.5±13.7 2.12±524
G2 66 59.2±10.5* 1.75±384*
G3 66 66.2±11.4 1.86±391
G4 66 71.5±12.5** 1.98±421**
*: 정상 대조군과의 현저한 차이(p<0.01)
**: 독소루비신 대조군과의 현저한 차이(p<0.05∼0.01)
1.5. 독소루비신 노출 래트에 있어서 고환 항산화효소 발현에 홍삼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
특이적 단백질 검출을 위해 널리 알려져 있는 웨스턴 블롯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고환 조직을 추출한 다음 표준 버퍼(RIPA buffer 980 ㎖ + Protease inhibitor 10 ㎖ + phosphatase inhibitor 10 ㎖)를 넣어 단백질을 용해(lysis)시켰고, 원심분리(14,000 rpm, 20 min, 4℃)하여 상층액을 취한 후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일정량의 단백질과 로딩 버퍼(5×)를 혼합하여 10% SDS-PAGE로 전기영동한 후, PVDF 막으로 전달하였다. 5% 탈지유로 1시간 차단한 후 GSTm5, PRX2 및 액틴에 대한 1차 항체를 밤새 배양시켰고, ECL 검출 용액(Thermo)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독소루비신 투여군에서 두 효소의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5∼0.01), 홍삼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한 발현량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도 4).
3.6. 독소루비신 노출 래트에 있어 정자생성 관련 단백질 발현에 홍삼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
정세관 세피의 접합과 정자 생성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인 넥틴(Nectin)-2와 여포 자극 호르몬 항상성을 음성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인히빈(Inhibin)-α에 대한 1차 항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3.5>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넥틴-2와 인히빈-α 모두 그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0.01). 한편, 홍삼 추출물 투여군에 있어서는 독소루비신 투여로 야기되는 넥틴-2와 인히빈-α의 발현량 감소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넥틴-2α 및 β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p<0.01)(도 5).
3.7. 독소루비신 노출 래트 고환에 있어 성호르몬 수용체 발현에 홍삼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
황체형성 호르몬 수용체(LHR), 여포자극 호르몬 수용체(FSHR) 및 안드로겐 수용체(AR)에 대한 1차 항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3.5>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독소루비신은 황체형성 호르몬 수용체, 여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및 안드로겐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홍삼 추출물은 독소루비신 투여로 야기되는 성호르몬 수용체 발현 감소를 현저히 방어하였다(p<0.05)(도 6). 상기 결과로부터, 독소루비신 투여로 야기되는 혈중 남성 호르몬 함량 감소 방어와 더불어 홍삼이 수컷 래트에 있어서 남성 호르몬 수용체의 발현 감소를 억제하므로 고환 세포가 호르몬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도와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1. 피부 외용 연고의 제조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 연고를 하기 표 5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홍삼 추출물 20
정제수 10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밀납 4.0
1.2. 피부 외용 패치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 패치를 하기 표 6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홍삼 추출물 10.0
헥실렌글리콜 20.0
디에틸아민 0.7
폴리아크릴산 1.0
아황산나트륨 0.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0=9) 1.0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 1.0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cetiol LC) 2.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3.0
탈이온수 70
1.3.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홍삼 추출물 ··················· 2 g
유당·····························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4.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홍삼 추출물···················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5.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홍삼 추출물···················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6. 환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홍삼 추출물····················1 g
유당····························1.5 g
글리세린···························1 g
자일리톨··························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7. 과립의 제조
실시예 1의 홍삼 추출물···················50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200 ㎎
전분····························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홍삼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홍삼 추출물을 하기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홍삼 추출물(12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2-2> 건강 음료의 제조
홍삼 추출물 ·············· 10 g
구연산·················100 ㎎
올리고당················100 ㎎
매실농축액················2 ㎎
타우린·················100 ㎎
정제수를 가하여··········전체 5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Claims (9)

  1.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은 홍삼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또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은 홍삼의 수추출물인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20.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패취, 연고, 스프레이,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제형을 갖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 증상의 개선용 건강식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은 홍삼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또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 증상의 개선용 건강식품.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은 홍삼의 수추출물인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 증상의 개선용 건강식품.
  9. 청구항 6에 있어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를 갖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 증상의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140087426A 2014-07-11 2014-07-1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7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26A KR20160007156A (ko) 2014-07-11 2014-07-1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26A KR20160007156A (ko) 2014-07-11 2014-07-1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156A true KR20160007156A (ko) 2016-01-20

Family

ID=5530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426A KR20160007156A (ko) 2014-07-11 2014-07-1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715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333A (ko) 2003-03-31 2004-04-28 주식회사뉴엘 면역활성 조절효과를 갖는 홍삼 복합물 조성 및 이를함유하는 식품
KR20040091858A (ko) 2003-04-22 2004-11-02 주식회사 나우코스 홍삼 및 죽여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3477A (ko) 2010-02-12 2011-08-1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홍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30027821A (ko) 2011-09-08 2013-03-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처리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333A (ko) 2003-03-31 2004-04-28 주식회사뉴엘 면역활성 조절효과를 갖는 홍삼 복합물 조성 및 이를함유하는 식품
KR20040091858A (ko) 2003-04-22 2004-11-02 주식회사 나우코스 홍삼 및 죽여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3477A (ko) 2010-02-12 2011-08-1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홍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30027821A (ko) 2011-09-08 2013-03-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처리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 Hiort and P.-M. Holterhus, International Journal of andrology, 26:16-20 (2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833B1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00138576A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05430A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20070094394A (ko) 한약재를 이용한 불임증 치료용 조성물
US1067531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 contain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 active ingredient
KR101426356B1 (ko) 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75836B1 (ko)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5706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65719B1 (ko) 장구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79500B1 (ko) 율무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20270B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3792B1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125116A (ko) 국화 및 주증대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7916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007156A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드로겐 불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8316A (ko) 황벽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150485B1 (ko) 알코니아 트리플너비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식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18215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73818B1 (ko) 피부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05305B1 (ko)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09425B1 (ko)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02599B1 (ko) 각시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67290B1 (ko) 멀꿀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