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113A -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113A
KR20160007113A KR1020140087293A KR20140087293A KR20160007113A KR 20160007113 A KR20160007113 A KR 20160007113A KR 1020140087293 A KR1020140087293 A KR 1020140087293A KR 20140087293 A KR20140087293 A KR 20140087293A KR 20160007113 A KR20160007113 A KR 2016000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enclosure
hole
pres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804B1 (ko
Inventor
박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인스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인스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인스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4008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8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 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이하, 'CCTV') 설치를 위한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CCTV가 설치되는 폴대, 폴대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 및 CCTV 운용을 위해 폴대에 설치되는 함체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길이가 가변되는 폴대; 상기 폴대의 하측에서 폴대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폴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함체;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각각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ASSEMBLY FOR CCTV INSTALLATION}
본 발명은 폐쇄 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이하, 'CCTV') 설치를 위한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CCTV가 설치되는 폴대, 폴대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 및 CCTV 운용을 위해 폴대에 설치되는 함체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대는 나사를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조절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조절부는 각각 별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지면의 굴곡에 관계없이 폴대를 수직 고정할 수 있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대는 지면에 입설(立設)되는 아랫폴대, 아랫폴대에 삽입되는 윗폴대 및 윗폴대를 상, 하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대는 CCTV의 전선이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커넥터는 모터의 동작에 간섭받지 않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함체는 그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부가 함체의 외면에 이격되어 구성되되, 함체의 전면, 배면, 좌·우측면, 평면 또는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열차단부를 구성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함체는 개폐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개방되는 제1 함체 및 다른 일측으로 개방되는 제2 함체를 포함하여 양측으로 펼쳐져 개방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은 특정 지역에서 정해진 범위를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CCTV는 넓은 범위의 감시를 위해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주변 지형물(벽, 건물 등)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폴대(또는, 지주, 전주 등을 포함)를 지면에 입설하고, 그 상측에 설치한다.
아울러, CCTV 운용 및 제어를 위한 함체가 해당 폴대의 일측에 설치된다.
특히, 폴대는 지면에 입설되면서 CCTV 등의 운용장비 및 함체 등이 설치되어야하기 때문에 최초 설치시 중심을 정확히 하고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폴대는 정확히 수직으로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지면의 변형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기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울어진 폴대에 CCTV가 설치되는 경우, 그 기울기 정도에 따라 감시범위가 바뀔 수도 있고, 이는 CCTV 본래의 목적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입설된 폴대 중, 특히 지면에 매설되는 폴대의 하부에서 폴대를 지지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2006-0080239호에는 전주 지지 구조물이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기술은 압입링을 압입하고, 압입돌기에 의해 전주를 압입하여 '土'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기초를 전주에 설치함으로써 전주를 견고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주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기초의 최하단부, 즉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평평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면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전주를 지속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위에 기재된 기술은 전주를 처음 설치하는 과정에서도 기초가 놓일 수 있도록, 지면에 평탄화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예컨대, 전주, 폴대, 전봇대 또는 전신주 등의 경우, 그 하부가 지면에 매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홈을 파고 해당 홈에 전주 등을 매설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물론, 전주 등을 지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지지체의 경우, 지면과 맞닿는 최하단부가 평평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전주 등을 수직으로 입설하기 위해선 지지체와 맞닿는 지면을 평평하게 하는 평탄화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위의 작업은 전주 등을 입설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속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실시에 따른 인력이 소비되고, 이에 따라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면에 다양한 굴곡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지지체에 조절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높이를 구현할 수 있다면, 지면의 평탄화를 위한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입설 이후에도 지면 변형에 따라 입설된 전주 등이 기울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조절부를 통해 다양한 높이를 구현할 수 있고, 조절부로 인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수평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가 구비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나아가, 폴대의 길이가 조절되되, 길이 조절을 위해 폴대가 움직여도 그 내부의 전선이 파손되지 않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06-0080239호(2006.11.15.)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CCTV가 설치되는 폴대, 폴대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 및 CCTV 운용을 위해 폴대에 설치되는 함체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사를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조절부를 개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지면의 굴곡에 관계없이 폴대를 수직 고정할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대를 지면에 입설(立設)되는 아랫폴대, 아랫폴대에 삽입되는 윗폴대 및 윗폴대를 상, 하 이동시키는 모터로 구성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대 내부에 CCTV 전선이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모터의 동작에 간섭받지 않도록 구성된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부가 함체의 외면에 이격되어 구성되되, 함체의 전면, 배면, 좌·우측면, 평면 또는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열차단부를 구성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폐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개방되는 제1 함체 및 다른 일측으로 개방되는 제2 함체를 포함하여 양측으로 펼쳐져 개방되는 함체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는 길이가 가변되는 폴대; 폴대의 하측에서 폴대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 및 폴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함체;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있어서, 지지대는 각각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대는, 지면에 입설되고 모터를 포함하는 하부폴대 및 하부폴대에 삽입되어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 하 이동하는 상부폴대를 포함하되, 상부폴대는 중공부에 커넥터가 삽입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이 커넥터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대는, 폴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일측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수평정도를 측정하는 수평계가 구비된 상부체; 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을 포함하여 상부체의 하부에 구성되는 하부체; 및 통공와 나사공을 관통하여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조절부는 나사공을 관통하는 일면에 나사공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는, 지지대에 길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각각 다양한 길이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폴대를 수직으로 입설하기 위한 지면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신속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인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대를 하부폴대 및 상부폴대로 구성하고, 하부폴대에 구성된 모터로 인해 상부폴대를 상, 하 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폴대의 길이 조절이 자유롭다.
따라서, 폴대에 설치된 운용장비(CCTV)의 유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폴대가 회전하면서 상, 하 운동하기 때문에 CCTV의 감시방향 변경을 수행함은 물론, 변경되는 감시방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를 개폐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함체 내부의 구성을 자유롭게 배치하는 등, 함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함체 크기에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더불어, 기존의 함체와 동일한 구성을 배치시키는 경우에는, 함체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의 외면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부가 구비됨으로 인해 함체의 가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지지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지지대의 설명을 위해 도 2의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지지대가 폴대에 삽입되어 지면에 매설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폴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폴대 내부에 커넥터가 연결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폴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함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함체가 개방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폐쇄 회로 텔레비전(closed dircuit television, 이하, 'CCTV') 설치를 위한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CCTV가 설치되는 폴대, 폴대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 및 CCTV 운용을 위해 폴대에 설치되는 함체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나사산과 나사기어의 의미를 설명한다.
나사산과 나사기어는 통상의 사전적 의미로 파악되기보다는, 서로 맞물림으로써, 2개의 다른 구성이 연계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와 폴대가 나사산과 나사기어를 중복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이해하기에 용이하지 못한 경우, '지지대의 나사산' 또는 '폴대의 나사산' 등으로 구분하여 기재할 것인바, 이를 이해하는데 혼란이 없음을 미리 강조하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 설치 조립체의 주요적인 구성을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지지대(100), 폴대(200) 및 함체(3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폴대의 상단에 연결되는 운용장비를 구체적으로 표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폴대에 연결된 운용장비까지 한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목적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는 CCTV를 주요 운용장비로 기재하고 있으나, CCTV 외의 다른 운용장비(가로등, 신호등, 스피커 등)가 연결되는 것은 본 발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본 발명은 CCTV 외의 다른 운용장비가 연결될 수도 있다.
지지대(100)는 지면에 입설되는 폴대(200)의 하부측에서 폴대(200)가 수직으로 입설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때 지지대(100)는 폴대(200)의 하부에서 폴대(200)를 지지하며, 지면에 매설될 수 있다.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폴대(200)의 입설 후, 지면에서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100)를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폴대(200)의 매설 후, 지지대(100)를 분리하여 지면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폴대(200)가 입설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수직지지하기 위해서 지지대(100)는 폴대(200)의 하측과 함께 지면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00)를 첨부된 도면의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지지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지지대의 설명을 위해 도 2의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지지대가 폴대에 삽입되어 지면에 매설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지지대는, 상부체(110), 하부체(120) 및 조절부(130)를 주요하게 포함한다.
상부체(110)는 폴대(200)가 관통되는 관통홀(111)이 형성되며, 일측에 복수의 통공(112)이 형성되고, 수평정도를 측정하는 수평계(113)가 구비된다.
관통홀(111)은 폴대(200)가 관통된다. 이를 위해 관통홀(111)은 폴대(200)의 외경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관통홀(111)이 상부체(11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표시하고 있지만, 이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관통되는 폴대(2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다.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 관통홀(111)은 관통되는 폴대(200)의 외형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11)은 제작시, 관통될 폴대(200)의 외형과 동일하게 제작할 수 도 있으나, 별도의 수단을 통해 관통홀(111)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형태의 걸림수단을 통해 '-' 부분을 상부체(110)에 걸처지도록 하고, '└┘'의 부분이 관통홀(111)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되, '└┘' 부분이 폴대(200)의 외형과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통공(112)은 상부체(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계(113)는 상부체(110)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면에 지지대(100)를 놓고 수평계(113)를 통해 수평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지지대(110)를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하부체(120)는 상부체(110)의 하부에 구성되며, 나사공(121)을 포함한다.
이때 나사공(121)은 상기 통공(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면에 나사선(122)이 형성된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부체(120)가 막대끼리 연결되어 내측이 뚫려있는 형상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하부체(120)의 내측을 판의 형태로 구성하고, 상부체(110)의 관통홀(111)이 하부체(120)의 판까지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100)는 폴대(2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다.
이때, 나사공(121)의 개수는 상부체(110)의 통공(112)의 개수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부(130)는 통공(112)과 나사공(121)을 관통하여 지면으로 수직으로 세워진다. 따라서, 지지대(100)는 조절부(13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세워질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130)는 통공(112)과 나사공(121)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절부(130)는 복수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단일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조절부(130)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그 각각이 개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지면의 굴곡정도와 관계없이 다양한 높이를 구현할 수 있음에 그 특징이 있기 때문에 복수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절부(130)는 나사공(121)을 관통하는 일면에 나사공(121)에 형성된 나사산(122)과 맞물리는 나사기어(131)가 형성된다.
아울러, 조절부(130)는 지면과 닿는 다른 반대의 일단에 조절수단(132)이 구비된다.
이때 조절수단(132)은 도 2에서 (+) 나사로 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거나 감축될 수는 없으므로, (+) 나사 외의 (-) 나사, 레버형식, 돌림형식 등의 다른 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정리하면, 조절부(130)는 조절수단(132)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나사기어(131)와 하부체의 나사산(122)이 서로 맞물려 연계 동작되어 조절부(13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조절부(13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도 각각 개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4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지면의 굴곡이 일정하지 않아도 해당 지면의 굴곡에 맞춰 각각의 조절부(13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대(100)는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00)의 수평을 파악하는 것은, 조절부(130)를 조절하면서 수평계(113)를 통해 지지대(100)의 수평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폴대(200)는 상술된 지지대(10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되며, 운용장비가 연결되는 것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폴대(200)를 첨부된 도면의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폴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폴대 내부에 커넥터가 연결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폴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폴대(200)는 하부폴대(210), 모터(220) 및 상부폴대(230)를 포함한다.
하부폴대(210)는 상술된 지지대를 통해 지면에 매설 및 입설되는 것으로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폴대(210)의 내부에는 모터(220)가 구비된다.
모터(220)는 전동에 의해 회전하는 축을 포함하며, 그 축의 일단에는 나사기어(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폴대(230)는 하부폴대(210)에 삽입되는 것으로,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부폴대(230)는 중공부(231)가 포함된 '┌┐'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220)는 하부폴대(210)의 상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나사기어(221) 부분은 상부폴대(23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폴대(230)의 내면에는 나사선(232)이 형성되며, 이 나사선(232)은 모터(220)의 나사기어(221)와 맞물려 연계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220)가 회전동작하면, 나사기어(221)가 동작될 수 있고, 나사기어(221)와 맞물린 나사산(232)을 통해 상부폴대(230)는 상, 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폴대(230)의 상 방향 이동 또는 하 방향 이동은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폴대(200)는 운용장비의 전선이 연결되는 커넥터(2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커넥터(240)는 첨부된 도면의 도 6에서와 같이 상부폴대(230)의 중공부(2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240)는 상부폴대(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220)의 회전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기서, 모터(220)의 회전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모터(220)가 회전됨으로 인해 상부폴대(230) 역시 회전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부폴대(230)에 포함된 커넥터(240)가 모터(220)의 회전에 의해 전선이 꼬이거나, 전선의 꼬임이 한계치에 달하여 파손(절단)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폴대(200)의 동작원리를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5에서의 상부폴대(230)는 회전하면서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때 상부폴대(230)는 '┌┐'의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부(231, 도 6 참조)를 포함하고, 중공부(231)에 커넥터(24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폴대(230)가 지속적으로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커넥터(240)는 중공부(231)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폴대(23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 상부폴대(230)는, 커넥터(또는 전선, 240)가 노출되는 부분에 상부폴대(230)의 둘레방향으로 이동홀(도면에 미표시)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240)는 상부폴대(230)가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이동홀을 통해 상부폴대(23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자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커넥터(240)가 상부폴대(230)의 중공부(231)에 삽입된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커넥터(240)는 전선이 연결되는 것이며, 이 전선은 통상 지선 또는 간선 등으로 구분되어, 지면으로부터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폴대(230)가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지면에 연결된 커넥터(또는 전선, 240) 부분은 회전할 수 있는 한계가 있어서, 전선이 꼬이거나 절단되는 등 파손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운용장비의 고장으로 연결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는, 하부폴대(210) 측의 커넥터(240)에 보조수단(2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a 참조).
도 5a에 따른 보조수단(241)은 원통형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원활한 회전을 위한 구성인 것으로, 설계 조건에 따라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다른 외형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보조수단(241)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내부에 회전부(242)를 더 포함하고, 이 회전부(242)에 커넥터(240)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폴대(230)의 회전에 따라 커넥터(또는 전선, 240)가 회전하려는 응력(stress, 應力)이 발생하면 보조수단(241) 및 회전수단(242)이 커넥터(240)의 응력에 대응되는 만큼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꼬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함체(300)는 폴대(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폴대(200)에 연결된 운용장비(CCTV 등)를 제어/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함체(300)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함체(300)는 종래의 함체에 구비되는 구성은 물론이며, 통상의 기술자가 예측하거나 단순 변형할 수 있는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함체(300)는 운용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모듈, 제어모듈, 전원공급모듈, 서지(surg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운용장비를 관리하기 위해 항온/항습 감지센서모듈, 충격 감지센서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함체(300)를 첨부된 도면의 도 7 및 도 8을 통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함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서 함체가 개방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함체(300)는, 그 외면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열차단부(310)는 함체(30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함체의 정면, 배면, 좌·우측면, 평면 또는 저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함체(300)가 설치되는 주변 환경에 따라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만 열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평면 및 좌·우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모든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열차단부(310)는 열차단부 지지수단(311)에 의해 함체(3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열차단부(310)와 열차단부 지지수단(311)은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자체적으로도 내열성이 높아 열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함체(300)는 제1 함체(301) 및 제2 함체(302)로 구성되어 개폐수단(320)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개폐되는 만큼, 열차단부(310) 또한 이를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함체(300)는 개폐수단(320)을 통해 양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개폐수단(320)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개방되는 제1 함체(301)와 다른 일측으로 개방되는 제2 함체(30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개폐수단(320)을 중심으로 하여 좌, 우 양측으로 개방될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의해 한정될 수는 없는 것이므로, 좌, 우 뿐만 아니라, 상, 하 등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즉, 함체(300)는 개폐수단(320)을 기준으로 제1 함체(301) 및 제2 함체(302)로 구분되고, 양측으로 개방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도 8 참조).
이러한 함체(300)는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기술인 것으로, 함체(300)의 설치 환경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개폐수단(320)은 함체(300)가 개폐되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회전축(도면에 미도시)을 구비하고, 각 제1 함체(301) 및 제2 함체(302)가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개폐수단(320)에 포함되는 회전축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함체(301)와 제2 함체(302)가 연결되어 개폐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충분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함체(300)는 높이 1000mm x 길이(세로) 600mm x 폭(가로) 300mm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종래의 함체는 함체와 함체커버로 구성하고, 함체커버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이는 운용장비 제어/관리에 요구되는 구성들을 함체 내에 모두 구비해야하기 때문에 함체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음은 물론, 구성품이 많이 구비될수록 그 크기도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함체(300)는, 개폐수단(320)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함체(301)와 제2 함체(302) 모두에 운용장비를 제어/관리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크기를 상술된 바와 같이 1m x 60cm x 30cm로 소형화하여도 종래의 함체에 구비되었던 구성품을 모두 구비할 수 있으며, 함체(30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운용장비를 제어/관리하기 위해 더 많은 구성품을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상술된 바와 같이 함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함체 크기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는, 지지대에 길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각각 다양한 길이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폴대를 수직으로 입설하기 위한 지면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신속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인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대를 하부폴대 및 상부폴대로 구성하고, 하부폴대에 구성된 모터로 인해 상부폴대를 상, 하 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폴대의 길이 조절이 자유롭다.
따라서, 폴대에 설치된 운용장비(CCTV)의 유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폴대가 회전하면서 상, 하 운동하기 때문에 CCTV의 감시방향 변경을 수행함은 물론, 변경되는 감시방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를 개폐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함체 내부의 구성을 자유롭게 배치하는 등, 함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함체 크기에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기존의 함체와 동일한 구성을 배치시키는 경우에는, 함체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의 외면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부가 구비됨으로 인해 함체의 가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8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지지대 110 : 상부체
111 : 관통홀 112 : 수평계
120 : 하부체 121 : 나사산
130 : 조절부 131 : 나사기어
132 : 조절수단 200 : 폴대
210 : 하부폴대 220 : 모터
221 : 나사기어 230 : 상부폴대
231 : 중공부 232 : 나사산
240 : 커넥터 300 : 함체
301 : 제1 함체 302 : 제2 함체
310 : 열차단부 311 : 열차단부 지지수단
320 : 개폐수단

Claims (6)

  1. 길이가 가변되는 폴대; 상기 폴대의 하측에서 폴대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폴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함체;를 포함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각각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상기 지지대를 통해 입설되고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하부폴대;
    상기 하부폴대의 내부에 포함되며, 회전하는 축을 포함하고 상기 축의 일단에 나사기어가 구비된 모터;
    중공부를 포함하는 '┌┐'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부폴대에 삽입되며, 내면에 상기 모터의 나사기어와 맞물리는 나사선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 하 이동하는 상부폴대; 및
    상기 상부폴대의 중공에 삽입되고 전선이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폴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일측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수평정도를 측정하는 수평계가 구비된 상부체;
    상기 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체의 하부에 구성되는 하부체; 및
    상기 통공과 나사공을 관통하여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나사공을 관통하는 일면에 상기 나사공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열차단부는 함체의 전면, 배면, 좌·우측면, 평면 또는 저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외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개폐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개방되는 제1 함체; 및 다른 일측으로 개방되는 제2 함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함체 및 제2 함체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KR1020140087293A 2014-07-11 2014-07-11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KR10159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93A KR101594804B1 (ko) 2014-07-11 2014-07-11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93A KR101594804B1 (ko) 2014-07-11 2014-07-11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113A true KR20160007113A (ko) 2016-01-20
KR101594804B1 KR101594804B1 (ko) 2016-02-17

Family

ID=5530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293A KR101594804B1 (ko) 2014-07-11 2014-07-11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674A (ko) * 2021-07-16 2023-01-26 주식회사 아이티원 이동식 cctv를 포함하는 방송 및 통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666A (ko) * 2003-03-14 2005-11-23 가부시키가이샤 아프리코트 파노라마 촬영 지원 장치
KR20060080239A (ko) 2003-09-30 2006-07-07 세파톤 인코포레이티드 인스턴트 볼륨 복구를 지원하는 에뮬레이티드 스토리지시스템
KR20140004105U (ko) * 2012-12-26 2014-07-04 나충용 틸팅이 가능한 cctv 카메라용 지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666A (ko) * 2003-03-14 2005-11-23 가부시키가이샤 아프리코트 파노라마 촬영 지원 장치
KR20060080239A (ko) 2003-09-30 2006-07-07 세파톤 인코포레이티드 인스턴트 볼륨 복구를 지원하는 에뮬레이티드 스토리지시스템
KR20140004105U (ko) * 2012-12-26 2014-07-04 나충용 틸팅이 가능한 cctv 카메라용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674A (ko) * 2021-07-16 2023-01-26 주식회사 아이티원 이동식 cctv를 포함하는 방송 및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804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79187A1 (en) Small Cell Smart Pole
US8876075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medical equipment
ES2702806T3 (es) Unidad de sensores para su montaje en una caja de instalación
KR101598434B1 (ko) 내진용 배전반
US10798273B2 (en) Parking guidance camera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1486505B1 (ko) 설치가 용이한 가공배전선 절연애자
EP2827054A1 (en) Multifunction smart adaptor for led luminaire
KR101724068B1 (ko)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US11209120B1 (en) Camera mount plate and module access slide for poles used for roadside electronic systems
KR101594804B1 (ko) 폐쇄회로텔레비전 설치 조립체
CN108551089A (zh) 一种多功能防潮电力柜
CN104246363A (zh) 实现光的任意分布的照明设备
CN207068080U (zh) 矿用高清可视门禁对讲装置
JP5058641B2 (ja) 照明制御装置
KR102358114B1 (ko)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1554339B1 (ko) 지주 내장형 상하 이동식 시설물 관제장치
ES2600468T3 (es) Módulo LC para montarlo en un aparato de control de vehículo automóvil
AT18123U1 (de) Zusatzvorrichtung für eine Leuchte
KR100866276B1 (ko) 배전용 전주
CN210687921U (zh) 一种带有防虫结构的路灯
EP3881157B1 (de) Anordnung zur regelung der temperatur und/oder luftfeuchtigkeit
KR101278263B1 (ko)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CN211815781U (zh) 道闸机之显示屏及其固定机构
KR20240067609A (ko) 천장 매립형 키넥트 자동 개폐장치
CN214800264U (zh) 一种散热性好的智能监控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