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912A -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912A
KR20160006912A KR1020140086564A KR20140086564A KR20160006912A KR 20160006912 A KR20160006912 A KR 20160006912A KR 1020140086564 A KR1020140086564 A KR 1020140086564A KR 20140086564 A KR20140086564 A KR 20140086564A KR 20160006912 A KR20160006912 A KR 20160006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wearable device
hand
held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087B1 (ko
Inventor
최형인
김대훈
전병진
유정운
백승민
김행문
Original Assignee
아이리텍 잉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리텍 잉크 filed Critical 아이리텍 잉크
Priority to KR1020140086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087B1/ko
Priority to US15/325,430 priority patent/US20170185103A1/en
Priority to PCT/KR2015/007062 priority patent/WO2016006927A1/ko
Priority to JP2017500834A priority patent/JP2017531843A/ja
Priority to CN201580048864.3A priority patent/CN107077597A/zh
Publication of KR2016000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3Sensing or illumina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4Hardware or software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image or video understanding
    • G06V10/95Hardware or software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image or video understanding structured as a network, e.g. client-serve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5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belt or har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5Environment-dependent, e.g. using captured environment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또는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일차적인 인증관계 또는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A Hand attached-type wearable device for iris recognition with wearing detection sensor and high security set using the same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set}
본 발명은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또는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일차적인 인증관계 또는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른 사물지능통신(IoT: Internet of Things)에서 무선통신을 통한 서로 다른 디바이스 간의 제어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결제나 스마트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응용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 검증 받지 않은 디바이스를 통한 해킹 및 네트워크 상의 보안 침해 등 다양한 문제로 인하여 아직 사물지능통신(IoT:Internet of Things)의 보안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생활을 위한 필수재처럼 인식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법이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일반 사용자들이 항상 소지하고 다니고 있어, 사용자의 확인이 다른 디바이스와 달리 가능하여 실제로도 스마트폰을 열쇠(key)로 활용하여 문을 열고 잠그거나, 은행이나 상품매장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폰 역시 분실 또는 도난 당하거나, 해킹 등으로 인하여 일반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유출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최근 들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다양한 생체인식 기술 중에서 다른 생체인식 기술에 비해 인식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홍채인식 기술을 스마트폰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하여 그 적용이 쉽지가 않다.
첫번째 한계로 스마트폰에서 홍채인식을 위해서는 홍채인식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적외선 조명을 따로 구비해야 하며, 스마트폰의 전면부가 RGB카메라, 버튼, 오디오리시버, 조도센서 등으로 밀집되어 구성된 현재의 스마트폰의 디자인 및 구조상 홍채인식을 위한 카메라 모듈이 스마트폰 내부에 추가로 구성하기가 쉽지가 않다.
두번째로 스마트폰의 상단에 주로 존재하는 카메라 위치로 인하여 디스플레이(LCD)를 보면서 홍채이미지를 촬영할 경우에는 홍채의 일정부분이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스마트폰을 열 때마다 홍채인식을 매번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세번째로 스마트폰의 분실 시에는 개인 홍채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는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의 스마트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에 기술적인 혁신을 이루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물지능통신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폰을 대체하는 차세대 기술로 기대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1960년대 MIT, 카네기 멜론 대학 등에서 처음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2010년 이후에 스마트폰 활성화 이후로 급속하게 현실로 다가올 정도로 기술적인 혁신을 이루기 시작하였다. 특히 2010년 이후에는 기존의 연구 및 개발에서 추진해오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디바이스로 실시간 상호 전송 교환해 서로 연동하는 방식인 connected device 형태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만약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홍채인식을 수행한 뒤 연동해서 인증을 다른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다면, 특별한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홍채인식을 통한 보안강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실제로 현재 대부분의 센서장비들은 컴퓨팅 파워가 떨어지거나, 저용량의 메모리 및 저장장치를 사용하여 홍채인식을 적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손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항상 몸에 부착되어 다니기 때문에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데다 스마트폰에 비해 분실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또한 홍채인식을 위해서 카메라에 가까이 가져갈 때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스마트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매우 작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홍채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하는 사용자의 홍채 영역 또한 가려질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관련된 종래 기술로 미국출원특허공보 US 13/407,026호에서는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착욤감지센서가 구비된 홍채인식용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관련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과는 무관하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미국출원특허공보 US 11/128,898호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홍채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착용센서를 이용한 착용 인증과 관련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과는 무관하다.
본원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US 12/722,624호, US 13/297,952 호가 있으나 이 또한 홍채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착용센서를 이용한 착용 인증과 관련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앞서 서술한 기존 디바이스와 다른 특성을 지닌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만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고, 물리적 공간 및 경제적 비용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 디바이스 상호 간의 무선 통신 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을 하고 있는 지의 유무를 감지하여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하여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착용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하여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착용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을 하고 있는 지의 유무를 감지하여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임을 확인 받은 후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디바이스 간의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가 착용을 해제하면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다시 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임을 확인 받은 후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디바이스 간의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의 홍채 인식의 유효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다시 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임을 확인 받은 후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디바이스 간의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하지 않고,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인하여 장치의 정보를 이용할 수 없을 때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다시 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하여 무선통신에서 전송할 때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하여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무선통신으로 전송할 때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또는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또는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또는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임을 확인 받은 후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디바이스 간의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하지 않고, 등록된 사용자 자격 해제 또는 안전한 교신 세션의 재설정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다시 하도록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무선 통신으로 전송할 때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강화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하여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무선 통신으로 전송할 때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강화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또는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여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또는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여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또는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를 제공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디바이스 간의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하지 않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강화부를 제공하여 무선통신에서 전송하거나 인증 요청을 요구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무선통신으로 전송 또는 사용자의 홍채 인식의 유효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다시 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에서 전송 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형 웨어러블 장치(a)와 반지형 웨어러블 장치(b)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홍채이미지를 촬영할 때에 발생하는 홍채 영역이 가려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채이미지를 촬영 획득한 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인식 수행 방식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방식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자석센서로 이루어진 착용감지부의 예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정전기센서로 이루어진 착용감지부의 예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착용감지 확인부의 예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근접센서로 이루어진 착용감지 확인부의 예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의 개념 및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예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의 개념 및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예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에서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에서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한 후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한 교신 세션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이차적인 인증관계 구축)의 유무에 따라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에서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한 교신 세션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이차적인 인증관계 구축)의 유무에 따라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에서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단수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고 적용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복수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고 적용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홍채인식용 착용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핵심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포함" 또는 "구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포함" 또는 "구성"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도면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인 경우에도 서로 다른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 예]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서 서술의 편의성을 위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는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이하, '손목형 웨어러블 장치(wrist-type wearable device)'한다)와 손가락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이하, '반지형 웨어러블 장치(ring-type wearable device)라고 한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시계, 팔찌, 밴드, 스마트 링, 암밴드 스포츠형 측정 디바이스 등 다양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중에서 발명의 취지를 가장 잘 이해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손목형 웨어러블 장치와 반지형 웨어러블 장치의 대표적인 형태인 시계나 반지 모양 위주로 설명을 한다.
따라서 비록 시계나 반지 모양을 지닌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예시를 들더라도, 다른 다양한 모양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명이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동일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전자 부품을 보호하는 케이스와 손목이나 손가락을 감싸는 밴드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메모리 또는/및 CPU로 구성된 전자부품 제어수단(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RAM, ROM, Flash 등의 메모리, CPU의 종류와 규격, 통신 모듈의 유무 및 규격, OS의 유무 및 종류와 버전, 탑재한 소프트웨어, UI는 후술할 본 발명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되는 한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홍채인식의 스마트폰 적용 한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첫번째로 스마트폰에서 홍채인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홍채인식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적외선 조명을 따로 구비해야 하며, 스마트폰의 전면부가 RGB카메라, 버튼, 오디오리시버, 조도센서 등으로 밀집되어 구성된 현재의 스마트폰의 디자인 및 구조상으로는 홍채인식을 위한 카메라 모듈이 스마트폰 내부에 추가로 구성되기가 쉽지가 않다.
두번째로 스마트폰의 상단에 주로 존재하는 카메라 위치로 인하여 디스플레이(LCD)를 보면서 홍채이미지를 촬영할 경우에는 홍채의 일정부분이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스마트폰을 열 때마다 홍채인식을 매번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홍채이미지를 촬영할 때에 발생하는 홍채 영역이 가려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정면을 주시하는 경우에는 홍채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가 디스플레이(LCD)의 위쪽에 위치하여 위쪽 속눈썹과 눈꺼풀이 홍채의 상단부위를 가리게 된다. 또한 이를 피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LCD)를 위쪽으로 들어 눈 위치에 맞추게 하면, 자연적으로 사용자는 눈을 치켜 뜨게 되면서 홍채 상단부위를 가리게 된다. 반대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자세인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LCD)를 아래쪽으로 낮추어 눈 위치에 맞추게 하면, 눈썹에 의한 홍채가 가리는 현상을 줄일 수 있으나 아래의 홍채의 하단 부위가 가려지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을 열 때마다 홍채인식을 매번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폰에서 SSO(Single Sign On)를 위해 홍채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했을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서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하지 않거나, 반대로 보안 강화를 위해서 매번 인증을 할 때마다 홍채인식을 수행하도록 요청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두 방법 모두 보안이나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는 매우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세번째로 스마트폰의 분실 시에는 개인 홍채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는 위험이 존재한다.
다음은 상기에서 서술한 스마트폰의 한계에 비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홍채인식을 적용할 시의 장점을 살펴본다.
첫째로 스마트폰과 실시간 상호 전송 교환해 서로 연동하는 방식인 연결된(connected device) 형태로 사용 가능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존의 스마트폰에서 수행하고자 했던 홍채인식을 직접 수행한 뒤에, 관련 인증정보를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상기 스마트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실제로 현재 대부분의 센서장비들은 컴퓨팅 파워가 떨어지거나, 저용량의 메모리 및 저장장치를 사용하여 홍채인식을 적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 만약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홍채인식을 수행한 뒤 연동해서 인증을 다른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다면, 특별한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홍채인식을 통한 보안강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둘째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대적으로 작아 사용자가 홍채이미지 획득을 할 때 보게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과 촬영부와의 거리가 2-3cm 이내이며,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 안에 사용자의 눈이 전부 들어오도록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수행한다.
셋째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항상 손에 부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비해 분실할 가능성이 매우 낮으며, 따라서 매번 홍채인식을 요청할 필요 없이 착용유무의 확인을 통하여 사용자에 대한 보안 인증을 그대로 지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목에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양한 디바이스들과 연동하기 위해서 홍채인식을 통하여 인증을 받는다. 이 때 다양한 디바이스들과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며, 각종 인증 관련 정보도 주고 받게 된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에는 상기에서 서술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수단,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적외선 조명,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이미지를 이용하여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수단 및 다양한 디바이스들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 등이 기본적으로 구비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서술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홍채인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와 적외선 조명이 필요하며, 촬영한 홍채이미지로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채이미지를 촬영 획득한 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인식 수행 방식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홍채이미지를 단순히 촬영 획득한 뒤, 홍채이미지를 다양한 디바이스에 전달하여 디바이스에서 전달된 홍채이미지를 이용하여 홍채인식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직접 홍채이미지를 이용하여 홍채인식을 수행한 후에 인식을 한 결과를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방식에 따라서 장치의 구성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이 때, 홍채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홍채템플릿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홍채템플릿은 홍채이미지 간에 동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홍채이미지의 유사도를 수행할 때 사용하기 위하여 메모리에 저장되는 홍채이미지 포맷으로서, 개인의 고유한 생체 특성은 담고 있으나, 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의 크기는 카메라로 측정한 원본 홍채이미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홍채이미지 포맷을 뜻하며, 홍채템플릿은 인증 시 처리속도를 높이고, 저장 시 메모리 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홍채이미지를 푸리에 변환 또는 웨이블릿 변환 등으로 가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서술의 편의성을 위해서 상기 홍채이미지 또는 홍채템플릿을 '홍채이미지 정보'라고 정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방식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홍채이미지를 촬영 획득해서 다양한 디바이스에 홍채이미지 정보를 전달하여 디바이스에서 홍채인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때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501),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502),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503),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504)로 구성된다. 또한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강화부(505) 또는 디스플레이(506)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직접 홍채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홍채인식을 수행한 후에 홍채인식 결과를 디바이스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때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507),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508),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509),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510), 디바이스와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511)로 구성된다. 또한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강화부(512) 또는 디스플레이(513)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 획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카메라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서 홍채이미지를 받아들이기 위한 렌즈와, 렌즈를 통해서 입력되는 홍채이미지를 감지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 및 감지된 홍채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렌즈는 렌즈 화각이 손목형 웨어러블 장치에 사용자의 한쪽 홍채이미지 전체가 충분히 나올 수 있게 설계하며, 이미지 센서는 주로 CCD보다는 CMOS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단순히 카메라 완제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최근에 홍채인식을 도입하거나 도입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PC, 노트북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 등의 카메라 렌즈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홍채인식에 필요한 이미지의 해상도는 ISO의 규정을 참고하며, ISO 규정은 VGA 해상도 이미지(VGA resolution image)를 기준으로 홍채지름의 픽셀(pixel) 수로 규정하고 있다.
ISO 규격에 따르면 보통은 200 픽셀(pixel) 이상의 경우에 고화질로 분류되고, 170 픽셀(pixel)의 경우에 보통 그리고 120 픽셀(pixel)의 경우가 저화질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홍채이미지를 획득하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고화질의 화소를 가진 카메라를 가능한 사용하겠지만 이 또한 홍채의 화질이나 다른 부가장치의 특성에 의해서 다양한 화소수를 적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고화질의 화소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특히, 최근에는 12M 또는 16M 픽셀의 해상도와 초당 30 프레임이상의 전송 속도를 갖는 고화질의 카메라 모듈이 디지털 영상 디바이스 및 스마트 디바이스 등에서 사용되고 있어 홍채인식용 이미지를 획득하기에는 충분하며, 상기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의 다수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홍채이미지 촬영 및 획득에 사용하는 렌즈, 이미지 센서 및 메모리는 본 발명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되는 한 어떤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 및 메모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카메라가 촬영하는 홍채이미지를 임시로 저장을 하는 버퍼가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퍼의 특성상 저장공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홍채이미지를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수단이나 홍채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수단에 전송하기 전까지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버퍼의 구성을 상기 서술한 역할을 분리하여 담당하는 2개의 버퍼로 구성하거나 버퍼에다가 특정 저장공간을 추가해서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홍채이미지를 저장할 때는 특정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등 본 발명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한 다양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를 홍채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를 무선으로 전송할 때에는 보안상 가능한 한 홍채이미지 보다는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홍채인식이 가능한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 획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명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기본적으로 적외선 조명을 사용하지만, 적외선을 사용하지 않고 가시광선을 사용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적외선 조명을 켜는 조명부를 추가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첫째로 가시광선 조명을 사용하다가 홍채이미지를 촬영할 때에는 가시광선 조명을 끄고 적외선 조명을 켜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둘째로 가시광선 조명을 사용하고 홍채이미지를 촬영할 때에는 가시광선 조명에 적외선 필터가 부착되어 적외선만 광원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적외선 조명은 상기에서 서술한 설치한 대역필터(band-pass filter)의 파장대역을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파장을 가진 적외선 조명의 광원을 설치한다.
다음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 획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디스플레이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기존의 홍채인식을 위한 디바이스들은 홍채인식을 위해서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전면부 카메라에 한쪽 눈을 가까이 대면서 전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적절한 영역에 초점이 잘 맞춰지고 있는지 확인하며, 이를 위해서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카메라의 위치에 맞게 정확히 획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음성이나 신호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수단 등을 사용한다.
특히, 스마트폰 등과 같이 화면이 큰 단말기 상에서 홍채인식을 하려면, 전면부 화면 위나 아래에 카메라 렌즈가 위치하게 되는데, 전면부 위에 위치하면 눈썹이나 눈꺼풀에 의해 홍채영역이 가려지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전면부 아래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많이 들어올려야 하는 수고가 생긴다(도 2 참조).
하지만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대적으로 작아 사용자가 홍채이미지 획득을 할 때 보게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과 촬영부와의 거리가 2-3cm 이내이며,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 안에 사용자의 눈이 전부 들어오도록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는 카메라로 촬영되었을 때 홍채이미지의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양호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로 손등이나 손목형 웨어러블 장치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콜드미러(가시광반사필터) 또는 LCD, LE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거울 또는 LCD에 가상으로 보조선(guide line) 등을 만들어 홍채이미지의 왜곡이나 홍채이미지가 흐릿하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하여 홍채이미지가 사용자가 손쉽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홍채인식에 필요한 홍채이미지(눈 부위 영역 전부 포함할 수도 있음)를 손쉽게 촬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 하단이나 좌측이나 우측의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기 때문에, 비용측면이나 물리적 크기로 인한 공간 제약 측면에서 충분히 설치가 가능하여 본 설명을 적용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다음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스마트폰의 손목 또는 손가락의 착용유무를 감지하는 데 필요한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와 달리 한번 착용하면 잘 벗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번 착용을 하면 사용자가 잘 벗지 않아 사용할 때마다 휴대폰처럼 계속해서 인증을 받는 것이 매우 불편할 수도 있다.
반면에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분실 도난의 위험이 적기 때문에 다른 보안 디바이스와는 달리 처음 착용할 때에 한번 인증을 한 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벗지 않는 한 추가적인 본인인증을 거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마트폰 같은 단말기에서 한 번의 인증 과정으로 여러 컴퓨터 상의 자원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SSO(Single Sign-On, 통합 인증)로 세션을 유지하면서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한다고 하면,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또는 도난을 당했을 경우에는 금융결제 및 신분확인 관련된 치명적인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반면에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가 쉽게 착용을 벗지 않으므로 분실 및 도난의 위험이 매우 낮으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벗거나 의도적이지 않게 풀렸을 경우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이하, '착용감지부' 라고 한다)을 이용하여 이를 감지할 수 있어 고도의 보안성을 유지하면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밴드의 일측(내측 또는 외측)에 Spring, Hinge 등의 기계적인 장치 이외에 자석 센서(Magnetic sensor), 정전기 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와 밴드를 잘라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연결선을 동시에 설치하여 손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을 감지하며, 착용을 감지하는 센서를 손목형 웨어러블 장치의 케이스에 장착하거나 밴드에 장착하여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자석센서로 이루어진 착용감지부의 예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면 자석 센서(601, 606)가 자석(602, 607)과 결합되면서(상호간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신호가 발생하고(ON), 반면에 벗으면(상호간의 거리가 멀수록) 신호가 사라진다(OFF).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정전기센서로 이루어진 착용감지부의 예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면 정전기 센서(701, 705, 710)가 감응전극(702, 706, 711)과 결합되면서 정전기가 발생하면서 신호가 발생하고(ON), 반면에 벗으면 정전기가 사라지면서 신호가 사라진다(OFF).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착용감지부의 예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면 손목이나 손가락의 온도에 의해 밴드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의 온도를 넘으면 온도센서(801, 804, 808)가 감지해서 신호를 발생하고(ON), 반면에 벗으면 밴드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의 온도보다 내려가면서 신호가 사라진다(OFF).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근접센서로 이루어진 착용감지부의 예시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면 근접센서(901, 904, 908)가 감지해서 신호를 발생하고(ON), 반면에 벗으면 신호가 사라진다(OFF).
이 때, 각각의 센서의 연결선을 한쪽 밴드에 모두 구성하여 센서와 연결하면, 다른 한쪽 밴드를 잘라내거나 착용하지 않아도 마찬가지로 착용한 상태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양쪽의 밴드에 속한 줄을 연결하여 한 쪽 밴드를 잘라내거나 착용을 안 한 경우에도 착용의 유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다음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스마트폰의 홍채이미지를 이용하여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수단(이하, '홍채인식부'라고 한다)에 대해서 살펴본다.
홍채인식부는 촬영된 홍채이미지가 홍채인식에 맞는 품질을 가지고 있는 지를 측정하는 수단, 홍채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도록 촬영된 홍채이미지에서 홍채만을 추출해내는 전처리 수단, 홍채이미지에서 홍채템플릿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홍채인식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촬영된 홍채이미지가 홍채인식에 맞는 품질기준을 가지는지를 평가하고(홍채인식에 맞는 품질을 가지고 있는 지를 측정하는 수단), 평가된 홍채이미지에서 홍채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도록 홍채만을 추출해내고(전처리 수단, 전처리 수단은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된 홍채로부터 홍채템플릿을 생성하는 과정(홍채템플릿을 생성하는 수단)을 거친다. 이 때, 홍채이미지의 품질기준은 홍채이미지의 선명성, 가림(Occlusion) 등을 포함하는 자체 품질 평가 기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이미지 품질을 측정하는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서는 본 발명 출원인이 특허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1030652호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홍채인식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다양한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이하, '무선통신부' 라고 한다)에 대해서 살펴본다.
무선통신부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에 접근하는 디바이스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신거리 내에 들어오는 지 확인을 한다. 이 때, 접근하는 디바이스가 사전에 서로 등록이 되어있는 지를 식별하는 절차를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는 다양한 디바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Beacon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을 하는 수단(이하, '근거리 무선 식별 모듈'이라 한다)(1001)과 다양한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동안 발생하는 세션을 관리하는 수단(이하, '세션 관리 모듈'이라 한다)(1002) 으로 구성된다.
또한 홍채인식 및 착용 유무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디바이스의 시간정보 및 공간정보(이하, '시공간 정보'라 한다)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수단(이하, '시공간 장치 인증 모듈'이라 한다)(1003)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무선 통신을 하는 중에도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시공간 장치 인증 모듈을 구성하지 않으면, 처음 통신 연결 때만 정상적인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통신을 하는 중간 과정에는 다른 추가적 장비를 사용한 악의적인 해킹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처럼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 Wi-Fi, LTE와 같은 무선 인터넷을 수행하는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되는 한 어떤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성해서 사용해도 무방하다.
다음은 근거리 무선 식별 모듈에 대해서 살펴본다.
사전에 등록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하는 홍채인식으로 등록된 사용자이면서, 현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실제로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이하, '등록된 착용 사용자'라고 한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을 요청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이하, '인증 요청 디바이스'라고 한다)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인증 요청 디바이스는 PC와 같은 컴퓨터 이외에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CCTV 또는 보안카메라나 도어락과 같은 다양한 보안 디바이스(Security Device), 자동차 또는 비행기와 같은 다양한 운송 수단, 병원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의료 디바이스(Medical Device)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동작거리 및 데이터 전송율 등에 따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Beacon과 같이 다양한 기술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에 접근하는 디바이스가 사전에 서로 등록이 되어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디바이스의 고유번호, MAC주소, Pin 코드(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code) 등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식별 정보 이외에 공개키 기반의 전자서명 인증(Authentication), 암호화(Encryption) 인증, 여러 가지 근접센서를 이용한 인증, QR코드와 같은 코드를 이용한 인증, NFC칩이나 RFID칩을 이용한 인증 또는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스마트 카드(smart card) 등을 이용하여 확인을 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상호 간의 안전한 무선 통신을 위해 페어링이라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Pin코드 입력을 통해서 수행하거나 자동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종래의 기술 중에서,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등록된 디바이스인지를 식별하는 본 발명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되는 한 어떤 기술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페어링 기술을 포함하는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은 세션 관리 모듈에 대해서 살펴본다.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외부(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이루어지는 모든 통신 관련 세션을 관리하며, 특히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되어 전달된 토큰 또는 키가 전송되어 올 때, 서로 시간을 비교하여 일정한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세션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GPS 정보를 이용한 절대적 위치정보 또는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이나 무선 AP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명되면, 세션을 중단할 수 있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임을 확인한 이후,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자원 접근(resource access)권한을 승인 받은 이후에 발생하는 세션을 기존 세션과 구분하여 '안전한 교신 세션'이라고 정의하고 서술한다.
안전한 교신 세션이 이루어지는 동안은 추가적인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요구가 있더라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 간에는 추가적인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지 않고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이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며,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자격 해제 또는 안전한 교신 세션의 재설정 요청이 수신되는 순간 즉시 안전한 교신 세션을 중단한다.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자격 해제는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을 해제하거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인한 상호 식별이 불가능하거나 홍채이미지 정보의 유효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발생한다. 또한 안전한 교신 세션의 재설정 요청은 안전한 교신 세션 연결시도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을 초과할 때 실행된다.
홍채이미지 정보의 유효 시간은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등록된 착용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기 위해서 토큰을 생성한 시각 또는 홍채이미지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촬영한 시각 등을 기준으로 하여 홍채이미지 정보의 사용 가능 시간을 사전에 설정한 것을 뜻한다.
안전한 교신 세션의 연결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때 연결시도 횟수를 설정해두지 않으면, 실제로 끊겼을 때 연결 시도를 무한으로 시도할 수가 있어 보안상의 위험이 존재하여 가능한 한 최소한의 연결 시도만 허락한다.
다음은 시공간 장치 인증 모듈에 대해서 살펴본다.
시공간 장치 인증 모듈은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의 시공간 정보를 저장하고,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홍채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요청한 시각 정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홍채이미지를 촬영 요청 시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착용 감지를 요청한 시각 정보 또는 착용 감지 요청 시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등(이하,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시공간 정보'라 한다)을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전송 받아 인증 요청 디바이스를 식별한다. 이때, 시공간 정보 중 위치정보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된 기지국이나 무선 AP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이거나 GPS 정보를 이용한 절대적 위치정보가 될 수 있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시공간 정보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이미지 촬영시각 정보, 홍채이미지의 촬영 시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정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감지 시각 정보 또는 착용 감지 시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정보를 들 수 있다. 이때, 시공간 정보 중 위치정보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된 기지국이나 무선 AP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이거나 GPS 정보를 이용한 절대적 위치정보가 될 수 있다.
시공간 정보를 인용한 장치의 식별은 등록된 착용 사용자임을 확인할 때마다 실행할 수도 있으며, 홍채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가 착용을 해제하거나 등의 특정 시점에서만 실행할 수도 있다.
다음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강화부에 대해서 살펴본다.
홍채이미지 정보에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되어 전달된 토큰 또는 키를 삽입하여, 홍채이미지 정보의 암호화를 수행한다.
특히 상호간에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홍채이미지 정보를 조작하려고 시도할 경우를 대비하여 디지털 워터마크(digital watermark)를 홍채이미지 정보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워터마크가 삽입되는 과정이 유출되지 않도록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하드웨어적으로 보호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호 간에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의 고유번호, Pin 코드, OTP(one time passwor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암호화한다. 이때, 홍채암호화부에서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 할 때,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의 고유번호, Pin 코드, OTP(one time password) 중 하나 이상을 부가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시공간 정보를 선택하여 암호화할 수도 있다. 이때, 시공간 정보 중 위치정보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된 기지국이나 무선 AP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이거나 GPS 정보를 이용한 절대적 위치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되고,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임을 확인한 이후,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자원 접근(resource access)권한을 승인 받은 관계(이하, '일차적인 인증관계'라고 한다)가 성립될 수 있도록 발명된 보안이 강화된 시스템(이하, '보안강화세트'라고 한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보안강화세트를 구성할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현재 대부분의 센서장비들과 같이 컴퓨팅 파워가 떨어지거나, 저용량의 메모리 및 저장장치를 사용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반면에, 스마트폰과 같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전달된 홍채이미지 정보로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는 컴퓨팅 파워를 가지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보안강화세트를 구성할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보안강화세트를 구성할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누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물론 둘 다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는 양쪽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홍채인식을 수행하거나 둘 다 홍채인식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가정 중의 하나에 해당하여 충분히 이해될 수가 있어 구체적인 서술을 생략한다.
(A1)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의 개념 및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예시이다.
도 11의 개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컴퓨팅 파워가 떨어지거나 저용량의 메모리 및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도어락인 경우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사용하여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가 없다.
따라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홍채인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인증 요청 디바이스는 그 결과를 이용해서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101),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1102),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1103),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104),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1105),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강화부(1106), 디스플레이(1107)로 구성된다.
인증 요청 디바이스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110)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1109)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1108)로 구성된다.
(A2)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경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의 개념 및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예시이다.
도 12의 개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전달된 홍채이미지 정보로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는 컴퓨팅 파워를 가지는 구성의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홍채인식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홍채이미지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달하고, 인증 요청 디바이스는 전달 받은 홍채이미지 정보로 홍채인식을 수행하여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201),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1202),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1203),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204),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강화부(1205), 디스플레이(1206)로 구성된다.
인증 요청 디바이스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9)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1208)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1207),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1210)로 구성된다.
상기 보안강화세트를 구성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관해서는 이미 앞서 상세하게 서술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에서 서술한 보안강화세트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1,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요청 디바이스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110, 1209)가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식별정보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시공간 정보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고,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장치인지를 식별하는 무선 식별 모듈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세션을 제어하는 세션 제어 모듈로 구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근거리 무선 식별 모듈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식별 모듈(1302)은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연결하거나 페어링을 수행할 때 상호 간 인증을 통하여 수행이 가능하며, 주로 Pin 코드를 입력하거나 여러 가지 근접센서를 이용하거나 NFC 칩 또는 QR코드와 같은 특정 코드를 사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디바이스 간의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장치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 모듈을 구비하거나 공개키(Public Key)를 이용한 전자서명과 같은 인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에서 서술한 장치의 고유번호, MAC주소 Pin 코드 등의 장치의 식별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 수행을 할 때 발생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시공간 정보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홍채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요청한 시각 정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홍채이미지를 촬영 요청 시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착용 감지를 요청한 시각 정보 및 착용 감지 요청 시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근거리 무선 식별 모듈에서 자세하게 서술되었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세션 제어 모듈(1301)은 안전한 교신 세션이 이루어지는 동안은 추가적인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지 않고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이 완료된 상태로 유지하며,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자격 해제 또는 안전한 교신 세션의 재설정 요청이 수신되는 순간 바로 안전한 교신 세션을 중단한다.
세션 제어 모듈 또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세션 관리 모듈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자격 해제는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을 해제하거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인한 상호 식별이 불가능하거나 홍채이미지 정보의 유효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발생한다. 또한 안전한 교신 세션의 재설정 요청은 안전한 교신 세션 연결시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을 초과할 때 실행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세션 관리 모듈에서 자세하게 서술되었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토큰관리부(1109,1208)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기 위하여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탑재된 토큰관리부에서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고유번호, Pin 코드, OTP(one time password), 랜덤번호 중에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토큰 또는 키를 구성한다.
생성한 토큰 또는 키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 전송하며, 이 때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시공간 정보를 부가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달받을 때, 사전에 보냈던 토큰 또는 키를 이용하여 홍채이미지 정보가 훼손되었는지를 파악할 수도 있다.
복호화부(1108, 1207)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특히 보안강화부를 통하여 암호화되어 전달된 정보를 복호화한다. 복호화부는 주로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지며, 통상의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계 제작된 복호화프로그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홍채매칭부(1210)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전송 받은 암호화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복호화부로 해독하여 사전에 등록되어 있던 홍채매칭부의 홍채이미지 정보와 유사성을 비교하여 유사성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으면 인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홍채매칭부 또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인식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이와 관련된 내용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인식부에서 서술되었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토큰관리부, 복호화부, 홍채매칭부들은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자동으로 탑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앱 또는 프로그램으로 설치가 가능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에서 서술한 본 발명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홍채이미지 정보를 등록하는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홍채이미지로부터 형성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매칭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신규 사용자의 홍채이미지 정보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인식부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홍채매칭부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메모리에 등록 저장하고 신규 등록을 종료한다. 물론 신규 등록 또는 추가 등록 시 사용되는 홍채이미지 정보는 사전에 메모리에 저장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 저장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또는 메모리에 등록 저장된 출입자 중에서 필요하지 않은 자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은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된 보안강화세트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임을 확인한 이후,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자원 접근(resource access)권한을 승인 받은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선 통신에서는 디바이스 간의 보안을 고려한 안전한 통신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Pin 코드를 입력하거나 여러 가지 근접센서를 이용하거나 NFC 칩 또는 QR코드와 같은 특정 코드를 사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디바이스간의 인증을 수행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왔다.
또한 장치 식별 모듈을 구비하거나 공개키(Public Key)를 이용한 전자서명과 같은 인증을 이용하는 등의 다양한 기술이 종래에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 및 방법들은 디바이스 상호 간의 통신상에서의 보안은 가능하나 이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를 실시간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없다.
게다가 대부분의 디바이스들은 센서장비들과 같이 컴퓨팅 파워가 떨어지거나, 저용량의 메모리 및 저장장치로 구성되어 보안 강화를 위해서 홍채인식을 이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된 보안강화세트에서는 세가지 인증 단계를 거쳐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여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첫번째로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서로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하, '장치인증'이라고 한다), 두번째로 홍채인식을 통해서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하, '사용자인증'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실제로 착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하, '착용인증' 이라고 한다)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것을 완료한다.
장치인증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의 근거리 식별 모듈이나 시공간 장치 인증 모듈에서,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무선 식별 모듈에서 서로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면서 수행한다.
사용자인증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인식부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홍채매칭부에서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수행한다.
착용인증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감지부에서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실제로 착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면서 수행한다.
위의 세가지 인증 단계는 보안강화세트의 구성 및 디바이스의 사용습관이나 방법에 따라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인증을 먼저 수행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뒤에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장치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장치인증을 수행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인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한 후,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요청이 오면 홍채인식을 수행한 뒤에 착용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예시로 선택하여 서술하며, 다른 경우도 상기 경우와 단지 순서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충분히 이해될 수가 있어 구체적인 서술을 생략한다.
(B1)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에서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단계(S1401),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 중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페어링하는 단계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서로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장치인증)(S140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 중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페어링하는 단계(S1403), 상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토큰관리부로부터 생성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토큰 또는 키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단계(S1404),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홍채인식부에 전달하고, 홍채인식부에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사용자인증)(S1405), 홍채인식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S1406),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감지부에서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착용인증)(S1407), 착용감지 유무를 확인할 때 발생하는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S1408),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고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통보한 후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자원 접근(resource access)권한을 승인 받은 단계(S1409)로 구성된다.
도 14에서는 단계 S1401 내지 단계 S1409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1401 내지 단계 S1409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1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2)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경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에서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단계(S1501),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 중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페어링하는 단계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서로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장치인증)(S150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 중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페어링하는 단계(S1503), 상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토큰관리부로부터 생성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토큰 또는 키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단계(S1504),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해서 먼저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 획득하는 단계(S1505), 홍채인식을 요청할 때 발생하는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S1506),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가 암호화되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전달되는 단계(S1507), 상기 상기 전달받은 암호화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복호화부에서 복호화하고,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홍채매칭부에서 매칭하는 단계(사용자인증)(S1508), 상기 사용자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 통보하는 단계(S1509),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감지부에서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착용인증)(S1510), 착용감지 유무를 확인할 때 발생하는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S1511),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고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통보한 후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자원 접근(resource access)권한을 승인 받은 단계(S1512)로 구성된다.
도 15에서는 단계 S1501 내지 단계 S151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5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1501 내지 단계 S1512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1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된 보안강화세트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고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통보한 후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자원 접근(resource access)권한을 승인 받은 단계(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한 이후,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키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 상호 간 안전한 교신 세션을 구축한 관계(이하, '이차적인 인증관계'라고 한다)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된 보안강화세트에서 상호 간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에서 서술한 일차적인 인증관계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즉,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임을 확인한 이후,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자원 접근(resource access)권한을 승인을 받은 뒤,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키 세트를 전송한다.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키 세트는 장치인증과 사용자인증 및 착용인증이 완료되고,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지속하는 조건을 알리는 하나 이상의 토큰 또는 키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장치인증, 사용자인증, 착용인증 시 발생되는 시공간 정보, 홍채이미지 정보, 장치 식별정보 등으로 부가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안전한 교신 세션이 이루어지는 동안은 추가적인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요구가 있더라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 간에는 추가적인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지 않고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이 완료된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해제하거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인한 상호 식별이 불가능하거나 홍채이미지 정보의 유효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실행되는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자격 해제나, 안전한 교신 세션 연결시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을 초과할 때 실행되는 안전한 교신 세션의 재설정 요청이 발생하는 순간 안전한 교신 세션은 바로 중단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한 후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 완료 통보를 한 후 일차적인 인증관계가 상호 간 구축되어 있는 조건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에서 사용자 확인키 세트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전송하는 단계(S1601),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상호 안전한 교신 세션을 시작하는 단계(S1602),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의 재설정이나 안전한 교신 세션의 재설정 요청 단계(S1603), 상기 안전한 교신 세션의 해제 요청으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상호 안전한 교신 세션을 중단하는 단계 (S1604)로 구성된다.
도 16에서는 단계 S1601 내지 단계 S160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1601 내지 단계 S1604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1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는 보안강화세트의 구성 및 스마트폰의 사용습관이나 방법에 따라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사용자인증을 먼저 수행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뒤에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장치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장치인증을 수행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인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다가가서 인증 요청이 오면 홍채인식을 수행한 뒤에 착용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선택하여 서술하며, 다른 경우도 상기 경우와 단지 순서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충분히 이해될 수가 있어 구체적인 서술을 생략한다.
다음은 다수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있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이하,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라고 한다)에 인증 요청을 하는 디바이스(이하,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라고 한다)가 있을 경우, 안전한 교신 세션이 이루어지는 지의 유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된 보안강화세트의 실행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실제로 스마트폰을 은행이나 상품매장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로 사용하는 것은 최근 급증하고 있으나, 분실로 인한 허가되지 않은 스마트폰의 접근이나 결제를 수행할 때마다 스마트폰의 인증을 받아야 되는 등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최근 들어 이슈가 되고 있는 사물지능통신(IoT:Internet of Things)에서 스마트폰을 자동차나 홈 네트워크의 인증키(key)로 활용하여 문을 열고 잠그거나 홈 네트워크의 전자디바이스들을 통제하는 기술에 대한 적용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홍채인식을 수행하여 인증 요청 디바이스(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서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막고,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결제를 수행을 요청하는 디바이스(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결제하면 상기 문제들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C1)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한 교신 세션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이차적인 인증관계 구축)의 유무에 따라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에서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단계(S1701), 상기 접근한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신거리 내에 들어오면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장치인증)(S1702), 상호 간 무선 연결 또는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S1703), 상기 무선 연결 또는 페어링이 수행된 후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S1704),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S1705),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고 있으면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즉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 완료 통보를 하는 단계(S1706),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S1707),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해서 먼저 스마트폰의 홍채이미지 정보를 이용해서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단계(사용자인증)(S1708),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착용인증)(S1709),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고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통보하여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단계(S1710),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 완료 통보를 전달하는 단계(S1711)로 구성된다.
도 17에서는 단계 S1701 내지 단계 S1711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단계 S1701 내지 단계 S1711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1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홍채인식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착용감지 유무를 확인할 때 발생하는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C2)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경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한 교신 세션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이차적인 인증관계 구축)의 유무에 따라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홍채인식을 수행하는 경우를 고려한 보안강화세트에서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단계(S1801), 상기 접근한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신거리 내에 들어오면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장치인증)(S1802), 상호 간 무선 연결 또는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S1803), 상기 무선 연결 또는 페어링이 수행된 후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S1804),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S1805),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고 있으면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즉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 완료 통보를 하는 단계(S1806),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S1807),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해서 먼저 스마트폰의 홍채이미지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 획득하는 단계(S1808),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홍채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809), 상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사용자인증)(S1810), 상기 사용자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통보하는 단계(S1811),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착용인증)(S1812),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고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통보하여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단계(S1813),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 완료 통보를 전달하는 단계(S1814)로 구성된다.
도 18에서는 단계(S1801) 내지 단계(S181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8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단계(S1801) 내지 단계(S1814)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18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홍채인식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착용감지 유무를 확인할 때 발생하는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에서 서술한 본 발명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된 보안강화세트의 구체적인 적용 실시 예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단수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고 적용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자동차(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스마트폰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진입하면, 스마트폰 또는 자동차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스마트폰 또는 자동차에 등록된 것임을 앞서 기술한 구성으로 식별한 뒤, 등록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인 경우 상호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서로 연결하거나 페어링한다. 이 때,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도 스마트폰 또는 자동차가 등록된 것임을 앞서 기술한 구성으로 식별한다(장치인증).
상호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 또는 자동차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한다.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 받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고,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홍채인식부가 존재하면 홍채인식을 수행하여 등록된 스마트폰임을 확인한다(사용자인증). 만약 홍채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홍채인식부가 존재하지 않고 스마트폰 또는 자동차에 홍채매칭부가 구성되어 있으면, 홍채이미지 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자동차에 전송한 뒤 홍채매칭부에서 등록된 스마트폰임을 확인한다(사용자인증).
홍채인식을 수행한 이후 또는 이전에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착용감지부를 통하여 확인한다(착용인증).
홍채인식을 통하여 등록된 스마트폰임을 확인 받고,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지 확인되었으면(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 완료),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자동차에게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 완료 통보를 한다(일차적인 인증관계 구축).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 통보 후 구축된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해제하고 다시 처음부터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일정한 시간 동안은 매번 필요할 때마다 요청을 하는 것보다는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이 끝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고 난 뒤에 다시 잠금 해제를 요청하기 위해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는 절차를 반복하거나, 주차를 위해 사용자가 자동차의 문을 닫고 내린 후 다른 사람이 주차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문을 다시 열 때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는 절차를 반복하면 매우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키 세트를 전송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은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도록 하여(이차적인 인증관계 구축), 이러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을 해제하거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또는 스마트폰 또는 자동차의 이동으로 인한 장치인증의 유지가 불가능하거나 홍채이미지 정보의 유효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실행되는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자격 해제나, 안전한 교신 세션 연결시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을 초과할 때 실행되는 안전한 교신 세션의 재설정 요청이 발생하는 순간 안전한 교신 세션은 바로 중단되며, 스마트폰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 절차를 다시 수행해야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복수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고 적용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기존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은행이나 상품매장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나 자동차와 같은 사물지능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에 스마트폰의 편의성을 증대하면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홍채인식을 적용한 연구 및 기술 개발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여러 한계로 인하여 아직 구체적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스템에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적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쉽게 극복할 수 있다.
먼저 도어락 또는 자동차(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스마트폰의 스마트폰(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이 진입하면, 도어락 또는 자동차는 스마트폰이 도어락 또는 자동차에 등록된 것임을 앞서 기술한 구성으로 식별한 뒤, 등록된 스마트폰인 경우 상호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서로 연결하거나 페어링한다. 이 때, 스마트폰도 도어락 또는 자동차가 등록된 것임을 앞서 기술한 구성으로 식별한다(장치인증).
상호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도어락 또는 자동차는 스마트폰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한다.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 받은 스마트폰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현재 안전한 교신 세션 중인지(이차적인 인증관계 구축)를 확인하고, 안전한 교신 세션 중이면 바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따라서 일단 안전한 교신 세션 중에는 도어락 또는 자동차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할 때마다 매번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한 수행을 요청하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현재 안전한 교신 세션 중이지 않으면, 스마트폰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한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도 19에서 서술한 동일한 방식으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고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스마트폰에 통보하고, 통보 받은 스마트폰은 도어락 또는 자동차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 간에는 기본적으로 암호화 또는/및 복호화를 거쳐서 송수신하며,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과정에서의 암호화와 복호화는 통상의 암호화 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계 제작된 암호화 또는 복호화 프로그램을 탑재하여도 무방하다.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RAM, ROM, Flash 등의 메모리, CPU의 종류와 규격, 통신 모듈의 유무 및 규격, OS의 유무 및 종류와 버전, 탑재한 소프트웨어, UI는 상기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되는 한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또는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또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일차적인 인증관계 또는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들 간의 무선통신에 있어 홍채인식과 착용감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높은 수준의 보안을 유지할 수가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101: 손목형 웨어러블 장치 전자부품 하우징 케이스
102: 손목형 웨어러블 장치 밴드
103: 반지형 웨어러블 장치 전자부품 하우징 케이스
104: 반지형 웨어러블 장치 밴드
501: 카메라 502: 적외선 조명
503: 착용감지부 504: 무선통신부
505: 보안강화부 506: 디스플레이
507: 카메라 508: 적외선 조명
509: 홍채인식부 510: 착용감지부
511: 무선통신부 512: 보안강화부
513: 디스플레이
601: 자석센서(Magnetic Sensor) 602: 자석(Magnet)
603: input line 604: output line
605: CPU(Port1, Port2 연결) 606: 자석센서(Magnetic Sensor)
607: 자석(Magnet) 608: input line
609: output line 610: 저항
701: 정전기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702: 감응전극(Sensing electrode)
703: Power 704: output line
705: 정전기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706: 감응전극(Sensing electrode)
707: Power 708: output line
709: CPU(Port2 연결)
710: 정전기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711: 감응전극(Sensing electrode)
712: Power 713: output line
714: 저항
801: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802: Power
803: output line
804: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805: Power
806: output line 807: CPU(Port1 연결)
808: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809: Power
810: output line
901: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902: Power
903: output line
904: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905: Power
906: output line 907: CPU(Port1 연결)
908: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909: Power
910: output line
1001: 근거리 무선 식별 모듈 1002: 세션 관리 모듈
1003: 시공간 장치 인증 모듈
1101: 카메라 1102: 적외선 조명
1103: 착용감지부 1104: 무선통신부
1105: 홍채인식부 1106: 보안강화부
1107: 디스플레이 1108: 복호화부
1109: 토큰관리부 1110: 근거리 무선 통신부
1201: 카메라 1202: 적외선 조명
1203: 착용감지부 1204: 무선통신부
1205: 보안강화부 1206: 디스플레이
1207: 복호화부 1208: 토큰관리부
1209: 근거리 무선 통신부 1210: 홍채매칭부
1201: 세션 제어 모듈 1202: 무선 식별 모듈

Claims (59)

  1.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2.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과,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하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3.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과,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하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4.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및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5.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과,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와, 손목 또는 손가락의 착용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및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하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6.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과,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와, 손목 또는 손가락의 착용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및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하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이차적인 인증관계를 구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착용감지부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케이스 또는 손목 또는 손가락을 감싸는 밴드에 센서를 장착하여 착용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8.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감지부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케이스 또는 손목 또는 손가락을 감싸는 밴드에 센서를 장착하여 착용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착용감지센서는
    스프링(Spring), 힌지(Hinge), 자석 센서, 정전기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착용감지센서는
    스프링(Spring), 힌지(Hinge), 자석 센서, 정전기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인증 요청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무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근거리 무선 식별 모듈;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세션을 관리하는 세션 관리 모듈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12.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인증 요청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무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근거리 무선 식별 모듈;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세션을 관리하는 세션 관리 모듈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의 식별정보 또는 시공간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시공간 장치 인증 모듈을 부가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의 시공간 정보를 저장하고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요청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시공간 장치 인증 모듈을 부가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15.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세션을 제어하는 세션 제어 모듈;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식별정보 또는 시공간 정보를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고,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장치인지를 식별하는 무선 식별 모듈로 구성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의 시공간 정보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이미지 촬영시각 정보, 홍채이미지의 촬영 시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정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감지 시각 정보 및 착용 감지 시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의 시공간 정보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이미지 촬영시각 정보, 홍채이미지의 촬영 시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정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감지 시각 정보 및 착용 감지 시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시공간 정보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홍채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요청한 시각 정보,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홍채이미지를 촬영 요청 시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착용 감지를 요청한 시각 정보 및 착용 감지 요청 시의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1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인 인증관계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등록된 착용 사용자임을 확인한 이후,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자원 접근(resource access)권한을 승인 받은 관계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20.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차적인 인증관계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해 구축한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키 세트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 상호 간 안전한 교신 세션이 유지되는 관계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2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착용 사용자의 확인을 위해서
    장치인증과 사용자인증 및 착용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장치인증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서로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증은
    홍채인식을 통해서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착용인증은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25.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키 세트는 장치인증과 사용자인증 및 착용인증이 완료되고, 일차적인 인증관계를 지속하는 조건을 알리는 하나 이상의 토큰 또는 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26.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안전한 교신 세션이 이루어지는 동안은
    추가적인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요구가 있더라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 간에는 추가적인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지 않고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이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27.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안전한 교신 세션은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자격 해제 또는 안전한 교신 세션의 재설정 요청이 수신되는 순간 안전한 교신 세션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착용 사용자 자격 해제는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을 해제하거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인한 상호 식별이 불가능하거나 홍채이미지 정보의 유효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안전한 교신 세션의 재설정은
    안전한 교신 세션 연결시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을 초과할 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30.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안전한 교신 세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지 않고 즉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3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강화부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32.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강화부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3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홍채이미지 정보에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의 고유번호, Pin 코드 및 OTP(one time passwor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포함시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34.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이미지 정보에
    손 부착 웨어러블 장치의 고유번호, Pin 코드 및 OTP(one time passwor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포함시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35.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홍채이미지 정보의 암호화는
    홍채이미지 정보에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되어 전달된 토큰 또는 키를 삽입하여,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36.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홍채이미지 정보의 암호화는
    홍채이미지 정보에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되어 전달된 토큰 또는 키를 삽입하여, 홍채이미지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37.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홍채이미지 정보의 암호화는
    홍채이미지 정보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디지털 워터마크를 사용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부가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38.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홍채이미지 정보의 암호화는
    홍채이미지 정보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디지털 워터마크를 사용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부가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3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홍채이미지 정보에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이미지 촬영시각 정보 또는 홍채이미지의 촬영 시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40.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이미지 정보에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홍채이미지 촬영시각 정보 또는 홍채이미지의 촬영 시의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41.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정보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된 기지국이나 무선 AP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이거나 GPS 정보를 이용한 절대적 위치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42.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정보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연결된 기지국이나 무선 AP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이거나 GPS 정보를 이용한 절대적 위치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43.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연결된 기지국이나 무선 AP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이거나 GPS 정보를 이용한 절대적 위치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4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촬영된 홍채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부가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45.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영된 홍채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부가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46.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9, 청구항 13, 청구항 16, 청구항 33 또는 청구항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손가락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47.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청구항 6, 청구항 10, 청구항 14, 청구항 15, 청구항 17, 청구항 18, 청구항 22,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30, 청구항 34, 청구항 36 또는 청구항 4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는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손가락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48.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과,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하되,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 중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토큰관리부로부터 생성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토큰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홍채매칭부에 전달하고, 홍채매칭부에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감지부에서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착용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고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49.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과, 상기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손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인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신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매칭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하되,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 중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토큰관리부로부터 생성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토큰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홍채매칭부에 전달하고, 홍채매칭부에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감지부에서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착용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고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50.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과,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와, 손목 또는 손가락의 착용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및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하되,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 중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토큰관리부로부터 생성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토큰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홍채인식부에 전달하고, 홍채인식부에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감지부에서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착용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고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51.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홍채이미지 촬영 시 조명을 위한 적외선 조명과,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촬영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홍채인식부와, 손목 또는 손가락의 착용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및 인증 요청 디바이스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및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토큰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는 토큰관리부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로 구성된 인증 요청 디바이스로 구성하되,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 중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토큰관리부로부터 생성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토큰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홍채인식부에 전달하고, 홍채인식부에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감지부에서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착용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고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52. 청구항 49 내지 청구항 5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접근 중인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페어링하는 단계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서로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53. 청구항 48 또는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홍채매칭부에 전달하고, 홍채매칭부에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시공간 정보를 이용한 시공간 장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부가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54. 청구항 50 또는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홍채인식부에 전달하고, 홍채인식부에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시공간 정보를 이용한 시공간 장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부가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55. 청구항 49 내지 청구항 5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감지부에서 사용자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착용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시공간 정보를 이용한 시공간 장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부가한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56. 청구항 48 또는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위하여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홍채매칭부에 전달하고, 홍채매칭부에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촬영 획득한 홍채이미지 정보가 암호화되어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전달받은 암호화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복호화부에서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홍채이미지 정보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홍채매칭부에 등록 저장된 홍채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인지 여부가 완료되었음을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57. 청구항 49 또는 51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에서 사용자 확인키 세트를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전달하여 확인한 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상호 안전한 교신 세션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한 교신 세션의 해제 요청으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상호 안전한 교신 세션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58. 청구항 49 또는 51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에서,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토큰관리부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토큰을 생성하지 않고 즉시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토큰을 생성하여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통보하는 단계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59. 청구항 49 또는 51에 있어서,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와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안전한 교신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에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안전한 교신 세션이 중단되는 단계일 경우,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가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에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토큰관리부는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토큰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단계;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가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완료하고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통신부가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통보 받는 즉시 제 1 인증 요청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제 2 인증 요청 디바이스에 등록된 착용 사용자 확인을 통보하는 단계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의 제어방법.
KR1020140086564A 2014-07-10 2014-07-10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기능을 가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645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564A KR101645087B1 (ko) 2014-07-10 2014-07-10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기능을 가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
US15/325,430 US20170185103A1 (en) 2014-07-10 2015-07-08 Wearing-sensing hand-attached wearable device for iris recognition, security reinforcing set us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5/007062 WO2016006927A1 (ko) 2014-07-10 2015-07-08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
JP2017500834A JP2017531843A (ja) 2014-07-10 2015-07-08 虹彩認識用着用感知手付着型ウェアラブル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保安強化セ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580048864.3A CN107077597A (zh) 2014-07-10 2015-07-08 虹膜识别用佩戴感知手附着型可穿戴设备与利用这一设备的安保强化套件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564A KR101645087B1 (ko) 2014-07-10 2014-07-10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기능을 가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912A true KR20160006912A (ko) 2016-01-20
KR101645087B1 KR101645087B1 (ko) 2016-08-02

Family

ID=5506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564A KR101645087B1 (ko) 2014-07-10 2014-07-10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기능을 가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85103A1 (ko)
JP (1) JP2017531843A (ko)
KR (1) KR101645087B1 (ko)
CN (1) CN107077597A (ko)
WO (1) WO201600692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035B1 (ko) * 2016-01-26 2016-07-29 오준봉 홍채 정보를 이용한 인증 정보 생성장치 및 방법, 그를 구비한 인증 시스템
KR20190026328A (ko) * 2017-09-05 2019-03-13 주식회사 와이키키소프트 웨어러블 단말과 인증토큰 발급용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11323450B2 (en) 2017-09-11 2022-05-0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li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client system
KR20220055529A (ko) * 2020-10-26 2022-05-04 아이리텍 잉크 홍채 인증 카드 및 홍채 인증 카드를 이용한 신원 인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2498B2 (en) * 2014-07-02 2016-08-30 Sony Corporation Gesture detection to pair two wearable devices and perform an action between them and a wearable device, a method and a system using heat as a means for communication
KR102255351B1 (ko) * 2014-09-11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홍채 인식 방법 및 장치
US10137777B2 (en) 2015-11-03 2018-1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system control based on physiological traits
KR101838511B1 (ko) * 2016-05-17 2018-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암호화를 적용한 제어기 보안 방법 및 그 장치
CN107066079A (zh) 2016-11-29 2017-08-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虚拟现实场景的业务实现方法及装置
JP6840568B2 (ja) * 2017-02-23 2021-03-10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KR102395293B1 (ko) * 2017-07-04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 차량, 스마트 장치 및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81942B1 (ko) * 2017-08-30 2019-05-24 (주)와이브레인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US10554658B2 (en) * 2017-12-29 2020-02-04 Motorola Mobility Llc Bootstrapping and adaptive interface
EP3528077B2 (en) * 2018-02-16 2023-11-01 Pilz GmbH & Co. KG System for safeguarding a person from an autonomously operating machine
CN109309781A (zh) * 2018-11-23 2019-02-05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可穿戴设备
CN110069913B (zh) * 2019-04-11 2024-03-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人脸解锁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401950A (zh) * 2019-07-24 2019-11-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注册方法、头戴式显示设备、头戴设备系统和存储介质
CN112115443B (zh) * 2020-11-19 2021-02-12 索信达(北京)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用户鉴权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625A (ko) * 2005-06-09 2006-12-14 넥스원퓨처 주식회사 신체 활동 측정 단말기
KR101182922B1 (ko) * 2011-11-08 2012-09-13 아이리텍 잉크 홍채이미지를 이용한 보안이 강화된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482A (ja) * 2002-07-24 2004-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システム
JP4633347B2 (ja) * 2003-08-2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06132473A1 (en) * 2005-06-09 2006-12-14 Lig Nex1 Co., Ltd. The body activity measurement terminal
KR100729813B1 (ko) * 2006-01-20 2007-06-18 (주)자이리스 홍채 인증용 촬영장치, 홍채 인증용 촬영모듈 및 홍채인증용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단말기
JP4900578B2 (ja) * 2006-09-25 2012-03-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JP2008181310A (ja) * 2007-01-24 2008-08-07 Toshiba Corp 認証サーバ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JP5292712B2 (ja) * 2007-03-23 2013-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認証連携システム、中継装置、認証連携方法および認証連携プログラム
US9118488B2 (en) * 2010-06-17 2015-08-25 Aliphcom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network services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US8195576B1 (en) * 2011-01-31 2012-06-0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obile transaction device security system
GB2497553B (en) * 2011-12-13 2018-05-16 Irisguard Inc Improvements relating to iris cameras
US10223710B2 (en) * 2013-01-04 2019-03-05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Wearable intelligent vision device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JP2014002572A (ja) * 2012-06-19 2014-01-09 Hitachi Systems Ltd Gps機能を利用した相互認証システム及び相互認証方法
US9979547B2 (en) * 2013-05-08 2018-05-22 Google Llc Password management
CN103310142B (zh) * 2013-05-22 2015-10-07 复旦大学 基于可穿戴设备的人机融合安全认证方法
US9606721B2 (en) * 2013-07-22 2017-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455913B (zh) * 2013-08-26 2017-09-19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Nfc支付方法、装置、系统及移动终端
WO2015102704A2 (en) * 2013-10-08 2015-07-09 Sri International Iris biometric recognition module and access control assembly
US9684778B2 (en) * 2013-12-28 2017-06-20 Intel Corporation Extending user authentication across a trust group of smart devices
US9668367B2 (en) * 2014-02-04 2017-05-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computing systems
KR102206877B1 (ko) * 2014-02-21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03870738A (zh) * 2014-04-10 2014-06-18 宫雅卓 基于虹膜识别的可穿戴式身份认证装置
KR102173699B1 (ko) * 2014-05-09 2020-11-03 아이플루언스, 인크. 안구 신호들의 인식 및 지속적인 생체 인증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들
RU2769974C2 (ru) * 2014-05-23 2022-04-12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ведомления
KR102204553B1 (ko) * 2014-05-23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817959B2 (en) * 2014-06-27 2017-11-14 Intel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US9818114B2 (en) * 2014-08-11 2017-11-14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ayment card transactions using a wearable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625A (ko) * 2005-06-09 2006-12-14 넥스원퓨처 주식회사 신체 활동 측정 단말기
KR101182922B1 (ko) * 2011-11-08 2012-09-13 아이리텍 잉크 홍채이미지를 이용한 보안이 강화된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035B1 (ko) * 2016-01-26 2016-07-29 오준봉 홍채 정보를 이용한 인증 정보 생성장치 및 방법, 그를 구비한 인증 시스템
KR20190026328A (ko) * 2017-09-05 2019-03-13 주식회사 와이키키소프트 웨어러블 단말과 인증토큰 발급용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11323450B2 (en) 2017-09-11 2022-05-0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li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client system
KR20220055529A (ko) * 2020-10-26 2022-05-04 아이리텍 잉크 홍채 인증 카드 및 홍채 인증 카드를 이용한 신원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6927A1 (ko) 2016-01-14
CN107077597A (zh) 2017-08-18
JP2017531843A (ja) 2017-10-26
US20170185103A1 (en) 2017-06-29
KR101645087B1 (ko)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087B1 (ko)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기능을 가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
US11201740B2 (en) Wireless reader device with wiegand interface and methods
KR101645084B1 (ko) 실외 및 실내에서 홍채인식이 가능한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
US20130081119A1 (en) Mobile device-based authentication
US11462095B2 (en) Facility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20150040212A1 (en) Locking apparatus with enhanced security using iris image
US20120032781A1 (en) Remote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iometrics
US11562054B2 (en) Authorized gesture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20200036708A1 (en) Biometric credential improvement methods and apparatus
CN111095246B (zh) 用于认证用户的方法和电子设备
US11770255B1 (en) Authenticated health credential access methods and apparatus
US1123868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digital identity support on legacy access control systems
US11916900B2 (en) Authorized remote control device gesture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20200036709A1 (en) Secure biometric credential authoriz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10341340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a mobile data terminal
KR101437049B1 (ko) Nfc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6141561A1 (zh) 虹膜身份认证附件及系统
CN114510178A (zh) 一种共享数据分发方法及电子设备
US1199564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NFC transactions
KR20020042004A (ko) 홍채인식을 이용한 인증 장치 및 방법
US11539706B2 (en) Authorized off-line access methods and apparatus
KR101519639B1 (ko) 모션 추적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nfc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WO2021165120A1 (fr) Procede et systeme d'authentification sans cont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