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828A - Peanut seeder - Google Patents

Peanut see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828A
KR20160006828A KR1020140085922A KR20140085922A KR20160006828A KR 20160006828 A KR20160006828 A KR 20160006828A KR 1020140085922 A KR1020140085922 A KR 1020140085922A KR 20140085922 A KR20140085922 A KR 20140085922A KR 20160006828 A KR20160006828 A KR 20160006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seeding
hopper
circumferential surface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5517B1 (en
Inventor
강영선
소진환
신덕기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517B1/en
Publication of KR2016000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t seeder for sowing seeds such as peanuts. The s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rotator (20) contacting the ground and rotating upon driv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eding hoppers (40) that open or close on a circumference surface (24) thereof, and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22) in a disc shape for supporting the circumference surface (24); a seed frame (60) including a circumference portion (64) mounted in the rotator (2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seeding hoppers and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groove (68) being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in a lowe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and accommodating seeds, and a side plate (65) for forming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portion (64); and a support member (14) connected to and fixed on a support shaft (C) for supporting the seed frame (60) and the rotator (20), and provided with a circumference surface (14a) in a disc shape having a cut portion (14d) to discharge the seeds from the accommodation groove of the seed frame to the seeding hopper through the through holes, and a side surface (14b) having a supply hole (14c) being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ce surface and supplying the seeds. The cut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4) is formed before the lowest point of the seeding hopper, and thus supplies the seeds before the lowest point.

Description

점파식 파종기{Peanut seeder}{Peanut seeder}

본 발명은 점파식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서 종자의 정체가 발생하지 않음과 동시에 정해진 갯수의 종자가 지중에 정확하게 파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파식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 spreading see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int spreading seeder which is configured such that seed stagnation does not occur therein and that a predetermined number of seeds can be accurately seeded in the ground.

점파라고 함은, 씨앗을 뿌리는 방법의 하나를 말하는데, 한곳에 한 개 또는 몇 개씩 일정한 간격으로 씨앗을 뿌리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점파 파종기는 이와 같이 점파 방식으로 씨앗(종자)을 파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계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점파 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하는 농작물은 여러 가지 있는데, 실질적으로 씨앗을 파종하는 농작물은 많은 종류가 이에 해당하고, 예를 들면 땅콩 등도 이러한 점파식 파종에 의하여 재배된다.Dumpling refers to one of the methods of seeding, which is defined as seeding one or several seed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owing planter means a machine that is made to be able to sow seeds in the way of the point. There are many kinds of crops to be sowed by using the sowing seeders. There are many kinds of crops that actually sow seeds. For example, peanuts and the like are also cultivated by such sowing sowing.

이와 같은 씨앗, 예를 들면 땅콩과 같은 종자를 일정한 파종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파종하는 점파 파종기에 대한 선행 기술이, 대한 민국 특허 공개 1999-0066629호로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원반 형상의 본체 내부에 다수의 종자(땅콩)를 공급하고, 이러한 본체가 지면에 닿으면서 회전하면서 그 외측에 설치되는 호퍼에서 소정량의 종자가 지중에 심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Prior art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66629 for a seeding planter for sowing such seeds, for example, seeds such as peanuts at a certain sowing interval.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ique, a large number of seeds (peanuts) are fed into the disc-shaped main body,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seed is planted in the ground in a hopp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ile rotating while contacting the ground .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원반 형상의 본체 내부로 공급된 종자가, 본체 외부에 설치된 다수의 호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본체 내부에서 호퍼로 공급되는 종자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한곳에서 불필요하게 많은 씨앗이 파종되거나, 한곳에 씨앗이 파종되지 않는 결주가 발생하기도 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in the process of supplying seeds fed into the disc-shaped main body to a plurality of hoppers provided outside the main body. That is, the seed supplied to the hopper from the inside of the body is not smooth, so that unnecessarily many seeds are sown or one seed is not sown in one place.

땅콩과 같은 종자를 파종하는 점파식 파종기의 신뢰성은, 정해진 파종 위치에 정해진 양의 종자가 심어지는 것에 의하여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해진 양의 종자가 정해진 위치에서 배출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파종기 내부에서 파종호퍼로 종자의 공급도 원활하여야 함은 당연하고, 이는 구조적으로 내부에서 종자의 정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reliability of a point spreader seeding a seed such as a peanut can be said to depend on the planting of a given amount of seed at a predetermined seeding position. In order for the seeds to be discharg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s, it is natural that the seeds should be smoothly supplied to the seeding hoppers from the inside of the seeding machine, and it is assumed that the seeds are not structurally internally generated .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뢰성이 높은 점파식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int spreading planter with high reliability.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기는, 지면과 접촉하여 주행에 따라서 회전하고, 원주면에 개폐 가능한 다수의 파종호퍼가 구비되고, 상기 원주면을 지지하는 원판상의 지지판을 구비하는 원통상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파종호퍼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되며, 회전 방향 하류측에서 통과공과 연결되며 종자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원주부분과, 상기 원주부분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을 구비하는 종자틀; 그리고 상기 종자틀 및 회전체를 지지하는 지지축과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종자틀의 수납홈에서 통과공을 통하여 종자가 상기 파종호퍼로 배출될 수 있는 절개부을 구비하는 원판상의 원주면과, 상기 원주면 내측에 형성되고 종자가 공급되는 공급공을 구비하는 측면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의 절개부는 파종호퍼가 최저점에 가기 전에 형성되어 있다. A point spread type s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rotat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seeding hoppers rotatable in contact with a ground surface and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disk-shaped supporting plate for suppor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 circumferential portion provided inside the rotating body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eding hopper and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at the downstream side in the rotating direction and having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seeds; A seed frame having a side plate that forms a side surface; And a cut-out portion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a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the seed mold and the rotating body and through which a seed can be discharged to the seeding hopper through a through hole in a receiving groove of the seed mold, 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side surface provided with a supply hole formed insid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upplied with seeds. Wherein the cutout of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before the seeding hopper reaches the lowest point.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호퍼는, 회전체의 원주면에 지지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파종호퍼가 최저점에 도달한 위치 구간에서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opper includes: a body support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 cover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a cover for opening / closing the cover in a position interval in which the seeding hopper reaches the lowest point Closing means.

그리고 이러한 개폐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상단부와, 상기 커버 상단부와 연결되고 지지판에 지지되는 레버기구, 상기 커버를 닫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기구를 탄성적으로 밀도록 지지판에 지지되는 스프링, 그리고 회전체가 회전하여 파종호퍼가 최저점에 도달할 때 상기 레버기구가 접촉하여 접촉하는 동안 상기 커버가 열리는 개폐용돌기로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e cover includes an upper portion extending inwardly from the cover, a lever mechanism connected to the cover upper portion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and a lever mechanism for elastically pushing the lever mechanism in a direction closing the cover. And a protrus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while the lever mechanism is in contact with and contacted with the seeding hopper when the seeding hopper reaches the lowest poi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종자틀의 내측면에는 상기 통과공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을 통과하면서 상기 종자틀의 수납홈에 끼워져 배출되지 않은 종자를 상기 통과공측으로 밀어내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기부가 파종호퍼의 최저점 위치를 통과한 후 상기 수납홈을 지날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설치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 mold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groove for connecting the through hole to each other, and the seed which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eed mol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groove, And a fixing member having a protruding portion for pushing out toward the hole.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ing member at a position where the protruding portion can pass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after passing the lowest point of the seeding hopp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종호퍼의 내측면과 종자틀의 통과공 외측 사이에 설치되어 종자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통과공 측에 형성되는 입구가 파종호퍼 측에 설치되는 출구 보다 크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ing hopper further comprises a guid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ing hopper and the outer side of the through hole of the seed mold and guiding the seed, and the guide member is formed on the through hol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le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eding hopp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급공으로 종자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종자를 담고 있는 공급호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upply pipe for supplying seed to the supply hole, and a supply hopper installed on the supply pipe and containing seed for supplying the supply pipe.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원주면은, 파종호퍼가 내려오는 구간의 최고점과 상기 절개부 사이 구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forms a section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section where the seeding hopper descends and the section between the cut sections.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파종기에 의하면, 공급관에서 회전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종자(땅콩)가 일정 수준 유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종자틀의 수납홈을 통하여 정해진 양의 종자가 호퍼로 공급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 및 종자틀의 내부에서 호퍼로 정해진 양의 종자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고, 내부에서 종자의 정체 등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e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eed (peanut)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from the supply pipe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and at the same time, .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mount of the seed determined by the hopper can be stably supplied in the rotating body and the seed mold,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nventional problems such as stagnation of the seed in the inside can be sufficiently solv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종자틀의 내부에 성형되는 통과공의 설계 변경을 통하여, 한 번의 파종 시 호퍼로 공급되는 종자의 양도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종자를 호퍼로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땅콩 파종기 자체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seed supplied to the hopper at the time of one seeding through the design modification of the through-hole formed inside the seed frame, and also to stably supply the seed to the hopper It is expected that the peanut s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substantially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peanut seeder itself.

도 1은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기의 전체 예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기의 회전체 부분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체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종자틀을 보인 것으로, (a)는 종자틀을 일측에서 본 사시도, (b)는 종자틀을 고정부재와 같이 타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호퍼가 열리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체 내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tire embodiment of a point spreading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A is a perspectiv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int spread type s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 perspectiv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int spread type s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otating body portion of the point spreading s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otat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seed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ed frame as seen from one side, and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ed frame as seen from the other side like a fixing member.
6 is a side view illustratively illustrating the opening of the h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side the rotat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기는 예를 들면 트랙터와 같이 주행 가능한 농기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점파식 파종기는, 트랙터 등의 주행 시 지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point spread type s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mounted on a farming tool that can be traveled, for example, as a tractor. As shown in FIG. 1, the point spread type s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body 20 that rotates while contacting with the ground during driving of a tractor or the like.

상기 회전체(2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는 다수 개의 파종호퍼(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20)는 연결관(1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12)은 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호퍼(1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호퍼(10)에 넣어진 종자(예를 들면 땅콩)는, 연결관(12)을 통하여 회전체(20)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 내부로 공급된 종자는 그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파종호퍼(40)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재배지에 파종된다. The rotating body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seeding hoppers 40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thereof. The rotating body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2 and the connection pipe 12 is connected to the supply hopper 1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herefore, seeds (for example, peanuts) put in the supply hopper 10 a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20 through the connecting pipe 12. The see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20 is discharged through the seeding hopper 40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rotating body 20 and then seeded on the planting land.

도 2에는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A는 좌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우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2B를 같이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상술한 연결관(12)는 지지부재(14)의 공급공(14c) 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4)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급공(14c)이 성형되어 있는 원판상의 측면부(14b)와 상기 측면부(14b)의 원주부분을 감싸는 원주면(14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주면(14a)에는 일부가 개구된 절개부(14d)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개부(14d)는 종자를 그 외부에 위치하는 회전체의 파종호퍼(40)로 공급하기 위한 부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int spreading s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rom the left side, and Fig.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rom the right side. 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pipe 12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pply hole 14c of the support member 14. The support member 14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has a circular side surface 14b on which the supply hole 14c is formed and a circular surface 14a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4b. .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4a is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14d, which is partially opened. The cut-out portion 14d is a portion for feeding the seed to the seeding hopper 40 of the rotating body located outside the seed.

상기 지지부재(14)는 공급관(12)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고, 실제로는 고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14)의 내측면에는 고정부재(5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부분적인 원호형인 측벽(56)과, 상기 측벽(56)의 원주면을 형성하는 원주면(52), 그리고 상기 원주면(52)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판상의 돌기부(54)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원주면(52)은 후술하는 종자틀(60)의 통과공을 내측에서 닫는 형태로 결합되고, 회전하는 종자틀(60)의 최고점에서 최저점 사이에 설치된다. The support member 14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12 and is actually supported in a fixed state. A fixing member 5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 [ The fixing member 50 includes a side wall 56 partially formed in an arc shape, a circumferential surface 52 form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56, and a plate-shaped protrusion 52 extending out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52. [ (54). The circumferential surface 52 is coupled in the form of closing the through hole of a seed mold 60 described later from inside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st point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rotating seed mold 60.

도 5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의 원주면(52)은 상술한 지지부재(14)의 절개부(14d)에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50)의 돌기부(54)는, 회전체(2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절개부(14d)의 최저점에 대응하는 위치의 원주면(5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지지부재(14)와 고정부재(50)는 실질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5, the circumferential surface 52 of the fixing member 50 is fixed at a position includ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portion 14d of the support member 14 described above . The protruding portion 54 of the fixing member 50 protrudes out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5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st point of the cutout portion 14d with reference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 [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fixing member 50 described above are held in a fixed state without rotating substantially.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부재는, 실질적으로는 회전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고정된 지지부재(14) 및 고정부재(50)에 대하여, 회전하는 구성요소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회전체(20)는, 원형의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원주면을 형성하는 원주면(24)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주면(24)에는 다수의 파종호퍼(40)가 설치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원주면(24)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브라켓부분(23)은, 링형상의 외측커버(16)과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다. The members described below are substantially rotatable. Hereinafter, a rotating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member 14 and the fixing member 50. The rotating body 20 described above includes a circular support plate 22 and a circumferential surface 24 which form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 [ The plurality of seeding hoppers 40 ar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 as described above. The bracket portion 23 bent inwardly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 is a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ring-shaped outer cover 16.

그리고 상기 회전체(20)의 내부에서 상기 파종호퍼(4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파종호퍼(40)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26)가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6)는 넓은 입구(26a)와 좁은 출구(26b)를 구비하고 있어서, 내측에서 공급되는 종자를 좁은 출구(26b)를 통하여 파종호퍼(40) 속으로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26 corresponding to the seeding hoppers 40 are mounted in the rotating body 20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seeding hoppers 40. The guide member 26 has a wide inlet 26a and a narrow outlet 26b so that the seed supplied from the inside can be guided safely into the seeding hopper 40 through the narrow outlet 26b .

상기 회전체(2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재(26)의 바로 내측부분에는 종자틀(60)이 회전체(20)와 같이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종자틀(60)은 회전체(20)의 내부, 그리고 상술한 고정부재(50)의 외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 5에서 (a)는 종자틀(60) 자체를 도시하고 있고, (b)는 종자틀(60)의 내측면에 고정부재(50)가 결합된 상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The seed frame 6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20 just inside the guide member 26 so as to rotate as the rotating body 20. The seed frame 60 is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outside of the fixing member 50 described above. 5 (a) shows the seed mold 60 itself, and Fig. 5 (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xing member 5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 mold 60.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자틀(60)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성형되어 종자가 통과하는 통과공(62)이 원주부분(64)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주부분(64)의 내측면에는 상기 통과공(62) 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연결홈(66)이 상기 통과공(62)을 서로 연결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ed mold 6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and a through hole 62 through which the seed passes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64 so as to penet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eed mold 60 . A connection groove 66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6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64 to connect the through hole 62 with each other.

상기 연결홈(66)은, 고정부재(50)의 돌기부(54)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다. 즉, 회전하는 종자틀(60)의 연결홈(66)에 돌기부(54)가 들어가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납홈(68) 내부에 남아 있는 땅콩을 종자틀의 중간부분으로 빼내는 역항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수납홈(68) 내부의 땅콩은 종자틀(6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하사점에 이르기 전에 자중으로 낙하하여 통과공(62)를 통하여 파종호퍼(40)로 공급되는 것이 정상이다. 그러나 땅콩이 상기 수납홈(68)에 들어가서 끼워지는 등에 의하여 자중으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번의 회전에서 땅콩을 수납할 수 없기 때문에 수납홈(68) 내부에 끼워져 있는 땅콩은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50)의 원주면(52) 외측면에는 돌기부(54)를 형성하여, 종자틀(6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연결홈(66)을 따라 수납홈(68) 내부에 있는 땅콩을 통과공(62) 측으로 끌어내게 된다. The connection groove 66 is a space into which the protrusion 54 of the fixing member 50 can enter. That is, the projecting portion 54 enters the connecting groove 66 of the rotating seed frame 60 and rotates to rotate the peanut remaining in the receiving groove 68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seed frame. It is normal that the peanut in the receiving groove 68 falls down by its own weight and reaches the seeding hopper 40 through the passing hole 62 before reaching the bottom dead center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seed frame 60. However, if the peanut does not fall into its own weight due to entering into the receiving groove 68 or the like, the peanut in the receiving groove 68 must be removed because the peanut can not be stored in the next rotation. For this, a protrusion 5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52 of the fixing member 50 so that the protrusion 54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68 along the connecting groove 66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ed mold 60 The peanut is drawn to the through hole 62 side.

상기 통과공(62)의 폭은 실질적으로 종자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땅콩 파종기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통과공(62)의 폭은 하나의 땅콩이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과공(62)의 원주 방향의 길이는, 회전하면서 그 내부에 들어 있는 땅콩이 통과공(62)를 통하여 외측으로 떨어져서 상기 가이드부재(26)를 통하여 외측의 파종호퍼(40)로 들어갈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성형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과공(62)의 일측(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통과공의 하류측)에는 종자가 들어가는 수납홈(68)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68)은 통과공(62)와 연통하도록 성형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62 is substantial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eed. For example, when used as a peanut seeder,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62 is such that a single peanut can enter As shown in Fig. The length of the through hole 6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et such that the peanut contained in the through hole 62 rotates out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62 and enters the outside seeding hopper 40 through the guide member 26 To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Fig. 5, a receiving groove 68 into which seeds are insert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62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direction). The receiving groove 68 may be a portion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62.

상기 수납홈(68)은, 종자틀(60)의 회전에 따라서, 종자틀(60)의 내부에 일정 수준으로 들어 있는 땅콩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종자틀(68)이 회전하면서, 수납홈(68) 내부로 들어간 땅콩은, 해당하는 통과공(62)이 회전하여 최상부에 위치하더라도,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납홈(68)의 내부에 들어있는 땅콩은, 종자틀(60)이 더 회전하여 대략 9시 방향에 위치(실질적으로 상기 수납홈이 통과공과 대략 수직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수납홈(68)에서 통과공(62)으로 나오게 된다. The receiving groove 68 is for allowing a peanut having a certain level to enter into the seed frame 6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ed frame 60. Thus, while the seed frame 68 rotates, the peanut that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68 does not fall down even if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62 rotates and is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When the seed mold 60 further rotates and is positioned at approximately 9 o'clock (substantially, the storing groove is position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hrough-hole), the peanut in the inside of the storing groove 68, (68) to the through hole (62).

상기 통과공(62)은 바로 그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재(14)의 원주면(14a)에 의하여 외측과 연통하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고정부재(50)의 원주면(52)에 의하여 최상단과 절개부(14d)에 대응하는 위치까지는 내측부분에서도 막혀 있다. 상기 종자틀(60)이 회전하면서, 고정부재(14)의 절개부(14d)에 해당하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상기 통과공(62)은 개방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 들어 있는 땅콩은 통과공(62)을 통하여 외부로 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수납홈(68)에서 통과공(62)으로 나온 땅콩이 상기 절개부(14d)를 통하여 외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절개부(14d)를 통하여 낙하되는 땅콩은 가이드부재(26)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파종호퍼(4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The through hole 62 is in a state of not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side b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4a of the support member 14 provided on the outer side. And is also clogged b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52 of the fixing member 50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end and the cutout portion 14d. When the seed mold 60 rotates and reache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14d of the fixing member 14, the through hole 62 is in the open state, so that the peanut contained therein passes And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ll 62. That is, the peanu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62 in the receiving groove 68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out portion 14d. Thus, the peanut dropped through the cut-out portion 14d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26 into the inside of the seeding hopper 40.

여기서 상기 통과공(62)을 한 쌍으로 성형하는 것은, 한 번의 파종 시 땅콩의 숫자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통과공(62)의 내부 폭은 하나의 땅콩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성형됨은 상술한 바와 같고, 상기 수납홈(68)의 깊이도 크기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두개 정도의 땅콩이 들어갈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통과공(62) 및 수납홈(68)을 한 쌍으로 성형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수납홈(68)을 통하여 한 번의 파종 시 두 개 내지 네 개 정도 땅콩이 파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Here, the pair of the through-holes 62 are formed to control the number of peanuts in one seeding. That is, the inside width of the through-hole 62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allows one peanut to be inserted, and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68 is set so that one or two peanuts can be inserted . Therefore, when the through hole 62 and the receiving groove 68 are formed into a pair, it can be seen that two to four peanuts can be sown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68 at a time of sowing.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20)의 일측면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종자틀(60)은, 지지축(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축(C)은, 회전체(20)의 원판상의 지지판(22)의 중심에 성형되어 있는 중심공(21) 및 종자틀(60)의 측면판(65)의 중심에 성형되어 있는 중심공(65a)을 관통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전체(20)의 중심공(21)은, 회전체의 회전시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지판(22)의 중심에 결합되는 보스(21a)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rotary frame 20 and the seed frame 60 coupled to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rotary body 20 rotate about the support shaft C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shaft C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enter hole 2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22 on the disk of the rotator 20 and the side plate 65 of the seed frame 60 And is rotatably supported through the center hole 65a. The center hole 21 of the rotating body 20 may be formed inside the boss 21a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22 so as to secure a stronger supporting force than that of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

다음에는 상기 회전체(20)의 원주면(24)에 설치되어 있는 파종호퍼(4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파종호퍼(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서 공급되는 종자(땅콩)을 받아서 지면에 심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종자의 파종을 위하여 상기 파종호퍼(40)는 개폐 가능하게 성형되고, 그 단부는 예리한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파종호퍼(40)는 원뿔 형상 또는 볼록한 중간 부분을 가지는 원뿔 형상으로 성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seeding hopper 40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 of the rotating body 20 will be described. The seeding hopper 40 has a function of receiving the seed (peanut) supplied from the inside and planting it on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For seeding of such seeds, the seeding hopper 4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its end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harp shape. It can be seen that the seeding hopper 4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formed into a conical shape having a conical shape or a convex intermediate portion.

그리고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파종호퍼(40)는, 내부에 종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바디(42)와, 상기 바디(42)를 개폐하는 커버(44)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44)는, 바디(42)의 상부 일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지지축(4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3 and 6, the seeding hopper 40 includes a body 42 capable of receiving seed therein and a cover 4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42 . The cover 44 is rotatably support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2, and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support shaft 46, for example.

상기 지지축(46)의 상부로 연장된 커버(44)의 상단부(44b)는, 제1레버(47)와 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47)의 타단부는, 제2레버(48)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레버(48)의 중간부분은 지지판(22)의 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제2레버(48)는 지지축(48a)를 중심으로 지지판(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레버(48)는 스프링(49)에 의하여 일측으로 당겨지도록 탄성지지되어 있다. The upper end 44b of the cover 44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46 is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47 in a pin connection manner. The other end of the first lever 47 is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48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lever 48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 For example, the second lever 48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22 about the support shaft 48a, and the second lever 48 is urged by the spring 49 so as to be pulled to one side. .

상기 스프링(49)은 실질적으로 커버(44)를 닫는 방향으로 상기 제2레버(48)를 당기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의 이면에는 개폐용돌기(41)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지지축(C)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면서, 회전체(20)의 이면에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spring 49 pulls the second lever 48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closing the cover 44. [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41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0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supporting shaft C, Lt; / RTI >

그외에도 상기 개폐용돌기(41)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구성요소에 지지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축(C)의 외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F)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축(C)을 지지하는 고정부분에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용돌기(41)는 실질적으로 파종호퍼(40)가 하사점에 도달하기 직전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As a matter of course, 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 41 may be supported by other components as long as 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 41 can maintain the fixed position. It may be formed in a fixed portion for supporting the support shaft C inside the frame F, for example, in order to support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shaft C. [ The opening and closing projections 41 are substantially fixed at a position just before the seeding hopper 40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따라서 상기 회전체(20)가 도 6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개폐용돌기(41)는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회전체(20)와 같이 제2레버(48)도 같이 회전한다. 그리고 파종호퍼(40)가 하사점에 이르기 직전에 상기 제2레버(48)의 내측단부가 상기 개폐용돌기(41)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레버(48)는 지지축(48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제2레버(47)가 커버(44)의 상단부(44b)를 당겨서 커버(44)가 열리게 되며, 이는 도 6에서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6, the opening / closing projection 41 maintains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second lever 48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body 20 like the rotating body 20. Immediately before the seeding hopper 40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the inner end of the second lever 4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pening / closing projection 41. The second lever 48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support shaft 48a so that the second lever 47 pulls the upper end 44b of the cover 44 to open the cover 44 Which is shown by arrows in Fig.

그리고 상기 개폐용돌기(41)는 일정 각도 만큼 원호각을 가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제2레버(48)가 개폐용돌기(41)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동안은 커버(44)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회전체(20)가 좀더 회전하게 되면 커버(44)는 스르링(49)의 탄성력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파종호퍼의 개폐기구는, 상기 지지판(22)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외측면은 커버(18)에 의하여 마감되어 있다.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projection 41 has a circular arc shape at a certain angle, the cover 44 is kept open while the second lever 48 is rotated while conta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jection 41. Here, when the rotating body 20 rotates further, the cover 44 is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hrilling 49.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seeding hopper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22 and the outer side surface thereof is closed by the cover 18.

따라서 회전체(20)가 회전하여, 상기 파종호퍼(40)가 하사점에 이르게 되면, 상기 커버(44)가 열리게 되어 그 내부에 있는 땅콩이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파종호퍼(40)는 재배지의 지중에 약간 파고 들어간 상태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종자는 요구되는 깊이의 지중으로 파종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rotator 20 rotates and the seeding hopper 40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the cover 44 is opened, so that the peanut therein can fall down. At this time, since the seeding hopper 40 is slightly digging into the ground of the cultivation l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ed is sown at the depth of the required depth.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급호퍼(10)에는 종자, 예를 들면 땅콩이 일정 수준 들어 있고, 이러한 땅콩은 공급관(12)을 거쳐 회전체(2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12)의 하단부는 지지부재(14)의 중간 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체(20)의 내부로 공급되는 땅콩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공급관(12)에 설치된 높이에 대응하는 정도를 유지하게 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int spreading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1, the supply hopper 10 contains seeds, for example, a certain level of peanuts, and these peanuts ar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rotating body 20 through the supply pipe 12. Here, the lower end of the supply pipe 12 is connected to a position slightly lower than the middle of the support member 14. Accordingly, the peanut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rotating body 20 maintain a certain level, which is maintained to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upply pipe 12.

이렇게 공급된 땅콩은, 도 4를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종자틀(60)의 내부에 쌓이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종자틀(60)의 내부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지지부재(14)에 의하여 막히는 공간에 땅콩이 쌓여 있게 된다. 그리고 트랙터의 주행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점파식 파종기의 회전체(10)는 재배지의 지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thus fed peanut is accumulated in the seed frame 60 substantially. More specifically, in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seed mold 60, peanuts are piled up in a space which is clogged by the support member 14. [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of the tractor, the rotating body 10 of the point spreading s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while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of the plantation ground.

회전체(20)의 회전에 따라서 내부에 있는 종자틀(60)도 같이 회전하는데, 이때 종자틀(60) 내측면에 형성된 통과공(62)과 연결된 수납홈(68)에 한 두개 정도의 땅콩이 들어간다(도 5 및 도 7참조). 여기서 상기 종자틀(60)의 내측면 중에서, 회전하는 회전체가 정점(최고점)을 중심으로 내려오는 구간에서는, 고정부재(50)의 원주면(52)에 의하여 막혀 있어서, 통과공(62) 측으로 땅콩의 출입은 규제되어 있다.The seed frame 60 inside also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 At this time, in the storage groove 68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62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seed frame 60, (See Figs. 5 and 7). Here,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seed mold 60, the rotating body is blocked b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52 of the fixing member 50 in the section where the rotating body comes down from the apex (peak) The access of peanuts is regulated.

그리고 이렇게 수납홈(68)의 내부에 들어있는 땅콩은, 종자틀(60)이 더 회전하여 대략 9시 방향에 위치(실질적으로 상기 수납홈이 통과공과 대략 수직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수납홈(68)에서 통과공(62)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어서 상기 종자틀(60)이 회전하면서, 고정부재(14)의 절개부(14d)에 해당하는 위치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과공(62)은 개방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 들어 있는 땅콩은 통과공(62)을 통하여 외부로 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수납홈(68)에서 통과공(62)으로 나온 땅콩이 상기 절개부(14d)를 통하여 외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절개부(14d)를 통하여 낙하되는 땅콩은 가이드부재(26)에 안내되어 파종호퍼(4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는 실질적으로 파종호퍼(40)가 하사점에 위치하기 이전의 상태이다. When the seed mold 60 further rotates and is positioned at approximately 9 o'clock (substantially, the storing groove is position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hrough-hole), the peanut in the inside of the storing groove 68, The seed mold 60 is rotated and reache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portion 14d of the fixing member 14. In this case, Therefore, since the through-hole 62 is in the open state, the peanut contained in the through hole 62 falls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62. That is, the peanu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62 in the receiving groove 68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out portion 14d. In this way, the peanut dropped through the cutout 14d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26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seeding hopper 40. This is a state substantially before the seeding hopper 4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dead center.

그리고 회전체(20)가 회전하면서 상기 파종호퍼(40)가 하사점에 이르기 직전에는, 상기 파종호퍼(40)의 커버(44)가 바디(42)에서 열리면서 파종호퍼 내부의 땅콩이 외부로 나오게 된다. 커버(44)가 바디(42)에서 열리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아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의 파종호퍼(40)는 실질적으로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며 재배지에서 지중으로 일정 깊이로 들어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가 열리고 내부의 땅콩이 지중에 파종되다. 그리고 이러한 파종은 회전체(20)의 회전에 따라서 반복하여 수행될 것이고, 회전체의 크기에 따라서 파종 간격이 결정될 것이다. Immediately before the seedling hopper 40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while the rotating body 20 rotates, the cover 44 of the seeding hopper 40 is opened by the body 42 and the peanut inside the seeding hopp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o. Since the cover 44 is opened in the body 42 a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n this state, the seeding hopper 40 is positioned substantially at the bottom dead center, and it can be said that the seeding hopper 40 has entered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is state the cover is opened and the inner peanut is seeded in the ground. This seeding will be repeatedly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seeding interval will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otating bod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10 ..... 공급호퍼
12 ..... 공급관
14 ..... 지지부재
14a ..... 원주면
14b ..... 측면부
14c ..... 공급공
14d ..... 절개부
20 ..... 회전체
22 ..... 지지판
24 ..... 원주면
26 ..... 가이드부재
40 ..... 파종호퍼
41 ..... 개폐용돌기
42 .... 바디
44 ..... 커버
50 ..... 고정부재
52 ..... 원주면
54 ..... 돌기부
56 ..... 측벽
60 ..... 종자틀
62 ..... 통과공
64 ..... 원주부분
65 ..... 측면판
65a ..... 중심공
66 ..... 연결홈
68 ..... 수납홈
10 ..... supply hopper
12 ..... supply pipe
14 ..... supporting member
14a ..... circumferential surface
14b.
14c ..... supply ball
14d ..... incision
20 ..... rotation whole
22 ..... Support plate
24 ..... Circumference
26 ..... guide member
40 ..... sowing hopper
41 ..... opening and closing projection
42 .... body
44 ..... cover
50 ..... fixing member
52 ..... Circumference
54 ..... protrusion
56 ..... side wall
60 ..... seed frame
62 ..... through ball
64 ..... circumferential part
65 ..... side plate
65a ..... center ball
66 ..... connection groove
68 ..... storage home

Claims (7)

지면과 접촉하여 주행에 따라서 회전하고, 원주면(24)에 개폐 가능한 다수의 파종호퍼(40)가 구비되고, 상기 원주면(24)을 지지하는 원판상의 지지판(22)을 구비하는 원통상의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파종호퍼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되며, 회전 방향 하류측에서 통과공과 연결되며 종자가 수납되는 수납홈(68)이 형성된 원주부분(64)과, 상기 원주부분(64)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65)을 구비하는 종자틀(60); 그리고
상기 종자틀(60) 및 회전체(20)를 지지하는 지지축(C)과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종자틀의 수납홈에서 통과공을 통하여 종자가 상기 파종호퍼로 배출될 수 있는 절개부(14d)을 구비하는 원판상의 원주면(14a)과, 상기 원주면 내측에 형성되고 종자가 공급되는 공급공(14c)을 구비하는 측면부(14b)를 구비하는 지지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절개부는 파종호퍼가 최저점에 가기 전에 형성되는 점파식 파종기.
And a plurality of seeding hoppers 4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as to rotate along the running direction and which has a cylindrical support plate 22 for suppor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4, A rotating body (2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eding hoppers and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at the downstream side in the rotating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68 in which the seeds are stored, 64), and a side plate (65)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64); And
A seed shaft 60 and a support shaft C for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20 and connected to the seed shaft 60. The seed shaft 60 is fixed to a support shaft C, And a support member 14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14a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ide surface 14b provided with a supply hole 14c through which seeds are fed, ;
Wherein the cut-out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before the seeding hopper reaches the lowest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회전체의 원주면에 지지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파종호퍼가 최저점에 도달한 위치 구간에서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되는 점파식 파종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pper comprises: a body support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rotating body; a cover rotatably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point spreading planter compri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커버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상단부(44b)와, 상기 커버 상단부와 연결되고 지지판(22)에 지지되는 레버기구, 상기 커버를 닫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기구를 탄성적으로 밀도록 지지판에 지지되는 스프링, 그리고 회전체가 회전하여 파종호퍼가 최저점에 도달할 때 상기 레버기구가 접촉하여 접촉하는 동안 상기 커버가 열리는 개폐용돌기로 구성되는 점파식 파종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pening /
A lever mechanism connected to the cover upper en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22, a spring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to elastically push the lever mechanism in a direction closing the cover, And an opening / closing protrusion for opening the cover while the lever mechanism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mechanism when the seeding hopper reaches the lowest poin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틀의 내측면에는 상기 통과공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홈(6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66)을 통과하면서 상기 종자틀의 수납홈에 끼워져 배출되지 않은 종자를 상기 통과공측으로 밀어내는 돌기부(54)를 원주면(52)에 구비하는 고정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기부(54)가 파종호퍼의 최저점 위치를 통과한 후 상기 수납홈을 지날 수 있는 위치에서, 종자틀의 내측면에 근접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점파식 파종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seed groove 66 is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ed frame to connect the through hole to the seed groove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eed fram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groove 66,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50) having a protruding portion (54)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52);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member so as to come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 mold at a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54) can pass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after passing through the lowest point position of the seeding hopp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호퍼의 내측면과 종자틀의 통과공 외측 사이에 설치되어 종자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통과공 측에 형성되는 입구가 파종호퍼 측에 설치되는 출구 보다 크게 성형되는 점파식 파종기.
The seeding hopper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provid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seeding hopper and an outer side of a through hole of the seed mold, the guide member having an inlet formed on the through- Wherein the outlet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le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le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공으로 종자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종자를 담고 있는 공급호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파식 파종기.
The sowing-type planter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supply pipe for supplying seed to the supply hole; and a supply hopp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ly pipe and containing a seed for supplying to the supply pip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원주면은, 파종호퍼가 내려오는 구간의 최고점과 상기 절개부 사이 구간을 형성하는 점파식 파종기.



5. The sowing type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ionary member forms a section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section where the seeding hopper descends and the cut section.



KR1020140085922A 2014-07-09 2014-07-09 Peanut seeder KR101655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22A KR101655517B1 (en) 2014-07-09 2014-07-09 Peanut see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22A KR101655517B1 (en) 2014-07-09 2014-07-09 Peanut see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828A true KR20160006828A (en) 2016-01-20
KR101655517B1 KR101655517B1 (en) 2016-09-08

Family

ID=5530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922A KR101655517B1 (en) 2014-07-09 2014-07-09 Peanut see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51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749A (en) * 2016-05-10 2017-11-20 한재헌 Peanut supply for seeding machine
CN110050534A (en) * 2019-04-12 2019-07-26 方国民 A kind of groundnut planter
CN110169237A (en) * 2019-07-05 2019-08-27 湖南人文科技学院 A kind of farming planter
KR20210120198A (en) * 2020-03-26 2021-10-07 강경순 Compaction roller assembly for planters with improved assembly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238B1 (en) 2020-07-16 2021-02-08 헌 호 임 Seeder for informing remaining amount of seeds and vinyl using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229Y1 (en) * 2000-03-30 2000-09-01 문동길 Spot auto seeder
KR100510954B1 (en) * 2003-05-13 2005-08-30 이창홍 Device for seeder
KR20080083435A (en) * 2007-03-12 2008-09-18 유지완 Seeder of a bundle of seeding and seeding body using a bundle of seeding
KR101315328B1 (en) * 2011-03-21 2013-10-11 문동길 Apparatus for pushing out seedsof a spot see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229Y1 (en) * 2000-03-30 2000-09-01 문동길 Spot auto seeder
KR100510954B1 (en) * 2003-05-13 2005-08-30 이창홍 Device for seeder
KR20080083435A (en) * 2007-03-12 2008-09-18 유지완 Seeder of a bundle of seeding and seeding body using a bundle of seeding
KR101315328B1 (en) * 2011-03-21 2013-10-11 문동길 Apparatus for pushing out seedsof a spot seed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749A (en) * 2016-05-10 2017-11-20 한재헌 Peanut supply for seeding machine
CN110050534A (en) * 2019-04-12 2019-07-26 方国民 A kind of groundnut planter
CN110169237A (en) * 2019-07-05 2019-08-27 湖南人文科技学院 A kind of farming planter
KR20210120198A (en) * 2020-03-26 2021-10-07 강경순 Compaction roller assembly for planters with improved assembl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517B1 (en)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517B1 (en) Peanut seeder
KR101746902B1 (en) Attachment assembly for tractor including peanut seeder
US4600122A (en) Seed meter disk for use with sunflower and other seeds of long, slender shape
RU2605748C2 (en) Seed dispenser dispensing element
KR20020014246A (en) garlic repositioning planting device
KR101689533B1 (en) Garlic planter
US20220015284A1 (en) Dual seed meter for planting crops and improving crop yields
KR101241767B1 (en) Adjusting quantity of sowed seeds and fertilizer apparatus in direct seeding machine
KR101883232B1 (en) Peanut supply for seeding machine
CN110447363A (en) A kind of vegetable seeds spreading gear
KR100510954B1 (en) Device for seeder
CN110876293B (en) Improved sowing tray
KR101611424B1 (en) A device for pushing out seeds of a spot seeder
KR101190183B1 (en) A direct spot-seeder
KR20160022063A (en) Selection and seed rice planter
BR102012002838A2 (en) SEED SELECTOR AND DRIVER SYSTEM FOR SEED DOSER DEVICE EMPLOYED IN FARMING EQUIPMENT
KR102482950B1 (en) Planting Device For Seed Fertilizer Soil Materials and Plan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04102U (en) Seeds and fertilizers supply for seeding machine
KR100459506B1 (en) A device for pushing out seeds of a spot seeder
KR200249492Y1 (en) Apparatus for falling erect of garlic seeder
KR200244221Y1 (en) Garlic planter
KR101315328B1 (en) Apparatus for pushing out seedsof a spot seeder
RU2202164C2 (en) Spool-type seeding unit for small-seeded crops, including amaranth
BR102014016872A2 (en) Fault Reducing and Multiple Elements in Apparatus Integrated Planting Lines Used in Fertilizer Sowing Machines
US1928908A (en) Seed pla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