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456A -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456A
KR20160006456A KR1020140086052A KR20140086052A KR20160006456A KR 20160006456 A KR20160006456 A KR 20160006456A KR 1020140086052 A KR1020140086052 A KR 1020140086052A KR 20140086052 A KR20140086052 A KR 20140086052A KR 20160006456 A KR20160006456 A KR 20160006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operating portion
mist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443B1 (ko
Inventor
김병욱
이장욱
이연택
Original Assignee
(주)폭스앤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폭스앤플래닛 filed Critical (주)폭스앤플래닛
Priority to KR1020140086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체 내에 내장된 미스트 발생기의 개방 및 작동을 제어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된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일체로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는 미용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부를 개방시키는 조작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미용기기의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상태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생체 전류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미용기기의 오작동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COSMETIC DEVICE}
본 발명은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 내에 내장된 미스트 발생기의 개방 및 작동을 제어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연령이나 환경, 계절 등에 영향을 받아 그 상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땀과 피지에 의한 자연방어 작용이 부족하여 화장품을 통해 피부에 영양분을 보충하거나 방어 작용을 도와야 한다.
예를 들어, 화장수는 산성이나 알칼리성, 또는 중성 피부에 사용되는 세 가지 계통으로 대별되며, 산성 화장수는 땀과 피지의 분비가 왕성한 젊은 피부에 사용되고 알칼리성 화장수는 노화가 시작되는 중년의 피부에 사용되어 피부의 부드러움과 탄력성, 윤택성을 유지하고, 중성 화장수는 정상적인 건강한 피부에 사용된다.
또한, 피부에 화장품을 바르는 방법으로는 일단 화장수를 손에 바르고, 손에 있는 화장수를 얼굴 등에 바름과 동시에 문질러 피부의 표면에 화장수를 침투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 피부 표면에 화장수를 침투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화장수를 가재 도구 등에 적신 뒤, 가재 도구 등을 피부 표면에 발라 화장수를 침투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이를 위해 미스트 발생기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미스트(mist)는 기체 속에 함유되는 미립자를 말하며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단히 작은 액체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0.1~100㎛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가스로부터 액체로의 응축에 의해서 또는 액체를 극소입자에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미스트의 발생기기는 내부에 저장된 용액을 세분화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기기로서, 사용자의 피부에 미용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미용기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미용용의 미스트 발생기기는 사용자의 피부를 향하여 미스트를 분무하며, 용액을 가열하여 따뜻한 미스트를 배출하거나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발생시킨 시원한 미스트를 배출한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형태의 화장수를 기체 형태로 바꿔 피부 표면에 분사시켜 줄 수 있는 미용을 위한 휴대용 미스트 발생기로서, 케이스(1), 상기 케이스(1)에 내장되면서 액체 형태의 화장수가 채워지는 화장수 탱크, 상기 화장수 탱크의 내측과 연결됨과 더불어 일단이 케이스 (1)바깥으로 노출되어 기체 형태로 변환된 화장수를 케이스 바깥 방향으로 내뿜는 분사 노즐(5), 상기 케이스 바깥면에 설치되어 케이스 바깥으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 수단(7) 및 상기 화장수 탱크에 채워진 액체 형태의 화장수를 진동하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기체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기체 형태로 변환된 화장수를 송풍 팬을 이용하여 분사 노즐 바깥으로 내보내는 화장수 기화 수단, 슬라이드 덮개(15) 및 화장수 탱크를 덮는 상부 덮개(16)로 구성된 미스트 발생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용액을 저장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용액을 공급받아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생성부,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용액과 상기 미스트생성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램프, 일단이 상기 자외선램프의 전방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미스트생성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 및 상기 미스트생성부의 일측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전달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용액과 상기 미스트생성부를 살균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하고 상기 용액이 변질되는 것과 상기 미스트생성부에서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미스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기능을 가지는 미스트 발생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9479호(2011.08.19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3326호(2013.06.14 공개)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미스트 발생장치의 오작동에 의해 미스트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미스트 발생장치를 핸드백 등에 보관하는 경우, 즉 미스트 발생장치의 조작 버튼이 핸드백 내의 물품과 접촉하여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핸드백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핸드백 내의 물품을 오염시키고, 미스트 용액 자체를 소진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감지하여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부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스트 발생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된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일체로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는 미용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부를 개방시키는 조작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미용기기의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상태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생체 전류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용기기는 미스트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미스트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미스트 발생부가 상기 본체에서 상승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발생부는 상기 본체에서 개방이 완료된 후 분무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를 상승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누름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는 제1 지지턱과 제2 지지턱이 마련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작동부의 상승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지지턱에 걸려 상기 가이드 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 걸림편, 상기 제2 지지턱에 걸려 상기 가이드 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 걸림편이 마련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걸림편은 상기 조작부의 누름에 의해 상기 제1 지지턱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는 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다수의 마찰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작동부의 개방시 상기 리브와 접촉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의 표면상에서 돌출되지 않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발생부에서 분무된 화장수의 유효 성분이 피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피부에 전위차를 인가하여 마사지하는 이온도입 마사지 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방법은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된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일체로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는 미용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조작부의 누름을 판단하는 단계, (b) 감지부에서 생체 전류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조작부의 누름과 상기 단계 (b)에서 생체 전류가 감지되면,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조작부의 누름 또는 상기 단계 (b)에서 생체 전류의 감지중의 어느 하나만 실행되면,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조작부의 누름에 의해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에서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미스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감지하여 작동부가 작동하므로, 미용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미용기기의 보관 장소에서 화장수 등에 의한 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미용기기의 작동부가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만 사용할 수 있어 미용기기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미스트 발생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일 예로서, 미스트 발생기의 작동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스트 발생기의 작동부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일 예로서, 미스트 발생기의 작동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미스트 발생기의 작동부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마찰 부재와 리브의 접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일 예로서, 미스트 발생기의 작동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100)의 작동 제어장치는 본체(110), 상기 본체(100) 내에 내장된 작동부(120), 상기 작동부(120)에 일체로 마련된 덮개(130)를 포함하는 미용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부(120)를 개방시키는 조작부(140),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고 상기 미용기기(100)의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150), 상기 작동부(120)를 상승시키는 탄성 부재(160),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 상태 및 상기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생체 전류에 따라 상기 작동부(12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원부(190)로서 배터리가 내장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10)에는 USB 케이블의 일단이 꽂혀지는 USB 커넥터 및 상기 USB 커넥터를 통해 전달된 전류를 배터리에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미용기기는 미스트 발생기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동부와 덮개가 마련된 미용기기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미스트 발생기는 덮개(130) 내부에 마련되어 액체 형태의 화장수가 채워지는 화장수 탱크, 상기 화장수 탱크의 내측과 연결됨과 더불어 일단이 본체에서 노출되어 기체 형태로 변환된 화장수를 본체 바깥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화장수 탱크에 채워진 액체 형태의 화장수를 진동하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기체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기체 형태로 변환된 화장수를 송풍팬을 이용하여 분사 노즐 바깥으로 내보내는 화장수 기화 수단을 구비한 미스트 발생부(18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작동부(120)와 미스트 발생부(180)를 분리하여 도시하였지만, 상기 작동부(120)는 미스트 발생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1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미스트 발생부(180)가 상기 본체(110)에서 상승하여 개방되는 구조를 채택한다.
상기 작동부(120)와 덮개(130)는 상기 본체(110)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110)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 부재(160)의 부가력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닫힌 상태에서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부(120)가 본체(110)에서 개방된다.
상기 조작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표면상에서 돌출되지 않게 장착된다. 즉 조작부(140)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직선상의 표면에서 안쪽으로 오목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조작부(140)를 오목하게 마련하므로, 예를 들어 미용기기(100)가 핸드백 내에 보관되는 경우, 핸드백 내의 다른 물품과의 접촉에 의해 조작부(140)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50)는 조작부(140)에 근접하여 마련된다. 즉 감지부(150)는 조작부 바로 아래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조작부(140)를 조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어 미세 전류가 흐르게 한다. 일반적으로 미세전류는 1000㎂ 미만의 전류를 말하고 인체 내에 40~60㎂에 해당하는 생체 전류가 인체 내부의 각 기관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흐르고 있다. 상기 감지부(150)는 이와 같은 생체 전류를 감지하고 전도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 부재(160)는 본체(130) 내에 내장되고, 상기 작동부(120) 및 덮개(130)를 본체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로 구성되고, 조작부(140)가 조작됨과 동시에 상기 감지부(150)에서 생체 전류가 감지된 경우, 작동부(120)를 일정 시간의 경과 후, 예를 들어 미스트 발생부(180)가 본체(110)에서 개방이 완료되는 2~3초 후, 미스트 발생부(180)를 작동시켜 화장수를 분무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 버튼 기능을 하는 조작부(140)과 - 버튼 기능을 하는 감지부(150)가 사용자의 생체 전류에 의해 통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화장수의 분무 기능을 실행하도록 작동부(120)의 기능을 제어한다. 따라서, 신체가 아닌 다른 물품에 의해 조작부(140)과 감지부(150)이 눌려져도 미스트 발생부(180)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100)에서는 상기 미스트 발생부(180)에서 분무된 화장수의 유효 성분이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되도록 피부에 전위차를 인가하여 마사지하는 이온도입 마사지 헤드부(20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이온도입 마사지 헤드부(200)는 화장액을 미세 입자로 분사 후 미용기기(100)의 상기 덮개(130)의 상부에 마련된 헤드 부분에 형성되고, 화장수의 유효 성분이 보다 깊숙히 피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이온도입(Iontophoresis) 기능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온도입 마사지 헤드부(200)는 직접 이온 도입을 실행할 수 있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상에 전도 가능한 백금, 로듐 등으로 도금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이온도입 기능은 상기 금속 또는 도금 물질에 전원부(190)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170)에서의 제어에 의해 일정시간 실행된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7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부의 주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스트 발생기의 작동부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일 예로서, 미스트 발생기의 작동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미스트 발생기의 작동부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마찰 부재와 리브의 접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 내에는 제1 지지턱(111)과 제2 지지턱(112) 및 리브(113)이 마련된다. 또, 상기 덮개(130)에는 상기 작동부(120)의 상승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32), 상기 제1 지지턱(111)에 걸려 상기 가이드 부재(132)를 고정시키는 제1 걸림편(131), 상기 제2 지지턱(112)에 걸려 상기 가이드 부재(132)를 고정시키는 제2 걸림편(133)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 부재(160)는 상기 가이드 부재(132) 내에 장착된다. 상기 제1 걸림편(131)은 상기 조작부(140)의 누름에 의해 상기 제1 지지턱(111)에서 이탈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턱(111), 제2 지지턱(112) 및 리브(113)는 본체 내에 고정되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32)는 덮개(130)와 일체로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본체(11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32)의 하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마찰 부재(134), 예를 들어 4개의 마찰 부재(134)가 마련된다. 상기 마찰 부재(134)는 상기 작동부(120)의 개방시 상기 리브(113)와 접촉하면서 상승하는 것에 의해 작동부(120)의 급상승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마찰 부재(134)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용기기(100)의 작동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3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40)를 누르면, 제어부(170)는 감지부(150)에서 생체 전류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
상기 단계 S10에서 조작부(140)가 눌려지면, 조작부(140)와 맞닿고 제1 지지턱(111)에 걸려있던 제1 걸림편(131)이 제1 지지턱(111)에서 이탈된다. 제1 걸림편(131)이 이탈되면, 가이드 부재(132) 내에서 눌려져 있던 탄성 부재(160)가 탄성력을 받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132)가 상부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부재(132)의 이동 시,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마련된 마찰 부재(134)는 리브(113)과 마찰을 일으켜 가이드 부재(132)의 상승을 서서히 진행시키므로, 가이드 부재(132)의 급상승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작동부(120)의 작동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스트 발생부(180)가 개방된다(S20).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단계 S20에서 작동부(120)이 개방 단계와 동시에 감지부(150)에서 생체 전류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
상기 단계 S30에서 생체 전류가 감지되지 않으면, 미용기기(100)의 오조작으로 판단하고 미스트 발생부(180)의 작동을 개시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0에서 생체 전류가 감지되면, 미용기기(100)의 조작으로 판단하고, 작동부(120)가 본체(110)에서 완전히 개방되는 일정 시간 후, 예를 들어 2~3초 후 미스트 발생부(180)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미스트 발생부(180)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10초 내지 1분 동안 화장수의 분무, 즉 미스트를 발생시킨다(S40).
다음에 상기 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 즉 분무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미스트 발생부(180)에서 미스트의 발생을 중지시킨다. 이와 같은 중지는 예를 들어 전원부(190)에서 미스트 발생기(18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이와 같은 설정 시간 및 분무 시간은 제어부(17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분무를 실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미용기기(100)를 사용하는 동안 감지부(150)에서 계속적으로 생체 전류가 감지되는 동안 실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동은 감지부(150)에서 생체 전류가 감지되지 않으면 즉시 중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미스트 발생부(180)의 작동을 개시한 후, 이온도입 마사지 헤드부(200)가 작동하여 화장수의 유효 성분이 보다 깊숙히 피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이온도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본체(110)를 향해 덮개(130) 부분을 누르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S60).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미용기기의 오작동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110 : 본체
120 : 작동부
130 : 덮개
140 : 조작부
150 : 감지부
160 : 탄성 부재
170 : 제어부
180 : 미스트 발생부

Claims (14)

  1.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된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일체로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는 미용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부를 개방시키는 조작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미용기기의 사용자의 생체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상태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생체 전류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기기는 미스트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미스트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미스트 발생부가 상기 본체에서 상승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발생부는 상기 본체에서 개방이 완료된 후 분무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를 상승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누름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는 제1 지지턱과 제2 지지턱이 마련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작동부의 상승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지지턱에 걸려 상기 가이드 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 걸림편, 상기 제2 지지턱에 걸려 상기 가이드 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 걸림편이 마련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걸림편은 상기 조작부의 누름에 의해 상기 제1 지지턱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는 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다수의 마찰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작동부의 개방시 상기 리브와 접촉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의 표면상에서 돌출되지 않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발생부에서 분무된 화장수의 유효 성분이 피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피부에 전위차를 인가하여 마사지하는 이온도입 마사지 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11.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된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일체로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는 미용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조작부의 누름을 판단하는 단계,
    (b) 감지부에서 생체 전류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조작부의 누름과 상기 단계 (b)에서 생체 전류가 감지되면,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조작부의 누름 또는 상기 단계 (b)에서 생체 전류의 감지중의 어느 하나만 실행되면,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조작부의 누름에 의해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에서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미스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방법.
KR1020140086052A 2014-07-09 2014-07-09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59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052A KR101594443B1 (ko) 2014-07-09 2014-07-09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052A KR101594443B1 (ko) 2014-07-09 2014-07-09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456A true KR20160006456A (ko) 2016-01-19
KR101594443B1 KR101594443B1 (ko) 2016-02-17

Family

ID=5530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052A KR101594443B1 (ko) 2014-07-09 2014-07-09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454A (ko) * 2020-06-18 2022-08-08 주식회사 아모센스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기기 및 피부 미용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925A (ja) * 1993-04-05 1994-10-11 Kanebo Ltd 携帯用スプレ―容器
JP2000102583A (ja) * 1998-09-29 2000-04-11 Japan Giyaruzu:Kk 超音波美容器及び高周波美容器
KR20020058662A (ko) * 2000-12-30 2002-07-12 윤종용 사용자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
KR101059479B1 (ko) 2011-02-11 2011-08-25 (주)한동알앤씨 미용을 위한 휴대용 미스트 발생기
KR20130063326A (ko) 2011-12-06 2013-06-14 (주)이오시안 자외선 살균기능을 가지는 미스트 발생장치
KR20140000362A (ko) * 2012-06-22 2014-01-03 김민숙 휴대용 자외선차단제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925A (ja) * 1993-04-05 1994-10-11 Kanebo Ltd 携帯用スプレ―容器
JP2000102583A (ja) * 1998-09-29 2000-04-11 Japan Giyaruzu:Kk 超音波美容器及び高周波美容器
KR20020058662A (ko) * 2000-12-30 2002-07-12 윤종용 사용자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
KR101059479B1 (ko) 2011-02-11 2011-08-25 (주)한동알앤씨 미용을 위한 휴대용 미스트 발생기
KR20130063326A (ko) 2011-12-06 2013-06-14 (주)이오시안 자외선 살균기능을 가지는 미스트 발생장치
KR20140000362A (ko) * 2012-06-22 2014-01-03 김민숙 휴대용 자외선차단제 분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454A (ko) * 2020-06-18 2022-08-08 주식회사 아모센스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기기 및 피부 미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443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1764B2 (en) Sonic applicator for skin formulations
KR101059479B1 (ko) 미용을 위한 휴대용 미스트 발생기
KR101747913B1 (ko) 휴대용 미용 수소살균수 미스트 기기
KR101997045B1 (ko) 살균이 가능한 피부 관리 미용 기기
CN107847027B (zh) 自动洗发机
KR102242828B1 (ko) 전류의 도움으로 사람의 케라틴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0473945Y1 (ko) 스팀 맛사지 장치
KR101649602B1 (ko) 휴대용 피지제거기
KR101594443B1 (ko)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47949B1 (ko) 마사지용 피부 미용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6735B1 (ko) 피부 미용 장치
JP2007196013A (ja) 美容機器
KR101634903B1 (ko) 얼굴 마사지장치
KR102092793B1 (ko) 플라즈마 미용기기
KR102280745B1 (ko) 하이브리드 피부 마사지 장치
JP2005296193A (ja) 美容機器
KR102220549B1 (ko) 피부 미용기기
KR20140000362A (ko) 휴대용 자외선차단제 분사장치
WO2019077638A1 (en) DEVICE FOR NEBULATING A LIQUID, PARTICULARLY ACTIVE INGREDIENTS, FOR THE CARE AND / OR PROTECTION OF THE SKIN
KR101213344B1 (ko) 비접촉식 자동화 이온 피부미용기기
RU27112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кератиновых тканей человека
KR200472283Y1 (ko) 발열체를 갖는 액상 립스틱
KR200460885Y1 (ko)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KR101891952B1 (ko) 안면 화장품 흡수용 보조기기
JP6837383B2 (ja) 気体放出部材及び気体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