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8662A - 사용자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8662A
KR20020058662A KR1020000086789A KR20000086789A KR20020058662A KR 20020058662 A KR20020058662 A KR 20020058662A KR 1020000086789 A KR1020000086789 A KR 1020000086789A KR 20000086789 A KR20000086789 A KR 20000086789A KR 20020058662 A KR20020058662 A KR 20020058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switch
contact
button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조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8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8662A/ko
Publication of KR20020058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6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폴더(folder)형 핸드폰, 폴더형 노트북 등과 같이 덮개(cover)를 가지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 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 개방 장치는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판정 신호를 발생하는 판별부; 상기 판정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가 모두 온되었을 경우에 동작하여 폴더의 덮개를 개방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 개방 장치는 인체 감지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조그마한 충격 혹은 눌림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폴더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사용자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 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Apparatus for opening of folder using composite-type button which has sensor for detecting minute current of user and terminal}
본 발명은 폴더(folder)형 핸드폰, 폴더형 노트북 등과 같이 덮개(cover)를 가지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 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 폴더 PCS(Auto Folder PCS; 이하 AFP라 함)의 폴더 자동 열림 버튼은 일반적인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ch)로 구성되어 있어서 외부의 조그마한 충격이나 눌림에도 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폴더의 덮개가 열리게 되어 쓸데 없이 전력이 소모되거나 기기가 오작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APS의 외관을 보이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 10은 덮개이고, 20은 회로 기판을 내장하고 각종의 작동 버튼들이 설치되는 본체이며, 22는 버튼이고, 24는 덮개(10)를 개방시키기 위한 내장 모터이다. 덮개(10)는 축연결부(미도시) 및 회동부(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며 회동부내에 내장된 내장 모터(24)에 의해 개폐된다. 덮개(10)의 개방은 버튼(22)에 의해 수행되고, 덮개(10)의 닫힘은 종료 버튼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사용자가 버튼(22)을 누르면 내장 모터(24)를 기동시키는 내부의 푸시 버튼 스위치(미도시)가 온되고, 이에 따라 내장 모터(24)가 동작하여 덮개(10)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APS에 사용된 버튼(22)은 일반적인 푸시 버튼 스위치로서 사용자에 의한 눌림뿐만 아니라 외부의 조그마한 충격 혹은 눌림에 의해서도 동작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덮개(10)가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인체의 접촉 및 눌림을 감지하여 폴더를 개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APS의 외관을 보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S의 외관을 보이는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 덮개를 열기위한 회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PS의 외관을 보이는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치에서 덮개를 열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 개방 장치는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판정 신호를 발생하는 판별부;
상기 판정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가 모두 온되었을 경우 폴더를 개방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상기 제2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폴더 개방 장치는
인체에 접촉하여 인체 전압을 유입하기 위한 제1접점;
상기 제1접점에 인가되는 인체 전압이 소정의 제1기준 전압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제1판정 신호를 발생하는 제1판별부;
상기 제1판정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가 모두 온되었을 경우 폴더를 개방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점은 상기 제2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에 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더 개방 장치는 인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인에이블 상태가 된 이후에 버튼의 눌림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폴더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S의 외관을 보이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차이점은 버튼(26)에 있다. 이 버튼(26)은 인체 감지 센서(26a)를 내장한다. 이 인체 감지 센서(26a)는 인체에 흐르는 미세 전류를 감지한다. 이러한 인체 감지 센서(26a)는 엘리베이터의 층 지정 버튼 등에 상용화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주로 손)가 버튼(26)에 접촉되고 또한 눌림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만 내장 모터(24)가 동작하여 덮개(10)를 열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 덮개(10)를 열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참조부호 26a는 도 2에 도시된 인체 감지 센서이고, 30은 판별부이고, 32는 제1스위치이며, 34는 도 2에 도시된 버튼(26)의 눌림에 의해 동작하는 푸시 버튼형의 제2스위치이다.
인체 감지 센서(26a)에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접촉되면 인체에 흐르는 미세전류에 의해 그의 출력(통상 전압)이 변동한다. 판별부(30)는 인체 감지 센서(26a)의 출력을 감시하여 인체 접촉 여부에 상응하는 판정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판별부(30)는 인체 감지 센서(26a)의 출력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이진 판정 신호룰 출력하는 비교기에 의해 구현된다.
제1스위치(32)는 판별부(30)의 판정 신호에 의해 온/오프된다.
제2스위치(34)는 버튼(26)에 작용하는 눌림에 의해 온된다.
도 3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버튼(26)에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접촉되면 인체 감지 센서(26a), 판별부(30)의 동작에 의해 제1스위치(32)가 온되고, 눌림 작용에 의해 제2스위치(34)가 온된다. 즉, 버튼(26)에의 인체 접촉 및 눌림의 논리적 앤드 상태가 발생하면 내장 모터(24)가 동작하여 덮개(10)가 개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의도되지 않는 경우의 덮개 열림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PS의 외관을 보이는 것이다. 도 4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장치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차이점은 접점(36)의 구성에 있다. 도 4에 도시된 장치의 버튼(36)은 두 개의 접점을 내장한다. 이 두개의 접점은 인체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접점들(36a, 36b)들은 버튼(36)을 누르는 손에 접촉될 수 있도록 버튼(36)을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면에 접하여 노출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접점(36a, 36b)들은 서로가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사람에 따라서 다르지만 약 2.5V 내지 6.5V정도의 인체 전압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장치는 두 개의 접점(36a, 36b)사이에 2.5V 내지 6.5V의 전압이 인가되고(즉,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접촉되고) 또한, 버튼(36)에 눌림이 작용할 경우에만 내장 모터(24)가 동작하여 덮개(10)가 열린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치에서 덮개를 열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참조부호 36a 및 36b는 도 4에 도시된 접점들이고, 50은 제1접점(36a)에 6.5V이하의 전압이 인가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판별부이고, 52는 제2접점(36b)에 2.5V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2판별부이고, 54는 제1판별부(50) 및 제2판별부(52)의 판별 결과를 논리적 앤드 연산하는 앤드 게이트이고, 56은 앤드게이트(54)의 출력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1스위치이고 58은 버튼(36)의 눌림 작용에 의해 온되는 푸시 버튼형의 제2스위치이다.
버튼(36)에 사용자의 신체부위(주로 손)가 접촉되면 제1접점(36a) 및 제2접점(36b)통하여 사용자의 인체 전압이 각각 제1판별부(50) 및 제2판별부(52)에 전달된다.
제1판별부(50)는 그에 인가되는 전압이 통계적 인체 전압 분포의 상한인 6.5V이하인 경우에 하이 레벨의 제1판정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2판별부(52)는 그에 인가되는 전압이 통계적 인체 전압 분포의 하한인 2.5V이상인 경우에 하이 레벨의 제2판정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1판별부(50)는 그에 인가되는 전압과 제1기준전압(6.5V)를 비교하는 비교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제2판별부(52)는 그에 인가되는 전압과 제2기준 전압(2.5V)를 비교하는 비교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여기서, 제1기준 전압과 제2기준 전압은 설계자의 설정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제1기준 전압과 제2기준 전압이 인체 전압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제1접점(36a)과 제1판별부(50) 혹은 제2접점(36b)과 제2판별부(52)만으로도 충분히 동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접점(36a)에 인가되는 전압이 6.5V이하이면 제1스위치(56)가 온되게 하는 구성만으로 본원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제2접점(36b)에 인가되는 전압이 2.5V이상이면 제1스위치(56)가 온되게 하는 구성만으로도 본원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인체 전압 이외의 다른 전압이 접점(36a, 36b)에 인가될 확률이 극히 적다는 이유에 근거한다.
제1판별부(50) 및 제2판별부(52)에 의해 하이 레벨의 판정 신호들이 출력되면 즉,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버튼(36)에 접촉되면 앤드게이트(54)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되고, 이에 따라 제1스위치(56)이 온된다.
제2스위치(58)는 버튼(36)의 눌림에 의해 온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버튼(36)에 접촉되면 제1스위치(56)이 온되고, 눌림에 의해 제2스위치(58)이 온되는 경우에만 내장 모터(24)가 동작하여 덮개(10)가 열리게 되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상태에서 덮개(10)가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원 발명의 폴더 개방 장치에 있어서 인체 감지 센서는 보호 및 장식을 위하여 도전성 고무, 도전성 섬유, 도체 등으로 장식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폴더 개방 장치에 있어서 인체 정전기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회로가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오동작 방지회로는 반도체 집적회로에 적용된 정전기 방지 장치 등을 근거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내장 모터에 의한 덮개의 개폐를 위한 기계적인 구조는 본원 발명의 주제와 거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특별히 개시하지 않지만 이는 모터에 의한 개폐 장치에 종사하는 자라면 자명한 것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 개방 장치는 인체 감지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조그마한 충격 혹은 눌림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폴더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판정 신호를 발생하는 판별부;
    상기 판정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가 모두 온되었을 경우 폴더를 개방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인체에 흐르는 미세 전류를 감지하는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개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상기 제2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개방 장치.
  4. 인체에 접촉하여 인체 전압을 유입하기 위한 제1접점;
    상기 제1접점에 인가되는 인체 전압이 소정의 제1기준 전압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제1판정 신호를 발생하는 제1판별부;
    상기 제1판정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가 모두 온되었을 경우 폴더를 개방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개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은 상기 제2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개방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 전압은 통계적 인체 전압 분포의 상한에 상응하는 6.5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개방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인체에 접촉되어 인체 전압을 유입하기 위한 제2접점;
    상기 제2접점에 인가되는 인체 전압이 소정의 제2기준 전압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제2판정 신호를 발생하는 제2판별부; 및
    상기 제1판정 신호 및 제2판정 신호를 논리적 앤드 연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앤드 게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개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은 상기 제1접점과 같이 상기 제2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개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과 상기 제2접점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면에 접하여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개방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 전압은 통계적인 인체 전압 분포의 하한에 상응하는 2.5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개방 장치.
KR1020000086789A 2000-12-30 2000-12-30 사용자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 KR20020058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789A KR20020058662A (ko) 2000-12-30 2000-12-30 사용자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789A KR20020058662A (ko) 2000-12-30 2000-12-30 사용자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662A true KR20020058662A (ko) 2002-07-12

Family

ID=2768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789A KR20020058662A (ko) 2000-12-30 2000-12-30 사용자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86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473B1 (ko) * 2006-08-22 2008-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전화기의 오동작 방지 스위치
KR101238068B1 (ko) * 2012-10-11 2013-02-27 이호연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20160006456A (ko) * 2014-07-09 2016-01-19 (주)폭스앤플래닛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473B1 (ko) * 2006-08-22 2008-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전화기의 오동작 방지 스위치
KR101238068B1 (ko) * 2012-10-11 2013-02-27 이호연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WO2014058198A1 (ko) * 2012-10-11 2014-04-17 Lee Ho Yeon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20160006456A (ko) * 2014-07-09 2016-01-19 (주)폭스앤플래닛 미용기기의 작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8786B1 (en) Activation of a keyboard lock for a telephone apparatus
US6424844B1 (en) Portable telephone
EP1387373A3 (en) Push-button switch, and operating device and teaching pendant comprising the same
KR20090069959A (ko) 회전형 입력 장치
EP1235193A3 (en) Multiuse on/off switch for hazard detector
US69012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to a mobile phone
KR20020058662A (ko) 사용자 미세 전류 감지 센서 및 접점 통합형 버튼을사용한 폴더 개방 장치
US6342738B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dual hardware/software power switch
KR10061757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오동작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397830B1 (ko) 전원 제어 장치
KR10063162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키 독립 백라이트 장치 및 방법
US20010039193A1 (en)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cover of a cellular phone
KR1003656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효한 키눌림 자동 검출 회로 및 방법
US7178725B2 (en) Method for visualizing the input and display components of terminal equipment and corresponding terminal equipment
KR20160043552A (ko) 박형 버튼
KR20050076472A (ko) 터치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키
KR20036497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회로
KR20010028528A (ko) 휴대용 통신기의 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드 자동 전환 방법
CN217630308U (zh) 清洗便座系统
JPH1010529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アナログ・スイッチの待機状態および起動状態間で切替を行うシステム
JPH03258628A (ja) 電子機器
KR20090018377A (ko) 키 패드 버튼 구조
KR200700082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1009007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JP2007115440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