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454A -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454A
KR20160006454A KR1020140086050A KR20140086050A KR20160006454A KR 20160006454 A KR20160006454 A KR 20160006454A KR 1020140086050 A KR1020140086050 A KR 1020140086050A KR 20140086050 A KR20140086050 A KR 20140086050A KR 20160006454 A KR20160006454 A KR 2016000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laundry
water
inner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009B1 (ko
Inventor
김인동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009B1/ko
Priority to US14/553,806 priority patent/US9840801B2/en
Priority to CN201510082852.4A priority patent/CN105274773B/zh
Priority to EP15168172.3A priority patent/EP2966211B1/en
Publication of KR2016000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065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 등에서 내조가 회전할 때에 세탁 보조 장치를 통과한 세탁수가 세탁물에 타격을 가하며, 이러한 타격에 의해 세탁물에 대한 세탁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LAUNDRY MACHINE AND LAUNDRY METHOD}
본 발명은 세탁력을 향상시키는 세탁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 장치 및 그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 장치는 주로 전동기를 주동력으로 하며,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묻어 있는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과 헹굼, 탈수의 과정을 진행한다. 구성요소로는 동력장치인 전동기와 세탁물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계부, 세탁 과정을 조정하는 제어부, 그리고 물을 넣고 빼는 급수장치와 배수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세탁 방식에 따라 세탁 장치는 교반식(agitator type), 와권식(pulsator type), 드럼식(drum type)으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치솟은 날개 모양의 교반기를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을 하는 방식이고, 와권식은 원판 모양의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생긴 물살로 세탁을 하는 방식이며, 드럼식은 여러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드럼의 안쪽에 세탁물, 세탁수 및 세제를 넣고 수평축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이 리프터에 의해 들어 올려진 후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이용하여 세탁을 한다.
한편, 세탁 장치는 세탁물을 깨끗하게 세탁하기 위한 것이기에 세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항상 지속되고 있다.
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출원인은 터브와 드럼 사이의 세탁 잔수를 드럼 내부로 순환시키는 잔수 순환 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14121호(2006년 11월 0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드럼 세탁기의 잔수 순환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드럼세탁기의 잔수 순환장치는 드럼이 회전할 때에 터브와 드럼 사이에 있던 세탁 잔수를 퍼 올려서 드럼 안으로 떨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드럼세탁기의 잔수 순환장치는 세탁 잔수의 자유낙하에 의한 수충격을 세탁물에 가하여 세탁력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자유낙하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세탁력의 향상 효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14121호, 2006년 11월 06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을 위해 동력장치인 전동기가 회전할 때에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한 세탁수의 유속에 의해 세탁물이 타격을 받도록 하는 세탁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 장치 및 그 세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탁수가 담수될 수 있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내조; 상기 내조에 설치가 되는 세탁 보조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세탁 보조 장치는, 상기 내조의 회전 시에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내조의 회전 시에 회전력에 의해 상기 외조 쪽의 상기 세탁수가 유입 후에 상기 내조의 내측으로 유출되어 상기 내조에 수납된 세탁물이 상기 세탁수의 유속에 의해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수로가 형성된 세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탁 보조 장치는, 상기 수로가 형성된 지지부; 상기 내조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지지를 받으며, 상기 내조의 회전 시에 상기 내조에 수납된 세탁물이 걸려서 들어 올려진 후 떨어질 수 있는 돌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로는, 외조 쪽에 있는 유입구보다 내조 내측에 있는 유출구의 내경이 더 좁고, 외조 쪽에서 내조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출구에는, 상기 세탁수를 내조 내측으로 분출하는 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원형 노즐, 부채형 노즐 또는 다공 노즐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조가 회전되는 단계; 상기 내조의 회전에 따라 세탁 보조 장치가 외조 쪽의 세탁수와 접촉되는 단계; 상기 세탁수가 상기 세탁 보조 장치에 형성된 수로를 통과하여 내조의 내측으로 유출되는 단계; 세탁물이 유출된 상기 세탁수와 접촉하여 세탁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을 위해 동력장치인 전동기가 회전할 때에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한 세탁수의 유속에 의해 세탁물이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는다.
따라서, 세탁력의 향상 효과가 극대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 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상면도로서, 원형 노즐이 채용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상면도로서, 부채형 노즐이 채용된 예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상면도로서, 다공 노즐이 채용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상면도로서, 외조에 담수된 세탁수가 수로에 유입된 후에 내조 내측으로 분출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보조 장치가 포함된 세탁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 본 개략도로서, 외조에 담수된 세탁수가 세탁 보조 장치의 수로에 유입된 후에 내조 내측으로 분출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보조 장치가 포함된 세탁 장치에 의한 세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 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세탁부(120), 세탁물에 대한 세탁력을 향상시키는 세탁 보조 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세탁부(120)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세탁부(120)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상기 캐비닛(110)은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사용자가 세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등이 구비되는 조작부(도시 생략됨)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탁부(120)는 상기 캐비닛(110) 내측에 배치되며,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모터에 의해 회전 동작될 수 있도록 설치된 내조(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내조(121)를 지지하며, 세탁수가 담수될 수 있는 외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탁 장치(100)가 드럼 방식의 세탁기라 한다면 내조(121)는 드럼이라 칭할 수 있으며, 외주(122)는 터브라고 칭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조(121)는 상기 캐비닛(110)이 배치되는 지면과 나란한 방향(이하 '수평 방향'이라 한다)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내조(121)는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개방된 일측면은 도어(도시 생략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조(121)에는 상기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는 세탁공간(124)이 제공된다.
상기 내조(121)를 지지하는 외조(122)의 상부는 상기 캐비닛(110)에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30)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외조(122)의 하부는 고정부재(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상기 내조(121)의 회동으로 인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댐퍼일 수 있다.
상기 세탁 보조 장치(200)는 상기 내조(121)의 회전 시에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내조(12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210)에 결합되어 지지를 받으며, 상기 내조(121)의 회전 시에 상기 내조(121)의 세탁공간(124)에 수납된 세탁물이 걸려서 들어 올려진 후 떨어질 수 있는 돌출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공간(124)에 수납된 세탁물이 걸려서 들어 올려지도록 지지부(210)가 충분히 높게 형성된 경우라면 돌출부(220)가 제외된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상면도로서, 원형 노즐이 채용된 예이다. 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상면도로서, 부채형 노즐이 채용된 예이다. 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 포함된 세탁 보조 장치의 상면도로서, 다공 노즐이 채용된 예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탁 보조 장치(200)의 상기 지지부(210)에는 상기 내조(121)의 회전 시에 회전력에 의해 상기 외조(122) 쪽의 세탁수가 유입 후에 상기 내조(121)의 내측으로 유출되어 상기 돌출부(220)에 걸린 세탁물이 세탁수의 유속에 의해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수로(2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수로(211)는 상기 지지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목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것이기에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수로(211)는 상기 외조(122) 쪽에 있는 유입구보다 상기 내조(121) 내측에 있는 유출구의 내경이 더 좁고, 상기 외조(122) 쪽에서 상기 내조(121)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내조 (121) 내측 부근의 유출구에는 세탁수를 상기 내조(122) 내측으로 분출하는 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즐은 원형 노즐(212) 또는 부채형 노즐(213) 등과 다양한 노즐 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또,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 중에 상기 내조(121)는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반복하기에 상기 지지부(210)에는 상기 내조(121)가 정방향 회전할 때에 세탁수가 유입 후에 분출되는 정방향 수로와 상기 내조(121)가 역방향 회전할 때에 세탁수가 유입 후에 분출되는 역방향 수로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보조 장치가 포함된 세탁 장치에 의한 세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은, 내조가 회전되는 단계(S5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조의 회전에 따라 세탁 보조 장치가 외조 쪽의 세탁수와 접촉되는 단계(S503)를 더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세탁수가 상기 세탁 보조 장치에 형성된 수로를 통과하여 내조의 내측으로 유출되는 단계(S505)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세탁물이 유출된 상기 세탁수와 접촉하여 세탁되는 단계(S507)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에 진입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상기 외조(122)에 담수되며,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모터에 의해 상기 내조(121)가 회전 동작된다(S501).
이때, 상기 세탁공간(124)에 투입되어 있던 세탁물은 상기 내조(121)의 회전 시에 상기 세탁 보조 장치(200)의 상기 돌출부(220)에 걸려서 들어 올려진 후에 아래로 떨어지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게 된다. 즉, 상기 돌출부(220)는 드럼 방식의 세탁기에서 작용하는 리프터와 유사한 기능을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상기 내조(121)가 회전되면 상기 세탁 보조 장치(200)가 상기 외조(122) 쪽의 세탁수와 접촉되며(S503), 상기 세탁 보조 장치(200)의 상기 지지부(210)에 형성된 수로(211)에는 상기 내조(121)의 회전력에 따른 작용/반작용에 의해 상기 외조(122) 쪽의 세탁수가 유입 후에 상기 내조(121)의 내측으로 통과하여 유출된다(S505). 즉, 상기 내조(121)의 내측에 있는 원형 노즐(212)이나 부채형 노즐(213) 또는 다공 노즐(214)를 통해 세탁수가 분출되며, 상기 돌출부(220)에 걸린 세탁물이 세탁수의 유속에 의해 접촉 및 타격을 받아서 세탁된다(S507). 예컨대, 상기 원형 노즐(212)은 세탁물의 특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타격할 수 있으며, 상기 부채형 노즐(213)은 세탁물의 넓은 부위를 타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로(211)는 상기 외조(122) 쪽에 있는 유입구보다 상기 내조(121) 내측에 있는 유출구의 내경이 더 좁고, 상기 외조(122) 쪽에서 상기 내조(121)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로(211)를 통과하는 세탁수는 유입구 쪽에서 유출구 쪽으로 갈수록 유속이 증가되며, 상기 원형 노즐(212)이나 상기 부채형 노즐(213) 또는 상기 다공 노즐(214)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더욱 증가되어 상기 돌출부(220)에 걸린 세탁물에게 충분한 타격을 가하게 된다.
예컨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조(1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탁 보조 장치(200)가 화살표(301)의 방향으로 진행되면 상기 지지부(210)에 형성된 상기 수로(211)에는 화살표(302)의 방향으로 세탁수가 유입되어 원형 노즐(212)를 통해 화살표(303)의 방향으로 분출된다. 도 6에서도 상기 수로(211)는 상기 지지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목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것이기에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또,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조(121)가 화살표(401)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지지부(210)에 형성된 상기 수로(211)에는 화살표(402)의 방향으로 세탁수(403)가 유입되어 상기 내조(121) 내측으로 화살표(405)의 방향으로 분출되며, 상기 돌출부(220)에 걸쳐 있는 세탁물(406)이 세탁수(403)의 유속에 의해 타격을 받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 등에서 상기 내조(121)가 회전할 때에 상기 세탁 보조 장치(200)를 통과한 세탁수가 돌출부(220)에 걸쳐 있는 세탁물에 타격을 가하며, 이러한 타격에 의해 세탁물에 대한 세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 세탁 장치 110 : 캐비닛
120 : 세탁부 121 : 내조
122 : 외조 124 : 세탁공간
130 : 탄성부재 140 : 고정부재
200 : 세탁 보조 장치 210 : 지지부
220 : 돌출부 211 : 수로
212 : 원형 노즐 213 : 부채형 노즐
214 : 다공 노즐

Claims (6)

  1. a) 세탁수가 담수될 수 있는 외조;
    b)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내조;
    c) 상기 내조에 설치된 세탁 보조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세탁 보조 장치는,
    상기 내조의 회전 시에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내조의 회전 시에 회전력에 의해 상기 외조 쪽의 상기 세탁수가 유입 후에 상기 내조의 내측으로 유출되어 상기 내조에 수납된 세탁물이 상기 세탁수의 유속에 의해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수로가 형성된 세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보조 장치는,
    상기 수로가 형성된 지지부;
    상기 내조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지지를 받으며, 상기 내조의 회전 시에 상기 내조에 수납된 세탁물이 걸려서 들어 올려진 후 떨어질 수 있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세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외조 쪽에 있는 유입구보다 내조 내측에 있는 유출구의 내경이 더 좁고, 외조 쪽에서 내조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 세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에는, 상기 세탁수를 내조 내측으로 분출하는 노즐이 형성된 세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원형 노즐, 부채형 노즐 또는 다공 노즐 중에서 어느 하나인 세탁 장치.
  6. 내조가 회전되는 단계;
    상기 내조의 회전에 따라 세탁 보조 장치가 외조 쪽의 세탁수와 접촉되는 단계;
    상기 세탁수가 상기 세탁 보조 장치에 형성된 수로를 통과하여 내조의 내측으로 유출되는 단계;
    세탁물이 유출된 상기 세탁수와 접촉하여 세탁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 방법.
KR1020140086050A 2014-07-09 2014-07-09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 KR101623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050A KR101623009B1 (ko) 2014-07-09 2014-07-09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
US14/553,806 US9840801B2 (en) 2014-07-09 2014-11-25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CN201510082852.4A CN105274773B (zh) 2014-07-09 2015-02-15 洗衣机及其洗涤方法
EP15168172.3A EP2966211B1 (en) 2014-07-09 2015-05-19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050A KR101623009B1 (ko) 2014-07-09 2014-07-09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454A true KR20160006454A (ko) 2016-01-19
KR101623009B1 KR101623009B1 (ko) 2016-05-20

Family

ID=5318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050A KR101623009B1 (ko) 2014-07-09 2014-07-09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0801B2 (ko)
EP (1) EP2966211B1 (ko)
KR (1) KR101623009B1 (ko)
CN (1) CN1052747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2931S1 (en) * 2014-10-10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board for wash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121A (ko) 2005-04-27 2006-11-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잔수 순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126A (en) * 1913-05-19 1914-09-22 John W Bercaw Laundry-washing machine.
US3715898A (en) * 1971-04-13 1973-02-13 Ato Inc Washing machine
US4971449A (en) 1989-12-19 1990-11-20 American Laundry Machinery Inc. Drum type agitating and mixing machine
US5509283A (en) 1993-12-14 1996-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washer having water recirculation system
KR100313643B1 (ko) 1998-02-18 2001-12-28 윤종용 회전세탁조를가진세탁기
DE19925917A1 (de) * 1999-06-07 2000-12-1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on vorn beschickbare Waschmaschine mit einer drehbaren Wäschetrommel
JP2001070694A (ja) * 1999-08-18 2001-03-21 Lg Electronics Inc 洗濯機
EP1386995A4 (en) * 2001-04-05 2005-12-07 Sanyo Electric Co ELECTRIC WASHING MACHINE
KR100403029B1 (ko) * 2001-09-28 200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0451747B1 (ko) * 2002-09-25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리프트
KR100500887B1 (ko) * 2003-08-13 2005-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및 그 방법
EP1529866A1 (en) * 2003-11-10 2005-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um type washing machine
DE602006013402D1 (de) * 2006-02-02 2010-05-20 Electrolux Home Prod Corp Mitnehmer einer Trommel einer Wäschewaschmaschine
KR101049140B1 (ko) 2009-01-23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EP2519672A1 (en) 2009-12-31 2012-11-07 Arç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wherein the unbalanced load is balanc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121A (ko) 2005-04-27 2006-11-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잔수 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009B1 (ko) 2016-05-20
US20160010262A1 (en) 2016-01-14
EP2966211A1 (en) 2016-01-13
CN105274773A (zh) 2016-01-27
EP2966211B1 (en) 2018-02-28
US9840801B2 (en) 2017-12-12
CN105274773B (zh)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868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688160B1 (ko) 프론트 로딩 타입 드럼 세탁기
US877629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11332869B2 (en) Clothes-processing apparatus
CN101348993A (zh) 洗衣机
KR101623009B1 (ko)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
KR20160123598A (ko) 세탁기
KR101696898B1 (ko)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
US2322559A (en) Laundry apparatus
KR20180015872A (ko) 세탁기
KR101461391B1 (ko) 공기발생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1146271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KR20110009923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방법
CN207512429U (zh) 波轮洗衣机
KR101010692B1 (ko) 드럼 세탁기
KR20100007356A (ko) 의류처리장치
JP2013085798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715768B1 (ko) 세탁장치 및 방법
JP7213406B2 (ja) 洗濯機
KR20100110716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504527B1 (ko) 세탁효율을 증대시킨 드럼세탁기
KR20160126547A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JP2024040597A (ja) 洗濯機
KR102442967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50086202A (ko) 드럼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