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413A - 소독기 - Google Patents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413A
KR20160006413A KR1020140085912A KR20140085912A KR20160006413A KR 20160006413 A KR20160006413 A KR 20160006413A KR 1020140085912 A KR1020140085912 A KR 1020140085912A KR 20140085912 A KR20140085912 A KR 20140085912A KR 20160006413 A KR20160006413 A KR 20160006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ntainer
liquid
unit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702B1 (ko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김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주 filed Critical 김남주
Priority to KR1020140085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0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5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소독기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독기는 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소독액 또는 세정액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대상물을 가열하는 히팅발열부, 상기 용기에 배치되며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액체에 침지되는 상기 대상물을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부 및 상기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히팅발열부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접속부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를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외부의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상기 초음파 세척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상기 초음파 세척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Description

소독기{sterilizer}
본 명세서는 대체로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행주, 수건, 식기, 수저, 틀리 등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세탁물, 생활용품 등을 살균 또는 소독하는 과정에서 발열체, 초음파 진동 등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세척, 살균, 소독 등이 가능한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행주, 수건, 수저, 식기, 수세미, 틀리 등의 생활용품은 철저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세균의 온상이 되기 쉽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생활용품을 간단히 세척한 다음 물이 묻어 있는 상태로 싱크대나 테이블 등에 방치를 하고, 일주일에 한두 번 정도는 끓는 물에 삶아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행위는 무척이나 번거롭고 매번 사용할 때마다 살균 또는 소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행주, 수건, 식기, 수저, 틀리 등과 같은 가정용 생활용품 또는 위생용품을 쉽고 간편하게 소독할 수 있는 소독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기 또는 소독기의 예가 공개특허 KR 2003-0041356 ‘초음파를 이용한 좌욕기’, 공개특허 KR 2002-0028423 ‘소방용구 세척기’, 공개특허 KR 2002-0013351 ‘의료기기 살균 세정장치’ 등에서 제안된 바 있다. 인용발명들은 초음파진동을 주된 요소로 하여 인체, 소방용구, 의료기기 등을 세척한다는 점에서 본 명세서의 수저 및 행주 소독기의 초음파 세척부와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들과 같이 초음파 진동만을 이용할 경우 수저, 행주 등과 같은 가정용 위생용품을 효과적으로 세탁 또는 소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열을 이용한 세척기 또는 소독기의 예가 등록특허 KR 1071833 ‘식기 세척기의 히터 세척장치’, 공개특허 KR 2010-0060343 ‘식기 세척기용 히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등에서 제안된 바 있다. 인용발명들은 히터 장치를 사용하여 세탁액을 가열하여 식기 등의 세탁물을 세척한다는 점에서 본 명세서의 소독기의 히팅발열부와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들과 같이 히터 장치만을 이용할 경우 행주, 수건, 수저, 식기, 틀리 등과 같은 가정용 생활용품 또는 위생용품을 효과적으로 소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 점에서 인용발명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히팅발열부(예로서, 열판 플레이트)를 이용한 삶는 기능과 초음파 세척부의 초음파 발진효과를 이용한 소독 효과 및 자외선을 이용한 멸균까지 할 수 있는 본 명세서의 소독기와는 차이가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소독기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소독기는 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소독액 또는 세정액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대상물을 가열하는 히팅발열부, 상기 용기에 배치되며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액체에 침지되는 상기 대상물을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부 및 상기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히팅발열부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접속부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를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외부의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상기 초음파 세척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상기 초음파 세척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에 적용되는 용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에 적용되는 본체와 용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에 거치대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에 적용되는 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또는 “접하여”라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접하여”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하는” 또는 “전달받아”라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직접 전달받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전달하는” 또는 “직접 전달받아”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110, 120, 130,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의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소독기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구성요소들을 구성하는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에 적용되는 용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사시도이며, (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에 적용되는 본체와 용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에 거치대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거치대가 적용된 소독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거치대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에 적용되는 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독기(100, 200)는 본체(110, 110a) 및 용기(120,120a)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소독기(100, 2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적어도 하나의 광원램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소독기(100, 200)는 선택적으로 온도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소독기(100, 200)는 선택적으로 무게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소독기(100, 200)는 선택적으로 거치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 110a)는 용기(120,120a)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10, 10a)을 포함한다. 일례로, 도 1, 도 3 및 도 4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용기(120,120a)를 감싸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a)는 용기(120,120a)를 감싸며, 일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용기(120,120a)는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본체(110a)의 공간(10a)에 안착될 수 있다. 본체(110a)는 용기(120,120a)를 안착하는 과정에서 본체(110a)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것 이외에는 본체(110)의 형상 및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일례로, 본체(110a)는 용기(120,120a)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본체(110a)를 포함하는 소독기(20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본체(110)를 포함하는 소독기(100)와 실질적으로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상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본체(110)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100, 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소독기(100)로부터 소독기(200)의 구조 및 기능을 충분히 유추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100, 200)를 소독기(100)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본체(110)는 본체(110)에 배치되며, 용기(120,120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10)는 중앙처리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10)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접속부(111)는 용기(120,120a)의 연결부(128)와 연결되며, 본체(110)는 중앙처리부(112)를 통하여 용기(120,120a)의 히팅발열부(124) 또는 초음파 세척부(12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부(111)와 연결부(128)의 연결은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물리적인 연결은 접속부(111) 및 연결부(128)에 포함되는 전극들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이뤄질 수 있다. 접속부(111) 및 연결부(128)는 각각 나선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패턴(예로서 코일,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연결은 접속부(111)의 전극패턴 및 연결부(128)의 전극패턴 간의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접속부(111)와 연결부(128)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중앙처리부(112)는 히팅발열부(124), 초음파 세척부(126)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히팅발열부(124), 초음파 세척부(126)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중앙처리부(112)는 외부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접속부(111)를 통하여 히팅발열부(124), 초음파 세척부(126)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접속부(111)를 통하여 히팅발열부(124), 초음파 세척부(126)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통하여 본체(110)는 액체(20)가 수용되는 용기(120,120a)의 수용부(122)에 배치되는 대상물을 가열하거나,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은 예로서 행주, 수건, 식기, 수저, 틀리 등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세탁물, 생활용품 등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가열 또는 세척을 할 수 있는 한 상기 대상물에는 그 제한이 없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접속부(111)를 통하여 히팅발열부(124) 및 초음파 세척부(126)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외부의 입력 명령은 조절부(119)를 통해 소독기(100, 2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조절부(119)는 예로서 뚜껑(116)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절부(119)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표시창(미도시)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한 조절부(119)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오버플로우(overflow) 수용부(113, 113a), 범람액 배출부(114), 범람액 배출구(115), 뚜껑(116), 습기배출구(117a, 117b)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수용부(113, 113a)는 공간(10)과 이격되어 본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수용부(113, 113a)는 용기(120,120a)의 수용부(122)에 액체(20)를 수용하는 과정, 액체(20)가 수용된 용기(120,120a)를 공간(10)에 안착하는 과정, 히팅발열부(124)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을 가열하는 과정, 초음파 세척부(126)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을 세척하는 과정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에서 액체(20) 중에서 용기(120,120a)를 벗어나 넘치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이하 액체(20) 중에서 용기(120,120a)를 벗어나 넘치는 부분을 범람액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100, 200)는 오버플로우 수용부(113, 113a)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을 가열하거나,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범람액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상기 범람액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는 오버플로우 수용부(113, 113a)로서 용기(120,120a)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오버플로우 수용부(113)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수용부(113, 113a)는 용기(120,120a)의 테두리의 일부분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오버플로우 수용부(113a)일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범람액을 수용할 수 있는 한 오버플로우 수용부(113, 113a)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오버플로우 수용부(113, 113a)에 수용된 상기 범람액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오버플로우 수용부(113, 113a)에 대한 설명은 오버플로우 수용부(113)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오버플로우 수용부(113)로부터 오버플로우 수용부(113a)의 구조 및 기능을 충분히 유추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오버플로우 수용부(113, 113a)를 오버플로우 수용부(113)로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체(110)는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범람액 배출부(114) 및 오버플로우 수용부(113)에 수용된 상기 범람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범람액 배출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범람액 배출부(114)는 범람액 배출구(115)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범람액을 수용할 수 있다. 범람액 배출부(114)에 수용된 상기 범람액은 범람액 배출부(114)를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범람액을 범람액 배출부(114)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 범람액 배출구(115)는 오버플로우 수용부(113)와 외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의 폭 또는 높이는 제한이 없다. 이 경우, 범람액 배출부(114)는 범람액 배출구(115)가 배출하는 상기 범람액을 수용할 수 있는 한 그 모양에는 제한이 없다. 범람액 배출부(114)는 다양한 방식으로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범람액 배출부(114)는 범람액 배출구(115)에 인접하여 본체(11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 결합부(미도시)와의 끼움 결합을 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범람액 배출부(114)는 범람액 배출구(115)에 인접하여 본체(110)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함몰 결합부(미도시)와의 끼움 결합을 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범람액 배출부(114)의 표면에는 본체(110)의 외측면의 상기 함몰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한 예시 이외에 범람액 배출부(114)를 범람액 배출구(115)에 인접하여 본체(110) 결합할 수 있는 한 그 방법 및 구조에는 제한이 없다.
뚜껑(116)은 공간(10)에 안착되는 용기(120,120a)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뚜껑(116)은 뚜껑본체(116a) 및 회동부(116b)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116)의 일단은 본체(110)의 측벽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동부(116b)는 용기(120,120a)를 본체(110)의 안착면(118)에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뚜껑(116)이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뚜껑(116)의 회동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자동으로 뚜껑(116)이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회동부(116b)의 내부에는 전기모터(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초기 상태에서 소독기(100)의 뚜껑(116)은 열려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면(118)에 용기(120,120a)가 안착되면, 중앙처리부(112)는 무게센서(150)를 통하여 용기(120,120a)의 안착여부를 인지하고, 회동부(116b)의 상기 전기모터를 동작하여 뚜껑(116)을 닫고 작동 준비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습기배출구(117a, 117b)는 상기 대상물이 히팅발열부(124)에 의하여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습기배출구(117a, 117b)는 뚜껑(116)의 소정의 위치, 본체(110)의 측벽 상부의 소정의 위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뚜껑(116) 및 본체(110)의 측벽 상부에 각각 배치된 습기배출구(117a) 및 습기배출구(117b)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뚜껑(116)에만 습기배출구(117a)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체(110)의 상기 측벽 상부에만 습기배출구(117b)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습기배출구(117a, 117b)는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되는 차단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습기배출구(117a, 117b)의 동작은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습기배출구(117a, 117b)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 명령은 조절부(119)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절부(119)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습기배출구(117a, 117b)에는 발광부(미도시) 및 압전소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습기배출구(117a, 117b)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증기에 의하여 발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발광부의 발광으로부터 고온의 상기 증기의 배출여부를 인식할 수 있어 화상 등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레이저, 형광등, UV램프, 발광다이오드(LED)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발광부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는 기계적인 변형에 의하여 전하의 분극 현상을 일으키거나, 반대로 전기장의 변화에 의하여 기계적인 변형이 생기는 전자부품을 말한다. 상기 압전소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전소자는 외력에 의하여 반복적인 기계적인 변형을 겪는 구조물 상에 압전물질(piezoelectric material)을 배치하고, 상기 압전물질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배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예로서 빔 또는 캔틸레버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 상에 배치된 상기 압전물질은 상기 구조물이 변형됨에 따라 인장과 압축을 경험하게 된다. 상기 구조물에 주기적인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상기 압전물질은 반복적인 인장과 압축을 경험하게 된다. 반복적인 인장과 압축을 통해 상기 압전물질은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해 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압전현상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해 낼 수 있는 한 상기 압전소자의 종류, 유형 등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압전소자의 기능을 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 상기 압전소자로서 습기배출구(117a, 117b)에 캔틸레버(미도시) 타입의 압전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캔틸레버 타입의 상기 압전소자는 일면에 제1전극, 타면에 제2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발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압전소자가 생성하는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광할 수 있다. 습기배출구(117a, 117b)를 통하여 상기 증기가 유입되면 상기 압전소자는 진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압전소자는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가 생성한 상기 전기에너지는 상기 발광부에 전달되어 상기 발광부는 발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증기의 발생을 상기 발광부가 발광하는 빛으로 인식할 수 있어 상기 증기의 발생여부 확인 뿐만 아니라 화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안착면(118)에는 용기(120,120a)가 안착된다. 안착면(118)에는 무게센서(150)가 배치될 수 있다. 무게센서(150)의 기능은 아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안착면(118)은 안착면(118)에 안착되어 접하는 용기(120,120a)의 표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체(110)는 저장부(미도시), 송신부(미도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가 본체(110)를 사용한 시간, 사용횟수, 사용날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본체(110)를 사용한 시간, 사용횟수, 사용날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는 본체(110)의 기준 사용 시간, 기준 사용횟수, 기준 사용날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체(110)의 기준 사용 시간, 기준 사용횟수, 기준 사용날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 사용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본체(110)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미리 입력된 상기 기준 사용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정보가 상기 기준 사용정보와 불일치할 경우 상기 송신부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로 음성신호 또는 문자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의하여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는 본체(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기기(미도시)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된 번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는 본체(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기기(미도시)가 최근에 자주 연락한 전화번호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된 번호일 수 있다.
상기 송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문자신호에는 사용자가 본체(110)를 사용한 상기 시간, 상기 사용횟수, 상기 사용날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전화번호의 소유자는 본체(110)의 사용자의 본체(110) 사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현대 사회는 독거 노인, 1인 가구 등이 증가하는 상황에 있으며, 이들에게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가족, 지인이나 관계 기관 등이 이를 신속히 인지하지 못하여 불행한 상황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와 상기 송신부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분리형 소독기(100)는 사용자의 상기 사용정보를 미리 저장된 상기 전화번호로 송신하여 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소독기(100)는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상황을 지인 등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송신부를 통한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문자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유선을 통한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문자신호의 송신은 일반 가정에 설치된 전화선을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송신은 소독기(100)와 연결된 모뎀을 통하여 유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을 통한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문자신호의 송신은 일반 가정에 설치된 WIFI 망, 전화국 기지국, 이동통신사 중계기, AP(access point)망 등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송신부를 통하여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문자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한 그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용기(120,120a)는 수용부(122), 히팅발열부(124), 초음파 세척부(126) 및 연결부(128)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120,120a)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요소로서 용기(120,120a) 외부에 배치되는 손잡이, 외부 케이스 및 이들의 조합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상기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용기(120,120a)로부터 배제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수용부(122)는 소독액 또는 세정액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20)를 수용할 수 있다. 액체(20)는 예로서 세정액, 소독액, 소독액이 용해된 물 또는 세정액이 용해된 물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세정액, 소독액, 소독액이 용해된 물 또는 세정액이 용해된 물을 소독액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소독액(20)은 대상물(미도시)의 소독 대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소독액(20)에 함유되는 성분은 예로서 페놀, 크레졸, 염화제2수은, 에탄올, 포르말린, 포름알데히드,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산화칼슘, 염소, 요오드 등일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소독대상물의 소독 대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별되어 소독액(2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상기 대상물을 소독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성분이 필요에 따라 소독액(20)에 포함될 수 있다.
히팅발열부(124)는 용기(120,120a)에 배치되며, 수용부(122)에 배치되는 상기 대상물을 가열한다. 상기 대상물은 히팅발열부(124)에 의하여 가열되는 액체(20)에 의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은 용기(12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대상물이 액체(20)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게 하는 거치대(160)를 통하여 히팅발열부(124)에 의하여 가열되는 액체(20)의 증기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용기(120a)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대상물은 액체(20)에 침지된 상태로 히팅발열부(124)에 의하여 가열되는 액체(20)로부터 직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액체(20)에 침지되며, 액체(20)에 침지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히팅발열부(124)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히팅발열부(124)의 동작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111) 및 연결부(118)를 통하여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히팅발열부(124)의 동작은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히팅발열부(124)는 전기배선(128a, 128c)을 통하여 전달된 중앙처리부(112)의 동작명령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팅발열부(124)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 명령은 조절부(119)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절부(119)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20)는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물은 가열되는 액체(20)에 의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히팅발열부(124)의 발열 온도를 조절하면 액체(20)는 끓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을 삶을 수도 있다.
히팅발열부(1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24a) 및 열판 플레이트(124b)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124a)는 중앙처리부(112)를 통하여 제어되어 열을 발생할 수 있다. 발열체(124a)는 열판 플레이트(124b)의 표면, 내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열판 플레이트(124b)는 발열체(124a)가 생성하는 열을 전달받아 액체(20)를 가열할 수 있다. 즉, 열판 플레이트(124b)는 발열체(124a)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액체(20)를 가열할 수 있다. 일례로, 발열체(124a)는 열판 플레이트(124b)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발열체(124a)로서 열판 플레이트(124b)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 발열체(124a)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발열체(124a)는 열판 플레이트(124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발열체(124a)는 열판 플레이트(124b)의 내부 및 표면에 동시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액체(20)를 가열할 수 있는 한 발열체(124a)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발열체(124a)로서 다양한 종류의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발열체(124a)는 예로서 전기저항 방식의 발열체일 수 있다. 또한, 발열체(124a)는 예로서 선형발열체, 면상발열체 등일 수 있다.
초음파 세척부(126)는 용기(120,120a)에 배치되며,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액체(20)에 침지되는 상기 대상물을 세척한다. 즉, 액체(20)에 침지되는 상기 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초음파 세척부(126)에 의하여 세척될 수 있다. 초음파 세척부(126)의 동작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111) 및 연결부(118)를 통하여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초음파 세척부(126)의 동작은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초음파 세척부(126)는 전기배선(128b)을 통하여 전달된 중앙처리부(112)의 동작명령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초음파 세척부(126)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 명령은 조절부(119)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절부(119)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20)는 초음파로 진동할 수 있으며, 액체(20)에 침지되는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세척될 수 있다.
초음파 세척부(12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자(126a) 및 초음파 진동판(126b)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26a)는 중앙처리부(112)를 통하여 제어되어 초음파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판(126b)은 초음파 진동자(126a)와 연결되어 초음파 진동자(126a)가 생성하는 상기 초음파 진동을 액체(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20)는 초음파로 진동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26a)는 초음파 진동판(126b)의 표면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초음파 진동자(126a)로서 초음파 진동판(126b)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 초음파 진동자(126a)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초음파 진동자(126a)는 액체(20)을 진동할 수 있는 한 초음파 진동자(126a)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초음파 진동자(126a)로서 다양한 종류의 진동자가 사용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26a)는 예로서 압전형 진동자, 자왜 진동자, 전자 유도형 진동자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동자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압전형 진동자는 압전 소자의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말한다. 자왜 진동자는 강자성체에 자장을 가하면 자계 방향에 왜곡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진동자를 말한다. 전자 유도형 진동자는 자기장 내에 놓여 있는 전자가 받는 힘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하는 진동자를 말한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초음파 세척부(126)가 액체(20)을 진동시켜 미소 기포를 생성하는 한 초음파 진동자의 선택에는 그 제한이 없다.
액체(20)가 초음파 진동할 경우 액체(20) 내에는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에 의하여 미세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캐비테이션 현상이란 초음파 에너지가 용액 내에서 전파될 때 압력에 의해 미세 기포가 생성이 되고 소멸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큰 압력과 고온이 동반될 수도 있다. 이때 발생한 미세 기포를 이용하면 상기 대상물 표면에 있는 세균 등의 유해물질, 노폐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면에는 소독기(100)로서 하나의 초음파 세척부(126)를 포함하는 소독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소독기(100)는 복수의 초음파 세척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초음파 세척부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초음파 진동자들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초음파 진동자들 각각은 하나의 초음파 진동판을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초음파 세척부(126)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을 이용하여 액체(20)에 침지된 상기 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은 시간 간격을 두고 발생할 수도 있고,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은 서로 연이어서 발생할 수도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초음파 진동 주파수를 조절하여 상기 대상물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약 1MHz 미만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캐비테이션 효과로 발생하는 미세기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물의 표면 속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약 1MHz 이상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캐비테이션 효과로 발생하는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표면 속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동시에 발생하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들을 상기 대상물 표면과 표면 속에 있는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도 있다. 즉, 단주파가 아닌 복합 파형의 동시 다주파수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표면과 표면 속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약 1MHz 미만의 초음파와 약 1MHz 이상의 초음파를 동시에 사용하여 상기 대상물 표면과 표면 속에 있는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서로 연이어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들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표면과 표면 속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먼저 약 1MHz 미만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물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어서 약 1MHz 이상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물 표면 속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참고로 초음파의 주파수가 약 3MHz 일 때 사람의 피부를 기준으로 진동에너지는 피부 표면 약 1.5cm정도 전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초음파 세척부(126)의 상기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상기 대상물 표면 및 표면 속의 이물질 오염상황에 맞는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약 1Mhz는 서로 다른 초음파 주파수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초음파 세척부(126)가 약 1Mhz를 기준으로 그 동작범위가 제한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히팅발열부(124)와 초음파 세척부(126)는 외부의 입력 명령 또는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되어, 히팅발열부(124)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가열 및 초음파 세척부(126)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세척이 동시에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간 간격을 조절하면 상기 대상물은 초음파 세척부(126)에 의하여 세척된 후 히팅발열부(124)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액체(20)에 침지될 수 있다. 액체(20)에 침지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초음파 세척부(126)에 의하여 세척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대상물은 액체(20)와 서로 이격되어 거치대(160)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히팅발열부(124)는 액체(20)를 가열할 수 있다. 거치대(160)에 배치되는 상기 대상물은 히팅발열부(124)에 의하여 가열되는 액체(20)의 증기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액체(20)에 침지된 상태로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히팅발열부(124)와 초음파 세척부(126)에 의하여 동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가열 및 세척될 수도 있다.
히팅발열부(124)와 초음파 세척부(126)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히팅발열부(124)와 초음파 세척부(126)는 열판 플레이트(124b)와 초음파 진동판(126b)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열판 플레이트(124b)와 초음파 진동판(126b)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히팅발열부(124)와 초음파 세척부(126)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발열체(124a)와 상기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초음파 진동자(126a)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26a)가 생성하는 초음파 진동의 진행방향에 발열체(124a)가 배치될 경우 발열체(124a)는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손상될 염려가 있을 수 있다. 초음파 진동에 의한 발열체(124a)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열체(124a)는 초음파 진동자(126a)와 소정의 간격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에 배치할 수 있다. 열판 플레이트(124b) 및 초음파 진동판(126b)을 상기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현을 하면, 액체(20)를 가열하는 과정과 액체(20)를 진동시키는 과정을 상기 하나의 플레이트로 제공할 수 있어 소독기(100)의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구성요소를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 측면이나 제품의 사이즈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는 히팅발열부(124)와 초음파 세척부(126)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용기(12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용기(120)로서 용기 본체(121) 내부에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124b, 126b)를 공유하는 발열체(124b) 및 초음파 진동자(126a)를 포함하는 용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용기(120)는 용기 본체(121),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124b, 126b), 발열체(124a) 및 초음파 진동자(126a)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21)는 함몰부를 가지고,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액체(20)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일 플레이트(124b, 126b)는 용기 본체(121)의 내부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발열체(124a)는 단일 플레이트(124b, 126b)의 표면, 내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26a)는 단일 플레이트(124b, 126b)와 용기 본체(121)의 상기 내부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20)가 수용되는 용기(120)의 수용부(122)는 용기 본체(121)의 상기 함몰부 및 단일 플레이트(124b, 126b)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일 플레이트(124b, 126b)의 측면은 용기 본체(121)의 내면과 접하여 수용부(122)에 수용되는 액체(20)와 초음파 진동자(126a)가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초음파 진동자(126a)는 액체(20)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발열체(124a) 및 초음파 진동자(126a)는 용기 본체(121) 하부에 배치되는 연결부(128)를 통한 접속부(111)와의 연결을 통하여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20a)로서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124b, 126b), 발열체(124a), 초음파 진동자(126a) 및 케이스(129)를 포함하는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129)는 단일 플레이트(124b, 126b)의 타면에 접하며,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단일 플레이트(124b, 126b)는 단일 플레이트(124b, 126b)의 일면에서 단일 플레이트(124b, 126b)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가지게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122)는 상기 함몰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에는 액체(20)가 수용될 수 있다. 연결부(128)는 케이스(129)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10)의 접속부(111)와의 연결을 통하여 발열체(124b) 및 초음파 진동자(126b)를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126a)는 단일 플레이트(124b, 126b)의 상기 타면에 접하며, 케이스(129)와 이격되게 케이스(129)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수용부(122)에 수용되는 액체(20)와 초음파 진동자(126a)가 서로 접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초음파 진동자(126a)는 액체(20)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발열체(124a) 및 초음파 진동자(126a)는 케이스(129) 하부에 배치되는 연결부(128)를 통한 접속부(111)와의 연결을 통하여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램프(130)는 본체(110)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물에 소정의 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원램프(130)는 상기 대상물에 소정의 파장범위의 상기 광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에 잔존하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소정의 파장범위의 상기 광은 자외선, 적외선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파장범위의 상기 광은 공기와 반응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파장의 광일 수 있다. 즉, 소독기(100)는 광원램프(130)를 통하여 용기(120,120a) 내에 배치된 상기 대상물을 멸균하거나 건조, 살균할 수 있다. 도면에는 뚜껑본체(116a) 하부에 용기(120,120a)에 대향되게 배치된 광원램프(13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광원램프(130)의 위치, 용기(120,120a)에 공급되는 액체(20)의 수위를 조절하면 광원램프(130)는 액체(20) 또는 액체(20)에 침지되는 상기 대상물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액체(20)의 수위 조절을 통하여 광원램프(130)는 상기 대상물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대상물을 살균 또는 건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물에 의해 광원램프(13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후 광원램프(130)를 세척하지 않아도 된다. 액체(20)의 상기 수위 조절은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되거나,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대상물에 상기 소정의 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에 잔존하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한 광원램프(130)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광원램프(130)의 동작은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중앙처리부(1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원램프(130)의 동작은 사용자의 외부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 명령은 조절부(119)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절부(119)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광원램프(130)로서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활용될 수 있다. 광원램프(130)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레이저, 형광등, UV램프, 발광다이오드(LED)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램프(130)는 서로 다른 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광원들 중 어느 한 광원은 상기 대상물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약 240nm 내지 약 30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은 상기 대상물이나 상기 대상물 주위의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들 중 다른 어느 한 광원은 상기 대상물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에 조사되는 적외선은 상기 대상물을 말리는 열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들 중 또 다른 어느 한 광원은 공기와 반응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파장의 빛을 방사할 수 있다. 약 150nm 내지 약 20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광원은 공기 중의 산소 분자의 외각 전자를 여기시켜 산소 분자로부터 오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오존은 상기 대상물을 살균하거나 상기 대상물 주위의 공기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들 중 상기 어느 한 광원과 상기 다른 어느 한 광원, 상기 또 다른 어느 한 광원은 동시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대상물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 중 자외선을 조사하는 상기 어느 한 광원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 중 적외선을 조사하는 상기 다른 어느 한 광원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공기와 반응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상기 또 다른 어느 한 광원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상기 어느 한 광원과 적외선을 조사하는 상기 다른 어느 한 광원을 동시에 사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살균과 건조를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상기 어느 한 광원과 적외선을 조사하는 상기 다른 어느 한 광원, 공기와 반응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상기 또 다른 어느 한 광원을 동시에 사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살균과 건조를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에 소정의 파장범위의 상기 광을 조사하는 광원램프(13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발광색은 사용되는 소자를 만드는 재료 및 재료의 조성에 따라서 다르며 자외선 영역에서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까지 발광하는 것을 제조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의 광원은 파장선폭(wavelength bandwidth)이 좁아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방출하는데 효과적이다. 발광다이오드 광원의 물리적인 특징으로는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며, 부피가 작아 공간 활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광원램프(130)를 포함하는 소독기(100)는 히팅발열부(124) 및 초음파 세척부(126)를 통한 상기 대상물의 가열 및 세척 이외에 상기 대상물을 멸균하거나 건조시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광원램프(130)로서 서로 다른 파장범위를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들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들 각각의 파장범위를 소정의 값으로 조절하거나 선택하면 상기 대상물을 멸균하거나 건조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광원램프(130)가 상기 대상물에 소정의 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에 잔존하는 세균을 제거하거나 건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한 광원램프(130)의 광원의 선택에는 그 제한이 없다.
온도센서(140)는 본체(110)에 배치되며, 본체(110)의 공간(10)에 안착된 용기(120,120a)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용기(120,120a)의 상기 온도를 중앙처리부(112)로 제공한다. 이 경우, 중앙처리부(112)는 온도센서(140)가 측정한 용기(120,120a)의 상기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을 경우 히팅발열부(124)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중앙처리부(112)는 온도센서(140)가 측정한 용기(120,120a)의 상기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을 경우 히팅발열부(124)가 동작하도록 하여 용기(120)의 상기 온도를 상기 기준 온도에 맞출 수 있다. 온도센서(140)는 예로서 열전도체를 이용한 온도측정기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상기 용액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한 사용할 수 있는 온도측정기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다. 온도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용기(120,120a)의 온도는 온도센서(140) 자체에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도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용기(120,120a)의 온도는 중앙처리부(112)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처리부(112)는 온도센서(140)의 온도를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 용기(120,120a)의 온도를 인지 한 후 상기 대상물의 가열, 세척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일례로, 초음파 세척부(126)를 사용할 경우 용기(120,120a) 또는 용기(120,120a) 내의 액체(20)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되거나, 온도센서(140)에 직접 표시되는 용기(120)의 온도를 보고 적정 온도 수준으로 용기(120,120a)의 온도가 떨어질 때까지 초음파 세척부(126)의 사용을 중지할 수 있다.
무게센서(150)는 본체(110)에 배치되며, 용기(120,120a)의 무게를 감지한다. 일례로, 무게센서(150)는 용기(120,120a)가 안착되는 안착면(118)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무게센서(150)는 접속부(111) 및 온도센서(14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무게센서(150)로서 안착면(118)의 일부분에 배치된 무게센서(15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용기(120,120a)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한, 무게센서(150)의 형상 또는 배치에는 그 제한이 없다. 무게센서(150)는 예로서 다이아프레임(diaphragm) 방식의 센서, 정전용량(capacitance) 방식의 센서, 로드셀(load cell) 방식의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용기(120,120a)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한 무게센서(150)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다.
무게센서(150)를 통하여 감지된 용기(120,120a)의 상기 무게는 중앙처리부(112)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처리부(112)는 무게센서(150)가 측정한 용기(120,120a)의 상기 무게가 제1기준 무게보다 클 경우 사용자에게 동작준비를 알릴 수 있다. 다르게는, 중앙처리부(112)는 무게센서(150)가 측정한 용기(120,120a)의 상기 무게가 제2기준 무게보다 작을 경우 히팅발열부(124)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기준 무게는 용기(120,120a) 만의 무게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앙처리부(112)에는 용기(120,120a)의 무게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용기(120,120a)에 상기 대상물이 배치될 경우 용기(120,120a)의 무게는 상기 기준 무게보다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중앙처리부(122)는 상기 대상물이 준비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동작준비를 알릴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동작준비통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에 상기 준비통지는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기준 무게는 화재의 위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100)에 배치되는 용기(120,120a)의 무게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앙처리부(112)에는 화재의 위험 없이 사용 가능한 액체(20) 및 상기 대상물을 포함한 용기(120,120a)의 무게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100)를 사용하는 중에 다른 일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발열부(124)의 동작에 의하여 액체(20)는 증발될 수 있으며, 액체(20)의 양이 줄어들면 히팅발열부(124)의 동작에 의하여 소독기(100)는 과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처리부(112)는 용기(120,120a)의 무게를 상기 제2기준 무게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히팅발열부(124)의 동작을 차단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경고는 음향이나 시각적인 방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에 상기 경구는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하 하나의 예시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100)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의 내용은 소독기(100)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하기의 내용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님을 아울러 밝혀둔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체(110)의 뚜껑(116)을 위의 방향으로 열고, 용기(120)를 본체(110)의 공간(10)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용기(120)에 액체(20)와 대상물(미도시)을 함께 넣은 후 본체(110)의 뚜껑(116)을 닫게 된다. 그런 다음, 본체(110)의 뚜껑(116)에 있는 조절부(119) 또는 별도로 배치된 전원스위치(미도시)를 켜면 외부전원(미도시)이 소독기의 본체(110)로 공급 된다. 이때 일차적으로 본체(110)에 배치된 무게센서(150)가 용기(120)의 무게를 감지하여 중앙처리부(112)에 전달하게 된다. 중앙처리부(112)에서는 용기(120)의 무게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 무게보다 가벼울 경우에는 본체(110)의 표시창(미도시)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태를 인지시킨다. 이 경우 소독기는 작동되지 않는다. 용기(120)의 무게가 중앙처리부(112)에 입력되어 있는 무게보다 더 무거울 경우에는 상기 표시창에 작동이 준비되었음을 표시하게 되고 사용자는 소독기의 작동이 준비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용기(120)는 본체(110)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일례로, 용기(120)를 본체(110)에 부착시 용기(120)의 연결부(128)는 본체(110)의 접속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절부(119)에 명령을 내리면 조절부(119)와 연결된 중앙처리부(112)에서는 명령을 인지하여 프로그래밍 된 프로그램에 따라 소독기는 작동할 수 있다. 일례로, 작동 순서는 먼저 중앙처리부(112)의 제어에 따라 발열체(124a)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게 되어 용기(120)를 가열한다. 용기(120)가 가열됨에 따라 용기(120) 안의 액체(20)도 가열되어 상기 대상물을 가열하여 살균하게 된다. 이때의 가열온도는 일례로 저온살균에 적당한 온도일 수 있다. 저온살균에 적당한 온도는 예로서 약 65℃ 내지 약 75℃의 범위일 수 있다. 이 온도 범위는 기준 온도로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본체(110)에 위치한 온도센서(140)는 용기(1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연결되어 있는 중앙처리부(112)에 전달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112)는 온도를 인지하여 조절부(119)에서 사용자가 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임의적으로 프로그래밍 된 온도에 맞게 전원을 발열체(124a)에 공급하고 기준 온도보다 상승하였을 경우에는 발열체(124a)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설정된 온도보다 내려 가면 다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용기(120)의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중앙처리부(112)의 명령에 따라 발열체(124a)에 인가되는 전원은 공급과 차단을 반복하게 되므로 용기(120)의 액체(20)의 온도는 일정 온도 또는 기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 및 소독을 원할 경우에 사용자자 조절부(119)의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명령을 내리면 중앙처리부(112)는 인지된 명령을 초음파 세척부(126)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 세척부(126)의 초음파 진동자(126a)는 중앙처리부(112)의 명령에 따라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여 초음파 진동에 의한 케비테이션(cavitation) 효과로부터 액체(20) 내부에는 미세 기포가 생성된다. 미세 기포를 통하여 용기(120)에 수용된 액체(20)에 침지된 상기 대상물의 표면 또는 표면 속에 있는 이물질,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조절부(119)에 있는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본체(110)에 배치된 광원램프(130)에 전원을 인가하면 광원램프(130)에서는 적외선, 자외선 등을 방출하여 용기(120)의 수용부(122)에 배치되는 상기 대상물에 대한 멸균, 건조 등을 하게 된다. 이 경우, 광원램프(130)는 뚜껑본체(116a)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에 소정의 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에 잔존하는 세균을 제거하거나 상기 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본 명세서의 소독기(100)는 히팅발열부(124)를 이용한 삶는 기능과 초음파 세척부(126)의 초음파 발진효과를 이용한 소독 효과 및 광원램프(130)를 이용한 멸균, 건조까지 할 수 있다. 열판 플레이트(124b) 및 초음파 진동판(126b)을 상기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현하여 히팅발열부(124) 및 초음파 세척부(126)를 일체형으로 구현할 경우 액체(20)를 가열하는 과정과 액체(20)를 진동시키는 과정을 상기 하나의 플레이트로 제공할 수 있어 소독기(100)의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구성요소를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 측면이나 제품의 사이즈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100)는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범람액 배출부(114) 및 오버플로우 수용부(113)에 수용된 상기 범람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범람액 배출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을 가열하거나,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범람액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상기 범람액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독기(100)는 습기배출구(117a, 117b)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이 히팅발열부(124)에 의하여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Claims (14)

  1. 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소독액 또는 세정액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대상물을 가열하는 히팅발열부;
    상기 용기에 배치되며,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액체에 침지되는 상기 대상물을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부; 및
    상기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히팅발열부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접속부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를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외부의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상기 초음파 세척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상기 초음파 세척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히팅발열부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소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간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오버플로우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버플로우 수용부는 상기 용기의 상기 수용부에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과정, 상기 액체가 수용된 상기 용기를 상기 공간에 안착하는 과정, 상기 히팅발열부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을 가열하는 과정, 상기 초음파 세척부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을 세척하는 과정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에서 상기 액체 중에서 상기 용기를 벗어나 넘치는 부분-이하 범람액이라 함-을 수용하는 소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범람액 배출부; 및
    상기 오버플로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범람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범람액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범람액 배출부는 상기 범람액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범람액을 수용하고, 상기 범람액 배출부에 수용된 상기 범람액은 상기 범람액 배출부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범람액을 상기 범람액 배출부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소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물에 소정의 파장범위의 광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을 살균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램프는 외부의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거나,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소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램프는 상기 용기에 대향되게 상기 뚜껑에 배치되는 소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뚜껑; 및
    상기 대상물이 상기 히팅발열부에 의하여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는 습기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습기배출구는 상기 뚜껑의 소정의 위치, 상기 본체의 측벽 상부의 소정의 위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소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상기 용기의 상기 온도를 상기 중앙처리부로 제공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상기 용기의 상기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히팅발열부의 동작을 차단하는 소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가지며,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안착면에 배치되며,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상기 용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기 용기의 상기 무게를 상기 중앙처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무게센서가 측정한 상기 용기의 상기 무게가 제1기준 무게보다 클 경우 사용자에게 동작준비를 알리거나, 측정한 상기 용기의 상기 무게가 제2기준 무게보다 작을 경우 상기 히팅발열부의 동작을 차단하는 소독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대상물을 상기 액체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게 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액체에 침지되어 상기 초음파 세척부에 의하여 세척된 후 상기 거치대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대에 배치되는 상기 대상물은 상기 히팅발열부에 의하여 가열된 상기 액체의 증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소독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액체에 침지되며, 상기 액체에 침지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히팅발열부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초음파 세척부에 의하여 세척되되,
    상기 히팅발열부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는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히팅발열부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가열 및 상기 초음파 세척부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세척이 동시에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수행되는 소독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발열부와 상기 초음파 세척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소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발열부는
    상기 중앙처리부를 통하여 제어되어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가 표면, 내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체가 생성하는 열을 전달받아 상기 액체를 가열하는 열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세척부는
    상기 중앙처리부를 통하여 제어되어 초음파 진동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자; 및
    상기 초음파 진동자와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생성하는 상기 초음파 진동을 상기 액체에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판을 포함하되,
    상기 열판 플레이트와 상기 초음파 진동판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상기 히팅발열부와 상기 초음파 세척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소독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함몰부를 가지고,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플레이트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상기 단일플레이트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내부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함몰부 및 상기 단일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부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단일 플레이트의 측면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과 접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서로 접하지 아니하는 소독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단일 플레이트의 타면에 접하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플레이트는 상기 단일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상기 단일 플레이트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가지게 성형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함몰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액체가 수용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부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상기 단일 플레이트의 상기 타면에 접하며, 상기 케이스와 이격되게 상기 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서로 접하지 아니하는 소독기.
KR1020140085912A 2014-07-09 2014-07-09 소독기 KR10160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12A KR101602702B1 (ko) 2014-07-09 2014-07-09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12A KR101602702B1 (ko) 2014-07-09 2014-07-09 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413A true KR20160006413A (ko) 2016-01-19
KR101602702B1 KR101602702B1 (ko) 2016-03-11

Family

ID=5530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912A KR101602702B1 (ko) 2014-07-09 2014-07-09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0312A (zh) * 2016-08-17 2017-01-11 夏林达 一种用于厨房餐具整理分类自动提出装置
KR20230020653A (ko) * 2021-08-04 2023-02-13 주식회사 뉴로서킷 두발 케어 용품 용기 거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5668A (zh) * 2019-11-28 2020-02-07 衡阳丰联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危险废品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417B1 (ko) * 2000-09-06 2006-07-12 양원동 의료기구 살균세정장치
KR100832116B1 (ko) * 2006-12-22 2008-05-27 에센시아주식회사 다기능 살균세척기
KR20110072028A (ko) * 2009-12-22 2011-06-29 엠텍비젼 주식회사 살균 장치 및 살균 처리 방법
KR101388110B1 (ko) * 2007-10-22 2014-04-22 주식회사 케이씨텍 습식세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417B1 (ko) * 2000-09-06 2006-07-12 양원동 의료기구 살균세정장치
KR100832116B1 (ko) * 2006-12-22 2008-05-27 에센시아주식회사 다기능 살균세척기
KR101388110B1 (ko) * 2007-10-22 2014-04-22 주식회사 케이씨텍 습식세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10072028A (ko) * 2009-12-22 2011-06-29 엠텍비젼 주식회사 살균 장치 및 살균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0312A (zh) * 2016-08-17 2017-01-11 夏林达 一种用于厨房餐具整理分类自动提出装置
KR20230020653A (ko) * 2021-08-04 2023-02-13 주식회사 뉴로서킷 두발 케어 용품 용기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702B1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5804B2 (ja) 洗浄殺菌装置
KR101420141B1 (ko) 수저 및 행주 소독기
KR101602702B1 (ko) 소독기
KR20060091715A (ko) 살균시스템 및 방법
JP5243603B2 (ja) 紫外線および/またはオゾンを生成する新規な殺菌装置
GB254174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d mixers and processors
KR20160036299A (ko) 수소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1605605B1 (ko) 분리형 소독기
TW201141549A (en) Process of sterilising a bottle
KR100744739B1 (ko) 수조 내 나노 물방울 생성 장치
WO2008075708A1 (ja) 超音波処理装置
KR20150112079A (ko) 컵 소독장치
KR20060102455A (ko) 이온수가 발생되는 초음파세척기
CN209790437U (zh) 一种便携式杀菌消毒盒
KR101954690B1 (ko) 전기적 에너지에 의한 살균공정이 수행되는 의료용 기기 살균장치 및 그 살균장치의 이용방법
KR200432652Y1 (ko) 살균 장치를 구비한 수저통
KR100464883B1 (ko) 초음파 및 오존을 이용한 가정용 세척기
RU2700919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озоновый стерилизатор
KR20030077514A (ko) 레디컬과 오존을 이용한 초음파 살균 세척기
CN213964444U (zh) 一种消毒盒
KR102325992B1 (ko)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KR102600351B1 (ko)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KR200441856Y1 (ko) 초음파 세척장치
KR20110017308A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산화이온 생성장치
EP1943936B1 (en) Household appliance for sanitizing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