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409A -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 Google Patents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409A
KR20160006409A KR1020140085898A KR20140085898A KR20160006409A KR 20160006409 A KR20160006409 A KR 20160006409A KR 1020140085898 A KR1020140085898 A KR 1020140085898A KR 20140085898 A KR20140085898 A KR 20140085898A KR 20160006409 A KR20160006409 A KR 20160006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heart rate
wrist band
wearer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예현
Original Assignee
강예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예현 filed Critical 강예현
Priority to KR102014008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6409A/ko
Publication of KR2016000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61B5/015By temperature mapping of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33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using induced vibration of the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체온 및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급상황발생시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킹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 재질의 탄성고무로 이루어진 손목밴드; 상기 손목밴드의 내측에 구비되어서 착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게 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손목밴드의 내측에 구비되어서 착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감지하게 하는 심박수 감지부; 상기 손목밴드의 외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체온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체온이 외부로 표시되게 하는 체온 표시부; 상기 손목밴드의 외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심박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심박수가 외부로 표시되게 하는 심박수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Wrist band for checking health}
본 발명은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에 착용되어 체온 및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현재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킹할 수 있게 하는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간단한 체온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병원에 가거나 각 가정마다에 비치된 체온계가 종종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지금과 같이 신종인플루엔자와 같은 전염병 확산 시기에 다수의 인원을 빠른 시간 안에 정밀체크가 아닌 발열 여부의 이상 유무만이라도 알아보기 위한 간략 체크를 하고자 하더라도 체온계를 가지고 일일이 대응해야 하므로 시간이나 효율 면에서도 불합리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553호(2011년 03월 15일)에서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음 없이 누구나 손쉽게 체온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발열감지 기능을 갖춘 손목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체온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기능이 있는 특수잉크를 사용하여 인체 밀착도가 높고 착용하기도 편리하여 체온감지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고 수시로 체온 체크도 자유자재로 쉽게 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도 전혀 불편이 없도록 손목에 감는 밴드형태로 만든 발열감지 손목밴드가 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상기의 발열감지 손목밴드는 기본적인 상태에서는 갈색을 띄다가 정상온도의 인체 체온에서는 녹색을 띄게 되며, 이후 정상온도를 넘어서는 38도를 넘게 되면 차츰 노란색을 띄게 되는 특수잉크를 사용하여 제작한 띠를 손목에 감을 수 있도록 밴드형태로 제작한 것으로서, 이는 손목에 감는 형태로 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신체 밀착이 되고 이마에 대어 보는 동작도 편리하며 또한 일상적인 생활을 하는데도 크게 거추장스럽다거나 불편하지 않고 쉽게 자기 체온을 수시로 체크하여 건강이상이나 신체변화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요즘처럼 신종인플루엔자 확산으로 그 어느 때보다 수시로 고열체크와 관리가 중요시되는 시점에 체온계로 대응하기 전에 항상 어디서나 간편하게 자기 체온을 우선 1차적으로 체크해 봄으로써 편리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발열감지 손목밴드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착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자신의 체온 변위를 항시 인지하여 자가진단과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일은 가능하지만, 체온 이외의 다른 이상 상태, 즉 심박수를 체킹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의 착용자의 정확한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힘들며, 또한 제3자의 주변인들과 의료기관에 실시간으로 검측결과를 알릴 수가 없기 때문에 착용자가 해당되는 장소로 이동하여 체킹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어린이 등이 착용하고 있고 학교 등의 원거리에 있을 때 부모나 의료기관에게 쉽고 빠르게 통보할 수가 없어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적절한 조치가 불가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른이나 어린이 누구라도 손목에 쉽게 착용하게 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하고 체온뿐만 아니라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착용자뿐만 아니라 원거리에 있는 제3자도 착용자의 현재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킹할 수 있게 하여 응급상황발생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에 착용되어 착용자의 체온 및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상태를 체킹할 수 있게 하는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는, 실리콘 재질의 탄성고무로 이루어진 손목밴드; 상기 손목밴드의 내측에 구비되어서 착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게 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손목밴드의 내측에 구비되어서 착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감지하게 하는 심박수 감지부; 상기 손목밴드의 외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체온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체온이 외부로 표시되게 하는 체온 표시부; 상기 손목밴드의 외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심박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심박수가 외부로 표시되게 하는 심박수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온 표시부에 표시된 체온 및 상기 심박수 표시부에 표시된 심박수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체온 및 심박수를 모바일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체킹할 수 있게 하는 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부는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값 이상일 때 경고음 또는 빛 발산에 의해 외부로 통보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부는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값 이상일 때 연동된 상기 수신부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알리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수신받은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값 이상일 때 최근거리에 위치된 병원을 안내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를 이용하게 되면,
어른이나 어린이 누구라도 아무런 부담없이 손목에 쉽게 착용하게 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하며, 착용자의 체온 및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재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킹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응급상황발생시 원거리에 있는 보호자나 의료기관에 그리고 최근거리에 있는 병원 정보를 신속하게 받아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여 위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와 수신부의 전송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의 착용상태를 보인 실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와 수신부의 전송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의 착용상태를 보인 실시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체온 및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킹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밴드(10), 체온 감지부(20), 심박수 감지부(30), 체온 표시부(40) 및 심박수 표시부(50)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거리에 있는 제3 자도 쉽게 확인하여 체킹할 수 있게 하는 송신부(60) 및 수신부(70)로 구성된다.
상기 손목밴드(10)는 어른이나 어린이에 구애하지 않고 누구라도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신축성인 실리콘 재질의 탄성고무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온 감지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밴드(10)의 내측, 즉 신체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게 구비되어서 착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심박수 감지부(30)는 손목밴드(10)의 내측, 즉 신체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게 구비되어서 착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온 표시부(40)는 도 1 및 조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밴드(10)의 외측에 구비되어서 체온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체온이 외부로 표시되게 하여 자신뿐만 아니라 제3 자도 착용자의 신체 온도를 쉽게 체킹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심박수 표시부(50)는 손목밴드(10)의 외측에 구비되어서 심박수 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된 심박수가 외부로 표시되게 하여 자신뿐만 아니라 제3 자도 착용자의 심박수를 쉽게 체킹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송신부(60)는 손목밴드(10)에 구비되어서 체온 표시부(40)에 표시된 체온 및 상기 심박수 표시부(50)에 표시된 심박수를 모바일기기 등의 수신부(70)를 통해서 원거리에 있는 부모나 의료기관 등의 제3 자도 쉽게 체킹할 수 있도록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60)는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값 이상일 때 경고음 또는 빛 발산에 의해 주변 또는 원거리에 있는 제3 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로 통보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60)는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값 이상일 때만 연동된 모바일기기 등의 수신부(70)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알리도록 이루어지게 바람직하며, 이는 불필요하게 체킹해야만 하는 이유로 제3 자의 업무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부(70)는 송신부(60)로부터 전송된 체온 및 심박수를 모바일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착용자의 체온 및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수시로 체킹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70)는, 송신부(60)로부터 수신받은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값 이상일 때 최근거리에 위치된 병원을 안내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착용자의 현재 상태를 체킹할 때 위급상황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상기의 손목밴드(10)에 구비된 송신부(60)와 수신부(70)의 연동관계는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와이파이와 같은 전송시스템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에 대한 실시예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밴드(10)가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된다.
상기 손목밴드(10)가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면 그는 실시간으로 현재의 체온 및 심박수를 수시로 확인하여 건강상태를 체킹한다.
그리고, 원거리에 있는 의사나 부모와 같은 제3 자가, 예를 들면 어린이가 착용했을 경우에는 부모가 구비하고 있는 수신부(70)인 모바일기기에 표시되게 하여 실시간으로 현재의 착용자의 상태를 체킹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70)에는 착용자가 있는 가까운 병원에 대한 어플이 구비되어, 그 착용자가 체온이 기준치보다 높거나 심박수가 기준치보다 빠른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병원으로 이동하여 곧 바로 체킹받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어린이 등의 현재 상태가 체온 및 심박수를 통해서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낼 때, 착용자 또는 원거리에 있는 제3 자도 그를 빠르게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손목밴드 20: 체온 감지부
30: 심박수 감지부 40: 체온 표시부
50: 심박수 표시부 60: 송신부
70: 수신부

Claims (5)

  1. 손목에 착용되어 착용자의 체온 및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상태를 체킹할 수 있게 하는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에 있어서,
    실리콘 재질의 탄성고무로 이루어진 손목밴드(10);
    상기 손목밴드(10)의 내측에 구비되어서 착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게 하는 체온 감지부(20);
    상기 손목밴드(10)의 내측에 구비되어서 착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감지하게 하는 심박수 감지부(30);
    상기 손목밴드(10)의 외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체온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된 체온이 외부로 표시되게 하는 체온 표시부(40); 및
    상기 손목밴드(10)의 외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심박수 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된 심박수가 외부로 표시되게 하는 심박수 표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목밴드(10)에 구비되어서 상기 체온 표시부(40)에 표시된 체온 및 상기 심박수 표시부(50)에 표시된 심박수를 송신하는 송신부(60); 및
    상기 송신부(60)로부터 전송된 체온 및 심박수를 모바일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체킹할 수 있게 하는 수신부(7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60)는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값 이상일 때 경고음 또는 빛 발산에 의해 외부로 통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60)는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값 이상일 때 연동된 상기 수신부(70)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알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70)는, 상기 송신부(60)로부터 수신받은 체온 및 심박수가 설정값 이상일 때 최근거리에 위치된 병원을 안내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KR1020140085898A 2014-07-09 2014-07-09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KR20160006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898A KR20160006409A (ko) 2014-07-09 2014-07-09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898A KR20160006409A (ko) 2014-07-09 2014-07-09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409A true KR20160006409A (ko) 2016-01-19

Family

ID=5530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898A KR20160006409A (ko) 2014-07-09 2014-07-09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64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25A (ko) * 2016-10-18 2018-04-26 유퍼스트(주)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EP4052640A1 (en) 2021-03-06 2022-09-07 Sidly Sp. z o.o. Handheld device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25A (ko) * 2016-10-18 2018-04-26 유퍼스트(주)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EP4052640A1 (en) 2021-03-06 2022-09-07 Sidly Sp. z o.o. Handheld device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1253B2 (en) Preventing falls using posture and movement detection
US20150164408A1 (en) Automated pressure ulcer prevention
JP5877528B2 (ja) 自動通報システム
GB2425180B (en) Monitoring system
US20110004074A1 (en) Protective glove with wireless physiological sensor
KR101554308B1 (ko) 센서의 탈부착이 가능한 생체신호 발신기
KR102156703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산업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634738B1 (ko) 손목에 착용 가능한 돌연사 방지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시스템
US2022008753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over-heating or a risk of over-heating of a subject
KR20150103568A (ko)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
TWI595859B (zh) 生理狀態監測裝置
KR20160077373A (ko)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20160006409A (ko)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CN109528181A (zh) 一种智能物联网监控平台
WO2017198978A1 (en) Temperature monitoring garment and system
JP2012152374A (ja) 医療環境向け無線光学式脈拍計システム
TWM521450U (zh) 睡眠檢測系統
KR102424998B1 (ko) 마스크 걸이
KR20150103395A (ko) 하이브리드 체온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정보 통지 시스템
KR20130056479A (ko) 착용형 정보 수집장치
TWM466639U (zh) 中暑偵測器
KR101889968B1 (ko) Iot 기반의 내의
KR20170087551A (ko) 영.유아 상황인지 밴드
KR101633588B1 (ko) 웨어러블 헬스케어 안전벨트
CN103610451A (zh) 可实时监控体温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