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625A -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625A
KR20180042625A KR1020160135028A KR20160135028A KR20180042625A KR 20180042625 A KR20180042625 A KR 20180042625A KR 1020160135028 A KR1020160135028 A KR 1020160135028A KR 20160135028 A KR20160135028 A KR 20160135028A KR 20180042625 A KR20180042625 A KR 20180042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wearer
unit
human bod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550B1 (ko
Inventor
이현상
Original Assignee
유퍼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퍼스트(주) filed Critical 유퍼스트(주)
Priority to KR102016013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5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8Psycholog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07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 A61M2205/3523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using telemetr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얼굴이나 손목 및 팔과 같이 인체에 착용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한 질병완화 등의 테라피 효과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가 탑재된 손목-밴드형태의 데이터 수집역할을 하는 제1 웨어러블 장치와,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출력을 구현하는 제2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착용자에게 현재 상태에 적절한 감각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적극적인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WEARABLE DEVICE AND THERAPY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얼굴이나 손목 및 팔과 같이 인체에 착용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한 질병완화 등의 테라피 효과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전자정보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경박단소 형태로 진화함에 따라 휴대(Portable)가 용이하도록 사용자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에 탑재되는 인체 측정수단도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사용자 즉, 착용자는 손목시계형, 반지형, 목걸이 형태로 된 체온계, 맥박계, 혈압계, 혈당계 및 심전도 측정계 등을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여 수시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시판중인 웨어러블 장치들은 측정된 인체관련 데이터들을 단순히 수치, 그래프 및 이미지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참조수준의 정보만을 제공하는 기능만을 구현하고 있을 뿐, 수집된 인체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와 관련하여 실제로 인지할 수 있는 유용한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와 연계된 테라피(Therapy)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실제로 느낄 수 있는 음악 및 향기 등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적극적인 치료효과(Therapy)를 구현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하나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인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인체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감각신호를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각신호는, 빛, 음향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빛, 음향 및 향기를 각각 출력하는 알람부, 스피커부 및 방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센서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체정보는,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혈압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은, 하나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착용자에 대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한 인체정보를 생성하는 제1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인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체정보를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른 감각신호를 제공하는 제2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밴드형이고, 상기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혈압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제2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인체정보를 송출하는 통신부; 상기 데이터를 인체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구동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목에 착용되며 일 측이 개방된 원형의 목-밴드 구조이고, 상기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하나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인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인체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감각신호를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센서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체정보는, 상기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혈압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은, 센서가 탑재된 손목-밴드형태의 데이터 수집역할을 하는 제1 웨어러블 장치와,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출력을 구현하는 제2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착용자에게 현재 상태에 적절한 감각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적극적인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피 시스템에 이용되는 웨어러블 장치의 구조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는 테라피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장치(devic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의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사용자(User)" 및 "착용자(Wearer)" 등의 용어는 문맥에 따라 혼용될 수 있고, 의미는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피 시스템은 센서가 탑재된 손목-밴드형태의 데이터 수집역할을 하는 제1 웨어러블 장치(100)와,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출력을 구현하는 제2 웨어러블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및 제2 웨어러블 장치(100, 200)를 자신의 적절한 신체부위에 착용하고, 착용 후 두 장치를 동기화시켜 작동준비를 한다. 여기서, 제1 웨어러블 장치(100)는 착용자의 인체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와, 장치의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장치의 조작을 위한 버튼 및 터치화면 등을 탑재하고 있으며, 착용자에 의한 확인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손목-밴드 구조로서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웨어러블 장치(200)는 작동시 착용자에게 현재 신체상태에 적절한 음향 또는 향기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음향 또는 향기를 체감할 수 있는 감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출력부는 그 기능에 따라, 스피커, 이어폰, 알람발생모듈 및 방향모듈 등을 포함하거나 이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감각신호가 전달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목-밴드 구조로서 착용자의 머리부근, 즉 목에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테라피 시스템은 인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웨어러블 장치(100)와, 생성된 인체정보에 대응하는 감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웨어러블 장치(200)를 통해 착용자에게 현재 신체상태에 적절한 음향 및 향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2 웨어러블 장치(200)는 인체정보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및 혈당 등의 수치에 대응하여 현재 사용자 상태에 적절한 음향 및 향기를 출력하게 되며, 이에 사용자는 적절한 테라피 경험을 제공받게 된다.
일 예로서, 치매환자, 태교가 필요한 임산부, 집중력 향상이 필요한 학생이나 수험생 등이 병원에서 처방을 받으면, 이를 음원판매업체 및 방향모듈 판매업체로 제공함으로써 제2 웨어러블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또는 향기의 출력부에 적용하여 전술한 테라피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피 시스템은 제2 웨어러블 장치(200)가 목-밴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출력부에 소형의 마이크(microphone) 및 리시버(receiver)를 포함하는 보청기 모듈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보청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청각보조기구로서 보청기의 보급률을 높여줄 수 있다. 특히, 제2 웨어러블 장치(200)는 목-밴드 형태이므로, 종래 외관상 선호되지 않는 기존 보청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어, 실제 보청기 사용률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제2 웨어러블 장치(200)의 일반적인 이어폰의 형태를 갖는 보청수단을 구현함으로써 난청증상이 있는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보청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피 시스템의 제1 및 제2 웨어러블 장치의 외관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테라피 시스템의 제1 웨어러블 장치(100)는 손목-밴드형 단말기로서, 착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밴드부(105)를 포함하고 있다. 밴드부(105)는 착용자의 손목둘레에 적합하도록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웨어러블 장치(100)의 배면으로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인체상태와 관련된 심박수, 체온, 혈압 및 혈당 등의 데이터를 감지 및 측정하는 하나이상의 센서(120)가 배치되어 있고, 전면으로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부(15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웨어러블 장치(100)의 작동시 그 화면을 표시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각종 기능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테라피 시스템의 제2 웨어러블 장치(200)는 목-밴드형 단말기로서,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도 2a의 100)와 무선통신방식으로 연동하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인체정보를 분석하여 감각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웨어러블 장치(200)는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고리부(205)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리부(205)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그 양끝으로 제2 웨어러블 장치(200)의 본체가 위치하게 된다.
특히, 제2 웨어러블 장치(200)의 양끝으로는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버튼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210)와, 감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240)가 위치할 수 있다. 착용자는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하여 제1 웨어러블 장치(100)와의 페어링 기능 및 감각신호 출력 기능 등을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출력부는 포함된 스피커, 이어폰 및 방향모듈 등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거나, 향기를 방출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하면, 착용자는 자신의 손목 및 목에 착용하여 심박수, 혈압 및 혈당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인체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신체상태에 적합한 음향, 알림 및 향기를 경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피 시스템에 이용되는 웨어러블 장치의 구조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치는 크게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제1 웨어러블 장치(100) 및 목에 착용되는 제2 웨어러블 장치(200)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피 시스템은 하나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착용자에 대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한 인체정보를 생성하는 제1 웨어러블 장치(100) 및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상기 인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체정보를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른 감각신호를 제공하는 제2 웨어러블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웨어러블 장치(100)는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밴드형이고, 상기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110)와,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혈압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하는 센서(120)와, 제2 웨어러블 장치(200)와 통신하여 상기 인체정보를 송출하는 통신부(130)와, 상기 데이터를 인체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구동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장치로서 2차 전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부(160)가 탑재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제1 웨어러블 장치(100)를 작동하기 위해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착용자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장치의 전원-온, 설정값 입력, 인체정보 측정 및 개시 등의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체지방 측정과 같은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착용자는 자신의 체중을 직접 입력하여야 하며, 이는 인터페이스부(110)에 제공하는 가상 키보드 등을 통해 숫자형태로 설정값을 입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웨어러블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10)는 버튼 형태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0)와 일체형 모듈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눌림을 인식하는 터치패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120)는 하나이상의 구비되어 착용자의 인체관련 데이터를 측정 및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센서는 각각 별도의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센서(120)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심박수, 체온 및 혈압 등을 측정하는 센서로 구분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2 웨어러블 장치(200)와 무선통신방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장치(100, 200)간 페어링 요청에 따라 서로 식별코드를 송수신하여 연동되는 장치를 인식하도록 하고,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인체정보를 제2 웨어러블 장치(200)의 통신부(220)에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제2 웨어러블 장치(200)가 소정거리 이내에 인접하면 이를 인식하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며, 통신은 블루투스 4.0 프로토콜에 기반하며 무선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내지 제3 센서(120)로부터 감지된 결과를 인코더(미도시)등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인체정보로 변환하고, 통신부를 통해 제2 웨어러블 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웨어러블 장치(100)의 작동전반에 걸친 절차를 제어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웨어러블 장치(100)의 작동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인체관련 데이터를 숫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부(150)는 소형의 손목-밴드형 단말기에 적합한 소형의 액정표시소자(LCD), 전기영동소자(EPD) 및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1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기 위한 터치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부(160)는 휴대용 기기인 제1 웨어러블 장치(100)에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라피 시스템에서 제2 웨어러블 장치(200)는, 착용자의 목에 착용되며 일 측이 개방된 원형의 목-밴드 구조이고, 상기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210)와, 하나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인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220)와, 상기 인체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230)와, 상기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감각신호를 제공하는 출력부(240)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고, 포터블 장치로서 2차 전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부(260)가 탑재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착용자가 제2 웨어러블 장치(200)를 작동하기 위해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착용자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장치의 전원-온 및 출력부 작동 등의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웨어러블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10)는 장치가 착용자의 목 부근에 위치함에 따라, 조작이 용이한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웨어러블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착용자는 제2 웨어러블 장치(200)의 작동뿐만 아니라, 연동된 제1 웨어러블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제1 웨어러블 장치(100)와 무선통신방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페어링 요청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연동되는 장치를 인식하고,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인체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블루투스 4.0 프로토콜에 기반하며 제1 웨어러블 장치(100)와 무선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230)는 수신된 인체정보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현재 착용자의 심박수의 수치가 정상수치보다 높거나 낮으면, 빠르거나 느린 템포의 음향을 재생하거나, 심신의 안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허브 또는 꽃향기와 같은 향기를 출력하도록 하는 분석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착용자가 임산부로 판단되면, 태교와 관련된 음향을 재생하기 위한 분석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데이터 분석부(230)의 분석결과에 대응하여 착용자에게 현재 신체상태에 적절한 감각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감각신호는 착용자가 직접 인지할 수 있는 소리 형태로 전달되는 음향 및 후각에 따른 향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40)는 음향을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부와, 불빛이 일정주기로 점멸하여 알림을 출력하는 알람부와, 향기를 방출하는 방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방향부는 향기가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방향캡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착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음향을 전달하는 이어폰 또는 보청기모듈 등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50)는 두 장치간 연동 이후, 인터페이스부(210)에 대한 착용자의 조작을 대응하여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센서의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220)를 통해 제1 웨어러블 장치(100)에 출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용자는 제2 웨어러블 장치(200)를 이용하여 제1 웨어러블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2 웨어러블 장치(200)의 작동전반에 걸친 절차를 제어하게 된다.
전원부(260)는 제2 웨어러블 장치(200)에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는 테라피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는 테라피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피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제1 및 제2 웨어러블 장치간의 동기화를 실행하는 단계(S100)와, 센서를 통해 착용자의 인체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110)와, 제1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와, 제2 웨어러블 장치가 인체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S130)와, 출력부를 통해 분석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및 제2 웨어러블 장치간의 동기화를 실행하는 단계(S100)는 제1 및 제2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두 장치를 전원-온 하면, 기기간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페어링(pairing) 절차를 통해 서로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이용되는 프로토콜로는 블루투스 4.0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최초 이용시에는 기기간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를 통해 착용자의 인체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110)는 제1 웨어러블 장치내 탑재되는 하나이상의 센서가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혈압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데이터화는 단계로서, 탑재되는 센서 종류에 따라 특정시간동안의 보행수 등의 부가적인 데이터도 더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제1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부가 수집된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혈압 및 혈당 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인체정보는 각 데이터들의 수치값과, 그 데이터가 감지된 시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감지결과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웨어러블 장치가 인체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S130)는 제1 웨어러블 장치가 페어링된 제2 웨어러블 장치에 생성한 인체정보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출력부를 통해 분석결과에 대응하는 감각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140)는 착용자에게 음향 또는 향기 등과 같은 인체가 인지가능한 감각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2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부가 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인체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현재 상황에 적절한 음향 또는 방향을 출력하는 단계이다. 일예로서, 현재 착용자의 심박수의 수치가 높다면 마음을 안정시키기 위한 느린 템포의 음향을 재생하거나, 허브 또는 꽃향기와 같은 심신안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향기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제1 웨어러블 장치 110, 210 : 인터페이스장치
120 : 제1 내지 제3 센서 130, 220 : 통신부
140 : 제어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260 : 전원부 230 : 데이터 분석부
240 : 출력부

Claims (10)

  1.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하나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인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인체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감각신호를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신호는,
    빛, 음향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빛, 음향 및 향기를 각각 출력하는 알람부, 스피커부 및 방향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웨어러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정보는,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혈압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6. 하나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착용자에 대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한 인체정보를 생성하는 제1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인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체정보를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른 감각신호를 제공하는 제2 웨어러블 장치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밴드형이고,
    상기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혈압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제2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인체정보를 송출하는 통신부;
    상기 데이터를 인체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구동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제2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목에 착용되며 일 측이 개방된 원형의 목-밴드 구조이고,
    상기 착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하나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인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인체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감각신호를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센서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정보는,
    상기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혈압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KR1020160135028A 2016-10-18 2016-10-18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KR10190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028A KR101906550B1 (ko) 2016-10-18 2016-10-18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028A KR101906550B1 (ko) 2016-10-18 2016-10-18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25A true KR20180042625A (ko) 2018-04-26
KR101906550B1 KR101906550B1 (ko) 2018-10-12

Family

ID=6208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028A KR101906550B1 (ko) 2016-10-18 2016-10-18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4656A (zh) * 2018-07-24 2019-01-04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终端、系统及信息处理方法
WO2023080407A1 (ko) * 2021-11-02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혈당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행동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409A (ko) * 2014-07-09 2016-01-19 강예현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66B1 (ko) 2016-03-04 2017-03-28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409A (ko) * 2014-07-09 2016-01-19 강예현 건강 체크용 손목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4656A (zh) * 2018-07-24 2019-01-04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终端、系统及信息处理方法
WO2023080407A1 (ko) * 2021-11-02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혈당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행동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550B1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0199B2 (ja) スマートウェアラブル装置の身体位置最適化及び生体信号フィードバック
KR102470666B1 (ko) 배뇨 예측 및 모니터링
CN105814956B (zh) 多个装置之间经由无线协议的位置坐标定位的方法和装置
US9782122B1 (en) Pain quantif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9685802B1 (en) Detection of accessory presence and orientation
KR101044883B1 (ko) 바이오 피드백 맞춤형 운동관리 시스템
KR101123085B1 (ko) 표시 및 알림기능을 갖는 실시간 디지털 체온측정기
CN108670230B (zh) 自闭症患者用随身佩戴装置的工作方法
CN110337314A (zh) 耳朵刺激的多因素控制
KR20060128625A (ko) 신체 활동 측정 단말기
US10368811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ircadian rhythm monitoring
KR100847137B1 (ko) 휴대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WO2012112561A1 (en) Wearable personal communicato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4665798A (zh) 血压管理装置及方法
US20210137457A1 (en) Ear device for heat stroke detection
WO202107047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906550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CN104665800A (zh) 血压管理装置及方法
CN204839492U (zh) 血压管理装置
CN204765611U (zh) 血压管理装置及系统
CN104665799A (zh) 血压管理装置及方法
US11495351B2 (en)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00094344A (ko) 렘 수면 단계 기반 회복도 인덱스 계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30390608A1 (en)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ear-worn devices for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s
Chowdary et al. Implantable electronics: Integration of bio-interfaces, devices and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