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477A - 음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음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477A
KR20160005477A KR1020140084450A KR20140084450A KR20160005477A KR 20160005477 A KR20160005477 A KR 20160005477A KR 1020140084450 A KR1020140084450 A KR 1020140084450A KR 20140084450 A KR20140084450 A KR 20140084450A KR 20160005477 A KR20160005477 A KR 20160005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up
supply
present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철
김용덕
김정길
Original Assignee
(주) 넥스인테크놀러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넥스인테크놀러지스 filed Critical (주) 넥스인테크놀러지스
Priority to KR102014008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5477A/ko
Publication of KR2016000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43Mixing devices for liquids
    • B67D1/0051Mixing devices for liquids for mixing outside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컵의 하부로부터 제1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음료공급부; 및 상기 음료컵의 상부로부터 제2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2음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컵의 하부에서 제1음료를 공급하고, 상기 음료컵의 상부에서 제2음료를 공급함으로써, 단일의 음료 공급장치에서 이종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공급장치{A BEVERAGE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컵의 하부에서 제1음료를 공급하고, 상기 음료컵의 하부에서 제2음료를 공급할 수 있는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컵은 음료를 담아주는 컵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측 개방공간을 통해 음료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음료(飮料, Beverage)는 알콜성 음료 또는 비 알콜성 음료로 구분되어지고, 알콜성 음료에는 맥주, 소주 등의 주류가 있으며, 비 알콜성 음료에는 콜라, 사이다, 슬러시, 크림 등의 등이 있을 수 있다.
맥주는 주로 공장에서 제조되어 대략으로 판매되는 병맥주 또는 캔맥주와, 맥주통에 저장되어 판매 장소에서 음료컵에 담겨져 음용자에게 공급되는 생맥주가 있다.
생맥주는 맥아즙을 발효, 숙성시켜 여과만 하고, 가열, 살균과정을 거치지 않은 맥주를 말하며, 이러한 생맥주는 생맥주 공급장치를 통해 제공된다.
맥주 전문점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생맥주 공급장치는 생맥주통에 공급관을 연결하고, 공급관에 구비된 밸브를 이용하여 관로를 개폐하므로 음료컵에 맥주를 공급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기존의 맥주 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특허등록공보 제10-0955844호로 제안된 바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 음료컵에 맥주를 공급한 후, 맥주의 상부에 별도의 슬러시 또는 크림 등을 포함하여, 맥주를 마시는 경향이 있다.
도 1a는 음료컵에 포함된 맥주와 크림을 도시하는 예시사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음료컵(10)의 내부 일정 영역에 맥주 등의 제1음료(11)를 공급하고, 상기 제1음료(11)의 상부에 크림 또는 슬러시와 같은 제2음료(12)를 포함시켜, 제1음료와 제2음료를 혼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다.
도 1b는 종래의 맥주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c는 종래의 슬러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상술한 도 1a의 제1음료의 상부에 제2음료를 포함하는 음료를 공급하기 위해서, 먼저, 도 1b의 맥주 공급 장치(20)를 통해, 음료컵의 내부 일정 영역에 맥주, 즉, 제1음료를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음료컵에 제1음료를 공급한 이후에, 상기 음료컵을 별도의 슬러시 공급 장치(30)로 이동시켜, 상기 슬러시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음료컵에 슬러시, 즉, 제2음료를 공급하여, 제1음료의 상부에 제2음료를 포함하는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종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1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부터 제1음료를 음료컵에 제공하고, 제2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부터 제2음료를 공급해야하므로, 즉, 별도의 장치를 통해, 각각 음료를 공급하기 때문에,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종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제공할 수 있는 단일의 음료 공급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료컵의 하부에서 제1음료를 공급하고, 상기 음료컵의 하부에서 제2음료를 공급하여, 이종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제공할 수 있는 단일의 음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료컵의 하부로부터 제1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음료공급부; 및 상기 음료컵의 상부로부터 제2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2음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음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음료공급부는, 상기 제1음료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부; 상기 음료컵을 안착하기 위한 음료컵 안착부; 및 상기 제1음료를 상기 음료컵에 공급하기 위한 제1음료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음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음료공급부는, 제2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 상기 제2음료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 상기 제2음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냉장/냉동 시스템부;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제2음료를 혼합하기 위한 스크류부; 및 상기 제2음료를 상기 음료컵에 공급하기 위한 제2음료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음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컵은, 상기 제1음료를 저장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음료 주입부 및 상기 음료 주입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음료 주입부에 결합하는 주입부 체결부재 및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와 탈착 가능한 주입부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주입부로부터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음료는 알콜성 음료 또는 비 알콜성 음료이고, 상기 알콜성 음료는 맥주, 소주 또는 양주이고, 상기 비 알콜성 음료는 콜라, 사이다 또는 커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음료는 상기 제1음료보다 유동성이 적은 음료로, 슬러시, 요거트 또는 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음료컵의 하부에서 제1음료를 공급하고, 상기 음료컵의 상부에서 제2음료를 공급함으로써, 단일의 음료 공급장치에서 이종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음료컵은, 상기 음료 주입부로부터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도 1a는 음료컵에 포함된 맥주와 크림을 도시하는 예시사진이다.
도 1b는 종래의 맥주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c는 종래의 슬러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제1음료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제1음료공급부의 제1음료 공급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음료공급부를 통해 음료컵에 제1음료를 공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200)는 음료컵(100)의 하부로부터 제1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음료공급부(210) 및 상기 음료컵(100)의 상부로부터 제2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2음료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음료는 알콜성 음료 또는 비 알콜성 음료일 수 있으며, 알콜성 음료로, 맥주, 소주, 양주 등의 주류를 예시할 수 있고, 비 알콜성 음료로, 콜라, 사이다, 커피 등의 비주류를 예시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음료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음료는 상기 제1음료보다 유동성이 적은 음료로, 슬러시, 요거트 또는 크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음료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이종의 음료를 혼합하여 마시는 예시로써, 상기 제1음료는 맥주이고, 상기 제2음료는 슬러시, 요거트 또는 크림일 수 있으며, 다른 예시로써, 상기 제1음료는 커피이고, 상기 제2음료는 크림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종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1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부터 제1음료를 음료컵에 제공하고, 제2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부터 제2음료를 공급해야하므로, 즉, 별도의 장치를 통해, 각각 음료를 공급하기 때문에,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음료컵의 하부에서 제1음료를 공급하고, 상기 음료컵의 상부에서 제2음료를 공급함으로써, 단일의 음료 공급장치에서 이종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음료공급부(220)는 제2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221), 상기 보관부(221)에 보관된 상기 제2음료를 혼합하기 위한 스크류부(213) 및 상기 제2음료를 음료컵에 공급하기 위한 제2음료 공급노즐(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음료공급부(220)는 슬러시, 요거트 또는 크림과 같은 제1음료보다 유동성이 적은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음료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제2음료를 혼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2음료공급부는 상기 제2음료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 및 상기 제2음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냉장/냉동 시스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100)은 음료를 저장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컵(100)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컵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음료컵의 재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음료컵(100)은 투명, 반투명, 불투명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투명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120)는 상기 바닥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음료 주입부(121)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음료 주입부(12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3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음료컵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측 개방공간을 통해 음료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부(120)에 음료 주입부(121)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음료 주입부(121)를 통해 음료가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130)는 음료가 주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 주입부(121)를 개구하며, 음료가 주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음료 주입부(121)를 폐구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100)의 상기 개폐부(130)는 상기 음료 주입부(121)에 결합하는 주입부 체결부재(140) 및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와 탈착 가능한 주입부 차단부재(13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는 상기 음료 주입부(121)와 결합하며, 상기 주입부 차단부재(131)가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와 탈착함에 의하여, 상기 음료 주입부(121)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 및 상기 주입부 차단부재(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자력에 의해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 및 상기 주입부 차단부재(131)가 상호간에 탈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는 상기 주입부 차단부재(131)와 밀착되는 제1플레이트부(141)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14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음료 주입부(121)를 관통하는 제2플레이트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부는 수평플레이트부일 수 있고, 상기 제2플레이트부는 수직플레이트부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수평 및 상기 수직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부(143)의 일측 끝단에는 돌출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44)는 상기 음료 주입부(121)와 결합함에 있어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상기 음료 주입부(121)에 삽입되며, 이를 통해,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가 상기 음료 주입부(121)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44)를 내측으로 밀어내는 방식에 의해 상기 음료 주입부(121)로부터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료 주입부(121)로부터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141)의 일정 영역, 예를 들면,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관통홀(142)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음료가 주입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100)의 상기 개폐부(130)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143)의 일정 영역을 둘러싸는 가스켓부(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상기 가스켓부(132)를 통해, 상기 음료 주입부(121)와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음료 주입부(121)와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의 사이에서 음료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100)의 상기 바닥부(120)는 상기 음료컵(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 바닥부(120a)와 상기 음료컵(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측 바닥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120)의 구조와 상기 가스켓부(132)의 배치관계를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컵(100)은, 상기 가스켓부(132)가 상기 제1플레이트부(141)와 상기 내측 바닥부(120a)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2플레이트부(143)의 일정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료컵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측 개방공간을 통해 음료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부(120)에 음료 주입부(121)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음료 주입부(121)를 통해 음료가 주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120)는 음료 주입부(121)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음료 주입부(12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30)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개폐부(130)는 음료가 주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 주입부(121)를 개구하며, 음료가 주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음료 주입부(121)를 폐구하게 됨으로써, 음료컵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료 주입부(121)로부터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음료컵을 통해, 음료컵의 하부, 즉, 바닥부에서 제1음료를 공급하고, 상기 음료컵의 상부에서 제2음료를 공급함으로써, 단일의 음료 공급장치에서 이종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제1음료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제1음료공급부의 제1음료 공급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제1음료공급부(210)는 상기 제1음료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부(211), 상기 음료컵을 안착하기 위한 음료컵 안착부(212) 및 상기 제1음료를 음료컵에 공급하기 위한 제1음료 공급노즐(2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음료공급부(210)는 상기 제1음료 공급노즐(213)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214) 및 상기 음료컵 안착부(212)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음료컵 감지센서(21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음료컵 안착부(212)에 음료컵이 안착되면, 상기 음료컵 감지센서(213)에 의해 음료컵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고, 음료컵이 안착되었다는 신호를 제1제어부에 송신하여, 상기 토출구(214)를 통해, 일정 양의 음료를 상기 음료컵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음료공급부(210)는 제1음료를 보관하는 보관부(미도시)로부터 제1음료를 투입하기 위한 제1음료 투입구(216)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컵에 공급될 1회분의 음료를 제어하기 위한 유량센서부(217)를 포함하며, 제1음료공급부(210)의 구성, 예를 들면, 제1음료 투입구, 유량센서부, 음료컵 감지센서 등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밸브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음료공급부는 일예에 해당하며, 시중에서 유통되는 음료공급장치를 대체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음료공급부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음료공급부를 통해 음료컵에 제1음료를 공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음료공급부의 상기 음료컵 안착부에 음료컵이 안착되면, 상기 음료컵 감지센서에 의해 음료컵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고, 음료컵이 안착되었다는 신호를 제1제어부에 송신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일정 양의 음료를 상기 음료컵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컵이 상기 음료컵 안착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1음료 공급노즐(213)은 상기 음료컵의 주입부 차단부재(131)를 밀어내면서, 상기 음료컵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일정 양의 음료를 공급하게 된다.
이후, 음료컵에 음료가 모두 공급된 이후에, 상기 음료컵을 상기 음료컵 안착부로부터 탈착하게 되면, 상기 주입부 차단부재(131)는 다시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140)와 결합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공급장치(200)는 음료컵(100)의 하부로부터 제1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음료공급부(210) 및 상기 음료컵(100)의 상부로부터 제2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2음료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음료컵의 하부에서 제1음료를 공급하고, 상기 음료컵의 상부에서 제2음료를 공급함으로써, 단일의 음료 공급장치에서 이종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음료공급부(210)의 상기 음료컵 안착부(미도시)에 음료컵(100)이 안착되면, 상술한 음료컵 감지센서에 의해 음료컵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고, 음료컵이 안착되었다는 신호를 제1제어부에 송신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일정 양의 제1음료(11)를 상기 음료컵에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음료컵에 제1음료(11)의 공급이 완료되면, 제1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제2제어부에 송신하여, 상기 제2음료공급부(220)의 제2음료 공급노즐(223)로부터 제2음료(12)를 공급함으로써, 단일의 음료 공급장치에서 이종의 음료를 하나의 컵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음료(11)의 상부에 제2음료(12)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음료컵의 하부로부터 제1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음료공급부; 및
    상기 음료컵의 상부로부터 제2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2음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음료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료공급부는,
    상기 제1음료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부;
    상기 음료컵을 안착하기 위한 음료컵 안착부; 및
    상기 제1음료를 상기 음료컵에 공급하기 위한 제1음료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음료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료공급부는,
    제2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
    상기 제2음료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
    상기 제2음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냉장/냉동 시스템부;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제2음료를 혼합하기 위한 스크류부; 및
    상기 제2음료를 상기 음료컵에 공급하기 위한 제2음료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음료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은,
    상기 제1음료를 저장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음료 주입부 및 상기 음료 주입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음료 주입부에 결합하는 주입부 체결부재 및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와 탈착 가능한 주입부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주입부로부터 상기 주입부 체결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료는 알콜성 음료 또는 비 알콜성 음료이고,
    상기 알콜성 음료는 맥주, 소주 또는 양주이고, 상기 비 알콜성 음료는 콜라, 사이다 또는 커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료는 상기 제1음료보다 유동성이 적은 음료로, 슬러시, 요거트 또는 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
KR1020140084450A 2014-07-07 2014-07-07 음료공급장치 KR20160005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50A KR20160005477A (ko) 2014-07-07 2014-07-07 음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50A KR20160005477A (ko) 2014-07-07 2014-07-07 음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477A true KR20160005477A (ko) 2016-01-15

Family

ID=5517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450A KR20160005477A (ko) 2014-07-07 2014-07-07 음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54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8170B1 (en) Beverage container for injecting beverage through bottom thereof
US7083071B1 (en) Drink supply canister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11565928B2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US11225634B2 (en) Beverage maker
KR101895088B1 (ko) 냉장고 도어 와인 디스펜서
US20110036451A1 (en) Device for dosed dispensing of a liquid from a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for filling the composite container ("liquid dispensing flair")
KR101498251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JP2009504516A (ja) 飲料供給アセンブリ
US11053110B2 (en) Reconstitution of independent beverage flows
UA101489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приготування напою з харчової речовин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ування напоїв з харчової речовини, вкладка, призначена для вставляння у пристрій для приготування напоїв, капсулотримач
EA022963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напитков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добавления концентрата
KR200482767Y1 (ko)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AU2011288573A1 (en) Arrangement for dispensing an additive into a liquid stream
US20200385258A1 (en) Liquid dispenser for dispensing water and a flavored beverage
WO2003048027A2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KR20160005477A (ko) 음료공급장치
KR20150078207A (ko) 상향 주입식 음료컵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정량 인출 장치
US8453881B2 (en) Bottle mounting assembly for refrigerated dispensers
KR101656422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102259882B1 (ko) 음료 주입용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JP3968174B2 (ja) 結合型炭酸飲料抽出器
KR101896397B1 (ko) 하부주입 어댑터
JP2002068386A (ja) 飲料サーバー
JP2017081600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160104891A (ko) 하방주입식 맥주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