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088B1 - 냉장고 도어 와인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 와인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088B1
KR101895088B1 KR1020137010190A KR20137010190A KR101895088B1 KR 101895088 B1 KR101895088 B1 KR 101895088B1 KR 1020137010190 A KR1020137010190 A KR 1020137010190A KR 20137010190 A KR20137010190 A KR 20137010190A KR 101895088 B1 KR101895088 B1 KR 10189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gas
liquid
wine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178A (ko
Inventor
닉 모에지디스
모리스 타라달스키
로스 리티맨
제프리 브룩스
Original Assignee
나파 테크날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파 테크날러지 filed Critical 나파 테크날러지
Publication of KR2013013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디스펜싱 시스템(25)을 포함하는 도어(10)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상에 설치된 가스 실린더(320)는 디스펜싱 시스템(25) 상의 포트(250, 200)로 조절된 가스 흐름을 제공한다. 이후, 디스펜스 헤드(4800, 5600)가 부착된 병(230)은 디스펜스 헤드(4800, 5600)의 밸브(6500)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변위되는 액체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 와인 디스펜서{REFRIGERATOR DOOR WINE DISPENSE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도어의 일부로서 합체된 음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냉장고는 부가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점증적으로 통합되는 기구이다. 예를 들면, 냉장고 또는 냉동고 도어는 전등, 얼음 및 물 디스펜서, 스낵 공급부로의 신속한 접근을 허용하는 접근 해치,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을 갖출 수 있다. 가정용 냉장고 용도로 기능을 배가시키기 위한 강한 동기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기능 중 한가지는 음료 디스펜서이다. 예를 들면, 많은 소비자들은 와인을 마신다. 일부의 와인은 매우 고가일 수 있음을 고려하면, 사용자들은 통상 와인이 적절하게 저장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당히 주의한다. 예를 들면, 와인 병이 개방되면, 와인은 공기와 반응할 것이고 이는 와인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병이 개방된 후 와인을 보존하기 위해 현재 소정의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구들은 통상 병 내의 공기를 와인과 반응하지 않거나 와인의 맛을 변경시키지 않는 소정의 가스(예, 질소)로 대체한다. 와인이 반응하지 않고 품질 저하되지 않도록 저장되는 것을 보장하는 한편, 와인이 분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음료 디스펜서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Napa Technology(미국, 캘리포니아, 산타 클라라 소재)에서는 상표명 WINESTATION®으로 판매되는 와인 디스펜싱 기계를 제조한다. 이 시스템은 미국 특허 US 7,712,631에 기술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와인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도록 와인이 보존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양의 와인의 분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인 분배 기능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냉장고 도어 상에 설치된 와인 디스펜서에 의해 달성된다. 냉장고는 힌지 연결되거나 피봇 가능하게 개방되는 도어를 가진다. 이 도어 상에는 실내 액체 디스펜서가 설치된다. 디스펜서 도어는 도크가 설치되는 내부 격실을 형성한다. 도크는 제2 도어를 통해 접근 가능할 수 있다. 도크는 가스 유입부가 액체 보유 컨테이너 상에 설치된 디스펜스 헤드와 짝을 이루도록 하는 가스 포트를 구비한다. 가스 도관에 의해 연결되고 냉장고 상에 장착된 가스 실린더로부터의 가스(바람직하게는 와인과 반응하지 않는 대체 가스)는 디스펜스 헤드로 공급된다. 액츄에이터가 밀릴 때에, 밸브가 개방되면서 가스가 실린더로부터 도관을 통해 포트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소정 용적의 액체가 이동되도록 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도어와 음료 디스펜서 도어마다, 음료 디스펜서 내부 격실 내에 담겨진 병을 볼 수 있게 하는 윈도우와 디스펜서의 내부 격실이 상온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통기구를 포함한다. 디스펜서 역시, 분배될 액체가 냉각될 수 있도록 내부 격실 내에 냉장고의 내부로 통하는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는 냉장고의 도어 내에 또는 냉장고 아래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스 도관은 도어의 힌지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는 따름(pour) 및 따름 방지 세팅을 갖는 보안 기구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는 (액체 디스펜싱을 차단하는 기계적 또는 전자적 메커니즘을 갖는) 키 로크, (액츄에이터 전자 장치 내에 프로그래밍된 코드와 같은) 전자 제어, 또는 기타 보안 수단일 수 있다. 보안 기구는 단일의 액체 컨테이너를 보유하기 위한 하나의 구획 또는 각기 하나의 도크, 하나의 가스 포트 및 하나의 제어부를 갖는 두 개 이상의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러한 기구를 사용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냉장고 도어 상에 와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냉동고 도어 쌍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a는 와인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화살표 A를 따른 세부를 보여주는 도 1의 상세도이다.
도 2는 냉장고 도어 상에 와인 디스펜서를 구비하고 와인병 삽입 도어가 개방된 냉장고/냉동고 도어 쌍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가스 실린더의 위치 결정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저면도이다.
도 4는 가스 라인을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디스펜스 헤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디스펜스 헤드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디스펜스 헤드 회전 밸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디스펜스 헤드와 디스펜스 헤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가스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미국 특허 US 7,712,613에 개시되고 해당 참조 문헌의 도 4-8에 예시된 디스펜스 헤드는 다수의 고유한 특징을 제공한다. 첫 번째, 디스펜스 헤드는 와인병에 부착되지만 디스펜스 헤드는 영구적으로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일부가 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 디스펜스 헤드는 와인병의 상부 내로 삽입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펜스 헤드는 가스 수용 유입 포트, 가스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시스템, 와인 따름 배출구(pour spout), 와인병 내로 연장되는 튜브를 포함한다. 유입 포트로부터의 가스류는 밸브가 적절히 정렬될 때 와인병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것은 병으로부터 조절된 양의 와인을 이동시킨다. 따름(pour) 기능에 따르면, 유입부로부터의 가스는 배출구로 보내져서 가스의 "바람(puff)"을 형성하고, 이는 와인을 배출구로부터 제거한다. 가스원이 다운 튜브 또는 배출구와 정렬되지 않도록 밸브가 회전되면, 와인병은 효과적으로 밀봉된다. 따라서, 디스펜스 헤드는 이렇게 밀봉된 병이 공기가 와인 내로 유입되지 않게 디스펜서 시스템의 도크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디스펜스 가스는 와인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선택된다(예, 질소).
와인이 분배될 때, 가스(예, 질소)의 스트림은 특정 양의 와인을 이동시킬 것이다. 이후 사용자 또는 분배자는 분배되는 와인을 특정량 선택할 수 있다(예, 1온스의 시음용, 4온스의 컵 절반량 또는 8온스의 컵 전체량). 가스 유동의 조절은 분배되는 와인의 양을 조절할 것이다.
도 1 및 도 1a를 참조하면, 냉장고 도어 상의 와인 또는 액체 디스펜싱 시스템이 도시된다. 이 시스템은 냉장고 도어(10)와 냉동고 도어(12)를 포함하는 양문형 냉장고/냉동고 상에 존재한다. 본 시스템은 상부 또는 하부 냉동고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물과 얼음 디스펜서도 예컨대 냉동고 도어 상에서 냉장고에 포함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는 도어 손잡이(20)와 힌지(16)를 포함한다. 냉장고 도어 상에는 와인 디스펜서(25)가 설치된다. 와인병은 와인 도어(30)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와인 도어(30) 상의 윈도우(32)는 와인 라벨을 볼 수 있게 한다. 와인 도어(30) 상의 로크(34)는 와인 도어(30)가 문단속되도록 한다.
와인 도어(30) 위로는 해치(40)가 존재한다. 이것은 (도 1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부로 또는 상부로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해치는 디스펜스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구(48)를 포함하여 디스펜스 헤드로 접근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5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54)을 포함한다. 이들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일 수 있어서 별도의 버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버튼(52)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구에서와 같이, 와인은 온도 제어될 수 있다. 와인병이 내장되는 와인 구획은 단일 공간이거나 두 개의 격실로 분리될 수 있다. 영역이 두 개 격실로 분리되면, 하나 또는 두 개의 격실은 냉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간단한 방법은 냉장고의 내부를 향하고 있는 격실의 벽이 개방될 수 있는 통기구[예, 도 2에 예시된 통기구(260)]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들 통기구를 개방하는 것은 격실을 냉장고 내부의 온도로 유지시킬 것이다. 추가로, 내부 통기구를 폐쇄하고 냉장고의 도어의 전방의 통기구[예, 도 1에 예시된 통기구(60)]를 개방하는 것은 와인병을 상온에 노출시킬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인 도어(30)와 배출구 패널(40)이 개방 상태인 와인 디스펜싱 기구가 예시된다. 배출구(48)는 디스펜스 헤드 스토퍼(240) 위에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와인병 안으로 연장되는 튜브(230)를 포함한다. 도크(200)는 도크 내에 와인병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가스 유입 포트(210)는 디스펜스 헤드 상의 가스 유입부가 유입 포트와 결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들은 디스펜스 헤드가 도크 내에 있을 때 함께 밀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밑면은 냉장고의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코일과, 정수된 물이 냉장고로부터 분배되도록 하고 제빙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정수 필터(310)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은 와인 디스펜서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실린더(320)를 포함한다. 가스 실린더는 냉장고의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스 실린더는 냉장고의 밑면 상의 리테이너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가스 라인(322)은 가스가 실린더(320)로부터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압력 게이지/밸브(326)와 조절기(324)를 통해 유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가스는 배출 라인(328)으로 흐른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 라인은 냉장고의 힌지를 통해 연장되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스를 와인 디스펜서로 공급한다. 힌지에서는 자기적 밀봉부(410)가 냉장고 도어를 확실하게 닫을 수 있게 한다. 힌지(16)는 튜브를 포함하고, 이 튜브 위에서 도어가 이동한다. 튜브 내에서 와이어(322)는 전력과 데이터가 와인 디스펜서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가스를 와인 디스펜싱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해 힌지 튜브 내에 가스 라인(32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다수의 가능한 반복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와인병은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와인 디스펜서는 분배 스토퍼 클립을 갖는 와인병이 병의 상부에 있거나 병의 측면에 있는 가스 유입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와인병이 냉장고 도어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와인병은 후방이 개방된 선반과 같은 영역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오직 냉각된 와인으로만 제한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와인은 냉장고의 내부로부터 격리된 통기구가 형성된 격실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냉각되지 않은 와인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이것은 도 1에 예시된다.
이러한 장치에 소정 종류의 보안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와인은 매우 고가임을 고려하면, 와인은 흘리거나 부주의로 분배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로, 일부 냉장고 소유자들은 어린이 또는 미성년 음주자가 와인에 접근하는 것을 염려할 수 있다. 이러한 염려를 다루기 위해, 냉장고 도어의 와인 디스펜서에 보안 기구를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는:
1.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와인 디스펜서 상에 버튼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버튼의 사용은 와인을 따르기 전에 사용자가 버튼을 특정 순서로 누르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제" 메커니즘은 현재 휴대 전화기 상에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 프롬프트(prompt)를 생성하기 위해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를 수 있다. 스크린은 와인을 따르는 것이 허용되기 전에 사용자가 추가의 버튼을 누르도록 유도할 것이다.
2. 키 엔트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1a 및 도 2의 기구는 키로 잠금될 수 있는 와인 엔트리 도어를 보여준다. 이러한 잠금 기구는 와인 개방, 와인 잠금 및 와인 따름의 3개의 위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는 잠금 메커니즘이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되고 와인병이 삽입될 수 있다. 잠금 위치(개방으로부터 1/4 회전)에서는 도어가 잠금되어 와인 디스펜서가 와인을 분배할 수 없게 된다. 따름 위치(잠금 위치로부터 키가 추가로 1/4 회전됨)에서는 도어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디스펜서가 와인이 분배될 수 있게 활성화될 것이다.
3. 카드 접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US 7,712,63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와인 디스펜서에 카드 리더기가 사용될 수 있다. 카드는 와인을 따르기 위해 슬롯 내에 배치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4. 무선을 포함한다. 블루투스, RFID 또는 기타 장치와 같은 무선 기기는 점차적으로 보편화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 키 또는 기타의 기구는 디스펜서와의 접촉 없이 판독될 수 있다. 이러한 기구는 시스템을 해제하고 와인 따름을 허용할 수 있다.
5. 생체 인식 보안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지문 스캐닝을 위해 기성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기술은 손님의 식별이 나중에 확인될 수 있도록 현재 회사 출입 신분증 스캐너/프린터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스캐너는 저전력이고 도면에 예시된 전원을 사용하여 전력 공급될 수 있다. 다른 생체 인식 보안(예, 망막)도 알려져 있다.
6. 음성 또는 이미지 인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안 기술도 상업적으로 유용하다. 와인 장치에 이를 통합하면 부가된 보안을 제공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스 유입부(4806)와 디스펜스 배출구(4804)를 구비하는 디스펜스 헤드(4800)가 예시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펜스 배출구(4804)는 가스 유입부(4806)의 반대쪽 측면 상에 위치된다. 가스 유입부(4806)는 디스펜싱 장치 상의 가스 공급 배출부와 기밀하게 결합됨으로써 가스 손실 없이 와인의 분배를 위한 가스 활용성을 보장할 수 있다. 튜브 마운트(4802)는 액체 흡입 튜브(4812)가 디스펜스 헤드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튜브는 살균되어야 하며 디스펜스 헤드가 설치되는 병에 적절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캡(4808)은 튜브(4812)가 병 내로 삽입시 병의 상부 위에서 연장되도록 설계된다. 해당 예시된 실시예에서, 가스 유입부(4806)는 디스펜스 배출구(4804) 반대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 디스펜스 헤드가 디스펜싱 장치 내에 설치된 병 위로 배치시, 가스 유입부(4806)는 가스 공급원과 결합되는 스톨부(stall)의 내부를 마주하고, 디스펜스 배출구는 사용자의 컵 안으로 부어질 수 있도록 스톨부 외부를 마주하게 된다. 가스 연결은 스톨부의 3개 측면 내 어디에도 있을 수 있음이 분명할 것이다. 그러나, 후방 벽 가스 연결은 병의 장착 및 잠금을 위해 가장 간단하다.
디스펜스 헤드의 상부는 밸브 조립체(4801)이다. 이 밸브 조립체는 가스와 액체류의 선택적인 제어를 허용한다. 밸브 조립체의 선택적인 회전은 예컨대 와인병 내의 액체를 따르거나 병으로부터 디스펜스 배출구(4808)로 조절된 양의 액체를 이동시키거나 가스 바람을 이용하여 디스펜스 배출구(4808)을 청소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구의 밑면에 디스펜스 배출구(5602)와 가스 흡입구(5610)가 있는 것이 예시된다. 스토퍼(5604)는 와인병 내로 삽입되고, 캡(5620)이 병목 주변에 배치된다. 스토퍼는 병목 내로 밀착 결합될 수 있게 하고 스토퍼가 병목 크기의 소정의 변화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테이퍼 릿지(5616)를 가질 수 있다. 가스 포트(5606)는 밸브에 의해 조절된 가스가 스토퍼(5604)의 밑면을 통해 병 내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 가스는 병의 상부에 유입된다. 이것은 가스가 액체를 통해 기포를 형성하지 않거나 가스 포트가 병 내의 액체와 접촉되지 않게 액체 위에 헤드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회전 밸브(6402)가 도 8에 매우 상세히 예시된다. 회전 밸브의 밑면 상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통로(6404)가 회전 밸브 내에 성형되어 있다. 도 4-8로부터, 이들 통로의 위치 설정과 흡입 튜브, 스토퍼 가스 유입부, 따름 배출구 및 가스 흡입부(예시된 바와 같이)에 의해 회전 밸브는 병으로의 보유, 가스 유입 또는 유출로부터 병의 밀봉, 가스 유도된 액체 디스펜싱, 병 안으로부터 가스의 제거, 또는 디스펜스 배출구를 청소하는 가스 "바람"을 허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회전 배출구의 통로는 도 4, 5, 6에 예시된 디스펜스 배출구, 액체 흡입 튜브 및 가스 유입부와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통로의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음의 기능이 내재적으로 유효하다.
1. 밸브의 회전으로 디스펜스 배출구 및 가스 흡입부 양측이 차단된다. 도 7에서, 이것은 예컨대 리세스 영역(6504)이 가스 유입 개구 위로 위치되고, 위치(6512)는 배출구 개구 위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코르크로서 기능하는 디스펜스 헤드로 병을 효과적으로 밀봉하며, 병 내의 압력을 유지한다. 이후 병은 디스펜서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되어 저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스 헤드는 단순한 마찰 저항에 의해 병 위에 유지되고, 밸브는 모터에 의해 이동되지 않으면 그 위치를 유지한다. 압축 가스(병 내에 있는 아르곤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 등)가 본 시스템에 의해 병 내로 유입되었으면, 병 내의 와인은 산화되지 않을 것이므로 다른 날짜에 제공될 수 있다.
2. 밸브의 회전으로 흡입 튜브를 통한 가스의 주입과 스토퍼 및 디스펜스 배출구를 통한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 이것은 예컨대 리세스 영역(6506)이 가스 흡입부의 개구로부터 제1 스토퍼 가스 유입부 내로 흐르도록 가스의 통로를 제공하도록 밸브의 회전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제2 리세스 영역(6510)은 제2 스토퍼 가스 유입부를 디스펜스 배출구로 연결한다. 이것은 병 내의 공기의 압력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중성 가스로 대체되도록 할 수 있다. 가스는 가스원으로부터 제1 스토퍼 가스 유입부를 통해 병 안으로 제2 스토퍼 가스 유입부 밖으로 그리고 배출구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3. 디스펜싱을 위해, 밸브는 스토퍼를 통해 가스 흐름이 행해지고 흡입 튜브를 통해 액체 흐름이 디스펜스 배출구로 행해질 수 있게 회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것은 가스 유입부로부터의 개구를 스토퍼 가스 유입부로 연결하도록 리세스 영역(6508)을 정렬하는 것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이것은 병 안으로 가스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체가 대체되도록 할 수 있다. 리세스 영역(6514)은 흡입 튜브 상부 개구를 따름 배출구와 연결함으로써 선택된 양의 액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시스템 내로 흐르는 가스의 용적은 분배되는 액체의 용적을 결정할 것이다.
4. 가스 흡입부로부터의 가스가 스토퍼를 우회하여 직접 디스펜스 배출구로 흐르도록 밸브가 정렬된다. 이것은 짧은 공기 바람을 일으켜 라인 내의 잔류 유체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따름 과정이 적절한 용적으로 행해지고 와인이 오염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2회를 초과하는 등의 밸브의 조절된 회전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개방 후 병으로부터 가스를 "퍼징"하기 위한 밸브 구성은 "바람"을 허용함으로써 따름 배출구 내의 임의의 잔류 액체를 가스원으로부터의 짧은 가스 바람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디스펜스 헤드의 다양한 특징 및 기능이 도 5-7에 예시된다. 디스펜스 헤드는 와인병 내에 삽입되고 와인병 내의 가스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유의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펜스 헤드는 일단 와인병 내에 도입되면 디스펜스 헤드(부착된 와인병과 함께)가 디스펜싱 장치 내에 배치되는 경우와 디스펜스 헤드와 와인병이 다른 곳으로의 보관을 위해 디스펜싱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모두 와인병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액체 위로 압력을 형성하는 와인병 내의 가스는 디스펜싱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불활성 가스이다. 이것은 통상 와인의 산화를 막게 되는 아르곤 또는 질소 등의 중성 가스이다. 이러한 보존 및 산화 방지는 원치 않는 와인의 품질 저하를 막는데 유리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펜스 헤드(4502)는 따름 배출구(4506)와 캡(4508)을 포함한다. 디스펜스 헤드(4502)는 슬롯(4582) 내에 끼워지는 몸체(4512)를 포함한다. 디스펜스 헤드(4502) 위로 회전 밸브(4533)는 드라이브 헤드(4530)에 의해 결합되는 드라이브 탭(4522)을 포함한다. 이 드라이브 헤드(4530)는 스테퍼 모터(454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이것은 밸브의 선택적인 제어를 가능케 한다. 일단 드라이브 헤드(4530)가 회전되면, 이 구성은 래치 도어와 함께 와인병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다중 레벨의 보안을 제공함을 이해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펜스 헤드는 와인병 위에 간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디스펜스 헤드가 와인병 내로 삽입되고 시스템으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디스펜싱이 유도된다. 그러나, 병과 디스펜스 헤드는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매우 쉽고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다. 병으로부터의 흐름은 아르곤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에 의해 유도된다.
다음의 특징은 와인 보존의 다양한 기본적 실시예의 일부일 수 있다: 냉각 유닛, 자동화된 와인 보존, 자동화된 따름(pour) 제어, 와인 거래 추적, 고객 스마트카드 제어, 고용인 스마트 카드 제어, 장치 관리, LCD 와인 식별 디스플레이, 상품화 관리, 제품/브랜드 관리, 현장 위치 관리, 고객 마케팅 관리, 재고 관리, 배급자/도매자 관리, 자동 체결 보안, UPC/바코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와인 평가 관리.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와인과 기타 액체가 보존 가스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용적으로 분배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 액체에 관한 데이터 및 정보를 수집, 제공, 관리 및 보고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스 헤드는 액체의 분배에 사용된다. 디스펜스 헤드의 여러 실시예에서, 디스펜스 헤드는 다양한 특징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디스펜스 헤드는 일회용일 수 있는데, 이는 디스펜싱 장치의 청소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디스펜스 헤드는 일단 디스펜싱 장치 내로 삽입되면 처음 개방시 병 내에 있는 최초의 공기를 질소나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최초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일단 이러한 제거가 완료되면, 디스펜스 헤드는 밀봉됨으로써 공기가 다시 병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병은 디스펜싱 장치 상의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미리 정해진 용적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은 장치에 신호를 보내, 불활성 가스가 병 안으로 유동되는 것을 개시하고 디스펜스 헤드 배출구에 대기중인 컵 안으로 원하는 액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원하는 용적의 액체를 따르게 된다. 디스펜스 헤드는 원하는 용적의 액체를 컵에 따른 후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디스펜스 헤드 배출구 내에 잔류하는 임의의 액체를 제거하는 퍼프(puff) 기능을 수행한다. 병 내의 최초 공기를 초기에 퍼징한 후, 병은 디스펜싱 장치로부터 언제라도 분리될 수 있고, 가스 흡입부 또는 디스펜스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다시 병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결국 액체를 보존할 수 있는 디스펜스 헤드의 능력에 기인하여 추후의 사용을 위해 보관될 수 있다. 디스펜스 헤드는 적정 용적이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내장식 감지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용적을 감지하는 하나의 방법은 따라지는 액체를 통한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디스펜스 헤드 배출구 내의 액체를 감지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스 탱크(1304, 1303)는 가스원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스 라인(1305)은 장치 외부에 있는 가스원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체크 밸브를 갖는 3:1 고압 매니폴드는 여러 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를 하나의 유출 라인 내로 합류시킨다. 가스 탱크(1304, 1303)는 가스 라인(1304b, 1306b) 각각에 의해 이러한 3:1 고압 매니폴드(1308)에 연결된다. 매니폴드(1308)는 고압 가스를 조절기(1320)로 송급한다. 유출 조절기는 연결부(1310)를 통해 제어 시스템으로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조절기는 가스 압력이 낮거나 보수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표시 전등 또는 다른 표시 시스템에도 연결될 수 있다. 조절기(1320)를 통과하는 가스는 라인(1340)에 의해 1:4 저압 매니폴드로 연결된다. 이러한 매니폴드(1350)는 하나의 가스원을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장치 내의 4개의 스톨부 각각에 공급하는 4개의 다른 라인으로 분할한다. 개별 가스 라인 각각은 배선(1360c, 1370c, 1380c) 각각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에 연결된다. 솔레노이드가 개방되면, 가스는 각각의 디스펜스 헤드(1360b, 1370b, 1380b)로 유동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의 개방과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선택된 양의 와인이 분배될 수 있다.

Claims (14)

  1. 온도 조절되는 내부 격실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피봇 가능하게 개방될 수 있는 냉장고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로서:
    실내 액체 음료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액체 음료 디스펜서는:
    상기 개방될 수 있는 냉장고 도어 상에 설치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 내의 음료 디스펜서 내부 격실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 디스펜서 도어와;
    상기 음료 디스펜서 내부 격실 내에 수용되고, 병 장착식 디스펜스 헤드의 도킹을 허용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도킹 위치를 가지는 도크와;
    상기 냉장고 상에 설치된 가스 실린더와;
    냉장고 도어 힌지에 포함되고 상기 가스 실린더로부터 상기 도크에 있는 가스 포트로 가스 흐름을 허용하도록 위치된 가스 라인으로서, 상기 가스 포트는 상기 디스펜스 헤드가 설치되는 병으로부터 액체의 이동 분배를 허용하도록 상기 디스펜스 헤드로 가스 흐름을 제공하는, 그러한 가스 라인과;
    상기 냉장고 상의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로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조절된 가스 흐름이 유도되어 선택된 용적의 액체를 분배하는, 그러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디스펜서 내부 격실은 온도 조절되는 내부 격실의 나머지 공간으로부터 폐쇄되고, 상기 음료 디스펜서 내부 격실은 개방 가능한 통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 가능한 통기구의 개방을 통해 상기 음료 디스펜서 내부 격실이 냉장고 내부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인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디스펜서 도어는 상기 음료 디스펜서 내부 격실 내에 담겨진 병을 볼 수 있게 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인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실린더는 상기 냉장고의 밑면 상의 리테이너 위에 위치되는 것인 냉장고.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료 분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실내 액체 음료 디스펜서 상에 보안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기구는 키 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키 로크는 액체가 분배되지 않는 잠금 위치와 와인이 분배되는 따름(pour) 위치를 가지는 것인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기구는 따름/따름 방지 세팅의 전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액체 음료 디스펜서는 적어도 두 개의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 각각은 각각의 포트가 하나의 병을 디스펜스 헤드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하고 별도로 각각의 디스펜스 헤드로부터 액체의 분배가 허용되도록 하나의 도크, 하나의 가스 포트 및 하나의 제어부를 갖는 것인 냉장고.
  9. 액체를 분배하는 방법으로서:
    디스펜스 헤드를 와인병에 부착하는 단계와;
    디스펜스 헤드가 장착된 상기 와인병을 냉장고 도어 상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내부 격실 내의 도크 내로 도킹시키는 단계와;
    상기 디스펜스 헤드 상의 따름 배출구(pour spout)로부터의 가스 및 액체 흐름에 의해 액체가 이동되도록 냉장고 상에 설치된 가스 탱크로부터 냉장고 도어 힌지에 포함된 가스 도관을 통해 상기 도크에 위치된 가스 포트로 가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와인병이 상온으로 온도 조절되도록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음료 디스펜서 도어에 있는 통기구를 개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내부 격실은 냉장고 내부의 나머지로부터 폐쇄되는 것인 액체 분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상기 내부 격실이 냉장고 내부와 유체 연통되도록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상기 내부 격실에 있는 통기구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체 분배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병이 기밀식 밀봉부를 갖도록, 디스펜스 헤드가 장착된 상기 와인병 위의 회전 가능한 밸브를 회전시키고, 디스펜스 헤드가 장착된 상기 와인병을 도크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와인병을 상기 냉장고의 내부 격실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액체 분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 상의 보안 기구를 따름 방지 기능으로부터 따름 기능으로 변경시키는 초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액체 분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기구의 변경은 전자적으로 행해지는 것인 액체 분배 방법.
KR1020137010190A 2010-09-23 2011-09-23 냉장고 도어 와인 디스펜서 KR101895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562410P 2010-09-23 2010-09-23
US61/385,624 2010-09-23
US13/241,053 2011-09-22
US13/241,053 US9146054B2 (en) 2010-09-23 2011-09-22 Refrigerator door wine dispenser
PCT/US2011/053007 WO2012040589A1 (en) 2010-09-23 2011-09-23 Refrigerator door wine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178A KR20130133178A (ko) 2013-12-06
KR101895088B1 true KR101895088B1 (ko) 2018-09-04

Family

ID=4587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190A KR101895088B1 (ko) 2010-09-23 2011-09-23 냉장고 도어 와인 디스펜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46054B2 (ko)
KR (1) KR101895088B1 (ko)
CN (1) CN103261030B (ko)
HK (1) HK1187873A1 (ko)
WO (1) WO2012040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6474B2 (en) 2013-03-14 2016-06-14 Whirlpool Corporation Water filtration purge indication
US9708575B2 (en) 2014-12-17 2017-07-18 Wine Plu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ne processing
US10947099B2 (en) 2014-12-17 2021-03-16 Wine Plum,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0258937B2 (en) 2014-12-17 2019-04-16 Wine Plu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ne preservation
US10899593B2 (en) * 2014-12-17 2021-01-26 Wine Plum,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KR102405446B1 (ko) 2015-08-10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전자 장치
US9702617B2 (en) 2015-11-05 2017-07-1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US11795046B2 (en) 2015-11-25 2023-10-24 Coravin, Inc. Beverage dispenser with container engagement features
CN111960370B (zh) * 2015-11-25 2022-07-05 科拉温股份有限公司 具有控制器的饮料抽取器
USD805829S1 (en) * 2015-12-29 2017-12-26 Wine Plum, Inc. Dispenser
USD805340S1 (en) * 2015-12-29 2017-12-19 Wine Plum, Inc. Dispenser
US10399842B2 (en) 2016-01-15 2019-09-03 Raoul HENRIQUEZ Portable spirit dispenser
US10196255B2 (en) 2016-01-15 2019-02-05 Raoul HENRIQUEZ Portable wine dispenser
US10384920B2 (en) 2016-01-15 2019-08-20 Raoul HENRIQUEZ Portable spirit dispenser
US10146495B2 (en) * 2016-12-21 2018-12-04 Curt A Nizzoli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10865092B1 (en) * 2019-08-06 2020-12-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odular beverage-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CN113148405A (zh) * 2021-03-11 2021-07-23 盈加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用于酒类保鲜装置的取酒装置
US11724221B2 (en) * 2021-03-18 2023-08-15 Global Industrial Distribution Inc. Filter key for fountain access do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7505A1 (en) * 2000-06-08 2006-07-20 Crisp Harry L Iii Refrigerator which removably holds a drink supply container having a valve co-acting with an engager
WO2007007144A1 (en) 2005-07-11 2007-01-18 Antonio Merloni S.P.A. Refrigerator for food storage, preferably for household use
US20090218365A1 (en) * 2006-02-07 2009-09-03 Napa Technology Method and device for liquid dispensing
US20110000250A1 (en) 2008-12-22 2011-01-06 Sommerfield Matthew A Beverage preservation and dispensing apparatus incorporated within a refrigerator do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2489A (en) * 1966-02-01 Portable cooler cabinet construction
US2414047A (en) * 1944-12-14 1947-01-07 Lantieri Frank Spray head fastening device
US2880971A (en) * 1957-02-21 1959-04-07 Gen Motors Corp Refrigerator butter compartment
US3599833A (en) * 1969-08-07 1971-08-17 Arthur Reichenberger Liquid dispenser and recorder means
BE754691A (fr) * 1969-08-15 1971-01-18 Derby Anstalt Distributeur automatique de boissons a manipulation par cles
US3688947A (en) * 1971-05-03 1972-09-05 Mccann S Eng And Mfg Co Inc Liquid dispenser and recorder means
US4595121A (en) * 1984-09-10 1986-06-17 Sheldon Schultz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preserving bottled degradable liquids such as wine and the like
US4982876A (en) * 1986-02-10 1991-01-08 Isoworth Limited Carbonation apparatus
US4836414A (en) * 1986-05-02 1989-06-06 The Coca-Cola Company Premix dispensing system
US4932561A (en) * 1986-10-24 1990-06-12 Boxall Stanley S Beverage cool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5139179A (en) * 1990-10-09 1992-08-18 Cecil Kenneth B Apparatus for dispensing and preserving liquids
US5791517A (en) * 1996-02-21 1998-08-11 Menachem M. Deren Beverage dispenser device
US6422422B1 (en) * 2000-09-18 2002-07-23 Ludlow D. Forbes Automatic bar
US6607100B2 (en) * 2001-11-26 2003-08-19 Vin Valet, Inc. Wine or champagne preservation and dispensing apparatus
US7114634B2 (en) * 2004-02-05 2006-10-03 Ghasem Azodi Fizz retain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KR100596569B1 (ko) * 2004-12-06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080251536A1 (en) * 2007-04-12 2008-10-16 Kam-Lai Wong Bottled beverage dispenser
FR2915864B1 (fr) * 2007-05-11 2009-07-03 Eurocave Sa Sa Appareil menager de conservation de bouteilles,notamment de bouteilles de vin debouchees et/ou partiellement consomme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7505A1 (en) * 2000-06-08 2006-07-20 Crisp Harry L Iii Refrigerator which removably holds a drink supply container having a valve co-acting with an engager
WO2007007144A1 (en) 2005-07-11 2007-01-18 Antonio Merloni S.P.A. Refrigerator for food storage, preferably for household use
US20090218365A1 (en) * 2006-02-07 2009-09-03 Napa Technology Method and device for liquid dispensing
US20110000250A1 (en) 2008-12-22 2011-01-06 Sommerfield Matthew A Beverage preservation and dispensing apparatus incorporated within a refrigerator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46054B2 (en) 2015-09-29
KR20130133178A (ko) 2013-12-06
WO2012040589A1 (en) 2012-03-29
US20120080445A1 (en) 2012-04-05
CN103261030A (zh) 2013-08-21
HK1187873A1 (zh) 2014-04-17
CN103261030B (zh)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088B1 (ko) 냉장고 도어 와인 디스펜서
CA2677524C (en) Method and device for liquid dispensing
US9090446B2 (en) Appliance with dispenser
US6848600B1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carbonated and non-carbonated water supplier
US6896159B2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fluid director
US7337924B2 (en) Refrigerator which removably holds a drink supply container having a valve co-acting with an engager
CN111801283A (zh) 饮料分配器系统和方法
WO2016164879A1 (en) Fluid dispensing system
US6651852B2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WO2003048027A2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20230064119A1 (en) In-store beverage container filling arrangement
CA2310399A1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U2014202558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