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208A -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 Google Patents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208A
KR20160005208A KR1020140083474A KR20140083474A KR20160005208A KR 20160005208 A KR20160005208 A KR 20160005208A KR 1020140083474 A KR1020140083474 A KR 1020140083474A KR 20140083474 A KR20140083474 A KR 20140083474A KR 20160005208 A KR20160005208 A KR 20160005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terminals
breaker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373B1 (ko
Inventor
이기관
이재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리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리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리계전
Priority to KR102014008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3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부하측과 연결되는 부하측연결부와, 복수 개의 케이블들이 연결되는 케이블인출부를 포함하는 바디 케이스; 상기 케이블인출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바디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단자어셈블리;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하측연결부와 연결되는 누전차단기; 상기 누전차단기와 상기 단자어셈블리를 연결하는 통합단자들; 상기 바디 케이스를 복개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어셈블리는 몰드 바디; 상기 몰드 바디의 한쪽에 인서트 몰딩되며, 상기 통합단자들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인출부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중간단자들; 상기 몰드 바디의 다른 한쪽에 인서트 몰딩되며, 한쪽은 상기 통합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누전차단기측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차단기측 단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 부품을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조립 공정수를 대폭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TERMINAL ASSEMBLY AND STREET LAMP HAVING THE SMAE}
본 발명은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이 구비된 가로등주와 같은 도로시설물은 지하에 매설된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가로등이 점등되는 것으로, 누전차단장치가 구비된 접속함이 가로등주에 설치되어 접속함에 전원케이블과 도로시설물의 전선이 각각 연결하여 도로시설물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다수 개의 가로등주에 각각 구비된 접속함에는 가로등들을 연속적으로 전원을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전원케이블이 연결되고 전원케이블들은 누전차단장치를 거쳐 가로등에 연결되는 전선과 연결된다. 전선은 접속함에 연결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5141호(2011. 12. 09. 공개일)에는 가로등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함이 개시되어 있다.
접속함은 복수 개의 전원케이블을 연결시키는 단자들과 누전차단기를 연결시키는 단자들이 구비되므로 단자들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가로등주에 설치되는 접속함은 비가올 경우 빗물에 의해 감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잡한 실링 구조가 구비된다.
접속함의 단자들 구성과 실링 구성이 복잡하게 되므로 구성 부품이 많아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조립 작업이 난해하여 조립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또한, 현장에서 가로등주에 접속함을 설치시 가로등주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전선케이블들 및 전선의 연결 작업이 테이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설치하는 작업이 난해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품을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성능을 높이는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키는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을 제공함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몰드 바디; 상기 몰드 바디의 한쪽에 인서트 몰딩된 복수 개의 중간단자들; 상기 몰드 바디의 다른 한쪽에 인서트 몰딩된 복수 개의 차단기측 단자들;을 포함하는 단자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중간단자들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2,3,4 중간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2,3,4 중간단자들은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와 상기 케이블연결부에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통합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3 중간단자들의 각 연장부는 절곡되어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엇갈리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기측 단자들은 제1,2 차단기측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차단기측 단자는 각각 상기 몰드 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의 한쪽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차단기측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의 다른 한쪽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통합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하측과 연결되는 부하측연결부와, 복수 개의 케이블들이 연결되는 케이블인출부를 포함하는 바디 케이스; 상기 케이블인출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바디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단자어셈블리;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하측연결부와 연결되는 누전차단기; 상기 누전차단기와 상기 단자어셈블리를 연결하는 통합단자들; 상기 바디 케이스를 복개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어셈블리는 몰드 바디; 상기 몰드 바디의 한쪽에 인서트 몰딩되며, 상기 통합단자들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인출부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중간단자들; 상기 몰드 바디의 다른 한쪽에 인서트 몰딩되며, 한쪽은 상기 통합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누전차단기측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차단기측 단자들;을 포함하는 가로등 접속함이 제공된다.
상기 바디 케이스의 전면에 상기 통합단자들이 각각 위치하는 점검구들과, 상기 케이블인출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용 볼트가 위치하는 접속구들이 구비되며, 상기 점검구들과 접속구들을 한 개의 커버로 커버하는 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어셈블리는 상기 점검구들과 접속구들에 상응하는 수의 실링돌기들이 구비되어 상기 점검구들과 접속구들을 커버하는 일체형커버와, 상기 일체형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기 일체형커버를 상기 바디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조임볼트와, 상기 점검구들과 접속구들의 각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실링돌기에 의해 밀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체형커버를 바디 케이스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바디 케이스에 구비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일체형커버와 상기 걸림돌기를 연결하며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어셈블리는 중간단자들과 차단기측 단자들과 몰드 바디로 구성되므로 구성 부품이 간단하고, 또한 중간단자들과 차단기측 단자들이 몰드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부품 조립 공정수가 매우 적게 된다. 아울러, 단자어셈블리가 바디 케이스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단자어셈블리와 바디 케이스를 결합시키기 위한 부품의 구성을 배제하여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작 단가를 대폭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어셈블리는 중간단자들과 차단기측 단자들이 몰드 바디와 일체로 구성되고, 단자어셈블리가 바디 케이스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단자어셈블리쪽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단자어셈블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단자가 위치하는 점검구들과 접속용 볼트가 삽입되는 접속구들을 일체형커버로 커버하고 조임볼트로 일체형커버를 바디 케이스의 전면에 가압시켜 일체형커버의 실링돌기들이 점검구들의 각 테두리와 접속구들의 각 테두리에 구비된 실링들을 밀착하여 점검구들과 접속구들을 실링하게 되므로 점검구들과 접속구들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을 구성하는 바디 케이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을 구성하는 바디 케이스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을 구성하는 단자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을 구성하는 단자어셈블리의 중간단자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을 구성하는 단자어셈블리의 차단기측 단자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의 점검구와 접속구들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을 구성하는 일체형커버를 도시한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을 구성하는 커버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을 구성하는 바디 케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접속함을 구성하는 바디 케이스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2,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의 일실시예는, 바디 케이스(100), 단자어셈블리(200), 누전차단기(300), 통합단자(400), 바디 커버(500)를 포함한다.
바디 케이스(100)의 일예로, 바디 케이스(100)는 한쪽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부(110)와, 케이스부(1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되는 부하측연결부(120)와, 케이스부(110)의 다른 한쪽 측면에 구비되는 케이블인출부(130)를 포함한다. 케이블인출부(130)는 복수 개의 인출구(131)들로 구성된다. 부하측연결부(120)가 구비된 면을 상면이라 하고 케이블인출부(130)가 구비된 면을 하면이라 한다. 부하측연결부(120)에는 부하와 연결되고, 케이블인출부(130)에는 케이블(미도시)들이 각각 연결된다. 케이스부(110)를 정면에서 볼 때 한쪽의 변의 길이가 다른 한쪽 변의 길이보다 작은 직사각형 형상이며, 길이가 긴 쪽이 상,하면쪽이 된다.
그리고 케이스부(110)의 전면 한쪽에 직사각형 형태로 돌출되며 내부 공간을 갖는 차단기 삽입부(140)가 구비되고, 차단기 삽입부(140)의 아래에 복수 개의 점검구(150)들이 구비되고, 점검구(150)들 아래에 복수 개의 접속구(160)들이 구비된다. 차단기 삽입부(140)는 한쪽 변이 다른 한쪽 변보다 짧으며, 차단기 삽입부(140)의 긴 변이 케이스부(110)의 긴 변과 평행하도록 위치한다. 차단기 삽입부(140)의 전면에 누전차단기(300)의 스위치가 관통하는 구멍이 구비된다. 점검구(150)는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접속구(160)들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구(150)와 접속구(160)는 각각 가장자리에 균일한 두께와 높이를 갖는 링 형상의 환형돌기(151)(161)가 구비된다.
단자어셈블리(200)는 바디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단자어셈블리(200)의 일예로, 단자어셈블리(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 바디(210)와, 몰드 바디(210)의 한쪽에 인서트 몰딩되는 복수 개의 중간단자들(220A)(220B)(220C)(220D)과, 몰드 바디(210)의 다른 한쪽에 인서트 몰딩되는 복수 개의 차단기측 단자들(230A)(230B);을 포함한다. 중간단자들은 일렬로 배열됨이 바람직하고, 중간단자들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네 개의 중간단자들을 순서적으로 제1,2,3,4 중간단자(220A)(220B)(220C)(220D)라고 한다.
제1,4 중간단자들(220A)(220D)은 각각,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221)와, 케이블연결부(221)에 일자 형태로 연장된 연장부(222)와, 연장부(222)의 단부에 구비되는 통합단자 연결부(223)를 포함한다. 케이블연결부(221)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육면체의 측면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일정 깊이의 삽입홀(H1)이 형성되고 육면체의 상면에 일정 깊이를 갖는 나사홀(H2)이 구비되며, 삽입홀(H1)과 나사홀(H2)은 서로 연통된다. 연장부(222)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통합단자 연결부(223)는 내부에 작은나사홀(H3)이 형성된 환봉 형상으로 연장부(222)의 한 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3 중간단자들(220B)(220C)은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221)와, 케이블연결부(221)에 연장된 연장부(224)와, 연장부(224)의 단부에 구비되는 통합단자 연결부(223)를 포함하되, 제2,3 중간단자들(220B)(220C)의 각 연장부(224)는 절곡되어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엇갈리게 위치한다. 케이블연결부(221)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육면체의 측면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일정 깊이의 삽입홀(H1)이 형성되고 육면체의 상면에 일정 깊이를 갖는 나사홀(H2)이 구비되며, 삽입홀(H1)과 나사홀(H2)은 서로 연통된다. 연장부(224)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통합단자 연결부(223)는 내부에 작은나사홀(H3)이 형성된 환봉 형상으로 연장부(224)의 한 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3 중간단자들(220B)(220C)의 연장부(224)가 절곡된 형태이므로 제2 중간단자(220B)의 케이블연결부(221)에 인접하게 제3 중간단자(220C)의 통합단자 연결부(223)가 위치하고 제3 중간단자(220C)의 케이블연결부(221)에 인접하게 제2 중간단자(220B)의 통합단자 연결부(223)가 위치한다. 이로 인하여, 제1,2,3,4 중간단자들(220A)(220B)(220C)(220D)의 케이블연결부(221)의 배열 순서는 순차적으로 제1,2,3,4 중간단자 케이블연결부(221)가 되고, 제1,2,3,4 중간단자들(220A)(220B)(220C)(220D)의 통합단자 연결부(223)의 배열 순서는 순차적으로 제1,3,2,4 중간단자 통합단자 연결부(223)가 된다.
차단기측 단자는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두 개의 차단기측 단자를 제1,2 차단기측 단자(230A)(230B)라 한다. 제1,2 차단기측 단자(230A)(230B)는 서로 같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제1,2 차단기측 단자(230A)(230B)는 각각 몰드 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판부(231)와, 베이스판부(231)의 한쪽에 구비되어 누전차단기(300)와 연결되는 차단기측 연결부(232)와, 베이스판부(231)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어 통합단자(400)와 연결되는 통합단자 연결부(233)를 포함한다. 차단기측 연결부(232)는 베이스판부(231)의 한쪽면에 환봉 형태로 돌출된 형상이며 내부에 작은나사홀(H4)이 구비된다. 통합단자 연결부(233)는 베이스판부(231)의 다른 한쪽면에 환봉 형태로 돌출된 형상이며 내부에 작은나사홀(H4)이 구비된다.
제1,2 중간단자들(220A)(220B)에 인접하게 제1 차단기측 단자(230A)가 구비되고, 제3,4 중간단자들(220C)(220D)에 인접하게 제2 차단기측 단자(230B)가 구비된다. 한편, 제2,3 중간단자들(220B)(220C)의 연장부(224)가 절곡된 형상이므로 제1,3 중간단자(220A)(220C)의 통합단자 연결부(223) 서로 인접하고 또한 제1,3 중간단자(220A)(220C)의 통합단자 연결부(223)들의 인접하게 제1 차단기측 단자(230A)의 통합단자 연결부(233)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2,4 중간단자(220B)(220D)의 통합단자 연결부(223)는 서로 인접하고 또한 제2,4 중간단자(220B)(220D)의 통합단자 연결부(223)들의 인접하게 제2 차단기측 단자(230B)의 통합단자 연결부(233)가 위치한다.
단자어셈블리(200)가 바디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단자어셈블리(200)의 제1,2,3,4의 중간단자들(220A)(220B)(220C)(220D)의 케이블연결부(221)의 나사홀(H2)은 바디 케이스(100)의 접속구(160)들과 각각 연통되고, 단자어셈블리(200)의 제1,2,3,4의 중간단자들(220A)(220B)(220C)(220D)의 케이블연결부(221)의 삽입홀(H1)은 바디 케이스(100)의 케이블인출부(130)의 인출구(131)들과 각각 연통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3 중간단자(220A)(220C)의 통합단자 연결부(223)들과 제1 차단기측 단자(230A)의 통합단자 연결부(233)는 바디 케이스(100)의 한 개의 점검구(150)에 내부에 돌출되게 위치하고, 제2,3 중간단자(220B)(220C)의 통합단자 연결부(223)들과 제2 차단기측 단자(230B)의 통합단자 연결부(233)는 바디 케이스(100)의 다른 한 개의 점검구(150)에 내부에 돌출되게 위치한다.
단자어셈블리(200)는 바디 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디 케이스(100)와 단자어셈블리(200)는 인서트몰딩에 의해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누전차단기(300)는 과부하가 작용시 전원 회로를 차단시킨다. 누전차단기(300)는 본체(310)와, 본체(3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스위치(320)를 포함한다. 누전차단기(300)는 바디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하되, 바디 케이스(100)의 차단기 삽입구(140) 내부에 위치하며, 스위치(320)는 바디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누전차단기(300)의 한쪽은 부하측연결부(120)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단자어셈블리(200)의 제1,2 차단기측 단자(230A)(230B)의 차단기측 연결부(232)에 연결된다. 누전차단기(300)와 부하측연결부(120)는 와이어들(미도시)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고, 누전차단기(300)와 제1,2 차단기측 단자들(230A)(230B) 또한 와이어들(미도시)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누전차단기(300)의 길이 방향이 바디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바디 케이스(100)의 폭을 감소시켜 가로등주에 삽입이 편리하게 되고, 한편 가로등주의 외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합단자(400)는, 도 2,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어셈블리(200)의 중간단자들과 차단기측 단자(들)를 연결시킨다. 통합단자(400)는 3개의 발이 구비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통합단자(400)는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개의 통합단자는 바디 케이스(100)의 한 개의 점검구(150) 내에 위치하는 제1,3 중간단자(220A)(220C)의 통합단자 연결부(223)들과 제1 차단기측 단자(230A)의 통합단자 연결부(233)를 연결시키고, 다른 한 개의 통합단자(400)는 바디 케이스(100)의 다른 한 개의 점검구(150) 내에 위치하는 제2,4 중간단자(220B)(220D)의 통합단자 연결부(223)들과 제2 차단기측 단자(230B)의 통합단자 연결부(233)를 연결시킨다.
바디 커버(500)는 바디 케이스(100)의 내부를 복개하도록 바디 케이스(100)에 결합된다. 바디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바디 커버(500)의 결합면에 실링홈(미도시)이 구비되고, 실링홈에 각형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바디 케이스(100)의 전면에 바디 케이스(100)의 점검구(150)들과 접속구(160)들을 한 개의 뚜껑으로 개폐하는 커버어셈블리(600)가 구비된다. 커버어셈블리(600)는 점검구(150)들과 접속구(160)들을 커버하는 일체형커버(610)와, 일체형커버(610)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바디 케이스(10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일체형커버(610)를 바디 케이스(100)에 고정시키는 조임볼트(620)와, 점검구(150)들과 접속구(160)들에 각 둘레에 구비되는 환형실링부재(R1)(R2)를 포함한다.
일체형커버(61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점검구(150)들과 접속구(160)들에 상응하는 수의 실링돌기들(611)(612)이 구비되며 가운데 부분에 조임볼트(62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관통구멍(613)이 구비된다. 점검구(150)의 환형돌기(151)에 상응하는 실링돌기(611)는 점검구(150)의 환형돌기(15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균일한 두께와 높이를 갖는 환형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접속구(160)에 상응하는 실링돌기(612)는 접속구(160)의 환형돌기(16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균일한 두께와 높이를 갖는 환형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임볼트(620)는 핸들부(621)와, 핸들부(621)의 가운데에 구비되는 수나사부(622)를 포함한다. 조임볼트(620)의 수나사부(622)가 일체형커버(610)의 관통구멍(613)에 관통된다. 바디 케이스(100)의 전면에 조임볼트(620)가 체결되는 너트(1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111)는 바디 케이스(100)의 전면에 고정된다. 일체형커버(610)의 실링돌기들(611)(612)이 점검구(150)들과 접속구(160)들을 복개하도록 일체형커버(610)가 바디 케이스(100)의 전면에 결합되고, 조임볼트(620)를 너트(111)에 체결함에 의해 일체형커버(610)가 바디 케이스(100)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점검구(150)들과 접속구(160)들을 복개한다. 이때, 점검구(150)의 환형돌기(151)들과 접속구(160)의 환형돌기(161)들이 일체형커버(610)의 실링돌기들(611)(612)에 각각 삽입되고 실링돌기들(611)(612)이 각각 환형실링부재(R1)(R2)를 가압함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커버어셈블리(600)는 일체형커버(610)를 바디 케이스(10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수단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 케이스(100)의 케이스부(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걸림돌기(631)와, 걸림돌기(631)와 일체형커버(610)를 연결하며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부재(632)를 포함한다. 연결부재(632)는 고무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632)의 한쪽 단부가 걸림돌기(6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른 한쪽 단부는 일체형커버(6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수단은 커버어셈블리(600)의 일체형커버(610)를 바디 케이스(10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도 일체형커버(610)를 바디 케이스(100)에 연결시킨다.
바디 케이스(100)의 전면에 통전확인 엘이디(L)들이 구비된다. 또한, 바디 케이스(100)의 내부에 PLC 기반의 선로절체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바디 케이스(100)의 케이블인출부(130)의 인출구(131)를 통해 단자어셈블리(200)의 중간단자들의 삽입홀(H1)에 각각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어셈블리(200)의 중간단자들의 각 나사홀(H2)에 접속용 볼트(미도시)가 체결됨에 의해 케이블을 중간단자에 연결시킨다. 케이블인출부(130)의 인출구(131)에 구비된 연결돌기에 압입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패킹(P)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어셈블리(200)는 중간단자들(220A)(220B)(220C)(220D)과 차단기측 단자들(230A)(230B)과 몰드 바디(210)로 구성되므로 구성 부품이 간단하고, 또한 중간단자들(220A)(220B)(220C)(220D)과 차단기측 단자들(230A)(230B)이 몰드 바디(210)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부품 조립 공정수가 매우 적게 된다. 아울러, 단자어셈블리(200)가 바디 케이스(100)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단자어셈블리(200)와 바디 케이스(100)를 결합시키기 위한 부품의 구성을 배제하여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작 단가를 대폭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어셈블리(200)는 중간단자들(220A)(220B)(220C)(220D)과 차단기측 단자들(230A)(230B)이 몰드 바디(210)와 일체로 구성되고, 단자어셈블리(200)가 바디 케이스(100)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단자어셈블리(200) 쪽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단자어셈블리(2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단자(400)가 위치하는 점검구(150)들과 접속용 볼트가 삽입되는 접속구(160)들을 일체형커버(610)로 커버하고 조임볼트(620)로 일체형커버(610)를 바디 케이스(100)의 전면에 가압시켜 일체형커버(610)의 실링돌기들(611)(612)이 점검구(150)들의 각 테두리와 접속구(160)들의 각 테두리에 구비된 실링들(R1)(R2)을 밀착하여 점검구(150)들과 접속구(160)들을 실링하게 되므로 점검구(150)들과 접속구(160)들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일체형커버(610)가 연결수단에 의해 바디 케이스(100)에 연결되므로 일체형커버(610)의 조립과 분리가 편리하고 일체형커버(610) 및 조임볼트(620)의 분실을 방지하게 된다.
100: 바디 케이스 200; 단자어셈블리
300; 누전차단기 400; 통합단자
500; 바디커버 210; 몰드 바디

Claims (7)

  1. 몰드 바디;
    상기 몰드 바디의 한쪽에 인서트 몰딩된 복수 개의 중간단자들;
    상기 몰드 바디의 다른 한쪽에 인서트 몰딩된 복수 개의 차단기측 단자들;을 포함하는 단자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자들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2,3,4 중간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2,3,4 중간단자들은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와 상기 케이블연결부에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통합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3 중간단자들의 각 연장부는 절곡되어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엇갈리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차단기측 단자들은 제1,2 차단기측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차단기측 단자는 각각 상기 몰드 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의 한쪽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차단기측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의 다른 한쪽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통합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자어셈블리.
  4. 부하측과 연결되는 부하측연결부와, 복수 개의 케이블들이 연결되는 케이블인출부를 포함하는 바디 케이스;
    상기 케이블인출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바디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단자어셈블리;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하측연결부와 연결되는 누전차단기;
    상기 누전차단기와 상기 단자어셈블리를 연결하는 통합단자들;
    상기 바디 케이스를 복개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어셈블리는 몰드 바디;
    상기 몰드 바디의 한쪽에 인서트 몰딩되며, 상기 통합단자들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인출부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중간단자들;
    상기 몰드 바디의 다른 한쪽에 인서트 몰딩되며, 한쪽은 상기 통합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누전차단기측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차단기측 단자들;을 포함하는 가로등 접속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케이스의 전면에 상기 통합단자들이 각각 위치하는 점검구들과, 상기 케이블인출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용 볼트가 위치하는 접속구들이 구비되며, 상기 점검구들과 접속구들을 한 개의 커버로 커버하는 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로등 접속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어셈블리는 상기 점검구들과 접속구들에 상응하는 수의 실링돌기들이 구비되어 상기 점검구들과 접속구들을 커버하는 일체형커버와, 상기 일체형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기 일체형커버를 상기 바디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조임볼트와, 상기 점검구들과 접속구들의 각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실링돌기에 의해 밀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가로등 접속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커버를 바디 케이스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바디 케이스에 구비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일체형커버와 상기 걸림돌기를 연결하며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가로등 접속함.
KR1020140083474A 2014-07-04 2014-07-04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KR101591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474A KR101591373B1 (ko) 2014-07-04 2014-07-04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474A KR101591373B1 (ko) 2014-07-04 2014-07-04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08A true KR20160005208A (ko) 2016-01-14
KR101591373B1 KR101591373B1 (ko) 2016-02-04

Family

ID=5517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474A KR101591373B1 (ko) 2014-07-04 2014-07-04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3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707B1 (ko) 2016-10-11 2017-02-08 김영일 회전가능한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함체
KR102531342B1 (ko) * 2022-12-20 2023-05-12 주식회사 이너스텍 가로등 방수 접속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141B1 (ko) 2009-10-16 2011-12-16 신재식 도로시설물용 방수형 전선 접속함
KR100978866B1 (ko) * 2010-01-21 2010-08-30 남호전기(주)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KR101119409B1 (ko) 2010-07-16 2012-02-22 라도엽 배선용 방수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707B1 (ko) 2016-10-11 2017-02-08 김영일 회전가능한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함체
KR102531342B1 (ko) * 2022-12-20 2023-05-12 주식회사 이너스텍 가로등 방수 접속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373B1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799B2 (en) Seal member and a charging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EP2423028B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N103181030B (zh) 电气穿墙端子
US20140199870A1 (en) Structure of highly waterproof connector for easy conduction between ground pin and body
KR200422905Y1 (ko) 방우형 듀얼 멀티 아웃렛
JP2018116896A (ja) コネクタ
US20150263445A1 (en) Electrical contact plug and plug housing
KR101591373B1 (ko)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CN204928068U (zh) 电缆防水接线盒
US20180269602A1 (en) Electrical power accessory
KR101376294B1 (ko) 전선 커넥터
CN203218817U (zh) 插拔式接线盒
KR101882391B1 (ko)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US6520790B2 (en) Waterproofing configuration for a lighting fixture
KR101873171B1 (ko) 경관조명용 전선 접속함
KR101119409B1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KR101754504B1 (ko) 도로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KR200369057Y1 (ko) 방우 및 휴대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379569Y1 (ko) 지중 저압개폐기
KR100711831B1 (ko)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CN204361383U (zh) 一种电连接器及线缆连接器组合
KR200406416Y1 (ko) 2극 차단 접속콘센트의 개량구조
CN103021740B (zh) 带有漏电保护功能的断路器
KR102314159B1 (ko) 스마트 다분기 접속함
KR101110232B1 (ko) 전원 전등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