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831B1 -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 Google Patents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831B1
KR100711831B1 KR1020060071284A KR20060071284A KR100711831B1 KR 100711831 B1 KR100711831 B1 KR 100711831B1 KR 1020060071284 A KR1020060071284 A KR 1020060071284A KR 20060071284 A KR20060071284 A KR 20060071284A KR 100711831 B1 KR100711831 B1 KR 100711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ver
switch
inspec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식
Original Assignee
신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식 filed Critical 신재식
Priority to KR102006007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에 관한 것으로, 1차전원연결구(11)(12)와 2차전원연결구(13)(14)를 갖는 몸체(10)의 상면에 누전차단기(40)를 부착하는 차단기부착대(15)(16)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를 덮는 덮개(20)의 정면에는 스위치노출공(27)과 배면에 클립(70)을 삽착하는 클립삽착홈(28)을 형성하며, 상기 덮개(20)의 상면에 외경경사돌기(25)와 안내돌기(23) 및 환턱(24)을 갖는 점검개구(22)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돌기(23)에 딸 안내되는 안내홈(55)을 갖는 단자원판(50)에 지름방향으로 천공한 작은홀(52)(53)과 큰홀(54) 좌우에 수개의 삽착공(51)을 천공하여 1차전원단자(56)(56')와 2차전원단자(57)(57') 및 램프전언단자(58)(58')를 삽착공(51)에 삽착하며, 상기 점검개구(22)에 여닫기 위하여 걸림턱(31a)과 일체로된 내경경사돌기(31)를 구비한 점검뚜껑(30)의 내저면에 볼트(38)로 공회전 되게 연결하는 스위치단자판(37)에 지름 방향으로 작은돌기(34)(35)와 큰돌기(36)를 형성하고, 상기 작은돌기(34)(35)와 큰돌기(36)의 좌우에 만곡스위치단자(32)(33)를 부착하여 점검뚜껑(30)을 점검개구(22)에 여닫음에 따라 전원의 연결과 차단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차단기부착대. 덮개. 점검개구. 점검뚜껑. 만곡스위치단자. 단자원판.

Description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A power distributor for a street furniture}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중 일요부인 클립삽착홈과 클립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몸체. 11,12.........1차전원연결구.
13,14............2차전원연결구. 15,16.........차단기부착대.
20...............덮개. 21............전원인출구멍.
22...............점검개구. 23............안내돌기.
24...............환턱. 25............외경경사돌기.
26...............램프삽착공. 27............스위치노출공.
28...............클립삽착홈. 30............점검뚜껑.
31...............내경경사돌기. 31a...........걸림턱.
32,33............만곡스위치단자. 34,35.........작은돌기.
36...............큰돌기. 37............스위치단자판.
38...............볼트. 40............누전차단기.
41...............스위치레버. 50............단자원판.
51...............삽착공. 52,53.........작은홀.
54...............큰홀. 55............안내홈.
56,56'...........1차전원단자. 57,57'........2차전원단자.
58,58'...........램프전원단자. 60............램프.
70......클립.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로에 설치한 가로등의 전주 하부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설한 전원 메인 케이블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1차전원단자와, 다음의 전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2차전원단자 및 상기 램프전원단자를 분전기 몸체를 덮는 덮개에 마련한 개구에 삽착하는 단자워판에 평면적 배열로 돌출되게 장착하여, 개구를 여닫는 뚜껑에 의하여 1차전원단자와 2차전원단자 및 램프전원단자에 흐르는 전류의 연결과 차단하도록함과, 지중의 전원 메인 케이블로 흐르는 전류를 간편하게 측정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 도로 시설물 전원 분전기는 몸체에 1차전원소켓과 2차전원소켓을 마련 하여 지중에 매설한 전원 케이블로 부터 인입되는 1차전원을 1차전원소켓과 몸체 상면에 부착한 누전차단기를 거쳐 몸체 상면을 덮는 덮개의 내부에 마련한 1차전원단자와 2차전원단자 및 램프단에 직접접속시켜 1차전원단자로 부터는 가로등의 점등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2차전원단자로는 누전차단기와 2차전원소켓을 통하여 다음의 도로시설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2차전원을 인출하도록 한 것으로, 이는 덮개 내부에 마련한 단자에 1차전원과 2차전원을 직결한 상태여서 1차전원과 2차전원 간에 흐르는 전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덮개를 벗겨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며, 또한 누전차단기의 스위치가 덮개의 상면으로 노출된 것이어서, 분전기가 전주 내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스위치가 전선에 가려 스위치 찾기와 조작이 용이 하지 못하며, 또한 분배기를 전주 내공간에 부착하기 위한 클립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덮개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어서, 클립의 파손시에는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전원과 2차전원간에 흐르는 전류 전압을 용이하게 측정하게 되는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전차단기의 스위치를 분전기의 정면으로 노출시켜 스위치의 찾기와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도로 시설물용 분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분전기의 덮개의 일면에 클립삽착홈을 형성하여 철편으로되는 클립을 클립삽착홈에 삽착하여 클립의 파손 방지와 교체사용 하도록 한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맞추어 기재된 목적을 제공하는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는 1차전원연결구와 2차전원연결구 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면에 누전차단기를 부착하여 덮개를 덮는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누전차단기를 부착하는 차단기부착대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한 개구에 삽착하는 단자원판에 1차전원단자와 2차전원단자 및 램프전원단자를 구비하여, 만곡단자를 내저면에 부착한 뚜껑을 개구에 여닫음에 따라 공급받는 1차전원과 분전되는 2차전원의 연결과 차단 및 상기 1차전원과 2차전원의 측정을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덮개의 정면측에 누전차단기의 스위치레버가 정면으로 노출되는 스위치노출공과 램프를 삽착하는 램프삽착공을 천공하고, 덮개의 배면에 별도로 만든 철재 클립을 삽착하는 클립삽착홈을 구성하여서 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한 시설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지중에 매설된 메인 전원케이블로 부터 가로등과 같은 도로 시설물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감전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중 일요부인 클립삽착홈과 클립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로, 이를 참조하여 보면, 몸체(10) 저면에 돌출 형성하여 지중에 매설된 메인전원케이블을 결선하기 위한 1차전원연결구(11)(12)와 다음의 시설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한 메인전원케이블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2차전원연결구(13)(14)를 구비하고, 몸체(10)의 상면 에는 차단기부착대(15)(16)를 수직으로 형성한다.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덮는 덮개(20)의 상면에는 관형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전원인출구멍(21)과 점검개구(22)를 형성하는데, 상기 전원인출구멍(21)은 가로등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을 끼워 차수튜브를 씌워 고정되는 전선을 끼우는 것이며, 상기 점검개구(22)의 내경에는 수직방향의 안내돌기(23)와 이 안내돌기(23)의 하단측에 환턱(24)을, 외경에는 외경경사돌기(25)를 형성한다.
또한 덮개(20)의 정면에는 사각형태의 램프삽착공(26)과 스윗치노출공(27)을 천공하고, 덮개(20)의 배면에는 클립삽착홈(28)을 형성한다.
상기 점검개구(22)에 여닫아 스위치 역활을 하게 되는 점검뚜껑(30)의 내경에 걸림턱(31a)을 갖는 내경경사돌기(31)를 형성하여 상기한 점검개구(22)의 외경경사돌기(25)와의 결합으로, 점검뚜껑(30)을 원텃치 동작으로 여닫도록 한 것이며, 점검뚜껑(30)의 내측 저면에 만곡접속단자(32)(33)와 작은돌기(34)(35) 및 길이가 긴 큰돌기(36)를 형성한 원판상의 스위치단자판(37)을 볼트(38)로 공회전되게 연결한다.
상기한 몸체(10)에 형성한 차단기부착대(15)(16)에 누전차단기(40)의 스위치레버(41)를 정면으로 향하도록 부착하여 몸체(10)에 덮개(20)를 덮었을 때에 스위치레버(41)가 스윗치노출공(27)을 통하여 분전기의 정면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한 점검개구(22)의 내경에 삽착하는 단자원판(50)에 설치되는 단자들의수량에 맞추어 천공한 다수개의 삽착공(51)과 작은홀(52)(53)과 큰홀(54)을 형성하고, 둘레 일측에 안내홈(55)을 형성하여 상기한 삽착공(51)에는 1차전원단 자(56)(56')와 2차전원단자(57)(57') 및 램프전원단자(58)(58')를 삽착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의 결선은 단자원판(50)이 점검개구(22)에 삽착된 상태에서 몸체(10)의 1차전원연결구(11)(12)와 단자원판(50)의 1차전원단자(56)(56') 및 몸체(10)의 2차전원연결구(13)(14)와 단자원판(50)의 2차전원단자(57)(57')를 전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단자원판(50)의 램프전원단자(58)(58')는 누전차단기(40)와 연결하여 누전차단기(40)로부터 램프(60)와 전주에 가설된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출구멍(21)에 끼워진 전선을 연결하여 점등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램프(60)를 램프삽착공(26)에 삽착하고 누전차단기(40)의 스위치레버(41)를 스위치노출공(27)에 관통되도록 덮개(20)를 몸체(10)에 덮어 덮개(20)의 정면에서 램프(60)의 점등상태와 스위치레버(41)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자원판(50)을 점검개구(22) 내경에 삽착할 때에는 안내홈(55)을 개구(22) 내경의 안내돌기(23)에 따라 안내 되도록 삽입하여 단자원판(50)을 점검개구(22) 내경에서 상하 이동은 가능하나 회동되지 못하도록 점검개구(22) 내경의 환턱(24) 위에 얹히도록 삽입한다.
상기 점검개구(22)에 점검뚜껑(30)을 닫을 때에는 접검뚜껑(30)의 내저면에 볼트(38)로 연결한 스위치단자판(37)의 작은돌기(34)(35)와 큰돌기(36)를 단자원판(50)의 작은홀(52)(53)과 큰홀(54)에 끼워 스위치단자판(37)의 만곡스위치단자(32)는 단자원판(50)의 1차전원단자(56)와 2차전원단자(57) 및 램프전원단자(58)와 상하 일치되게 하고, 만곡스위치단자(33)는 단자원판(50)의 1차전원단자(56')와 2차전원단자(57') 및 램프전원단자(58')와 상하 일치되게 하여 점검뚜껑(30)을 점 검개구(22)에 덮은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려 닫게 되는데, 점검개구(22)의 외경경사돌기(25)와 점검뚜껑(30)의 내경경사돌기(31)의 작용으로 점검뚜껑(30)이 원텃치 방식으로 닫히게 되며, 상기 닫혀진 점검뚜껑(30)은 내경경사돌기(31)와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31a)이 점검개구(22)의 외경경사돌기(25)의 끝단에 걸려 닫히는 방향으로 더 돌릴 수 없게 닫혀지는 것이다.
상기 닫혀지는 점검뚜껑(20) 내저면에 볼트(38)로 공회전되게 연결된 스위치단자판(37)은 점검뚜껑(30)이 닫히는 회동방향에 따라 회동 되지 않고 하향 되어
단자원판(50) 1차전원단자(56)(56')와 2차전원단자(57)(57') 및 램프전원단자(58)(58')에 만곡스위치단자(32)(33)가 압착되어 전기적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20)의 배면에 형성한 클립삽착홈(28)에 철편으로된 클립(70)을 삽착하여 도로 시설물인 전주 하방측 내공간에 마련한 클립꽂이에 상기 클립(70)을 꽂아 설치하여 전주의 가로등과 다음의 전주에 2차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점검뚜껑(30)을 벗기면 만곡스위치단자(32)(33)가 이탈되고 1차전원단자(56)(56')와 2차전원단자(57)(57')및 램프전원단자(38)(38')가 노출되어 상기 각 단자 사이에 전원이 차단되며, 이때에 노출된 1차전원단자(56)(56')와 2차전원단자(57)(57') 및 램프전원단자(58)(58')를 계측기로 절연저항과 누전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점검을 하기 위하여 점검뚜껑(30)을 열면 단자원판(50)의 1차전원단자(56)(56')와 2차전원단자(57)(57') 및 램프전원단자(58)(58') 가 노출되어 직접 점검하게 된 것이어서, 종래 몸체로부터 덮개를 벗겨 내어 단자를 찾아 점검하는 것보다는 점검이 매우 용이하며, 또 누전차단기(40)의 스위치레버(41)가 정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스위치레버(41)를 찾기위한 수고로움이 없고 조작이 용이하고, 또 덮개(20)의 클립삽착홈(28)에 철편으로 된 클립(70)을 클립삽착홈(28)에 삽착하여 전주에 마련된 클립꽂이에 꽂아 설치하게 된 것이어서, 종래 덮개에 클립을 일체로 형성한 것보다는 클립(70)의 파손됨이 없이 사용하게 되고 설사 클립(70)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는 다른 클립(70)을 대체하여 사용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3)

1차전원연결구(11)(12)와 2차전원연결구(13)(14)를 구비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위에 덮는 덮개(20)의 상면에 구비한 점검개구(22)와;
상기 점검개구(22)를 닫는 점검뚜껑(30)의 내저면에 볼트(38)로 공회전되게 연결하며, 저면에 돌출시킨 작은돌기(34)(35)와 큰돌기(36) 좌우에 만곡스위치단자(32)(33)를 부착한 스위치단자판(37)과;
안내돌기(23)에 안내되는 안내홈(55)과, 지름방향으로 천공된 작은홀(52)(53)과 큰홀(54) 좌우에 마련된 다수의 삽착공(51)에 1차전원단자(56)(56')와 2차전원단자(57)(57') 및 램프전원단자(58)(58')를 삽착한 단자원판(50)을 구성하여 점검뚜껑(30)을 여닫음에 따라 전원이 공급과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제 1 항에 있어서;
점검개구(22)는 내벽에 수직상의 안내돌기(23)를 형성하고, 외벽에 환턱(24)을 형성하며,
몸체(10) 상면에 누전차단기(40)를 부착하는 차단기부착대(15)(16)와;
상기 차단기부착대(15)(16)에 부착한 누전차단기(40)의 스위치레버(41)가 정면으로 관통되는 덮개(20)의 정면측에 천공한 스위치노출공(27)과;
상기 덮개(20)에 형성한 점검개구(22) 외주면에 형성한 외경경사돌기(25)와;상기 점검개구(22)를 여닫는 점검뚜껑(30) 내경에 걸림턱(31a)과 일체로 된 내경경사돌기(31)를 구비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몸체(10)를 덮는 덮개(20)의 배면에 클립삽착홈(28)을 형성하여 철편으로 된 클립(70)을 상기 클립삽착홈(28)에 끼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KR1020060071284A 2006-07-28 2006-07-28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KR100711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284A KR100711831B1 (ko) 2006-07-28 2006-07-28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284A KR100711831B1 (ko) 2006-07-28 2006-07-28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274U Division KR200409755Y1 (ko) 2005-12-15 2005-12-15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831B1 true KR100711831B1 (ko) 2007-05-02

Family

ID=3826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284A KR100711831B1 (ko) 2006-07-28 2006-07-28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8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44B1 (ko) * 2008-04-29 2008-12-08 (주)혜광전기감리 분배전반 보호용 전신주의 배전함
GB2566447A (en) * 2017-09-07 2019-03-20 Electrical Testing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KR102314159B1 (ko) 2021-05-07 2021-10-19 구일구 스마트 다분기 접속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420A (ja) * 1995-02-06 1996-08-20 Fuji Electric Co Ltd 配電盤の検電台車
KR20030048583A (ko) * 2001-12-12 2003-06-25 김구환 상부 밀폐형 전력용 제어함
KR20040040535A (ko) * 2002-11-07 2004-05-13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상가용 분전반
KR20040081539A (ko) * 2003-03-13 2004-09-22 (주)제일피앤피 분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420A (ja) * 1995-02-06 1996-08-20 Fuji Electric Co Ltd 配電盤の検電台車
KR20030048583A (ko) * 2001-12-12 2003-06-25 김구환 상부 밀폐형 전력용 제어함
KR20040040535A (ko) * 2002-11-07 2004-05-13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상가용 분전반
KR20040081539A (ko) * 2003-03-13 2004-09-22 (주)제일피앤피 분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44B1 (ko) * 2008-04-29 2008-12-08 (주)혜광전기감리 분배전반 보호용 전신주의 배전함
GB2566447A (en) * 2017-09-07 2019-03-20 Electrical Testing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KR102314159B1 (ko) 2021-05-07 2021-10-19 구일구 스마트 다분기 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783B1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US6872883B2 (en) Mast lighting system
US20050286245A1 (en) In-grade light fixture housing and hydrological barrier plate for use therein
US8144025B2 (en) Track lighting system current limiting device
US7168974B2 (en) Three phase lighted plugs and connectors for indicating the absence of at least one phase
KR100914851B1 (ko) 지중배전선로의 지지구
CN103181030B (zh) 电气穿墙端子
US6303857B1 (en) Mast lighting system
US5588874A (en) Watthour meter socket adapter for replacing an OB watthour meter
KR100711831B1 (ko)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US7403372B2 (en) Multiple fused junction with blown fuse indication
KR200409755Y1 (ko)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KR101119409B1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US9822955B2 (en) Breakaway connector and fuse receptacle
KR101591373B1 (ko)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KR100522854B1 (ko)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KR200369057Y1 (ko) 방우 및 휴대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 박스
SE502602C2 (sv) Vägguttag
KR102314159B1 (ko) 스마트 다분기 접속함
KR200238507Y1 (ko) 가로등의 감전방지장치
KR102647841B1 (ko)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KR102092502B1 (ko) 가로등 전원용 방수 단자대
KR200374764Y1 (ko) 방우형 작업등
KR200285086Y1 (ko) 가로등용 단자대
US11946983B2 (en) Current transformer with test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