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00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004A
KR20160005004A KR1020157024918A KR20157024918A KR20160005004A KR 20160005004 A KR20160005004 A KR 20160005004A KR 1020157024918 A KR1020157024918 A KR 1020157024918A KR 20157024918 A KR20157024918 A KR 20157024918A KR 20160005004 A KR20160005004 A KR 20160005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mmunication device
signal
additional
rece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성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5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D2D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이 광고에 관한 신호를 받을때, 물리 계층 등에서 식별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discovery signal)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추가적인 광고 신호를 수신할지가 판단된다. 상기 탐색 신호는 RRC 휴지 모드에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탐색 신호를 수신한 D2D 단말은 전력 관점에서 개선된 효과를 가지는 개선된 방법으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VICE TO DEVICE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고에 관련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련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상용화가 본격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LTE 시스템은 단말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대용량 서비스를 고품질로 지원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인식된 후, 보다 빨리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LTE 시스템은 낮은 전송 지연, 높은 전송율, 시스템 용량과 커버리지 개선을 제공한다.
한편, LTE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기존의 설치되어 있는 라디오 액세스나 네트워크의 개선을 통한 성능의 이득 도모 및 기 투자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투자비용 회수 방안을 고려하여 시분할다중접속(TDMA) 기반의 통신 기술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인 2G 통신 시스템과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기반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인 3G 통신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거나 또는 공존하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 폰 및 테블릿 개인 컴퓨터(PC)의 등장으로, 실제 통신 기기의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거나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상황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무선 통신 시스템은 그 시스템의 복잡도나, 시간적인 지연으로 인해, 실 생활 공간에서의 사용자를 위한 사소하지만 유용한 실시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실정이다.
한편,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객체를 거치지 않고, 통신 기기간의 직접적인 통신 링크를 통해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evice to device service, D2D)가 대두되고 있다. 이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들의 다양한 정보 공유 및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으로의 개발/개선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D2D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방안 및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D2D 서비스 단말을 탐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서비스(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ervice; D2D communication/service)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은, D2D 링크를 통해 송신되는 광고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광고에 관련된 다양한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일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evice to device service; D2D service)를 지원하는 제1 통신 기기(communication device)에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휴지(idle)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2D service)를 지원하는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물리 계층에서 식별 가능한 광고 ID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discovery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물리 계층에서, 상기 광고 ID를 기초로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기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탐색 신호에 대응하여,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RRC 연결이 설정된 이후, 상기 탐색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통신 기기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제2 통신 기기와의 D2D 링크 설정을 위한 D2D 링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스케쥴링된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통신 기기와의 D2D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D2D 링크를 통해 상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의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 및 장치에 따라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D2D 링크를 통해 송신되는 광고 신호를 적절하게 처리하여, 단말기 처리 능력 및 전력 소모를 낭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간 통신에 대한 개념을 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이용한 단말 탐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를 이용한 단말 탐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토큰 기법을 이용한 단말 탐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려한 단말 탐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라 광고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따라 광고 신호를 처리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술한 동작을 처리하는 D2D 통신 기기의 구체적 신호 처리 기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네트워크에 링크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에서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시한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advanced) 시스템이라 불리며,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기반의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UTRAN은 단말(User Equipment, UE)(110, 120, 130)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evolved-NodeB, eNB)(100)을 포함한다. 단말(110, 120, 13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S),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00)은 일반적으로 단말(110, 120, 130)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eNB), 피코 기지국(pico-eNB), 홈기지국(Home eN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00)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통해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셀은 기지국(100)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셀은 다운링크 주파수 리소스와 업링크 주파수 리소스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셀은 다운링크 주파수 리소스와 선택적인(optional) 업링크 주파수 리소스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셀은 기지국(20)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크기에 따라, 메가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등으로 정의가능하며, 본 실시예에 따라 셀은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다운링크(downlink)는 기지국(100)에서 단말(110, 120. 13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업링크(uplink)는 단말(110, 120)에서 기지국(10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다운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0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10, 120. 13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업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10, 120, 13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00)의 일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물리 제어채널들로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이 있다. 여기서, PDCCH는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리소스 할당 및 전송 포맷,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리소스 할당 정보,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리소스 할당, 임의의 UE 그룹 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상기 PCFICH는 서브프레임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업링크 전송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응답신호인,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PUCCH은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업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더욱이, 최근 몇 년간 모바일 인터넷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모바일 트래픽 증가로 인해 셀룰러 통신망의 과부하가 심해지면서 사업자들은 LTE, 펨토셀, 무선랜 등을 도입하여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인프라를 교체, 확장하여 기지국의 과부하를 줄이려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 인프라의 교체, 확장 없이 기지국의 과부하를 줄이는 방법으로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단말간에 직접 트래픽을 주고 받는 D2D 통신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D2D 통신은 현재 그 정의가 명확히 정립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의 인프라를 거치지 않는, 단말간에 직접 통신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펨토 혹은 피코 셀과 같은 소형 기지국의 도입 및 eNB를 거치지 않고 단말간에 직접 트래픽을 주고 받는 통신을 의미한다. 이러한 D2D 통신은, 기존의 인프라를 통한 통신에 비해 근접성에 대한 이점, 일 예로, 전송 전력의 측면에서 단말간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멀리 위치한 eNB에 트래픽을 보내고 받는 것보다 낮은 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효율적이다. 이러한 이점을 통해 한정된 무선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네트워크 인프라의 부하를 줄이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정된 무선 자원의 효율성이란, D2D가 낮은 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일 셀 내에서도 여러 D2D 링크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어 주파수 재사용률을 높이는 것도 가능함을 의미한다.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D2D 통신은 전력 절약, 접속 시간 단축, 주파수 자원 절약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고 추세이다. 또한 모바일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모바일 광고, 근거리 파일 전송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D2D 통신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으로 고려되고 있기 때문에, D2D 통신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D2D 통신의 절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D 통신이 가능한 주변 D2D 단말들을 찾는 단말 탐색 단계(11), 단말 탐색 단계에서 찾은 다른 D2D 단말들 중 데이터 전송을 할 단말과 무선링크를 연결하는 링크 생성 단계(12), 그리고 무선 링크를 연결한 단말들 간에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1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 D2D 통신 방법에 따라 세부적인 절차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제11 내지 13 단계의 순서가 달라질 수 있고,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제11 내지 제13 단계의 순서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D2D 통신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단말 탐색 단계(11)일 수 있다. 단말 탐색 단계란 각 D2D 단말이 자신의 주변에 있는 D2D 통신이 가능한 다른 단말들을 탐색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각 단말들은 다른 단말들이 자신을 탐색할 수 있도록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단말들이 보내는 탐색 신호를 수신하여, D2D 통신이 가능한 다른 단말들이 범위 내에 있음을 발견한다.
D2D 통신을 위한 두 번째 단계는 링크 생성 단계(12)이다. 링크 생성 단계에서는 단말 탐색 단계에서 발견한 주변의 D2D 단말들 중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링크를 맺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단말이 링크 생성을 요청하는 신호를 다른 단말에 보내면 해당 단말이 이 신호를 받고 응답 신호를 보내면서 링크를 맺게 된다.
상기 단말 탐색 단계에서 주변의 단말을 찾고 링크 생성 단계를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단말들 간에 링크를 맺고 나면 링크를 맺은 두 단말은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게 된다. 이 단계를 데이터 전송 단계(13)라고 한다. 이 단계를 통해 D2D 링크가 형성된 단말들이 서로 정해진 시간과 주파수 자원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러한 D2D 통신 기술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D2D 통신과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프라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 D2D 통신으로 나눌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D2D 통신은 단말 탐색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받는 정보를 이용하고 트래픽 전송을 위한 데이터 전송에서 자원 할당, 전력 조절에 있어 셀룰러 네트워크의 도움을 받는다. 이는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하지 않는 D2D 통신에 비해 전력절약, 접속시간, 자원활용 등의 면에서 효율적이다.
한편, 셀룰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단말 탐색 기술은 탐색하는 단말의 대상에 따라 A-priori 단말 탐색 기술과 A-posteriori 단말 탐색 기술로 나눌 수 있다. A-priori 단말 탐색 기술이란 세션이 형성되지 않은 D2D 단말들 간에 탐색을 수행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셀룰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A-priori 단말 탐색 기술에는 기지국의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을 탐색하는 방법과 네트워크 독립체(entity), 예를 들어 MME (Mobile Management Entity))에 의해 등록/요청의 과정을 거쳐 단말을 탐색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하, 도 2 내지 3을 통해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이용한 단말 탐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A-priori(선천적) 단말 탐색 기술 중 하나로, 기지국의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이용해 단말들이 서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각 단말(210, 220)이 어느 비콘 자원에 할당되었는지를 D2D 단말들에게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21). 각 단말은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할당된 비콘을 알 수 있다.
각 단말은 상기 기지국로부터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되는 비콘 할당(beacon assignments)을 수신하고, 할당된 비콘을 정해진 통신 자원을 통해 전송하여 자신의 존재를 다른 단말들에게 알려준다(22). 이에, 각 단말들은 비콘을 전송하지 않는 시간에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정보를 바탕으로 비콘을 탐색하여 주변에 어떤 D2D 단말이 있는지 탐색한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를 이용한 단말 탐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A-priori 단말 탐색 기술 중 하나로, 네트워크 독립체에 등록/요청 절차를 거쳐 단말을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비콘을 보낼 서버(server) 단말(310)이 MME(300)에 D2D 통신이 가능함을 알림과 동시에 자신의 단말, 서비스 정보를 등록한다(31). MME(300)는 D2D 통신이 가능한 클라이언트(client) 단말로부터 요청이 오면 등록되어 있는 서버 단말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할 서버 단말이 있는지 확인하여 D2D 서버 단말에 비콘을 보낼 것을 요청한다(32, 33). 서버 단말은 요청된 비콘을 보내고 클라이언트 단말이 이를 수신함으로써 D2D 탐색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34, 35). 여기서,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도 3의 방법이, 도 2에 설명한 첫 번째 방법인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이용한 방법보다, 단말 탐색에서 많은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들이 단말 탐색에서 소모하는 자원을 절약할 수도 있다.
한편, A-posteriori(후천적) 단말 탐색 기술이란 각 단말이 이미 생성된 세션이 있는 다른 단말들 가운데 동일한 기지국 내에 존재하는 단말을 대상으로 단말 탐색을 수행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A-posteriori 단말 탐색 기술에서 단말 탐색은, 주변에 있는 임의의 단말들을 탐색하는 A-priori 단말 탐색 기술과는 달리, 자신과 이미 세션을 가지고 있는 단말이 자신과 D2D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을 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A-posteriori 단말 탐색 기술은 세션이 있는 두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에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방법에 따라 토큰(token)을 이용한 방법과 IP(Internet protocol) 주소 분석의 방법이 있다. 이하, 도 4 내지 5를 통해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토큰 기법을 이용한 단말 탐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토큰을 이용한 탐색 기술은, 기지국이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토큰을 이용하여 세션이 존재하는 두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 내에 존재하는지 판별하는 방법이다. 생성된 세션이 있는 단말들(410, 420)간에, 즉 무선접속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이(41), 통신의 세션을 이용하여 토큰을 주고 받으면 기지국은 이 토큰을 식별하여 하나의 세션을 가진 두 단말이 동일 기지국에 있음을 알 수 있다(42, 43). 두 단말이 동일 기지국에 있다고 판단되면 기지국은 하나의 단말에는 비콘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44) 다른 단말에는 그 비콘의 수신을 요청한다(44). 비콘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면(45) 두 단말이 단말 탐색을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고 D2D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LTE 시스템에 따라 E-UTRAN과 EPC를 통합하여 EPS(Evolved Packet System)라 불리우며, 이는 단말(410, 420)이 기지국에 접속하는 무선링크로부터 서비스 엔터티로 연결해주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까지의 트래픽 흐름은 모두 IP(Internet Protocol)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S-GW은 E-UTRAN의 종단점을 갖는 게이트 웨이이며, P-GW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이를 통해 단말들의 패킷 트래픽의 흐름이 시작/종료로 제어된다. 이에, MME(400)은 S1-U를 통해 S-GW/P-GW들(505, 507)과, 단말(510, 520)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유지보수관리(Operation and Management, OAM) 정보를 주고받는다. 이를 통해 단말의 이동에 따른 패킷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려한 단말 탐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IP 주소 분석을 이용한 탐색 기술은, 세션의 IP 주소를 분석하여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생성된 세션이 있는 단말들 간에(51), 즉 RAN과 CN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에 대하여, S/P-GW (Gateway)에서 IP 주소 분석을 통해서 두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에 있다고 판단되면(52) 토큰을 이용한 방법과 같이 하나의 단말에는 비콘 전송을 다른 단말에는 비콘의 수신을 요청한다(53). 비콘의 수신이 성공되면 단말 탐색에 성공한 것으로 D2D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54).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일례 등을 기초로, 기지국에 의한 단말 간에 직접 비콘을 주고 받으며 단말 탐색을 수행하는 단말 탐색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 신호를 처리하는 기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따른 광고 전달 방법과 광고가 중복 수신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단말이 기지국과의 통신뿐만 아니라 단말끼리 직접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D2D communication)이 가능하게 되면, 사용자가 단말을 가지고 상가를 지나가는 경우 상가에서 보내는 판촉, 프로모션, 이벤트(Sale, Promotion, event and et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광고에 노출되게 된다. 특히 상가가 밀집된 지역에서는 상가마다 전송하는 광고 메시지, 음성 또는 동영상으로 인해서 거리를 지나는 사용자는 광고의 홍수로 인해서 불편한 상황을 맞게 될 수 있다. 즉 광고의 횟수가 지나치거나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광고까지 모두 수신하게 되면, 단말기가 필요하지 않는 광고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느라 많은 처리 시간, 많은 전력 및 이와 관련된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가에 존재하는 통신 기기는 D2D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 또는 송신 장치일 수도 있고, 종래의 기지국 기능을 포함하는 기지국 또는 AP(access point) 장치일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광고를 차단하는 방법은 선별적으로 일부 광고를 또는 전체광고를 제한/필터링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원하지 않는 광고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광고마다 특정 코드를 갖고 있다면 광고 분야(옷가게, 음식점, 자동차, 안경점등), 광고가 수신하여야 하는 나이 제한, 광고를 수신하는 시간(몇 시에서 몇 시까지), 광고를 수신하는 횟수(동일 장소에서,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날에, 지정된 주간, 지정된 달, 지정된 년 등), 광고의 성격(할인행사, 판촉, 무료행사, 무료상담, 즉석 만남 등)에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설정을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광고는 차단하고 원하는 광고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횟수만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위 계층에서 수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물리계층에서 수신하여 물리계층 처리과정을 거쳐 상위로 보내진 후, 광고의 적합성 여부를 판별하여 선호하는 광고가 아닌 경우 삭제하거나 선호하는 광고의 경우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을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과정에서 아무 제한 조건 없이 모든 광고를 수신하고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 처리능력, 전력소모 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물리계층 및 MAC 계층과 같이 하위 계층에서 광고를 사전에 차단/필터링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마다 고유의 코드, 즉 고유의 ID가 존재하여 해당 ID를 이용하여 광고의 속성을 알아 낼 수 있다고 가정한다. 다만 이 광고 ID를 하위 계층, 바람직하게는 물리계층에서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물리계층 신호를 이용하여 광고 ID를 구현하고, 물리계층 수신 단에서 광고 ID를 사전에 복조하여 해당 광고를 삭제할 것인지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또는 광고 속성을 판단하는 최종 기능을 MAC layer에 두고 운영할 수도 있다. 즉, MAC layer ID를 이용해서 광고의 특성을 최종 확인하고 MAC layer에서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라 광고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D2D 통신 기기는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D2D 통신을 위한 탐색 신호(discovery signal)에 광고 ID가 포함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물리계층에서 해당 광고 ID를 검출하고, 추가적인 광고를 더이상 수신하지 않고, 관련된 신호를 폐기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탐색 신호는 동기 신호(synch signal)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광고 ID를 함께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폐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고 ID는 탐색 신호(discovery signal)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탐색 신호는 시퀀스와 메시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시퀀스는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된 종래의 시퀀스(예를 들어, DMRS, RACH, SRS, PSS, SSS 시권스 등)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코딩을 통해 포함되는 메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ID는 상기 탐색신호의 시퀀스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광고 ID가 시퀀스에 포함되는 경우, 시퀀스의 특성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퀀스의 cyclic shift 등을 통해 광고 ID가 식별되는 경우, 추가적인 디코딩 없이 광고 ID가 검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광고 ID가 시퀀스에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거나, 시퀀스를 통해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메시지에 대한 디코딩을 통해 광고 ID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광고 ID는 탐색 신호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의 조합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즉, 상기 광고 ID는 D2D 기기의 탐색(discovery)을 위해 사용되는 비콘(beacon) 메시지에 포함되는 ID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여러 ID의 조합을 통해 식별될 수 있다.
비콘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는 D2D UE의 ID, 서비스 ID, 어플리케이션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2D UE ID는 글로벌하게 식별 가능한 정보(globally unique)한 단말 혹은 사용자의 고유한 식별정보(identity)를 의미한다. 일 예로, 사용자의 메일 주소, 단말의 MAC address, 전화번호, D2D 전용 ID 등을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 ID란, D2D를 통해 받고자 하는 서비스에 따라 결정되는 ID로, 단말이 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반영한다. 여기서, 복수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은 그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 ID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서비스 ID는 업종코드일 수 있고, 상기 광고 ID는 업종코드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즉, 상기 광고 ID는 업종코드이거나, 업종코드 및 다른 식별자(예를 들어, D2D UE ID)와의 조합을 통해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한 광고를 차단하기 위해, D2D 통신기기의 상위 계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한 업종코드(예를 들어, 식당)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상기 D2D 통신기기의 물리 계층으로 전달되어, 탐색신호에 포함된 광고 ID와 비교될 수 있다. 만약, 탐색신호를 통해 검출된 광고 ID가 사용자가 입력한 업종코드에 대응되는 경우, 해당 탐색신호를 송신한 D2D 장치로부터의 광고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광고 ID와 광고가 실제로 전달되는 신호(즉, 추가 광고 신호)가 구분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탐색 신호를 통해 광고 ID만 전송하고, 광고의 실제 내용(즉, 추가 광고 신호)은 별도의 통신 경로(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ID에 연결된 링크에 접속함으로써 광고의 실제 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전에 광고 ID와 광고 제목/광고 속성이 서로 매핑(mapping)된 테이블(table)이 존재하고, 이러한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사전에 다운로드 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매핑 테이블은, D2D 통신 기기가 3GPP 네트워크로부터 시그널링(signaling) 형태로 받을 수도 있고, 특정 인터넷 서버에서 주기적으로 받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가능한 상황에서 받을 수 있다. 위와 같이 광고 ID와 추가 광고 신호가 분리되는 경우, 탐색신호를 통해 광고 ID 신호만 수신하면, 해당 ID에 매핑(mapping)된 광고 이름, 광고 주, 상호, 광고 성격, 광고 형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을 사용하여, 실제 내용을 D2D 통신 기기의 화면에 표시(display)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매핑 테이블은 3GPP 망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업데이트(update)를 요구 받을 수도 있고, 통신기기의 사용자가 선택해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업데이트 과정에서 D2D 통신기기는 광고를 취사 선택할 수 있다. 광고를 더 수신하고 싶다면, 해당 광고의 내용을 직접 무선 망을 통해서 받거나 광고가 가리키는 링크를 접속하여 인터넷으로 부터 광고 내용을 확인 할 수도 있다.
물리계층에서 광고의 속성(예를 들어, 상술한 광고 ID)을 알아 낼 수 있는 상황에서의 가능한 방법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리계층 신호(예를 들어, 상술한 탐색신호의 시퀀스)에 광고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탐색신호에 광고 ID를 포함하도록 하여 탐색신호만 올바르게 수신하여도 광고의 취사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점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는 실제 광고 내용(즉, 추가 광고 신호)은 탐색신호에 없고 이후 광고 데이터 전송 채널에 전송된다 할지라도, 탐색신호에 광고의 속성을 알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탐색신호만 수신하더라도 이 후 광고채널을 수신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탐색신호(즉, 시퀀스)를 기반으로 광고를 필터링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광고 ID가 탐색신호가 아니라 데이터 전송을 통해서만 이루어 진다면 부득이하게 탐색신호를 수신하고 동기를 유지하고 그 이후에 D2D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고 나서야 광고의 속성을 알고 광고의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렇게 데이터 전송 채널의 복조를 마치고 나서 광고를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비록 물리계층에서 광고 ID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MAC layer에서 광고의 속성(즉, 광고 ID)을 알아 낼 수도 있다. 만약 물리계층에서 광고 관련 정보 특히 ID와 같은 정보를 알 수 없다면, 물리 계층에서 복조된 상위 계층 정보는 상위로 전달되어야 상위에서 해당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으로 MAC계층에서 광고를 보내는 광고 ID, AP ID(만약 상가에서 AP를 통해 광고를 송신하는 경우, 상가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음)를 인식하여 광고의 속성을 파악하고 광고의 속성에 따라서 광고의 수신 여부(차단/수신)에 대한 결정을 MAC layer에서 수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 경우 물리계층까지는 모든 광고를 수신하여 복조를 수행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하, 중복 수신을 어떻게 처리 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제안한다. 특정 광고에 대해서 수신 허용을 허락하지 않는 경우에도 계속 수신은 되지만 다만 앞서 제시한 기술 방법을 이용해서 탐색신호단계에서 또는 물리계층 단계에서 또는 상위계층(e.g. MAC)단계에서 수신 거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 수신이 허용되는 경우는 상황이 다르다. 일단 광고 수신이 허용되면 어디에서도 광고를 폐기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광고, 또는 내용은 다르지만 동일한 광고코드(id, code)를 가지고 수신되는 경우는 광고를 수신할 수 있는 커버리지 내에 단말이 계속 위치하는 한 지속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필요한 중복수신을 피하기 위해서, 동일한 광고가 수신되고 동일한 내용인 경우는 특정 시간 이내에 중복 수신하게 된다면 이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도 7은 상술한 동작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의 D2D 통신 기기는 특정한 광고 ID를 포함한 탐색 신호를 수신하면서 해당 광고 ID를 검출하고, 해당 광고의 실제 내용(즉, 추가 광고 신호)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상점으로부터 다시 탐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광고 ID를 포함한 탐색 신호가 다시 수신되는 경우,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해당 신호를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관련된 동작은 상기 언급한 방법과 단계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신호, 동기신호, 물리채널, 상위채널을 이용해서 이러한 수신 거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시간 이외에도 특정 횟수(예를 들어, 1회 이상 제한)로 제한할 수도 있다. 특정 시간, 특정 회수는 특정 위치, 특정 공간, 특정 지역, 특수 상황, 특정 가게, 특정 AP, 특정 업종, 특정 브랜드 등 다양한 특징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탐색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이나 회수를 통해, 광고가 수신되는 시간 및 회수를 검출하고, 특정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에만 광고의 실제 내용(즉, 추가 광고 신호)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셀 ID 및 비콘 메시지에 포함되는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D2D 통신 기기의 위치나 공간을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나 공간이 특정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에만 광고의 실제 내용(즉, 추가 광고 신호)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비콘 신호가 다수 수신되는 경우, 각각의 수신전력의 강도에 따른 패턴을 분석하여 D2D 통신 기기의 위치나 공간을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나 공간이 특정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에만 광고의 실제 내용(즉,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지역에서 특정 업소의 광고는, 특정 지역에서 2회 이상 수신할 수 없도록 하며 오후 7시 이후에만 수신할 수 있도록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이 물리계층으로 전달되면, 탐색신호에 포함된 광고 ID와 해당 조건을 비교하여, 실제 광고 내용(즉, 추가 광고 신호)을 수신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광고 신호에 관련된 D2D 신호(예를 들어, D2D 탐색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단말의 소모 전력을 고려하여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8은 상술한 동작을 처리하는 D2D 통신 기기의 구체적 신호 처리 기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8에서 사용자의 D2D 통신 기기는 제1 통신 기기(D2D Device 1)으로 표시될 수 있고, 광고 ID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상가에 구비된 송신 장치는 제2 통신 기기(D2D Device 2)로 표시될 수 있다.
우선, 제1 통신 기기는 RRC 휴지 모드(RRC Idle mode) 상태에서 제2 통신 기기로부터 탐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810). 예를 들어, 제1 통신 기기는 처음 전원이 공급된 이후,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_idle 상태에 있을 수 도 있고, 종전의 RRC 연결 모드로부터 RRC 휴지 모드로 진입한 상태일 수 있다. D2D 링크에 관련된 탐색 신호는, 비콘 메시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비콘 메시지에는 상술한 광고에 관련된 광고 ID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I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탐색 신호의 시퀀스 또는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ID가 하위 계층(바람직하게는 물리 계층)에서 식별되는 경우, 해당 계층에서는 광고 ID를 기초로 광고의 실제 내용(즉, 추가 광고 신호)을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820). 만약 해당 광고의 실제 내용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련된 신호를 모두 폐기하고,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서, 상위 계층에서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면서,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막을 수 있다. 상기 비콘 메시지는 미리 정해진 시간과 주파수 자원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고, 관련 시간 및 주파수 정보는 각 단말에 방송되거나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제1 통신 기기가 광고 ID를 기초로 광고의 실제 내용(즉, 추가 광고 신호)을 수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1 통신 기기는 제2 통신 기기를 통해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기기는 기지국에 대한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상기 기지국에 대한 RRC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830). RRC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제1 통신 기기는 상기 기지국으로 제2 통신 기기와의 D2D 링크 설정을 위한 요청 메시지(D2D link setup request)를 송신한다(840). 상술한 바와 같이, 810 단계에 도시된 비콘 메시지에는 제2 통신 기기의 UE ID, 서비스 ID, Application ID, Emergency State ID 등의 다양한 정보가 있기 때문에, 제1 통신 기기는 840 단계를 통해 기지국으로 제2 통신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면서, 해당 제2 통신 기기와의 D2D 링크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기지국은 840 단계에 따른 요청에 대응하여, 제2 통신 기기로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송신한다(850). 상기 제2 통신 기기에 해당 페이징 메시지에 대응하여 제2 통신 기기와 상기 기지국 간의 RRC 연결을 수행한다(860) 또한, 850 단계에 대응하여, 페이징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870).
기지국은 RRC 연결 모드로 전환된 제1 통신 기기 및 제2 통신 기기에 대해 D2D 링크 위해 전용(dedicated)으로 할당되는 임시 링크 설정 자원(temporal link setup resource)을 할당한다(880). 즉 제1 통신 기기와 제2 통신 기기의 자원 할당은 centralized manner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각 통신 기기에 대한 전용 자원이 할당된 이후, 각 통신기기는 정확한 동기 등을 획득하기 위해 설정 요청 및 설정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D2D 링크 설정을 완료한다(890). D2D 링크가 성공적으로 설정되는 경우, 기지국으로 완료 보고를 송신할 수 있다(900).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러한 통신 기기는 UE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eNB, HeNB, HNB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CN(core network)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장치(1000)는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RF(radio frequency) 유닛(10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은 상술한 기능, 절차,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라디오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layer)들은 프로세서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상술한 동작을 구동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프로세서(101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103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0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널리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0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일례들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다양한 기법들이 도면과 도면 부호를 통해 설명되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기법들은 특정한 순서에 따라 다수의 단계나 블록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단계나 블록의 구체적 순서는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을 제하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나 블록은 다른 순서로 구현되거나, 또 다른 단계나 블록들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간 단계나 블록이 한정적으로 기술된 것이나 아니며, 발명의 보호 범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계들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일례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발명의 모든 가능한 일례의 조합이 설명될 수 없다는 점을 알 것이고, 또한 본 명세서의 기술로부터 다양한 조합이 파생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다양한 일례를 조합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evice to device service; D2D service)를 지원하는 제1 통신 기기(communication device)에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휴지(idle)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2D service)를 지원하는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물리 계층에서 식별 가능한 광고 ID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discovery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물리 계층에서, 상기 광고 ID를 기초로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기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탐색 신호에 대응하여,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RRC 연결이 설정된 이후, 상기 탐색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통신 기기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제2 통신 기기와의 D2D 링크 설정을 위한 D2D 링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스케쥴링된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통신 기기와의 D2D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D2D 링크를 통해 상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 신호의 수신 시간, 수신 회수, 및 수신 지역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의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통신 기기의 사용자가 상위 계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한 광고 차단 정보와 상기 광고 ID를 상기 물리 계층에서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ID가 상기 광고 차단 정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기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광고 ID를 저장하는 단계;
    기설정된 시간 구간 이내에, 상기 저장된 광고 ID와 동일한 ID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탐색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추가적인 탐색 신호를 상기 물리 계층에서 폐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기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광고 ID를 저장하는 단계;
    기설정된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위치에서, 상기 저장된 광고 ID와 동일한 ID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탐색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추가적인 탐색 신호를 상기 물리 계층에서 폐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신호는 시퀀스 파트와 메시지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evice to device service; D2D service)를 지원하는 제1 통신 기기(communication device)에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휴지(idle)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2D service)를 지원하는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물리 계층에서 식별 가능한 광고 ID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discovery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ID를 기초로 상기 광고 ID에 상응하는 추가 신호를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단계;
    상기 추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탐색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
    상기 추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물리 계층에서, 상기 광고 ID에 대응되는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이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광고 ID에 대응되는 매핑 테이블이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저장된 경우, 상기 매핑 테이블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contents)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고 ID에 대응되는 매핑 테이블이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RRC 연결이 설정된 이후, 상기 탐색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통신 기기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제2 통신 기기와의 D2D 링크 설정을 위한 D2D 링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스케쥴링된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통신 기기와의 D2D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D2D 링크를 통해 상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테이블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contents)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매핑 테이블에 지시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테이블은 주기적으로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evice to device service; D2D service)를 지원하는 제1 통신 기기(communication device)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처리 유닛; 및
    상기 무선 처리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휴지(idle)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D2D service)를 지원하는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물리 계층에서 식별 가능한 광고 ID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discovery signal)를 수신하고;
    상기 광고 ID를 기초로 상기 광고 ID에 상응하는 추가 신호를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추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탐색 신호를 폐기하고;
    상기 추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물리 계층에서, 상기 광고 ID에 대응되는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이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매핑 테이블이 상기 제1 통신 기기에 저장된 경우, 상기 매핑 테이블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contents)를 획득하고;
    상기 광고 ID에 대응되는 매핑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RRC 연결이 설정된 이후, 상기 탐색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통신 기기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제2 통신 기기와의 D2D 링크 설정을 위한 D2D 링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해 스케쥴링된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통신 기기와의 D2D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D2D 링크를 통해 상기 추가 광고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통신 기기.
KR1020157024918A 2013-03-11 2014-03-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05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76723P 2013-03-11 2013-03-11
US61/776,723 2013-03-11
US201361819666P 2013-05-06 2013-05-06
US61/819,666 2013-05-06
PCT/KR2014/001928 WO2014142482A1 (ko) 2013-03-11 2014-03-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004A true KR20160005004A (ko) 2016-01-13

Family

ID=5153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918A KR20160005004A (ko) 2013-03-11 2014-03-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06585B2 (ko)
EP (1) EP2975782B1 (ko)
KR (1) KR20160005004A (ko)
CN (1) CN105052050B (ko)
WO (1) WO2014142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6041B1 (en) * 2013-07-26 2018-04-04 Huawei Device (Dongguan) Co., Ltd. Communic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WO2015020736A1 (en) * 2013-08-08 2015-02-12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lectrical downtilt adjustment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CN105594256B (zh) * 2013-10-03 2019-04-16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用于d2d操作的指示的方法和设备
US9986412B2 (en) * 2014-06-24 2018-05-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2358105B1 (ko) 2015-01-21 2022-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탐색을 이용해 지역을 기반으로 광고하는 방법 및 장치
EP3306553A4 (en) * 2015-06-05 2018-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vertisement and reward techniq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98525B1 (en) * 2016-07-18 2018-06-12 Google Llc Reducing transmissions of redundant third-party content over a network
DE102017203905B4 (de) * 2016-12-22 2022-11-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Organisation der Kommunikation zwischen Mobilfunknetz-Teilnehmerstationen in einer Mobilfunkzelle, sowie Mobilfunknetz-Teilnehmerstation und Mobilfunknetz-Verwaltungseinheit bei der Verwendung des erfindungsgemäßen Verfahrens
CN111742522B (zh) * 2017-12-21 2023-11-2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处理在云环境中部署的网络服务的事件的代理、服务器、核心网络节点及其中的方法
US10601751B1 (en) * 2019-04-30 2020-03-24 Braz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user contacts
WO2023286783A1 (ja) * 2021-07-16 2023-01-1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34258A1 (en) * 2001-01-22 2002-07-30 Sun Microsystems, Inc. Peer-to-peer network computing platform
US7613156B2 (en) * 2006-06-08 2009-11-03 Motorola, Inc. Method for energy efficient prospective peer discovery in an ad hoc network
US9320067B2 (en) * 2008-11-24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of user equipment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KR101219536B1 (ko) 2008-12-01 2013-0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반 피어 장치, pan 게이트웨이 장치, 수퍼 피어 장치, p2p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연동 방법
US8605625B2 (en) * 2009-04-02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eer discovery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446917B2 (en) * 2009-05-28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ommunicating information using a proxy
US8478820B2 (en) * 2009-08-26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ervice discovery management in peer-to-peer networks
KR101598886B1 (ko) * 2009-10-13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랜을 이용한 피어투피어 연결 방법 및 장치
US9391853B2 (en) 2009-12-23 2016-07-12 Apple Inc. Efficient service advertisement and discovery in a peer-to-peer networking environment with dynamic advertisement and discovery periods based on operating conditions
CN102972091B (zh) * 2010-06-06 2016-05-18 Lg电子株式会社 与其它设备通信的方法和通信设备
US9826404B2 (en) * 2011-01-11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authorization via non-access stratum procedures
WO2013014641A1 (en) * 2011-07-28 2013-01-31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compiling a beacon and filtering received beacons
GB2488847B (en) 2011-07-28 2014-01-29 Renesas Mobile Corp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compiling a beacon and filtering received beacons
GB2494460B (en) * 2011-09-12 2013-10-23 Renesas Mobile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to-device discovery procedure
WO2013049959A1 (en) * 2011-10-02 2013-04-11 Renesas Mobile Corporation Signaling for device-to-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GB2496153B (en) * 2011-11-02 2014-07-02 Broadcom Corp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GB2497916B (en) * 2011-11-11 2014-06-25 Broadcom Corp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monitoring for discovery signals
GB2497752B (en) * 2011-12-19 2014-08-06 Broadcom Corp Apparatus and methods for supporting device-to-device discovery in cellular communications
GB2497740B (en) * 2011-12-19 2013-12-11 Renesas Mobile Corp Method,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US9036517B2 (en) * 2012-01-09 2015-05-19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session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GB2498395B (en) * 2012-01-16 2014-10-08 Broadcom Corp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one or more cell reselection parameters
US9031050B2 (en) * 2012-04-17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mobile device to enable another device to connect to a wireless network
EP2842296A2 (en) * 2012-04-27 2015-03-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es for supporting proximity discovery procedures
CN104350778A (zh) * 2012-05-31 2015-02-1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设备到设备(d2d)链路自适应
WO2013191367A1 (ko) * 2012-06-18 2013-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GB2503508B (en) * 2012-06-29 2014-09-17 Broadcom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peer discovery
US9049645B2 (en) * 2012-07-20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WAN assisted monitoring an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devices
US9474094B2 (en) * 2012-08-07 2016-10-1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establish peer-to-peer link
US10623938B2 (en) * 2012-09-06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aging based peer discovery
WO2014070058A1 (en) * 2012-11-05 2014-05-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ighbor discovery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9622064B2 (en) * 2013-03-14 2017-04-11 Fujitsu Limited Power control of neighbor discovery signals
US9326122B2 (en) * 2013-08-08 2016-04-26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packet based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in an LTE network
JP6755181B2 (ja) * 2014-03-18 2020-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ワイヤレス端末装置間通信のスケジューリング
US20150326362A1 (en) * 2014-05-08 2015-11-12 Intel IP Corporatio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sequence design for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5782A4 (en) 2016-10-26
US20160014825A1 (en) 2016-01-14
CN105052050B (zh) 2018-09-14
EP2975782B1 (en) 2018-03-07
US9706585B2 (en) 2017-07-11
CN105052050A (zh) 2015-11-11
WO2014142482A1 (ko) 2014-09-18
EP2975782A1 (en)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250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EDT
US11202330B2 (en) Method for register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7065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vice to device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925859B (zh) 终端装置、基站装置、测定方法以及电气电路
US11012848B2 (en) Methods for handling radio access network notification area (RNA) update configuration upon reject
US10516986B2 (en) Method for discovering relay UE via D2D link at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7925897B (zh) 终端装置、基站装置、测定方法以及电气电路
JP558483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領域情報を獲得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953465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ノード選択方法及びその装置
US10028294B2 (en) Method for notifying for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588031B2 (en) Method for performing relay functions at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1500672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78584B2 (en) Method for changing a link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201950158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ue id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10575335B2 (en) Method for contention resolution in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531511B2 (en) Method for disconnecting a D2D link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137840B2 (en) Method for managing component carrier setting information and a device for the same
KR20190131411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661772A (zh) 边链路传输中用户设备上下文的标识方法及装置
CN105430593B (zh) 处理用于装置对装置通信的开放直接发现的装置
US91612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client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99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mobility in LWA
US995533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iscovery signals in D2D communication and devices for supporting same
US20220287004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user equipment
US20230209534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