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656A -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656A
KR20160004656A KR1020140083270A KR20140083270A KR20160004656A KR 20160004656 A KR20160004656 A KR 20160004656A KR 1020140083270 A KR1020140083270 A KR 1020140083270A KR 20140083270 A KR20140083270 A KR 20140083270A KR 20160004656 A KR20160004656 A KR 2016000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rame
line
emitting modu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791B1 (ko
Inventor
안성호
Original Assignee
안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호 filed Critical 안성호
Priority to KR102014008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7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65Line markings, e.g. tapes;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4Mats or carpets for cou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65Line markings, e.g. tapes; Methods therefor
    • A63C2019/067Machines f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기장의 기초면과 평행하게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복수의 바닥 패널; 상기 기초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정 가능한 스윙 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가 어레이되고, 상기 바닥 패널을 통해 빛을 조사하여 경기 종목 라인을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 모듈;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경기 종목 라인에 대응되게 상기 바닥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발광 모듈을 수용하는 복수의 리플렉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경기 종목 라인은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 프레임에 안착된 발광 모듈의 선택적인 점등 또는 조도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바닥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한정된 면적에서 여러 종목의 경기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열 문제의 해결 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FLOOR PANEL ASSEMBLY ENABLING SELECTIVE LINE DISPLAY OF DIFFERENT SPORTS TYPE}
본 발명은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정된 면적에서 여러 종목의 경기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열 문제의 해결 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여가 선용으로 다양한 종목의 스포츠를 즐기거나 관람하는 인구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중, 농구나 배구, 핸드볼, 배드민턴, 풋살 등과 같이 실내 경기장에서 치뤄지는 경기 종목들은 경기장 규격이 제각각인 것이다.
통상, 이러한 경기 종목들은 하나의 경기장에서 치뤄질 수 있도록 경기 종목별로 라인이 일정 면적 내에 복잡하게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한정된 장소에서 다양한 종목을 각각 소화하기 위하여는 불가피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렇게 복잡하게 겹쳐 그려진 경기 종목별 라인은 경기에 임하는 선수는 물론, 심판에게도 오심이나 착시 현상을 일으켜 경기의 흥미를 반감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271592호의 "체육강당의 경기선 표시장치"(이하 '선행기술1')와, 공개특허 제10-2009-0007620호의 "스포츠 에리어 마킹 시스템, 이 마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포츠 에리어, 및 조명 장치의 이용"(이하 '선행기술2')과, 등록실용신안 제20-0304465호의 "실내경기장의 라인표시 제어장치"(이하 '선행기술3')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공히 경기장 바닥에 엘이디 등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경기 종목별 라인을 표시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하절기와 같은 환경에서는 조명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경기장 내부의 냉방 부하를 가중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게 될 뿐 아니라, 경기에 임하는 선수들이나 관중들 또한 불쾌감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71592호 공개특허 제10-2009-000762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044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한정된 면적에서 여러 종목의 경기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열 문제의 해결 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기장의 기초면과 평행하게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복수의 바닥 패널; 상기 기초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정 가능한 스윙 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가 어레이되고, 상기 바닥 패널을 통해 빛을 조사하여 경기 종목 라인을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 모듈;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경기 종목 라인에 대응되게 상기 바닥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발광 모듈을 수용하는 복수의 리플렉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경기 종목 라인은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 프레임에 안착된 발광 모듈의 선택적인 점등 또는 조도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바닥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직교되게 상기 제1 프레임 위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리플렉터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상기 스윙 빔의 상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탄성 재질의 완충 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 바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리플렉터 프레임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높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 패널은, 상기 지지 프레임 위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투명 재질의 도광 패널과, 상기 도광 패널의 상면에 복수로 배치되고, 경기장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표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 패널은, 강화 유리, 강화 세라믹,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윙 빔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기초면을 향하여 연장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출입하여 신축 가능하고 일정 길이로 노출되어 상기 수용편에 고정되는 로드와, 상기 기초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며 상기 로드와 연결되는 일정 면적의 받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수용하는 플렉시블한 튜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 위에 안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경기 종목 라인에 대응되게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바와, 상기 받침바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호 대향하는 금속재의 반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기초면 위에 배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열재와, 상기 스윙 빔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단열재에 일정 면적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배치홀과, 상기 단열재 위에 배치되며 냉매가 흐르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플렉시블한 냉각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경기 종목 라인 중 하나의 경기 종목 라인(이하, '제1 경기 라인')에 대응하는 발광 모듈(이하, '제1 발광 모듈')과 또 하나의 경기 종목 라인(이하, '제2 경기 라인')에 대응하는 발광 모듈(이하, '제2 발광 모듈')의 조도를 상호 다르게 조절하는 디밍 컨트롤러(dimming controll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밍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발광 모듈과 상기 디밍 컨트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발광 모듈을 온오프하거나 상기 제1 경기 라인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제1 디머 스위치와, 상기 제2 발광 모듈과 상기 디밍 컨트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발광 모듈을 온오프하거나 상기 제2 경기 라인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제2 디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소자는 예를 들어 엘이디칩 또는 면발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기초면으로부터 지지 프레임 및 스윙 빔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바닥 패널을 통하여 리플렉터 프레임에 수용된 발광 모듈의 선택적인 점등 또는 조도의 조절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으로 복수의 경기 종목별 라인을 각각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면적에서 여러 종목의 경기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바닥 패널과 기초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러한 공간부를 통한 자연 대류를 유도하여 발열 문제의 해결 또한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초면 위에 단열재를 배치하고, 그 위에 냉매가 흐르는 냉각관을 배치함으로써 발광 모듈의 발열 문제를 더욱 적극적이며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실제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패널을 제거한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실제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패널을 제거한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실제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패널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개념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를 이용한 실제 경기장의 운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실제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패널을 제거한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실제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패널을 제거한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실제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패널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면(600)으로부터 지지 프레임(100) 및 스윙 빔(300)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바닥 패널(200)을 통하여 리플렉터 프레임(500)에 수용된 발광 모듈(400)의 선택적인 점등 또는 조도의 조절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으로 복수의 경기 종목별 라인(700)을 각각 표시하도록 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경기장의 기초면(600)과 평행하게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부재이다.
바닥 패널(200)은 지지 프레임(100)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복수의 부재이다.
스윙 빔(300)은 기초면(600)에 고정되어 지지 프레임(100)을 받침 지지하며, 지지 프레임(100)의 높낮이를 조정 가능한 것으로, 바닥 패널(200)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것이다.
발광 모듈(4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401)이 어레이되고, 바닥 패널(200)을 통해 빛을 조사하여 경기 종목 라인(700)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발광소자는 예를 들어 엘이디칩 또는 면발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리플렉터 프레임(500)은 지지 프레임(100)과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되고, 복수의 경기 종목 라인(700)에 대응되게 바닥 패널(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발광 모듈(400)을 수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핸드볼 경기 라인(710)을 포함한 경기 종목 라인(700)은 복수의 리플렉터 프레임(500)에 안착된 발광 모듈(400)의 선택적인 점등 또는 조도의 조절에 의하여 바닥 패널(200)을 통해 표시되며, 후술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지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110)과, 제1 프레임(110)과 직교되게 제1 프레임(110) 위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플렉터 프레임(500)은 제2 프레임(120) 위에 배치되고, 스윙 빔(300)의 상단부는 제1 프레임(110)을 받침 지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 프레임(100)은 후술할 바닥 패널(20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하중의 흡수를 위한 완충 부재로서, 제2 프레임(1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제2 프레임(120) 위에 배치되고 탄성 재질의 완충 바(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완충 바(130)가 제2 프레임(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후술할 발광 모듈(400)의 보호를 위하여 리플렉터 프레임(500)이 제2 프레임(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높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닥 패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것으로, 크게 도광 패널(210)과 표면 패널(2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도광 패널(210)은 지지 프레임(100) 위에 복수로 배치되고, 발광 모듈(4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투명 재질의 일정 면적을 가진 것이다.
표면 패널(220)은 도광 패널(210)의 상면에 복수로 배치되고, 경기장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광 패널(210)을 통하여 후술할 발광 모듈(4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선명하게 조사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일정 면적을 가진 것이다.
여기서, 바닥 패널(200)은 강화 유리, 강화 세라믹,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윙 빔(300)은 실질적으로 바닥 패널(200)을 기초면(600)으로부터 이격시켜 자연 대류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되, 기초면(600)으로부터 바닥 패널(200)이 배치된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편(310)과 수용부(320)와 로드(330) 및 받침편(34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지편(310)은 지지 프레임(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부재이며, 수용부(320)는 지지편(310)의 바닥면으로부터 기초면(600)을 향하여 연장된 것이다.
로드(330)는 수용부(320)로부터 출입하여 신축 가능하고 일정 길이로 노출되어 수용편에 고정되며, 받침편(340)은 기초면(600)에 접촉하여 고정되며 로드(330)와 연결되는 일정 면적의 부재이다.
한편, 발광 모듈(400)은 광원으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복수의 발광소자(401)를 수용하는 플렉시블한 튜브체(410)를 포함하는 것이 설치 및 시공의 편의를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리플렉터 프레임(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 위에 안착 고정되는 것으로, 경기 종목 라인(700)에 대응되게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바(510)와, 받침바(5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호 대향하는 금속재의 반사편(520)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리플렉터 프레임(500)은 히트싱크로 활용되는 금속재인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초면(600) 위에 배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열재(800)와, 스윙 빔(300)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단열재(800)에 일정 면적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배치홀(810)을 더 구비하여 발광 모듈(4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이 건물 구조체인 기초면(600)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 모듈(4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강하시켜 냉각 효율을 높이고 경기장 내부의 냉방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단열재(800) 위에 배치되며 냉매가 흐르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플렉시블한 냉각관(9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냉매는 물, 에탄올, HFC계 냉매, 암모니아 등 냉각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며, 경기장 인근의 하천이나 지하수 또는 해수 등을 끌어와 냉각관(900) 내부를 흐르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렇게 발광 모듈(400)과 열교환한 냉각관(900) 내부의 냉매는 냉난방기의 가동 부하를 낮추기 위한 용도로 재활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 모듈(400) 중 특정 종목의 경기 라인을 표시하기 위하여 선택적인 점등을 할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디밍 디밍 컨트롤러(750, dimming controller)를 이용하여 조도의 조절을 통하여 특정 종목의 경기 라인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디밍 컨트롤러(750)는 복수의 발광 모듈(40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경기 종목 라인(700) 중 하나의 경기 종목 라인, 예를 들면 핸드볼 경기 라인(710)에 대응하는 발광 모듈(이하, '제1 발광 모듈')과 또 하나의 경기 종목 라인, 예를 들면 제1, 2 배구 경기 라인(721, 722)에 대응하는 발광 모듈(이하, '제2 발광 모듈')의 조도를 상호 다르게 조절하는 것이다.
여기서, 디밍 컨트롤러(750)는 제1 발광 모듈과 디밍 컨트롤러(750)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발광 모듈을 온오프하거나 핸드볼 경기 라인(710)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제1 디머 스위치(751)를 더 포함한다.
또한, 디밍 컨트롤러(750)는 제2 발광 모듈과 디밍 컨트롤러(750)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발광 모듈을 온오프하거나 제1, 2 배구 경기 라인(721, 722)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제2 디머 스위치(752, 75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경기장의 실제 운용 사례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8에서는 핸드볼 또는 풋살 경기와 배구 경기를 할 수 있는 경기장의 실제 예들을 들었으며, 이외에도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드민턴, 농구, 테니스, 스쿼시 등 실내에서 치뤄질 수 있는 경기 종목이라면 어떠한 것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4 내지 도 8에서 도면 부호 710은 핸드볼 경기 라인을, 721 및 722는 각각 제1 배구 경기 라인과 제2 배구 경기 라인을 나타낸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우선, 핸드볼 경기가 치뤄지려면, 관리자는 경기장 일측에 구비된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조작하여 발광 모듈(400)을 선택적으로 점등하되, 도 4와 같이 제1, 2 배구 경기 라인(721, 722)에 해당되는 리플렉터 프레임(500)에 수용된 발광 모듈(400)은 소등하고, 핸드볼 경기 라인(710)에 해당되는 리플렉터 프레임(500)에 수용된 발광 모듈(400)을 점등한다.
그리고, 배구의 조별 리그 또는 토너먼트가 동시에 치뤄지도록 하려면, 관리자는 경기장 일측에 구비된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조작하여 발광 모듈(400)을 선택적으로 점등하되, 도 5와 같이 제1, 2 배구 경기 라인(721, 722)에 해당되는 리플렉터 프레임(500)에 수용된 발광 모듈(400)을 점등하고, 핸드볼 경기 라인(710)에 해당되는 리플렉터 프레임(500)에 수용된 발광 모듈(400)은 소등한다.
그리고, 결승전과 같은 배구의 단일 경기가 치뤄지려면, 관리자는 경기장 일측에 구비된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조작하여 발광 모듈(400)을 선택적으로 점등하되, 도 6과 같이 제1 배구 경기 라인(721)에 해당되는 리플렉터 프레임(500)에 수용된 발광 모듈(400)을 점등하고, 제2 배구 경기 라인(722)과 핸드볼 경기 라인(710)에 해당되는 리플렉터 프레임(500)에 수용된 발광 모듈(400)은 소등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기 중 관람하는 관중들에게 극적인 효과와 박진감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도 7과 같이 경기장 바닥면에 현재 스코어를 일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도 8과 같이 득점 상황에서 "GOAL!!!" 등과 같은 문자 등이 경기장 바닥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등의 응용 및 변형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면적에서 여러 종목의 경기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열 문제의 해결 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지지 프레임
110...제1 프레임
120...제2 프레임
130...완충 바
200...바닥 패널
210...도광 패널
220...표면 패널
300...스윙 빔
310...지지편
320...수용부
330...로드
340...받침편
400...발광 모듈
401...발광소자
410...튜브체
500...리플렉터 프레임
510...받침바
520...반사편
600...기초면
700...경기 종목 라인
710...핸드볼 경기 라인
721...제1 배구 경기 라인
722...제2 배구 경기 라인
750...디밍 컨트롤러
751...제1 디머 스위치
752, 753...제2 디머 스위치
800...단열재
810...배치홀
900...냉각관

Claims (13)

  1. 경기장의 기초면과 평행하게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며, 경기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복수의 바닥 패널;
    상기 기초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정 가능한 스윙 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가 어레이되고, 상기 바닥 패널을 통해 빛을 조사하여 경기 종목 라인을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 모듈;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경기 종목 라인에 대응되게 상기 바닥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발광 모듈을 수용하는 복수의 리플렉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경기 종목 라인은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 프레임에 안착된 발광 모듈의 선택적인 점등 또는 조도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바닥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직교되게 상기 제1 프레임 위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리플렉터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상기 스윙 빔의 상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탄성 재질의 완충 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 바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리플렉터 프레임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높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널은,
    상기 지지 프레임 위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투명 재질의 도광 패널과,
    상기 도광 패널의 상면에 복수로 배치되고, 경기장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표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널은,
    강화 유리, 강화 세라믹,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 빔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기초면을 향하여 연장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출입하여 신축 가능하고 일정 길이로 노출되어 상기 수용편에 고정되는 로드와,
    상기 기초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며 상기 로드와 연결되는 일정 면적의 받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수용하는 플렉시블한 튜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 위에 안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경기 종목 라인에 대응되게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바와,
    상기 받침바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호 대향하는 금속재의 반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기초면 위에 배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열재와,
    상기 스윙 빔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단열재에 일정 면적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배치홀과,
    상기 단열재 위에 배치되며 냉매가 흐르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플렉시블한 냉각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경기 종목 라인 중 하나의 경기 종목 라인(이하, '제1 경기 라인')에 대응하는 발광 모듈(이하, '제1 발광 모듈')과 또 하나의 경기 종목 라인(이하, '제2 경기 라인')에 대응하는 발광 모듈(이하, '제2 발광 모듈')의 조도를 상호 다르게 조절하는 디밍 컨트롤러(dimming controll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디밍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발광 모듈과 상기 디밍 컨트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발광 모듈을 온오프하거나 상기 제1 경기 라인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제1 디머 스위치와,
    상기 제2 발광 모듈과 상기 디밍 컨트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발광 모듈을 온오프하거나 상기 제2 경기 라인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제2 디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엘이디칩 또는 면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KR1020140083270A 2014-07-03 2014-07-03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KR101895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70A KR101895791B1 (ko) 2014-07-03 2014-07-03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70A KR101895791B1 (ko) 2014-07-03 2014-07-03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56A true KR20160004656A (ko) 2016-01-13
KR101895791B1 KR101895791B1 (ko) 2018-10-04

Family

ID=5517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70A KR101895791B1 (ko) 2014-07-03 2014-07-03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7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305A (zh) * 2018-10-12 2019-01-01 保定市朝之悦体育设施有限公司 一种可变换的运动地板及变换方法、自检测技术
KR102341642B1 (ko) * 2021-06-24 2021-12-21 주식회사 글로브 플로어용 영상 표출 시스템
KR102341643B1 (ko) * 2021-06-24 2021-12-21 주식회사 글로브 일루미네이션용 바닥면의 컬러 표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048A (ja) * 2001-10-12 2003-04-22 Daiho Constr Co Ltd 表示装置およびライン切替え装置
KR100720809B1 (ko) * 2006-03-15 2007-05-21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마루 구조
JP2006194080A (ja) * 2006-03-17 2006-07-27 Inter Central:Kk 冷暖房設備の二重床構造および床吹出し空調・冷暖房装置
KR101281547B1 (ko) * 2012-09-03 2013-07-03 주식회사 디에스피 플렉서블 led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305A (zh) * 2018-10-12 2019-01-01 保定市朝之悦体育设施有限公司 一种可变换的运动地板及变换方法、自检测技术
CN109113305B (zh) * 2018-10-12 2023-10-20 保定市朝之悦体育设施有限公司 一种可变换的运动地板及变换方法、自检测技术
KR102341642B1 (ko) * 2021-06-24 2021-12-21 주식회사 글로브 플로어용 영상 표출 시스템
KR102341643B1 (ko) * 2021-06-24 2021-12-21 주식회사 글로브 일루미네이션용 바닥면의 컬러 표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791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791B1 (ko)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KR101895790B1 (ko)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RU2589045C2 (ru) Светящаяся полоса для спортивного и и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портив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игр в мяч или аналогичные игры, содержащее такую полосу
US10208906B2 (en) Ultraviolet court-illumination system
US10267491B1 (en) Sharp cutoff LED lighting fixture and method of use
CN201692602U (zh) 带有球网的电子足球装置
CN218468990U (zh) 运动场馆照明装置及运动场馆照明系统
JP2005253579A (ja) 遊技機
CN109357205A (zh) 一种用于体育场馆的照明装置
CN203379577U (zh) 一种便携式羽毛球场
KR101193108B1 (ko) 투구연습장치
JPH07155439A (ja) パチンコ機
JP7479010B2 (ja) 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035541A1 (en) Tabletop Game with Clear Sideboards
KR100913348B1 (ko) 레이저 네트
US11083952B2 (en) Multi-sport and multi-cour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supplying ball
CN102081888A (zh) 排球场地的彩色五环标志
CN201921423U (zh) 发光的排球场网柱
KR101199421B1 (ko) 경기장 라인 표시장치
CN115899615A (zh) 球馆照明装置及球馆照明系统
CN101773724A (zh) 新型击剑剑道
US20160146406A1 (en) LED Tennis Court Fixture
CN107930138A (zh) 一种水浪遮挡防护设备
CN101780329A (zh) 击剑剑道
JP6886234B2 (ja) 照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3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913

Effective date: 201803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