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653A -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653A
KR20160004653A KR1020140083264A KR20140083264A KR20160004653A KR 20160004653 A KR20160004653 A KR 20160004653A KR 1020140083264 A KR1020140083264 A KR 1020140083264A KR 20140083264 A KR20140083264 A KR 20140083264A KR 20160004653 A KR20160004653 A KR 20160004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ary
schedule
modul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900B1 (ko
Inventor
최형진
김설아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8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9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9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의 등록이 용이하고 일기 및 일정에 대한 인식용이성 및 가독성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일정에 대한 정보를 일기로 변환하여 별도로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일기 작성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과; 입력된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정 관리모듈과; 입력된 사용자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 관리모듈과;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가, 서비스 실행화면에서 각각의 서비스 정보 별로 시간 순서대로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이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분할선에 의해 일정출력영역과 일기출력영역으로 분할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TERMINAL FOR PROVIDING SERVICE MANAGING DIARY AND SCHE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의 등록이 용이하며 동시에 일정에 대한 정보를 일기로 변환하여 별도로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일기 작성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을 위한 휴대 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PAD 등이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는 알람기능, 전자계산기, 전화번호부, 일정 캘린더, 각종 게임 기능뿐 아니라, 음성녹음, 사진촬영 및 동영상촬영, 위치추적기능 등이 부가적으로 제공되어 편리하게 이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현대 사회에서 휴대 단말기는 개인의 다양한 활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면서 유용성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매체로 행해지는 개인의 다양한 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일정 관리 서비스가 최근에도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는 단순히 일정 캘린더에 일정을 기록하고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에 불과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는 사용자가 일일이 일정에 대한 모든 내용(즉, 일정 시간, 일정 장소, 일정 내용, 일정 참가자 등등)을 텍스트로 작성하여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렇듯, 종래기술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에서는 단순히 단조로운 텍스트 정보만이 일정에 기입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일정이 완료된 후 일정 내 기간 동안 행하여진 사용자의 일상을 별도로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없거나, 또는 별도의 서비스인 다이어리 서비스에 일일이 일정에 대한 내용을 재기록하고 편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등록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일기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 기록 및 저장된 정보를 일기 방식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일기를 능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또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과;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가 기록 및 관리하는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정 관리모듈과;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기록 및 관리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가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 관리모듈과; 상기 출력모듈,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일기 관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가, 서비스 실행화면에서 각각의 서비스 정보 별로 시간 순서대로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이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분할선에 의해 일정출력영역과 일기출력영역으로 분할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일기 관리모듈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의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일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시분할선에 포함되는 상기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미래의 정보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정출력영역에 출력하도록, 그리고 상기 시분할선에 포함되는 상기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과거의 정보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출력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시각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일정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시작시간에, 또는 상기 만료시간에, 또는 상기 시작시간 또는 상기 만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기출력영역에 추가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기출력영역에 추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의 기초가 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삭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시각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일정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시작시간에, 또는 상기 만료시간에, 또는 상기 시작시간 또는 상기 만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일기출력영역이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 내에서 상기 시분할선이 이동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상기 기간정보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간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시작시간, 만료시간 및 생성시간 중 하나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가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먼 일정에 대한 정보에 비해 상기 시분할선에 가까이 배치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기출력영역에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출력영역에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생성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생성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먼 일기에 대한 정보에 비해 상기 시분할선에 가까이 배치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시작시간, 만료시간 및 생성시간 중 하나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하도록, 그리고 상기 일기출력영역에서 상기 현재시각을 포함하는 당일에 생성된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미래의 일정인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도록, 또는 상기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과거의 일기인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포함되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에 대한 스크롤 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포함되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에 대한 스크롤 이동 방향을 기설정된 제1 방향에서 상기 기설정된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기설정된 제2 방향으로의 전환하는 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 중 일부의 화면영역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 선택아이콘 및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 선택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각 정보 선택아이콘의 선택시 선택된 정보 선택아이콘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상기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 중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등록 입력영역이 시간 순서대로 배치되는 각각의 서비스 정보와 함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등록 입력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기간정보, 일정위치정보 및 참가자 정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1 입력영역 내지 제3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입력창이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입력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지정가능한 타임테이블, 디지털 시계 형상의 시간지정부 및 캘린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창이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입력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또는 위치기반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위치기반 지도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일정위치정보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창이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3 입력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 또는 외부 메신져서버의 주소록 정보 중에서 참가자 명단정보가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주소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등록 입력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소프트 키패드인 제4 입력영역이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에 단독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입력영역 내지 제3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과 함께 출력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4 입력영역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등록 입력영역에서 상기 제4 입력영역에 의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출력신호로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일기 및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또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기 및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가 기록 및 관리하는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가 기록 및 관리하는 사용자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서비스 실행화면에서 각각의 서비스 정보 별로 시간 순서대로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이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분할선에 의해 일정출력영역과 일기출력영역으로 각각 분할되어 출력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컴퓨터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또는 단말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여 일정을 등록하는 과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일정 등록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을 일기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일기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단순히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일정 기록 등을 일기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어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기에 대한 정보 및 일정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실행화면에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일기에 대한 정보 및 일정에 대한 정보 모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기에 대한 정보 및 일정에 대한 정보 모두에 대한 사용자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기를 작성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타인과 공유할 수 있고 일기에 공유된 타인의 의견(즉, 댓글)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기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일기 작성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도 4의 일기 생성단계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단말기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정 관리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정 관리모듈에 포함되는 전체 일정 캘린더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정 관리모듈에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10a는 도 8의 화면에서 제1 입력영역 선택시에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0b는 도 9의 화면에서 제2 입력영역 선택시에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0c는 도 9의 화면에서 제3 입력영역 선택시에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11은 도 10c에서 입력된 참가자의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참가자의 답변정보에 대한 결과정보가 반영된 경우 일정 관리모듈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단말기의 메신져모듈에서 일정 관리모듈을 실행하는 경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기 관리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관리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참가자에게 일기를 공유한 경우 참가자의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에 표시되는 공유된 일기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관리모듈에 기록 및 저장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참가자 이외의 타인에게 전달하기 위한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화면에서 참가자 이외의 타인의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에 표시되는 전달된 일기에 대한 정보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화면에서 참가자 이외의 타인의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에 표시되는 전달된 일기에 대한 정보들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e는 단말기의 메신져모듈에서 일기 관리모듈에 기록 및 저장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참가자의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 또는 참가자 이외의 타인의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화면들이다.
도 21은 제5 알림신호에 대한 단말기의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22는 사용자의 평가정보가 추가된 일기에 대한 정보에 대한 단말기의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정 관리모듈에 포함되는 전체 일정 캘린더에 대한 개략적인 서비스 실행화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정 관리모듈에 대한 제1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서비스 실행화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정 관리모듈에 대한 제2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서비스 실행화면이다.
도 26a 내지 도 26e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정 관리모듈에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개략적인 화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은, 일기 및 일정을 관리하고 기록하며 편집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와,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쌍방향 무선통신하며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는 사용자의 단말기(200), 사용자와 일정을 공유하는 사람(이하, '참가자'라고 함)의 단말기 그리고 사용자와 참가자 이외의 타인의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에서 기술되는 단말기는 사용자의 단말기(200), 참가자의 단말기(300) 및 타인의 단말기(300)가 모두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는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일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가 되는 입력신호 및 입력정보를 단말기의 입력모듈(210) 및 출력모듈(230)로부터 전송받아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일기에 대한 정보를 기록, 관리, 편집 및 저장하는 서버이며, 이렇게 기록, 관리, 편집 및 저장된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일기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로 전송되어 기록, 관리, 편집 및 저장되거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는, 단말기와 상호 무선통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210) 및 출력모듈(230)와 연동하고,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정 관리부(120)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210) 및 출력모듈(230)와 연동하고, 사용자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 관리부(130)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모듈(250)에 포함되는 주소록 정보를 공유, 저장 및 관리하는 메모리부(140)와; 메신져 기능을 관리 및 실행하고 메신져 기능에서 생성된 내용들을 저장하는 메신져부(160)와; 상기 통신부(110), 상기 일정 관리부(120), 상기 일기 관리부(130) 및 상기 메모리부(140) 그리고 상기 메신져부(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모듈(210)과,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230)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 및 다른 단말기(300)와 상호 무선통신하는 통신모듈(220)과,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 및 마이크 등을 사용하여 음성, 영상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하는 멀티미디어 모듈(240)과,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며 상기 일정 관리부(120)와 연동하는 일정 관리모듈(260)과, 사용자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며 상기 일기 관리부(130)와 연동하는 일기 관리모듈(270)과, 주소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모듈(250)과, 상기 메신져부(160)와 연동하는 메신져 모듈과, 각각의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80)을 포함한다.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와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와 상기 단말기의 제어모듈(280)에 의해 상호 간에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여 연동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와 상기 단말기의 제어모듈(280) 사이의 연동과정을 중심으로,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통신부(110), 일정 관리부(120), 일기 관리부(130), 메신져부(160), 메모리부(140) 및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210), 출력모듈(230), 멀티미디어 모듈(240), 메모리모듈(250), 일정 관리모듈(260), 일기 관리모듈(270), 메신져모듈(290) 상이의 연동과정으로 인해 사용자 및 참가자 또는 타인에게 일기 관리 서비스 및/또는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제어과정 또는 제어 알고리즘은 단말기의 제어모듈 및/또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에 따르면,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일정 관리부(120)의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 관리부(130)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일정 부분 또는 전체 생성한 후 상기 일기 관리부(130)에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제어모듈(280) 또는 일기 관리모듈(270)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의 제어모듈(280)은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에서 전송된 일기 관리부(130)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출력모듈(230) 또는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270)에 출력한다.
즉, 사용자가 일정 관리모듈(260) 및/또는 일정 관리부(120)를 통하여 생성한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즉, 일기(diary))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일정에 대한 정보는,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 일정의 시작시간 및 만료시간에 대한 기간정보, 일정에 참가하는 참가원에 대한 참가자 정보, 일정위치에 대한 일정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는 일정이 '무엇'에 관한 것이냐에 대한 정보 및 데이터이며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대 계모임"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간정보는 일정이 '언제' 일어나는지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기간의 시작시간 및 만료시간에 대한 정보 및 데이터이며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13년 02월 28일, 오후 01:00" 및 "2013년 02월 28일, 오후 02:00"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참가자 정보는 '누구와' 함께 하는 일정이냐에 대한 것으로서 일정에 참여 또는 초대된 사람에 대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 기환, 형진"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일정위치정보는 일정이 '어디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동"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부 및/또는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일기생성대상일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부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을 참조하여 현재시각에 일정이 개시되는 개시일정 또는 일정이 만료되는 만료일정을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은 현재시각에 일정이 개시되는 개시일정 및 현재시각에 일정이 만료되는 만료일정 중 하나의 일정이다.
이하에서는, 우선 현재시각에 일정이 만료되는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즉, 일정에 대한 정보를 일기에 대한 정보로 변환 또는 생성하는 경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기간정보의 만료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일정 관리부(120)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만료일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부(130)로 전송하여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일기에 대한 정보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생성하여 일기 관리부(130)로 전송한다.
이때, 만료일정이란 현재시각이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기간정보의 만료시간을 도과한 경우에 상기 일정 및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일기에 대한 정보(즉, '일기(diary)'와 동일한 의미임)는 일정에 대한 정보와 유사하게, '누구와'에 대한 정보, '언제'에 대한 정보, '무엇을'에 대한 정보, '어디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50)는 일기 관리부(130)에 기록 및 저장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만료일정에 포함되는 일정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로 자동적으로 변환 또는 생성하며, 이때 제어부(150)는 일정에 대한 정보를 일기에 대한 정보 전체로 생성하거나, 또는 일정에 대한 정보를 일기에 대한 정보의 일부분으로 생성한다.
물론,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제어모듈로부터 제1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요청신호는, 상기 단말기의 제어모듈이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대응되게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제어모듈의 신호이다.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에 의해 만료일정에 기초하여 생성된 일기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의 제어모듈(280)에 의해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270)로 전송되어 관리 및 저장된다.
또한,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상기 일정 관리부(120)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만료일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를 생성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230) 및/또는 일기 관리모듈(270)로 전송한다.
이렇게, 제1 알림신호가 단말기로 전송되면, 단말기의 제어모듈(280)은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상기 제1 알림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즉, 제1 알림신호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입력모듈(210) 및/또는 일기 관리모듈(270)을 통하여 만료일정에 대해 일기를 생성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정보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제1 알림신호를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에 또는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이란 예를 들어 일기의 특성상 매일 저녁 10:00일 수 있고, 이렇게 매일 저녁 10:00에 당일의 일정에 대한 정보들을 일기에 대한 정보들로 변환 또는 생성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일정들 중에서 자신이 기록하고 싶은 일정에 대해서만 일기로 남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이란 예를 들어 만료일정의 만료시점으로부터 1시간으로 사용자지정된 경우 일정이 만료된 후 1시간 후에 일정을 일기로 변환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 도래시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에 바로 상기 제1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모듈(240)을 통하여 여러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음악 파일 등)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일정이 진행 중에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일정과 관련성이 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이러한 일정 내 기간 중에 획득된 데이터 또한 일기의 한 부분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단말기의 제어모듈(280)과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가 서로 연동하여 일기의 내용을 더욱 능동적이고 풍성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모듈(280)은 일정 관리모듈(260) 및 메모리모듈(250)을 검토하여 일기생성대상일정(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만료일정) 내 기간에 또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의 만료시간 이후 일정기간 내에 생성 및 획득된 기(旣)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즉, 제3 알림신호) 및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입력모듈 및/또는 일기 관리모듈을 통하여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제2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요청신호는 상기 제2 요청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요청신호는 상기 제1 요청신호의 일부에 포함되어 상기 제1 요청신호와 함께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보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된 정보 및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만료일정) 내에 또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의 만료시간 이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모듈(240)로부터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만료일정) 내에 또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의 만료시간 이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일기 관리부(130)를 사용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 관리부(130)의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단말기의 마이크로부터 획득된 음성데이터, 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동영상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모듈(240)뿐만 아니라 일정 내 기간 동안 단말기의 메모리모듈(250)로 전송 및 저장된 파일 또는 데이터 또는 정보 또한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예시로서 일정 내 기간 동안 메모리모듈(250)로 옮겨진 음악파일 또는 문서파일 등도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270) 및/또는 출력모듈(23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상기 제2 알림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즉, 제2 알림신호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입력모듈(210) 및/또는 일기 관리모듈(270)을 통하여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정보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에 또는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23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이란 예를 들어 일기의 특성상 매일 저녁 10:00일 수 있고, 이렇게 매일 저녁 10:00에 당일의 일정에 대한 정보들에 대응되는 일정 내 기간 동안 획득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추가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들 중에서 자신이 기록하고 싶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에 대해서만 일기로 남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이란 예를 들어 만료일정의 만료시점 및/또는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획득시각으로부터 1시간으로 사용자지정된 경우 일정이 만료된 후 및/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획득시각으로부터 1시간 후에 일정을 일기로 변환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알림신호 및 상기 제2 알림신호는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에 또는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단말기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 도래시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에 바로 상기 제1 알림신호 및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제1 알림신호와 상기 제2 알림신호가 별개의 신호인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알림신호는 상기 제2 알림신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알림신호에 포함되는 정보 및 신호는 상기 제1 알림신호의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메모리부(140)에는 통상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일정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란 빈번하고 반복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일정에 대응되거나 이러한 일정을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일정이 식사 또는 점심식사인 경우 레스토랑 사진이나 음식 사진이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로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만료일정) 내에 또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의 만료시간 이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모듈(240)로부터 획득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만료일정에 대응되는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한다.
또한,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일기생성대상일정(즉,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만료일정) 내에 또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의 만료시간 이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만료일정) 내에 또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의 만료시간 이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저장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즉, 만료일정)에 대응되는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제3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3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가 추가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일기생성대상일정(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만료일정) 내에 또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의 만료시간 이후 일정시간 내에 기간 동안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모듈(240)로부터 획득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일기가 텍스트로만 나열되어 무미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일기의 내용을 보다 알차게 꾸밀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일기 관리모듈(270)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일기를 생성 및 꾸미고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어 일기 작성에 대한 애착을 다시금 상기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일기 관리부(130) 및/또는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에 기록 및 저장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200) 이외의 참가자의 단말기(300)로 전송하지 않도록 일기 관리부(130) 및/또는 일기 관리모듈(270)을 제어한다. 이때, 타인에는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일기 관리부(130) 및/또는 일기 관리모듈(270)에서 기록, 관리 및 저장되는 일기에 대한 정보는 사생활을 직접적으로 관련된 일기이므로, 제어부(150)는 원칙적으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200) 이외에는 전송하거나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입력신호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자가 공개할 것으로 결정한 일기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는 정보 공유 및 정보 제공 차원에서 제어부(150)가 일기에 대한 정보를 한정적으로 사용자 이외의 타인에게 공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소록 정보에 저장된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4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부(130)로 전송하여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일기에 대한 정보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생성하며,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상기 제4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에 대한 정보(즉, 참가자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140)에 연동 및 저장된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주소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소록 정보에 저장된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300)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공유 및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는 참가자의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출력모듈(230) 및/또는 일기 관리모듈(270)에 출력된다.
이에 대해,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제어모듈(280)로부터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입력모듈(210)로부터 입력되는 참가자 입력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대해,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참가자 입력정보의 내용을 상기 일기 관리부(130)의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한다.
여기서, 상기 참가자 입력정보란 일종의 댓글(reply 또는 comment 등) 및/또는 참가자의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멀티미디어 모듈(240)로 획득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렇게, 참자가 입력정보를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보다 일기의 내용을 풍성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와 참가자 사이에 정보 및 추억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즉,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일정 참가자 이외의 타인에게도 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기에 대한 정보의 공유과정 및/또는 전달과정은 일기 관리부(130) 및 일기 관리모듈(270)에서 수행가능할뿐 아니라, 메신져부(160) 및 메신져모듈(290)에서도 수행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일기에 대한 정보는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생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 변환하기 위한 선행과정으로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제어모듈(280)과 제어부(150)의 연동과정을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단말기의 제어모듈(280)은 입력모듈(210) 및/또는 일정 관리모듈(260)을 통하여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대해, 상기 제어모듈(280)은 일정 관리모듈(260)에 상기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 기록 및 저장하고, 통신모듈(220)을 통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기의 제어모듈(280)은 입력모듈(210) 및/또는 일정 관리모듈(260)을 통하여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려는 공유요청정보 및 참가자 명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공유요청정보 및 상기 참가자 명단정보를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이에 대해,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입력모듈(210)로부터 입력되는 참가자 명단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140)에 연동 및 저장된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주소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300)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공유 및 전송한다.
이후, 참가자의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제어모듈(280)은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입력모듈(210)로부터 참가자의 참석여부에 대한 답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 및/또는 일정 관리부(1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답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답변정보에 대한 결과정보를 상기 일정 관리부(120)에 기록 및 저정하고, 상기 결과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제어모듈(280)로 전송하여 출력모듈(230) 및/또는 일정 관리모듈(260)에 출력한다.
이러한, 일정에 대한 정보의 공유과정은 일정 관리부(120) 및 일정 관리모듈(260)에서 수행가능할뿐 아니라, 메신져부(160) 및 메신져모듈(290)에서도 수행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일기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일정에 대한 정보가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서 관리되거나, 또는 일기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일정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에서 관리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이하에서는 변형 실시예로서 일정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의 일정 관리모듈에서 기록 및 관리되고, 일기에 대한 정보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일기 관리부에서 기록 및 관리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일기에 대한 정보가 각각 단말기 및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서 관리된다는 점을 제외하곤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 및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일정 관리모듈은 포함하나, 일기 관리모듈은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는 일기 관리부를 포함하나 일정 관리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본 변형 실시예에 한해서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는 실질적으로는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단말기의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일기생성대상일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를 생성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알림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일기생성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의 일기 관리부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부분 또는 전체 생성하도록 상기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표시되는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 선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의 일기 관리부의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도록 상기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에 대한 사용자의 축약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평가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영역을 상기 출력모듈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의 일기 관리부의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입력받은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일정 관리모듈에서 기록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일기생성대상일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를 생성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알림을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일기생성요청을 수신받으면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의 일기 관리부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부분 또는 전체 생성하도록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일기생성대상일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시각에 일정이 개시되는 개시일정 및 일정이 만료되는 만료일정 중 하나의 일정을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으로 판단하도록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의 일기 관리부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부분 또는 전체 생성하도록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들 중에 선택되는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의 일기 관리부의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것을 함께 요청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의 일기 관리부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부분 또는 전체 생성하도록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에 대한 사용자의 축약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평가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 서비스서버의 일기 관리부의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것을 함께 요청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단말기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추가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기술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의 연동없이 단말기만으로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추가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제어 알고리즘을 모두 포함하며, 다만 상기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주체가 단말기의 제어모듈이다. 따라서,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단말기만으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 중 전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단말기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간략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모듈은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대응되게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렇게 일정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게 생성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또는 기록 및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를 생성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인지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에 또는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또는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에 상기 제1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로부터 획득되어 저장된 기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만료일정 기간 내에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로부터 획득되어 저장된 데이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인지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에 또는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또는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에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알림신호는 상기 제1 알림신호와 독립된 별개의 신호로 출력모듈에 출력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알림신호가 상기 제1 알림신호의 일부분으로 나타나도록 상기 제1 알림신호 및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알림신호에 대해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추가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또는 기록 및 저장)한다.
상기에서는, 제어모듈이 제2 알림신호를 출력모듈에 출력하여 상기 제2 알림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추가 실시예로서 이러한 과정을 생략하여 제어모듈이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기에 대한 정보에 자동으로 추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일기생성대상일정(즉,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만료일정) 내에 또는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의 만료시간 이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어 저장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추가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또는 기록 및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음성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문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일정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일기생성대상일정(즉,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즉, 만료일정) 기간 내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어 저장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즉, 만료일정)에 대응되는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가 추가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또는 기록 및 저장)한다.
제어모듈의 일기 관리모듈에 제어 알고리즘의 기본 원칙으로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지 못하도록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일기 관리모듈을 제어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제어모듈은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 정보 및 주소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대응되게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소록 정보에 저장된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대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 이외의 타인의 단말기로 전송하지 못하도록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일기 관리모듈을 제어한다.
일정에 대한 정보는 기본적으로 공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는 참가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 명단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참가자들에게 공유요청하는 공유요청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참석여부에 대한 답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답변정보에 대한 결과정보를 상기 일정 관리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의 제어방법(S2000)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의 제어방법(S20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5는 도 4의 일기 생성단계(S25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6은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단말기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의 제어방법(S2000)은, 전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장치 및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일정 입력단계(S2100), 일정 연동단계(S2200), 일정 알림단계(S2300), 만료일정유무 판단단계(S2400), 일기 생성단계(S2500) 및 일기 저장단계(S260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210) 및 일정 관리모듈(260)을 통하여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 일정의 시작시간 및 만료시간에 대한 기간정보, 일정에 참가하는 참가원에 대한 참가자 정보, 일정위치에 대한 일정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모듈(280) 및/또는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일정 관리모듈(260)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일정 관리모듈(260)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와 서비스공급자가 상이한 다른 일정 관리서비스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일정 관리모듈(260) 및/또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를 연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단말기의 일정 관리모듈(260)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와 서비스공급자가 상이한 다른 일정 관리서비스를 연동하여 상기 다른 일정 관리서비스에 기록 및 저장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일정 관리모듈(260)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로 수신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기(200) 및/또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서비스가 L사에서 공급되는 서비스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280)은 L사 이외의 서비스공급자(즉, 예를 들어 K사 또는 S사 또는 G사 등등)가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다른 일정 관리서비스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L사에서 제공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 및 단말기의 일정 관리모듈(260)로 기록 및 저장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정이 도래하기 기설정된 시간 이전에 또는 상기 일정이 도래한 때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230)로 출력한다. 즉, 제어부(150)가 일정에 대한 정보의 시작시점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시작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일정 관리부(120)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의 출력모듈(230)에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 및 정보를 단말기의 제어모듈(280)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로 전송된(또는 기록 및 저장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만료일정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상기 만료일정유무 판단단계(S2400)에서 상기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가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기 관리부(130)로 전송하여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생성한다.
일기 생성단계(S25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기 생성단계(S2500)는, 만료일정정보 변환단계(S2510), 데이터유무 판단단계(S2520), 멀티미디어데이터 첨부단계(S2550)를 포함한다.
일정을 일기의 일부분 또는 전체로 변환 또는 생성하기 위하여, 우선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이 상기 만료일정유무 판단단계(S2400)에서 상기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150) 및/또는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로 변환한다.
이후,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상기 만료일정의 기간 내에 상기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모듈(240)로부터 획득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상기 데이터유무 판단단계(S2520)에서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한다.
이때, 상기 기정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마이크로부터 획득된 음성데이터, 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동영상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기 생성단계(S2500)는,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 첨부단계(S2550) 전에,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제2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 알림단계(S2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기에 추가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어, 불필요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상기 데이터유무 판단단계(S2520)에서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일정에 대응되는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한다.
이렇게, 상기 일기 생성단계(S2500)에서 생성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와는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즉, 일기 생성단계(S2500)에서 생성되어 일기 관리모듈(270) 및/또는 일기 관리부(130)에서 관리 및 기록되는 일기에 대한 정보는 생성된 후에는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모태가 되는 일정에 대한 정보와는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또는 일기 관리부(130)는 일정 관리모듈(260) 및 일정 관리부(120)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기 생성단계(S2500)에서 생성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기 관리부(130) 또는 상기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270)에서 수정 및 편집가능하며,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 또는 상기 단말기의 일정 관리모듈(260)에서는 수정 및 편집이 방지된다.
일기 생성단계(S2500) 이후,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만료일정에 기초하여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생성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기 관리부(130) 또는 상기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270)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 및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300)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공유 및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300)에 포함되는 입력모듈(210) 또는 일기 관리모듈(270)로부터 입력되는 참가자의 입력정보(예를 들어, 댓글 등)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 입력단계(S2100) 이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일정 참가자와 공유하는 일정 공유단계가 추가로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기 공유단계(S2800) 및 상기 일정 공유단계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메신져부(160) 및/또는 단말기의 메신져모듈(290)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 및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의 제어방법(S2000)의 기능 및 작동과정에 대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 및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의 제어방법(S2000)이 단말기에서 구현될 때, 단말기의 출력모듈(230), 특히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기준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방법 및/또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의 제어방법(S2000)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중심으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 알고리즘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전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제어 알고리즘을 모두 포함하며, 다만 상기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주체가 단말기의 제어모듈이다. 따라서,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 중 전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단말기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간략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기 및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S30000)은, 상기 단말기의 일정 관리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및 기록하고,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일정 입력단계(S3001);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1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제1 요청단계(S3003); 및 상기 제1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서 생성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 및 저장하는 일기 저장단계(S300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요청단계(S3003)는,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경우에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요청단계(S3003)는,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대응되게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도록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S3000)은, 상기 제1 요청단계(S3003) 전에,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를 생성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알림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1 알림신호 수신단계(S30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알림신호 수신단계(S3002)는,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에 또는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또는 상기 만료일정의 만료시간에 실행된다.
또한,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S3000)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만료일정 기간 내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만료일정 기간 내에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저장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제2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제2 요청단계(S3005);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S3000)은, 상기 제2 요청단계(S3005) 후에, 상기 제2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첨부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 첨부단계(S3006);를 더 포함한다.
반대로,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기간이 만료된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만료일정 기간 내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만료일정 기간 내에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저장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S3000)은,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복수 개의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 중에서 상기 만료일정에 대응되는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제3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제3 요청단계(S3007);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S3000)은, 상기 제3 요청단계(S3007) 후에,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3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첨부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하는 기본일정 멀티미디어데이터 첨부단계(S3006);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은(S3000), 상기 일기 저장단계(S3009) 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소록 정보에 저장된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4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제4 요청단계(S3010);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S3000)은, 상기 제4 요청단계(S3010) 후에,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의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참가자 입력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참가자 입력정보가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되도록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하는 피드백 추가단계(S3011);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참가자 입력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S3000)은 상기 일정 입력단계(S3001) 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 명단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참가자들에게 공유요청하는 공유요청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일정 공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S3000)은, 상기 일정 공유단계 후에,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참석여부에 대한 답변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답변정보에 대한 결과정보를 상기 일정 관리모듈로 전송하는 일정참가자 확인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추가 실시예로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의 연동없이 단말기만으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단말기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추가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기술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의 연동없이 단말기만으로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추가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제어 알고리즘을 모두 포함하며, 다만 상기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주체가 단말기의 제어모듈이다. 따라서,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단말기만으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 중 전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단말기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간략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일기 및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의 일정 관리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일정 입력단계;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일기 생성단계; 및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 및 저장하는 일기 저장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일기 생성단계는,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생성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 현재시각에 만료일정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만료일정유무 판단단계;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로 변환하는 만료일정정보 변환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유무 판단단계; 및 상기 데이터유무 판단단계에서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 첨부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유무 판단단계는, 상기 만료일정의 기간 내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단말기의 마이크로부터 획득된 음성데이터, 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동영상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기 생성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데이터 첨부단계 전에,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제2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로 출력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 알림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일정 입력단계 후에, 상기 단말기의 일정 관리모듈과 서비스공급자가 상이한 다른 일정 관리서비스를 연동하여 상기 다른 일정 관리서비스에 기록 및 저장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정 관리모듈로 수신하는 일정 연동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그리고,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일정 입력단계 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정의 시작시간이 도래하기 기설정된 시간 이전에 또는 상기 일정의 시작시간이 도래한 때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로 출력하는 일정 알림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원칙적으로 상기 일기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만료일정에 대한 정보와는 독립적으로 관리되도록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일기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일기 관리모듈에서 수정 및 편집가능하며,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서는 수정 및 편집이 방지되도록 제어모듈의 제어를 받는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화면 및 출력화면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이기는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 및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정 관리모듈(260)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정 관리모듈(260)에 포함되는 전체 일정 캘린더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정 관리모듈(260)에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0a는 도 9의 화면에서 제1 입력영역 선택시에 단말기의 출력모듈(230)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0b는 도 9의 화면에서 제2 입력영역 선택시에 단말기의 출력모듈(230)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0c는 도 9의 화면에서 제3 입력영역 선택시에 단말기의 출력모듈(230)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1은 도 9c에서 입력된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출력모듈(230)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참가자의 답변정보에 대한 결과정보가 반영된 경우 일정 관리모듈(260)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어모듈(280)은 단말기의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1000)(즉, 일정 관리모듈(260) 및 일기 관리모듈(270))의 실행신호를 입력받으면 단말기의 출력모듈(230)에 일정 관리모듈(260)의 일정에 대한 정보(232) 및 일기 관리모듈(270)의 일기에 대한 정보(231) 및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233)가 함께 또는 선택시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 중 일부의 화면영역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 선택아이콘, 일기에 대한 정보 선택아이콘 및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 선택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은 각 정보 선택아이콘의 선택시 선택된 정보 선택아이콘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280)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입력영역들로서 일정 관리모듈(260)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일기 관리모듈(270)의 일기에 대한 정보 및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가 함께 출력되도록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일정 관리모듈이 선택되어 실행되면 단말기의 출력모듈에는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이 출력된다(도 7 참고).
상기 일정 관리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가 기록 및 관리하는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서 각각의 일정에 대한 정보 별로 시간 순서대로 배치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 중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영역인 등록 입력영역(261))이 시간 순서대로 배치되는 각각의 일정에 대한 정보와 함께 동시에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모듈은 시간 순서와는 무관하게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은,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 중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등록 입력영역과 함께 동시에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모듈이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일정에 대한 정보 별로 시간 순서대로 배치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 중 먼저 도래할 일정에 대한 정보가 나중에 도래할 일정에 대한 정보보다 위에 배치되게 하거나, 도 7과 반대로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일정 관리모듈로 자신의 일정을 관리할 때 일정 목록 및 일정 내용에 대한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간 순서대로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 정렬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서 상기 기간정보의 시작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그리고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간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이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모듈에 대해 상하로 스크롤 이동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을 상하로 스크롤 이동함으로써 상하로 시간 순서대로 배치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일정 파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간 순대서로 배치된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들은 금일의 일정에 대한 정보에 한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 중에서 현재시각이 포함되는 금일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 시간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화면영역 중 일부의 화면영역에서 상기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모듈에 대해 상하로 스크롤 이동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 현재 기상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다이어트 목표 체중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항상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을 복수 개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화면영역 중 일부의 화면영역에서 상기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모듈에 대해 상하로 스크롤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현재 기상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상기 복수 개의 화면영역 중 나머지 다른 일부의 화면영역에서 항상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화면영역 중 나머지 다른 일부의 화면영역에서 항상 출력되는 현재 기상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는 스크롤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현재 기상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화면영역 중 일부의 화면영역에서 실행되는 상기 복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의 스크롤 이동과는 무관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 출력되는 현재 기상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는 후에 일기대상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의 기간 내의 기상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되도록 상기 일기 관리모듈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의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일기생성대상일정의 기간 내의 기상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되도록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도 7, 도 8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입력영역들이 선택되는 경우 일정 관리모듈(260)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일기 관리모듈(270)의 일기에 대한 정보 및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를 선택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모듈(23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캘린더 방식으로 표시되며 일정에 대한 정보들이 월별로 전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280)은, 일정 관리모듈(260)의 일정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영역(232), 일기 관리모듈(270)의 일기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영역(231) 및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영역(233) 각각이 출력모듈(230)에 출력된 상태에서 일정 관리모듈(260)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일기 관리모듈(270)의 일기에 대한 정보 및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를 추가 또는 신설 또는 등록할 수 있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영역(261)(즉, 등록 입력영역)이 출력모듈(230)에 출력되도록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입력영역(즉, 입력영역(261))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 중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영역이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80)은, 일정 관리모듈(260)의 일정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영역(231)이 출력모듈(230)에 출력된 상태에서 일정 관리모듈(260)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추가 또는 신설 또는 등록할 수 있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영역(즉, 등록 입력영역)(261)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입력영역(262) 내지 제4 입력영역(26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입력창을 출력모듈(23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입력영역 내지 상기 제4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이 상기 등록 입력영역과 함께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은 소프트키패드인 제4 입력영역이 상기 등록 입력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4 입력영역에 의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등록 입력영역에서 출력신호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입력영역 내지 상기 제3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이 상기 등록 입력영역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입력영역 내지 상기 제3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에 의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등록 입력영역에서 출력신호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을 통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기간정보, 일정위치정 보 및 참가자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입력영역(262) 내지 제3 입력영역(26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이 상기 출력모듈(230) 및/또는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모듈(230) 및/또는 일정 관리모듈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1 입력영역(262)은 기간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영역이고, 상기 제2 입력영역(263)은 일정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영역이고, 상기 제3 입력영역(264)은 상기 참가자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영역이다.
이후, 제어모듈(280)은 상기 제1 입력영역(262)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지정가능한 타임테이블, 디지털 시계 형상의 시간지정부 및 캘린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출력모듈(23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모듈(280)이 상기 제2 입력영역(263)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단말기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또는 위치기반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일정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즉, 제어모듈(280)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기반 지도 애플리케이션 또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일정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일정위치정보는 텍스트 자동완성기능으로 완성되는 것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80)이 상기 제3 입력영역(264)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모듈(250)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 중에서 참가자 명단정보가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주소록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23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참가자 명단정보는 텍스트 자동완성기능으로 완성되는 것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참가자 명단정보가 확정되면(즉, 도 10c에서 '저장'이 선택되면), 제어모듈(280)은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로 상기 참가자 명단정보를 전송하고, 이후 제어부(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가자 명단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의 단말기(300)로 일정 참가여부에 대한 질의정보(331)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가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입력모듈(310)을 통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한 결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결과정보를 일정 관리부(120)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록 및 저장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상기 결과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80)은 일정 관리모듈(260)을 통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에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직접적으로 수신하는 제4 입력영역(265)이 상기 출력모듈(230)에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제4 입력영역(265)을 통하여 일정이 '무엇'인지 내용에 대해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입력영역은 가상 키보드 형상인 소프트 키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등록 입력영역(즉, 입력영역(261))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소프트 키패드인 제4 입력영역이 상기 일정 관리모듈의 실행화면에 단독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입력영역 내지 제3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과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입력영역 내지 제4 입력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모두 수신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관리부(120) 및/또는 일정 관리모듈(260)에는 완성된 일정에 대한 정보가 저장 및 기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때, 사용자가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일일이 일정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에 구비되는 구성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정에 대한 정보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완성하는 과정에 대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단말기의 메신져모듈(290)에서 일정 관리모듈(260)을 실행하는 경우 단말기의 출력모듈(230)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화면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완성하는 과정 및 일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은 단말기의 일정 관리모듈(260)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구비되는 메신져모듈(290)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우선, 제어모듈(280)은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메신져모듈(290)을 실행한다.
이후, 제어모듈(280)은 메신져모듈(290)에 구비되는 일정 공유요청에 대한 입력영역(291)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일정 공유요청에 대한 입력영역(291)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모듈(280)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 입력하는 전술한 제1 입력영역(262) 내지 제4 입력영역(265)을 출력부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280)은 제1 입력영역(262) 내지 제4 입력영역(265)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참가자 명단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의 단말기(300)로 참가여부에 대한 질의정보(331)를 전송한 후,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가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한 결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결과정보를 일정 관리부(120)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록 및 저장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상기 결과정보를 전송한다.
제1 입력영역(262) 내지 제4 입력영역(265)을 통하여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모두 수신되고 참가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질의정보(331)에 대한 결과정보가 수신되면,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일정 관리모듈(260) 및 참가자의 일정 관리모듈(360) 및/또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일정 관리부(120)에는 완성된 일정에 대한 정보가 저장 및 기록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기 관리모듈(270)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관리모듈(270)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참가자에게 일기를 공유한 경우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일기 관리모듈(270)에 표시되는 공유된 일기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일기 관리모듈(270)에 기록 및 저장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참가자 이외의 타인에게 전달하기 위한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화면에서 참가자 이외의 타인의 단말기(300)의 일기 관리모듈(270)에 표시되는 전달된 일기에 대한 정보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고, 도 19는 도 17의 화면에서 참가자 이외의 타인의 단말기(300)의 일기 관리모듈(270)에 표시되는 전달된 일기에 대한 정보들에 대한 개략적인 화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80)이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일기 관리모듈(270)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일기 관리모듈(270)에 기록 및 저장된 일기에 대한 정보들을 출력부에 출력한다.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는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일기내용에 대한 정보(271)와, 일정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입력모듈(210)로부터 수신한 참가자 입력정보(273)(예를 들어, 댓글 등) 및 만료일정 내 기간에 획득된 기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첨부된 경우 첨부된 멀티미디어 데이터(272)를 포함한다.
특히, 도 15 및 도 16와 같이, 사용자가 일기에 대한 정보를 일정 참가자에게 공유한 경우,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제어모듈(280)은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일기 관리모듈(270)을 통하여 참가자 입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추가 입력영역(374)을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출력모듈(2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원칙적으로 완성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이외에는 타인에게 공유하지 않거나 또는 참가자에게만 한정적으로 공개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도 17에서와 같이, 제어부(150) 및/또는 제어모듈(280)은 사용자의 입력신호 및/또는 요청신호에 따라 완성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및 참가자 이외의 타인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일기 관리부(130) 및/또는 일기 관리모듈(2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 및 참가자의 일기 관리모듈(270) 상에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 입력영역(275)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은 타인의 단말기(300)에서는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재전달할 수 없도록 일기 관리부(130)를 제어한다. 이는, 일기가 사생활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기록물이므로, 피라미드식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특정인의 일기가 유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전달받은 일기에 대한 정보들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관리모듈로 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일기 관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e는 단말기의 메신져모듈(290)에서 일기 관리모듈(270)에 기록 및 저장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일기 관리모듈(270) 또는 참가자 이외의 타인의 단말기(300)의 일기 관리모듈(27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화면들이다.
도 20a 내지 도 2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은 단말기의 일기 관리모듈(270)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구비되는 메신져모듈(290)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우선, 제어모듈(280)은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메신져모듈(290)을 실행한다.
이후, 제어모듈(280)은 메신져모듈(290)에 구비되는 일기 전달요청에 대한 입력영역(292)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일기 전달요청에 대한 입력영역(292)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모듈(280)은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할 일기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280)은 도 20c 화면에서 전달할 일기에 대한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져모듈(290)을 통하여 타인에게 전달한다.
이후,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는 타인의 단말기(300)의 일기 관리모듈(270)을 통하여 전달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는 추가 입력영역(294)이 선택되면 도 2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타인의 단말기(300)의 일기 관리모듈(270) 및/또는 출력모듈(230)에 출력한다.
이상에서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제어부 및/또는 단말기의 제어모듈이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일정의 만료시간을 기준으로 일기를 생성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하에서 기술할 추가 실시예에서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제어부 및/또는 단말기의 제어모듈이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일정의 시작시간을 기준으로 일기를 생성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다. 즉, 이상에서는 일기생성대상일정이 현재시각에 일정이 만료되는 만료일정인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일기생성대상일정이 현재시각에 일정이 시작되는 개시일정인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기로 한다.
즉, 본 추가 실시예에서는, 제어부 및/또는 제어모듈이 일정 관리부 및/또는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 및/또는 저장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일정이 시작되는 개시(開始)일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개시일정의 시작시간에 상기 개시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실직적으로, 후술할 본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전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비교해 볼 때, 만료일정 및/또는 개시일정을 기준으로 하느냐 여부와, 일기 생성 시기가 일정의 만료시간 및/또는 일정의 시작시간을 기준으로 하느냐 여부 이외에는 (거의) 동일한 기술적 특징 및/또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그 설명을 생략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기 및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대한 제1 추가 실시예,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대한 제2 추가 실시예,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대한 제3 추가 실시예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기술하기로 하며, 이러한 추가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기 및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제어방법,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우선, 제1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기 및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서, 상기 단말기와 상호 무선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정 관리부와; 사용자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 관리부와; 상기 통신부, 상기 일정 관리부 및 상기 일기 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관리부의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 관리부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일정 부분 또는 전체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관리부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일정이 시작되는 개시(開始)일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개시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개시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부로 전송하여 상기 개시일정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일기에 대한 정보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일정들 중에서 일정에 대한 정보가 포함하는 기간정보의 시작시간이 12시이고 만료시간이 13시이며, 현재시각이 12시인 경우, 제어부는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즉, 개시일정)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일기 관리모듈 및/또는 일기 관리부로 전송한다.
이후,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시일정의 기간 내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 관리부의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시일정의 기간 내에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획득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에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시점 또는 상기 획득시점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에 대한 정보가 포함하는 기간정보의 시작시간이 12시이고 만료시간이 13시이며,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12시 30분에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제어부는 12시 30분에(즉, 획득시점) 또는 12시 30분으로부터 1시간(즉,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뒤인 13시 30분에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개시일정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알림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본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에 연동 및 저장된 사용자의 단말기의 주소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소록 정보에 저장된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공유 및 전송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의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참가자 입력정보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즉, 참가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하는 일기에 대한 정보에 대한 자신의 평가 및 생각(즉, 피드백 정보)을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시일정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개시일정에 대해 사용자의 축약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평가정보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4 알림신호(277)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알림신호(277)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278)에 대한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278)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한다.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278)는 사용자 자신의 일정에 대한 평가 또는 감정을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는(278)는 사용자의 복수 개의 감정 또는 평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이모티콘 형태의 입력영역, 복수 개의 스탬프 형태의 입력영역(278a)(278b)(278c)(278d)(278e), 복수 개의 스티커 형태의 입력영역 및 복수 개의 객관식 단답형 문장 형태의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이모티콘 형태의 입력영역, 복수 개의 스탬프 형태의 입력영역, 복수 개의 스티커 형태의 입력영역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정을 표현하는 복수 개의 표정 도안, 복수 개의 캐릭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 개의 객관식 단답형 문장 형태의 입력영역은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등을 나타내는 입력영역일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평가정보를 택일적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에 기초하여 형성된 일기를 보다 용이하게 추가작성 또는 완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기 작성에 대한 흥미유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알림신호를 상기 개시일정의 만료시간에 또는 상기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평가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제4 알림신호는 택일적인 입력영역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자판으로 일정에 대한 평가 또는 감정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알림신호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평가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제2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상호 무선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정 관리모듈과; 사용자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 관리모듈과; 상기 통신모듈,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일기 관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 및 저장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의해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일정이 시작되는 개시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개시일정에 대한 정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대응되게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1'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1' 요청신호를 수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제1' 요청신호에 따라서 상기 개시일정에 대한 정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대응되게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제어모듈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개시일정에 대한 정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대응되게 생성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개시일정의 기간 내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저장된 기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알림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에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시점 또는 상기 획득시점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제2'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2' 요청신호를 수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제2' 요청신호에 따라서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추가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제어모듈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2'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첨부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제2 알림신호 및 상기 제2 알림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 없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일정이 시작되는 개시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개시일정의 기간 내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개시일정의 기간 내에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저장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제2'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2' 요청신호를 수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제2' 요청신호에 따라서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추가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제어모듈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2‘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첨부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한다.
그리고,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개시일정이 만료되는 경우(즉, 상기 개시일정의 만료시간이 도래한 경우), 상기 개시일정에 대해 사용자의 축약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평가정보(278)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4 알림신호(277)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4 알림신호(277)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에 대한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제5 요청신호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요청신호는 상기 제5 요청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5 요청신호는 제1 요청신호의 일부로 포함되어, 상기 제1 요청신호와 함께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5 요청신호를 수신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제5 요청신호에 따라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가 추가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제어모듈로 전송한다.
이후,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5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278)를 첨부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는, 사용자의 복수 개의 감정 또는 평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이모티콘 형태의 입력영역, 복수 개의 스탬프 형태의 입력영역, 복수 개의 스티커 형태의 입력영역 및 복수 개의 객관식 단답형 문장 형태의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4 알림신호를 상기 개시일정의 만료시간에 또는 상기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제3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다른 단말기와 상호 무선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정 관리모듈과; 사용자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 관리모듈과; 상기 통신모듈, 상기 일정 관리모듈 및 상기 일기 관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기간이 시작되는 개시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개시일정에 대한 정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대응되게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개시일정의 기간 내에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로부터 획득되어 저장된 기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각에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시점 또는 상기 획득시점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제2 알림신호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알림신호에 대해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추가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제2 알림신호 및 상기 제2 알림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 없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에 기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현재시각에 일정이 시작되는 개시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개시일정 기간 내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되어 저장된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기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추가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관리모듈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소록 정보에 저장된 상기 참가자의 단말기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개시일정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개시일정에 대해 사용자의 축약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평가정보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4 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4 알림신호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에 대한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에 추가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평가정보는, 사용자의 복수 개의 감정 또는 평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이모티콘 형태의 입력영역, 복수 개의 스탬프 형태의 입력영역, 복수 개의 스티커 형태의 입력영역 및 복수 개의 객관식 단답형 문장 형태의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4 알림신호를 상기 개시일정의 만료시간에 또는 상기 만료시간으로부터 사용자지정된 기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도 7 내지 도 22에서는, 일정에 대한 정보(S)와 일기에 대한 정보(D)가 별개의 선택화면(도 7 및 도 15 참고)으로 구성되어 단말기(200)의 출력모듈(230)에 출력되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2 및 그에 대한 전술한 기술적 특징, 기능 및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도 7 내지 도 22와는 일정에 대한 정보(S) 및 일기에 대한 정보(D)의 출력화면 구성이 상이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정 관리모듈(260)에 포함되는 전체 일정 캘린더에 대한 개략적인 서비스 실행화면(400)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정 관리모듈(260)에 대한 제1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서비스 실행화면(400)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및 일정 관리모듈(260)에 대한 제2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서비스 실행화면(400)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230)과; 상기 단말기(200)의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S)를 기록 및 관리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가 기록 및 관리하는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S)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정 관리모듈(260)과; 상기 단말기(200)의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직접 기록 및 관리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가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D)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 관리모듈(270)과; 상기 출력모듈(230),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및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S)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D)를 동시에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가 서비스 실행화면(400)으로 구성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280)은 하나의 실행화면(즉, 서비스 실행화면(4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D)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D)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한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 중 일부의 화면영역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 선택아이콘(402) 및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 선택아이콘(401)이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23 내지 도 25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 선택 아이콘은 "DAY"라는 영문 아이콘으로 출력되고, 상기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 선택아이콘(401)은 "MONTH"라는 영문 아이콘으로 출력된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서비스 정보 선택아이콘(402) 및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 선택아이콘(401) 중에서 각 정보 선택아이콘의 선택시 선택된 정보 선택아이콘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모듈(280)은, "MONTH"라는 영문 아이콘이 선택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도 23에 도시된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S)가 캘린더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그리고, 반대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DAY"라는 영문 아이콘이 선택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도 24 도시된 서비스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어모듈(280)은 전체 일정에 대한 정보(S)와 서비스 정보를 별개의출력화면으로 구성하여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서비스 정보가 출력되는 서비스 실행화면(4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가, 서비스 실행화면(400)에서 각각의 서비스 정보 별로 시간 순서대로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이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분할선(410)에 의해 일정출력영역(420)과 일기출력영역(430)으로 분할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은 시분할선(410)과, 상기 시분할선(4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일정출력영역(420)과, 상기 시분할선(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기출력영역(430)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일정출력영역(420)과 일기출력영역(430)이 상하로 배치되는 것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일정출력영역(420)과 상기 일기출력영역(430)은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에서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시분할선(410)에 포함되는 상기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미래의 정보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S)를 상기 일정출력영역(420)에 출력하도록, 그리고 상기 시분할선(410)에 포함되는 상기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과거의 정보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상기 일기출력영역(430)에 출력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S)는 서비스 실행화면(400)에서 일정출력영역(420)에만 출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D)는 서비스 실행화면(400)에서 일기출력영역(430)에만 출력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일기에 대한 정보(D)는 일정에 대한 정보(S)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즉,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일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의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일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요청한다.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현재시각과 일정에 대한 정보(S)에 포함되는 기간정보를 비교하여 일정에 대한 정보(S)에 기초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생성한 후,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일기출력영역(430)에 추가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현재시각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에 포함되는 일정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시작시간에, 또는 상기 만료시간에, 또는 상기 시작시간 또는 상기 만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에 기초하여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생성하여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D)가 상기 일기출력영역(430)에 추가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D)의 기초가 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가 상기 일정출력영역(420)에서 삭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즉, 현재시각에 도래하는 기간정보가 존재하는 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해당 일정에 대한 정보(S)를 일정출력영역(420)에서 삭제하고, 동시에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일기출력영역(430)에 추가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시각이 제1 시점인 오후 5시 31분이고, 현재시각에 가장 가까운 미래의 일정이 오후 5시 32분인 경우, 서비스 실행화면(400)에는 오후 5시 32분의 일정에 대한 정보(S)가 일정에 대한 정보(S)로 일정출력영역(420)에 표시된다. 이후, 현재시각이 제1 시점을 도과한 제2 시점인 오후 6시 31분인 경우 오후 5시 32분의 일정에 대한 정보(S)가 일정에 대한 정보(S)는 일정출력영역(420)에서 사라지고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D)로 생성되어 일기출력영역(430)에 표시된다. 이때,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D)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파일(예를 들어, 이미지, 동영상, 음향파일 등등)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현재시각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에 포함되는 일정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시작시간에, 또는 상기 만료시간에, 또는 상기 시작시간 또는 상기 만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에 기초하여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생성한 후, 상기 일기출력영역(430)이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D)를 포함하도록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 내에서 상기 시분할선(410)이 이동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분할선(410)이 서비스 실행화면(40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D)의 상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기에 대한 정보(D) 및 일정에 대한 정보(S)는 시분할선(410)을 기준으로 현재시각에 가까운 정보일수록 시분할선(410)에 가까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에 기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S)가 상기 일정출력영역(420)에서 상기 기간정보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200).
그리고,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에 기간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S)가 상기 일정출력영역(420)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일정출력영역(420)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에 포함되는 시작시간, 만료시간 및 생성시간 중 하나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S)가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먼 일정에 대한 정보(S)에 비해 상기 시분할선(410)에 가까이 배치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모듈(280)은 일정에 대한 정보(S)에 포함되는 시간정보들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S)를 시간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한다.
일기에 대한 정보(D) 또한 일정에 대한 정보(S)와 유사하게 정렬되어 출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D)가 상기 일기출력영역(430)에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D)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일기출력영역(430)에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D)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생성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기에 대한 정보(D)가 상기 생성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먼 일기에 대한 정보(D)에 비해 상기 시분할선(410)에 가까이 배치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서비스 실행화면(400)에서 다수 개의 일정에 대한 정보(S)와 현재시각을 포함하는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D)만을 출력한다. 이후, 추가적인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S) 또는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추가로 출력화면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일정출력영역(420)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S)에 포함되는 시작시간, 만료시간 및 생성시간 중 하나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S)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하도록, 그리고 상기 일기출력영역(430)에서 상기 현재시각을 포함하는 당일에 생성된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단말기(200)의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S)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미래의 일정인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S)를 상기 출력모듈(230)에 출력하도록, 또는 상기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D)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과거의 일기인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상기 출력모듈(230)에 출력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상기 일기 관리모듈(27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에 대한 스크롤 이동일 수 있다. 즉, 상기 터치크린을 이용하여 서비스 실행화면(400)을 일 방향으로 스크롤 이동시키는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S) 또는 상기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추가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실행화면(400)을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S)를 추가적으로 출력한다.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실행화면(400)을 윗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추가적으로 출력한다.
추가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에 대한 스크롤 이동 방향을 기설정된 제1 방향에서 상기 기설정된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기설정된 제2 방향으로의 전환하는 입력신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스크롤 이동 입력신호만으로는 상기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S) 및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출력모듈(230)에 출력하지 않고, 스크롤 이동방향 전환 입력신호가 수신되어야 상기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S) 및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출력모듈(23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실행화면(400)을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한 후 이어서 서비스 실행화면(400)을 윗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D)를 추가적으로 출력한다.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실행화면(400)을 윗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한 후 이어서 서비스 실행화면(400)을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S)를 추가적으로 출력한다.
도 26a 내지 도 26e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일정 관리모듈(260)에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개략적인 화면들이다. 즉, 도 26a 내지 도 26e는 서비스 실행화면(400)에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새로운 일정을 추가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등록 입력영역(403)이 시간 순서대로 배치되는 각각의 서비스 정보와 함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에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은 새로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추가 또는 신설 또는 등록할 수 있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영역인 등록 입력영역(40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등록 입력영역(403)이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에 표시되도록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등록 입력영역(403)이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400)에 표시되는 서비스 정보에 대해 오버레이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도 26b 내지 도 2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80)은, 일정 관리모듈(260)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추가 또는 신설 또는 등록할 수 있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영역(즉, 등록 입력영역(403))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입력영역(262) 내지 제4 입력영역(26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입력창을 출력모듈(23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제1 입력영역(262) 내지 상기 제4 입력영역(26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이 상기 등록 입력영역(403)과 함께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의 실행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모듈(280)은 소프트키패드인 제4 입력영역(265)이 상기 등록 입력영역(403)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4 입력영역(265)에 의해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등록 입력영역(403)에서 출력신호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을 통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기간정보, 일정위치정보 및 참가자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입력영역(262) 내지 제3 입력영역(26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이 상기 출력모듈(230) 및/또는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의 실행화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모듈(230) 및/또는 일정 관리모듈(260)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1 입력영역(262)은 기간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영역이고, 상기 제2 입력영역(263)은 일정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영역이고, 상기 제3 입력영역(264)은 상기 참가자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영역이다.
이후, 제어모듈(280)은 상기 제1 입력영역(262)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지정가능한 타임테이블, 디지털 시계 형상의 시간지정부 및 캘린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출력모듈(23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모듈(280)이 상기 제2 입력영역(263)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또는 위치기반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일정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즉, 제어모듈(280)은 도 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에 구비된 위치기반 지도 애플리케이션 또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일정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일정위치정보는 텍스트 자동완성기능으로 완성되는 것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80)이 상기 제3 입력영역(264)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80)은 도 2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모듈(250)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 중에서 참가자 명단정보가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주소록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23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참가자 명단정보는 텍스트 자동완성기능으로 완성되는 것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참가자 명단정보가 확정되면, 제어모듈(280)은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로 상기 참가자 명단정보를 전송하고, 이후 제어부(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가자 명단정보에 포함되는 참가자의 단말기(300)로 일정 참가여부에 대한 질의정보(331)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50)가 참가자의 단말기(300)의 입력모듈(310)을 통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한 결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결과정보를 일정 관리부(120)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록 및 저장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상기 결과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80)은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창에서 일정내용 작성 아이콘(261)이 선택되는 경우, 제4 입력영역(265)을 상기 출력모듈(230)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일정 관리모듈(260)을 통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에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직접적으로 수신하는 제4 입력영역(265)이 상기 출력모듈(230)에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제4 입력영역(265)을 통하여 일정이 '무엇'인지 내용에 대해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입력영역(265)은 가상 키보드 형상인 소프트 키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80)은, 상기 등록 입력영역(403)(즉, 입력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소프트 키패드인 제4 입력영역(265)이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의 실행화면에 단독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입력영역(262) 내지 제3 입력영역(26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과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일정 관리모듈(260) 및 상기 출력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4 입력영역(265)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 중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제1 입력영역(262) 내지 제4 입력영역(265)을 통하여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가 모두 수신되면, 일정 관리부(120) 및/또는 일정 관리모듈(260)에는 완성된 일정에 대한 정보가 저장 및 기록된다.
따라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때, 사용자가 단말기(200)의 입력부를 통하여 일일이 일정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구성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정에 대한 정보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완성하는 과정에 대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여 일정을 등록하는 과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일정 등록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을 일기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일기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단순히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일정 기록 등을 일기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어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기에 대한 정보 및 일정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실행화면에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일기에 대한 정보 및 일정에 대한 정보 모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기에 대한 정보 및 일정에 대한 정보 모두에 대한 사용자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기를 작성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타인과 공유할 수 있고 일기에 공유된 타인의 의견(즉, 댓글)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기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일기 작성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작성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시스템
100 :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
110 : 통신부
120 : 일정 관리부
130 : 일기 관리부
140 : 메모리부
150 : 제어부
160 : 메신져부
200 : 사용자의 단말기
210 : 입력모듈
220 : 통신모듈
230 : 출력모듈
240 : 멀티미디어 모듈
250 : 메모리모듈
260 : 일정 관리모듈
270 : 일기 관리모듈
280 : 제어모듈
290 : 메신져모듈
300 : 참가자의 단말기 또는 타인의 단말기

Claims (38)

  1.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일기 및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는,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정 관리모듈;
    상기 입력모듈을 통하여 일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기록 및 관리하거나,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일기 관리모듈; 및
    상기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시분할선에 의해 분할하여 출력모듈을 통해서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일기 관리모듈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시간 순서대로 배치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시분할선에 의해 일정출력영역과 일기출력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서 출력하는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시분할선에 의해 일정출력영역과 일기출력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서 출력하는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분할선은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시분할선에 포함되는 상기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미래의 정보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정출력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시분할선에 포함되는 상기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과거의 정보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출력영역에 출력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시각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일정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시작시간, 상기 만료시간, 또는 상기 시작시간이나 상기 만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출력영역에 추가 출력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일기출력영역에 추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의 기초가 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삭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시각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일정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시작시간, 상기 만료시간, 또는 상기 시작시간이나 상기 만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출력영역에 추가 출력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시각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일정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시작시간, 상기 만료시간 또는 상기 시작시간이나 상기 만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일기출력영역이 상기 신규 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시분할선을 이동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12. 제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간정보의 시작시간 또는 만료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표시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13. 제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기간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표시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14.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시작시간, 만료시간 및 생성시간 중 하나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먼 일정에 대한 정보에 비해 상기 시분할선에 가까이 배치하여 출력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15. 제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표시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16. 제5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출력영역에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생성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생성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먼 일기에 대한 정보에 비해 상기 시분할선에 가까이 배치하여 출력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기출력영역에서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의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생성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생성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상대적으로 먼 일기에 대한 정보에 비해 상기 시분할선에 가까이 배치하여 출력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18.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시작시간, 만료시간 및 생성시간 중 하나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하고, 상기 일기출력영역에서 상기 현재시각을 포함하는 당일에 생성된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시작시간, 만료시간 및 생성시간 중 하나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하고, 상기 일기출력영역에서 상기 현재시각을 포함하는 당일에 생성된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시작시간, 만료시간 및 생성시간 중 하나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하고, 상기 일기출력영역에서 상기 현재시각을 포함하는 당일에 생성된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출력영역에서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시작시간, 만료시간 및 생성시간 중 하나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의 시간이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하고, 상기 일기출력영역에서 상기 현재시각을 포함하는 당일에 생성된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 받은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미래의 일정인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거나, 상기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과거의 일기인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 받은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미래의 일정인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거나, 상기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과거의 일기인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 받은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미래의 일정인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거나, 상기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과거의 일기인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 받은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미래의 일정인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거나, 상기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과거의 일기인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 받은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현재시각에 가까운 일정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미래의 일정인 추가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거나, 상기 당일 일기에 대한 정보보다 상기 현재시각에서 먼 과거의 일기인 추가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에 출력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출력되는 출력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스크롤 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출력되는 출력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상기 스크롤 이동 방향을 기설정된 제1 방향에서 상기 기설정된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기설정된 제2 방향으로의 전환하는 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29.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 정보 선택아이콘 및 전체일정에 대한 정보 선택아이콘을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서 표시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각 정보 선택아이콘의 선택시 선택된 정보 선택아이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서 표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30.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 중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등록 입력영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기에 대한 정보와 함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출력모듈을 톨해서 출력하는 단말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등록 입력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는 기간정보, 일정위치정보 및 참가자 정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1 입력영역, 제2입력영역 및 제3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입력창을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서 출력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입력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지정가능한 타임테이블, 디지털 시계 형상의 시간지정부 및 캘린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창을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서 출력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입력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또는 위치기반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위치기반 지도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일정위치정보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창을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서 출력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3 입력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주소록 정보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의 주소록 정보 또는 외부 메신져서버의 주소록 정보 중에서 참가자 명단정보가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주소록 정보를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등록 입력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소프트 키패드인 제4 입력영역을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서 출력하고,
    상기 제4 입력영역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등록 입력영역에 상기 제4 입력영역에 의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표시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등록 입력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일정 내용에 대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소프트 키패드인 제4 입력영역을 상기 제1 입력영역 내지 제3 입력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영역과 함께 출력하고,
    상기 제4 입력영역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등록 입력영역에 상기 제4 입력영역에 의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표시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37. 사용자의 일기 및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또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기 및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가 기록 및 관리하는 사용자의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입력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가 기록 및 관리하는 사용자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기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서비스 실행화면에서 각각의 서비스 정보 별로 시간 순서대로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서비스 실행화면이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분할선에 의해 일정출력영역과 일기출력영역으로 각각 분할되어 출력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38. 제37항에 기재된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컴퓨터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또는 단말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83264A 2014-07-03 2014-07-03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 KR10173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64A KR101730900B1 (ko) 2014-07-03 2014-07-03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64A KR101730900B1 (ko) 2014-07-03 2014-07-03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53A true KR20160004653A (ko) 2016-01-13
KR101730900B1 KR101730900B1 (ko) 2017-05-11

Family

ID=5517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64A KR101730900B1 (ko) 2014-07-03 2014-07-03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220B1 (ko) * 2018-02-21 2019-03-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일정관리 캘린더 시스템, 일정관리 캘린더를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220B1 (ko) 2018-10-30 2019-07-04 전형일 위치 기반 스케줄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220B1 (ko) * 2018-02-21 2019-03-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일정관리 캘린더 시스템, 일정관리 캘린더를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900B1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6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llaboration sessions
KR101436661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3152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US9639243B2 (en) Communicating plans for users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EP2632137B1 (en) Method for using an electronic calendar and a handheld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4073092A1 (ja) 映像情報端末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5518171A (ja)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97970A (ko)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25208B1 (ko) 정보 구성장치와 전자장치 및 정보 구성방법
US20150118662A1 (en) Process to promote healthy behaviors through motivation using mobile messaging and geofencing technologies
US20080168156A1 (en) Event liaison system
KR20160110508A (ko) 정보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730900B1 (ko)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
US1038254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alendaring capabilities
KR101650072B1 (ko)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
US20210081098A1 (en) Electronic mail control system integrating timeslot functionality
KR101542155B1 (ko)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서버, 일기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그리고 그 제어방법
KR20220116012A (ko) 시간 및 위치 기반의 메시지 관리 방법
JP6186165B2 (ja) 情報システム、第二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undar et al. Communicating in a ubicomp world: interaction rules for guiding design of mobile interfaces
CN104144386B (zh) 信息交互与协作的方法及设备
JP4675572B2 (ja) コミュニ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ーバ、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ーバを動作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60655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통화종료 후 일정관리 방법 및 장치
EP2784730A1 (en) Method, system, and interactive software product for management and coordination of guests at social, institutional and company events
US120019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llaboration se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