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539U -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539U
KR20160004539U KR2020150004217U KR20150004217U KR20160004539U KR 20160004539 U KR20160004539 U KR 20160004539U KR 2020150004217 U KR2020150004217 U KR 2020150004217U KR 20150004217 U KR20150004217 U KR 20150004217U KR 20160004539 U KR20160004539 U KR 201600045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il bracket
central body
sea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연
Original Assignee
장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연 filed Critical 장수연
Priority to KR2020150004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539U/ko
Publication of KR20160004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5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에 관한 것이다.
소정두께의 금속판재로 중앙본체(1)와 상하익편(2)(2')이 일체로 되게끔 +자 형으로 성형하되, 상기 중앙본체(1)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는 체결구멍(11)(11') 및 (12)가 형성되게 하고, 상하익편(2)(2')은 중앙본체의 일 측 단부 쪽에 위치하게끔 성형한 뒤 상하익편(2)(2')을 서로 대응되게끔 180° 로 절곡시키되, 중앙본체(1) 측면으로 연결부(2a')와 레일안착구(2a)가 돌출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중앙본체(1)를 ⊂형 또는
Figure utm00007
형으로 벤딩하여 결합구(1a)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스골조(3)에 결합되는 결합구(1a)와 레일(4)을 안착 지지하는 레일안착구(2a)가 한 몸체인 레일브라캐트(10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우스골조에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구(1a)와 레일(4)을 안착 지지하는 레일안착구(2a)가 한몸체로 되도록 프레스성형 함으로써, 생산성이 극대화와 상품성 극대화를 이룰 수 있고, 또 견고하여 운반행거가 다소 고중량의 수확물을 이송 운반하더라도 휨이나 처짐없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자동화 생산이 용이하여 제조원가가 적게 들어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A rail bracket for green 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골조에 결합 장착하여 운반용 행거의 이송을 안내하는 레일을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단동형 비닐하우스는 짧게는 40~50m에서 길게는 140~150m에 이르기까지 경작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며, 내부는 터널형으로 되어 중앙의 통로 양측으로 작물을 재배하게 된다.
특히, 작물을 재배하거나 수확할 때는 하우스의 길이가 길어 수확물 등의 운반이 쉽지 않고 또 노동력과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고령화 된 농촌의 현실에서 볼 때 여간 힘든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확물 등을 실어 손쉽게 입구 쪽으로 운반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우스 골조에 결합 고정시켜 레일을 안착 지지하는 레일 브라캐트와, 상기 레일 브라캐트에 안착되는 원형파이프 형태의 레일, 그리고, 상기 레일에 현수되어 이송되는 운반행거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 물품 중 레일 브라캐트를 살펴보면, 봉을 절곡하여
Figure utm00001
형으로 절곡 형성한 몸체의 배면 상하측에 하우스골조에 끼워지는 C형의 클립을 용접시키고, 몸체 선단에는 레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클립을 용접한 것으로서, 이는 단순히 클립에 의해 하우스 골조에 결합 고정된 상태이기에 운반행거에 다소 큰 하중이 실리게 되면 하우스골조에서 레일지지구가 종종 빠지게 되는 결함이 따랐고, 더불어 상기 레일지지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공정수가 많고 재료 또한 많이 소요되는데다가 용접부위도 많아 제조에 따른 시간과 인력의 과다소요와 제조원가 상승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레일 브라캐트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하우스골조에 결합되는 결합구와 레일을 안착 지지하는 안착구가 한 몸체로 되게 프레스 성형함으로서 생산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레일브라캐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먼저 소정두께의 금속판재로 중앙본체(1)와 상하 익편(2)(2')이 일체로 되게끔 +자형으로 성형하되, 상기 중앙본체(1)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는 체결구멍(11)(11') 및 (12)가 형성되게 하고, 상하 익편(2)(2')은 중앙본체의 일 측 단부쪽에 위치하게끔 성형한 뒤 상하 익편(2)(2')을 서로 대응되게끔 180° 로 절곡시키되, 중앙본체(1) 측면으로 연결부(2a')와 레일 안착구(2a)가 돌출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중앙본체(1)를 ⊂형 또는
Figure utm00002
형으로 벤딩하여 결합구(1a)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스골조(3)에 결합되는 결합구(1a)와 레일(4)을 안착 지지하는 레일 안착구(2a)가 한 몸체인 레일브라캐트(10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우스골조에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구(1a)와 레일(4)을 안착 지지하는 레일 안착구(2a)가 한몸체로 되도록 프레스성형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용접 부위가 전혀 없어 생산성이 극대화됨과 동시에 외관이 매우 깔끔하고, 또 레일 안착구(2a)와 연결부(2a')가 상하 익편(2)(2')을 겹쳐 형성한 것임으로 견고하여 운반행거가 다소 고중량의 수확물을 이송 운반하더라도 휨이나 처짐없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되며, 구성이 간단하고 자동화 생산이 용이하여 제조원가가 적게 들어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절곡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골조(3)에 장착되어 이송행거(5)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는 레일(4)을 안착 고정시키도록 된 레일 브라캐트(100)로서, 특히 용접부가 없고, 결합구(1a)와 레일 안착구(2a)가 한 몸체로 이루어지도록 프레스성형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레일 브라캐트(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정두께의 금속판재를 중앙본체(1)와 상하익편(2)(2')이 일체로 되게끔 +자형으로 재단하되, 상기 중앙본체(1)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는 체결구멍(11)(11') 및 (12)가 형성되도록 펀칭하고, 상하 익편(2)(2')은 중앙본체의 일 측 단부 쪽에 위치하게끔 재단한다.
이어서 상기 상하 익편(2)(2')을 중앙본체(1)와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게끔 180° 로 외향 절곡시켰을 때 중앙본체(1) 측면으로 연결부(2a')와 레일 안착구(2a)가 돌출 형성되게끔 성형하는데, 이때 연결부(2a')는 상하 익편(2)(2')이 겹쳐진 상태가 됨으로 스폿용접으로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중앙본체(1)를 ⊂형 또는
Figure utm00003
형으로 벤딩하여 결합구(1a)를 형성하게 되면 레일 브라캐트(100)가 완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레일 브라캐트(10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하 익편(2)(2')을 절곡성형하기 앞서 중앙본체(1)를 ⊂형 또는
Figure utm00004
형으로 벤딩하여도 되며, 어떤 순서로 하더라도 결합구(1a)와 레일 안착구(2a)가 일체로 되게 프레스성형된 것이라면, 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하겠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형 또는
Figure utm00005
형으로 된 결합구(1a)의 일 측면에 연결부(2a')와 레일 안착구(2a)가 한 몸체로 되게끔 프레스 성형하였다는 점이며, 이와 같이 결합구(1a)와 레일 안착구(2a)가 한 몸체로 되게끔 프레스 성형함으로서 생산성이 극대화되고 또 용접부가 없어 외관 또한 깔끔하며, 연결부(2a')와 레일 안착구(2a)가 상하 두 장의 익편(2)(2')을 중첩시킨 것이기에 고하중에도 잘 견디게 되어 내구성과 견고성이 뛰어날 수밖에 없어 신뢰성이 극대화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결합구(1a) 및 연결부(2a'), 그리고 레일 안착구(2a)에 힘살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절곡성형하기 전 상태인 중앙본체(1)와 익편(2)(2')에 미리 힘살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중앙본체 1a : 결합구 2, 2' : 상하 익편
2a : 레일 안착구 2a : 연결부 3 : 골조
4 : 레일 5 : 이송행거 6 : 체결부재
11,11',12 : 체결구멍 100 : 레일 브라캐트

Claims (1)

  1.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먼저 소정두께의 금속판재로 양 단부 및 중앙부에 체결구멍(11)(11') 및 (12)를 천공한 중앙본체(1)와, 상기 중앙본체(1) 일 측 상하부에 상하 익편(2)(2')이 일체로 되어 전체적으로 +자 형태로 되게 형성한 뒤,
    중앙본체(1) 측면으로 연결부(2a')와 레일 안착구(2a)가 돌출 형성되도록 상하 익편(2)(2')을 절곡 성형하고,
    중앙본체(1)를 ⊂형 또는
    Figure utm00006
    형으로 벤딩하여 결합구(1a)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스골조(3)에 결합되는 결합구(1a)와 레일(4)을 안착 지지하는 레일 안착구(2a)가 한 몸체로 된 레일 브라캐트(10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
KR2020150004217U 2015-06-22 2015-06-22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 KR201600045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217U KR20160004539U (ko) 2015-06-22 2015-06-22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217U KR20160004539U (ko) 2015-06-22 2015-06-22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539U true KR20160004539U (ko) 2016-12-30

Family

ID=5770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217U KR20160004539U (ko) 2015-06-22 2015-06-22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5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571B1 (ko) * 2022-05-09 2022-12-23 김유경 작물지주 결착용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571B1 (ko) * 2022-05-09 2022-12-23 김유경 작물지주 결착용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1453B1 (en) Shelf for a trolley
US10626612B2 (en) Jig for making reinforcement cage, method for making assembly of the same and erecting frame
KR200486505Y1 (ko)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EP3351320A3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hybrid construction of multi-piece parts
KR20140004689U (ko) 비닐하우스용 레일브라캐트
US10033170B2 (en) Hybrid cable tr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160010294A1 (en) Barrier connection system and connector for use therein
KR20160004539U (ko) 비닐하우스용 레일 브라캐트
CN104781615A (zh) 模块化框架支撑系统
KR101404424B1 (ko) D.i.y 조립식 창고
CN110145113B (zh) 一种方便组装的建筑模板
CN104481134A (zh) 脚手架横杆接头及其生产工艺
KR20100122041A (ko)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구
CN205148299U (zh) 适应多规格极板放置的下料极板架
CN203864084U (zh) 翻领制袋成型器
KR101686976B1 (ko) 화환 지지대
CN104179645B (zh) 单管塔和四边形格构式塔架转换节点
CN103741965B (zh) 便卸式承重支撑架
KR20160002045U (ko) 리프팅 러그
KR20150091766A (ko) 식물 재배용 하우스의 시공방법
KR20140097076A (ko) 비닐하우스용 레일지지구의 제조방법
CN203244754U (zh) 麻将机及其支撑结构
CN105002886A (zh) 强拉扣接结构
CN204132066U (zh) 一种拼接式拱形架
KR20120006564U (ko) 개량 육묘상자 운반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