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529A - 서랍형 모래 그림판 - Google Patents

서랍형 모래 그림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529A
KR20160004529A KR1020140082923A KR20140082923A KR20160004529A KR 20160004529 A KR20160004529 A KR 20160004529A KR 1020140082923 A KR1020140082923 A KR 1020140082923A KR 20140082923 A KR20140082923 A KR 20140082923A KR 20160004529 A KR20160004529 A KR 20160004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and paint
light
drawing board
illumi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상현
Original Assignee
진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상현 filed Critical 진상현
Priority to KR102014008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529A/ko
Publication of KR2016000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0Changing, amusing, or secret picture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형 모래 그림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모래 그림판은, 내부 공간에 조명체가 설치되며 상부에 조명체의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가 구비된 라이트부 및 상면에 모래가 공급되는 패널과, 패널의 둘레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구비된 복수의 모래그림판부를 포함하되, 복수의 모래그림판부 중 어느 하나인 제1 모래그림판부는 라이트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조명체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투과되고, 복수의 모래그림판부 중 제1 모래그림판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는 라이트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모래그림판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는 서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랍형 모래 그림판{Sand drawing board of of drawer type}
본 발명은 서랍형 모래 그림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랍형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모래그림판부의 위치를 교체함으로써 기존의 그림을 보존하면서 새로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서랍형 모래 그림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아트 또는 모래 애니메이션은 모래 그림자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를 손과 손가락의 터치와 움직임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동영상과 같은 효과를 연출하는 기법으로서, 시각 예술이며 이를 배경 음악 등과 결합하여 공감각을 일으키는 스토리를 구성하면 감상자들로부터 감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러한 샌드 애니메이션은, 자유로운 감성 표현, EQ(emotional quotient) 발달 자극, 심리 치료 등의 목적에 활용함에 있어서, 기타 다른 교육 방법이나 치료 방법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최근의 종래 기술에 따른 샌드 아트 또는 샌드 애니메이션 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조명체를 구비하고 본체의 상면을 투명 소재의 패널로 커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모래 그림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패널의 상면에서 모래로 그림 또는 이야기를 표현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통상적인 샌드 라이트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패널만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림을 그린 후 새로운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기존의 그림을 없애고 그릴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그림을 보존하면서 새로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서랍형 모래 그림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랍형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모래그림판부의 위치를 교체함으로써, 기존의 그림을 보존하면서 새로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서랍형 모래 그림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어도 하나의 모래그림판부 각각에 서로 다른 바탕 그림을 미리 그려놓고 위치만 교체함으로써, 다수의 바탕 그림이 필요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갈 때 빠르게 이야기를 전개해 나갈 수 있는 서랍형 모래 그림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모래 그림판은, 내부 공간에 조명체가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조명체의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가 구비된 라이트부와, 상면에 모래가 공급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둘레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구비된 복수의 모래그림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모래그림판부 중 어느 하나인 제1 모래그림판부는 상기 라이트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조명체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투과되고, 상기 복수의 모래그림판부 중 상기 제1 모래그림판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는 상기 라이트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모래그림판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는 서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이트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를 수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 각각에 구비된 프레임의 양측을 안내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모래그림판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입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모래 그림판에 따르면, 서랍형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모래그림판부의 위치를 교체함으로써, 기존의 그림을 보존하면서 새로운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모래 그림판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모래그림판부 각각에 서로 다른 바탕 그림을 미리 그려놓고 위치만 교체함으로써, 다수의 바탕 그림이 필요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갈 때 새롭게 바탕 그림을 그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이야기를 전개해 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모래 그림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모래 그림판의 구조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서랍형 모래 그림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모래 그림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모래 그림판의 구조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모래 그림판(1)는 라이트부(100), 제1 모래그림판부(200), 제2 모래그림판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라이트부(100)는 내부 공간에 조명체(110)가 설치되며 상부에 조명체(110)의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120)가 구비될 수 있다. 조명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LED 램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명체(110)는 LCD 램프, 형광등, 백열등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커버(120)는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체(110)는 일측에 전원 코드(110)가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 스위치(미도시)가 하우징(400)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부(미도시)가 하우징(400)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조명체(110)의 색상 또는 밝기를 설정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 조작부(500)는 설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부(40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키버튼(Key button)이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하우징(4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토대로 조명체(110)의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모래그림판부(200,300)는 상면에 모래(10)가 공급되는 패널(210,310)과, 상기 패널의 둘레를 지지하는 프레임(220,320)이 구비될 수 있다. 패널(210,310)은 조명체(110)의 빛이 투과되는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220,320)은 플라스틱, 금속과 같은 비교적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모래그림판부(200,300) 중 어느 하나인 제1 모래그림판부(200)는 라이트부(100)의 상부에 안착되며 라이트부(100)의 조명체(1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다.
복수의 모래그림판부(200,300) 중 제1 모래그림판부(200)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는 라이트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모래그림판부(200)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는 서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가 3단으로 적층된 구조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의 개수, 형태 등은 본 발명의 모래 그림판이 설치되는 위치, 면적 등의 조건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하우징(400)은 라이트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를 수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가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 각각에 구비된 프레임(320)의 양측을 안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가지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가 배열되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가 수용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 각각이 원하는 위치에 배열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 각각에 구비된 프레임(3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400)의 전면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모래그림판부(2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는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입출되도록 프레임(220,320)의 전면에 손잡이(221,3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모래 그림판(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전원 코드(110)를 콘센트(미도시)에 삽입하고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조명체(110)로부터 빛이 방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조명체(110)의 색상 또는 밝기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 또는 밝기를 토대로 조명체(110)의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표현 의도에 따라 조명체(110)의 색상을 바꾸거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래(10)에 별 모양으로 그림을 그리면, 그리는 모양대로 패널(210)의 상면에 공급된 모래(10)가 치워지면서 조명체(110)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므로 별 모양의 그림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별 모양의 그림이 그려진 제1 모래그림판부(200)와, 하우징(400)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의 위치를 교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교체 대상인 제1 모래그림판부(200)를 상부로 이동시켜 라이트부(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라이트부(100)로부터 제1 모래그림판부(200)가 분리되면,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를 하우징(40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제1 모래그림판부(200)를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래그림판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가 외부로 인출되어 비어있는 하우징(400)의 수용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모래그림판부(200)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300)의 위치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제1 모래그림판부(200)의 그림을 보존하면서 제2 모래그림판부(300)에 새로운 그림을 그릴 수 있고, 모래 그림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갈때 다수의 바탕 그림이 필요할 경우 제1,2 모래그림판부(200,300) 각각에 서로 다른 바탕 그림을 미리 그려놓고 위치만 교체함으로써 빠르게 이야기를 전개해 나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서랍형 모래 그림판
10: 모래 100: 라이트부
110: 조명체 111: 전원 코드
120: 커버 200: 제1 모래그림판부
210,310: 패널 220,320: 프레임
221,321: 손잡이 300: 제2 모래그림판부
400: 하우징 410: 가이드부

Claims (3)

  1. 내부 공간에 조명체가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조명체의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가 구비된 라이트부; 및
    상면에 모래가 공급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둘레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구비된 복수의 모래그림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모래그림판부 중 어느 하나인 제1 모래그림판부는 상기 라이트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조명체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투과되고,
    상기 복수의 모래그림판부 중 상기 제1 모래그림판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는 상기 라이트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모래그림판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는 서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모래 그림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를 수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 각각에 구비된 프레임의 양측을 안내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모래 그림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래그림판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래그림판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입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모래 그림판.
KR1020140082923A 2014-07-03 2014-07-03 서랍형 모래 그림판 KR20160004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923A KR20160004529A (ko) 2014-07-03 2014-07-03 서랍형 모래 그림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923A KR20160004529A (ko) 2014-07-03 2014-07-03 서랍형 모래 그림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529A true KR20160004529A (ko) 2016-01-13

Family

ID=5517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923A KR20160004529A (ko) 2014-07-03 2014-07-03 서랍형 모래 그림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5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2307A (zh) * 2016-06-20 2016-08-24 淮安新未来沙画有限公司 一种设有组合式箱套的沙画台
KR102184523B1 (ko) * 2019-11-25 2020-11-30 한국광기술원 Led 및 편광판을 포함하는 샌드 아트 박스
CN112172401A (zh) * 2018-10-27 2021-01-05 邵改臣 一种基于静电吸附收沙并便于储沙的沙画台及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2307A (zh) * 2016-06-20 2016-08-24 淮安新未来沙画有限公司 一种设有组合式箱套的沙画台
CN112172401A (zh) * 2018-10-27 2021-01-05 邵改臣 一种基于静电吸附收沙并便于储沙的沙画台及使用方法
KR102184523B1 (ko) * 2019-11-25 2020-11-30 한국광기술원 Led 및 편광판을 포함하는 샌드 아트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7710B (zh) 显示设备、控制显示设备的发光二极管阵列的方法
KR200477558Y1 (ko) 샌드 아트용 모래 상자
EP2777441B1 (en) Showcas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showcase system including same
JP6413372B2 (ja) 操作ユニットおよび遊技機
PH12019501478A1 (en) Display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1022410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1635563A3 (en) Projector apparatus
KR20160004529A (ko) 서랍형 모래 그림판
US20150094149A1 (en) Operation unit and game machine
CN106941560A (zh) 移动终端
KR201500315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369998A1 (en) Door integrated lighted mirror system
CN108291711A (zh) 照明装置
CN102103939A (zh) 具有显示屏幕的按钮开关结构
JP2004081504A5 (ko)
CN204674270U (zh) 一种多功能电子壁画
US10058780B2 (en) Operating apparatus, game machine, and control method
CN105938690A (zh) 一种可防强光的网络显示设备
CN207906945U (zh) 一种灯罩及照明灯
JP201103920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90041020A (ko) 박형 프로젝터
CN204451688U (zh) 一种交互式液晶白板
KR101089379B1 (ko) 액자 및 그 제어방법
CN216412390U (zh) 一种光学模组展示教育机
CN211699540U (zh) 一种带触摸发光按键的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