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476U - 텍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텍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476U
KR20160004476U KR2020150004023U KR20150004023U KR20160004476U KR 20160004476 U KR20160004476 U KR 20160004476U KR 2020150004023 U KR2020150004023 U KR 2020150004023U KR 20150004023 U KR20150004023 U KR 20150004023U KR 20160004476 U KR20160004476 U KR 201600044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lower body
tact switch
present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승호
Original Assignee
금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승호 filed Critical 금승호
Priority to KR2020150004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476U/ko
Publication of KR20160004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2001/5888Terminals of surface mounted devices [SM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텍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눌러 신호를 발생시키는 텍트 스위치의 제조과정에서 리드선을 절단하여 마감할 때 몸체와의 틈이 벌어져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단되기 직전 매립된 부분을 보강하도록 개발된 것으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고 상부몸체의 상면 중앙에는 버튼이 형성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연장되되 상기 하부몸체에 중간이 매립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접속부가 형성되고 일측은 하부몸체에서 돌출된 부분이 절단되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리드선을 구비하는 텍트 스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리드선의 절단부와 접속부 사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폭이 확장되는 유동방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텍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텍트 스위치{The tact switch}
본 고안은 텍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직접 눌러 신호를 발생시키는 텍트 스위치의 제조과정에서 리드선을 절단하여 마감할 때 몸체와의 틈이 벌어져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단되기 직전 매립된 부분을 보강하여 제조되는 텍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 중 세탁기나 전자제품 등의 다양한 가전제품에서 접촉을 할 때 작동하도록 하고 접촉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 중 대표적인 것이 손으로 누르는 푸쉬 스위치의 한 종류인 텍트 스위치(tact switch)다.
텍트 스위치의 경우 내부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접속단자를 버튼을 누르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통전하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 간단한 구조와 작은 부피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여 많은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텍트 스위치는 상면에 버튼이 있는 몸체에 두 개 또는 네 개의 리드선이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네 개의 리드선이 있는 경우 보통 인접한 두 개 또는 대각선으로 두 개를 연결하면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경우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리드선을 절단하기도 하는데 리드선을 절단하는 과정에서의 힘과 유동에 의하여 몸체와 틈이 발생하여 이러한 틈을 통하여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여 오작동 또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몸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리드선을 수직 절곡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직각으로 절곡되지 않거나 구부러진 리드선에 의하여 몸체의 저면이 기판이나 기타 장착될 위치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스위치 조작시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456111-0000호 (2004년10월28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114782호 (2005년12월07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708894-0000호 (2007년04월11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리드선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부분과 인접한 몸체에 매립된 부분이 절단과정에서 유동이 발생하여 몸체와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텍트 스위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수평으로 연장된 리드선을 수직으로 구부리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몸체의 저면에 장착될 기판 등에 완전히 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텍트 스위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고 상부몸체의 상면 중앙에는 버튼이 형성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연장되되 상기 하부몸체에 중간이 매립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접속부가 형성되고 일측은 하부몸체에서 돌출된 부분이 절단되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리드선을 구비하는 텍트 스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리드선의 절단부와 접속부 사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폭이 확장되는 유동방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몸체의 저면은 절반이 둔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경계로 하부로 돌출되는 밀착단턱부를 형성하여 장착될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서 리드선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경사면을 기준으로 수직 절곡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는 양측으로 폭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동방지부는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리드선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부분과 인접한 몸체에 매립된 부분에는 몸체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된 유동방지부가 형성되어 리드선 절단시 매립된 리드선이 유동하여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는 틈이 발생하여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몸체의 저면의 절반이 둔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경계로 하부로 돌출되는 밀착단턱부를 형성하여 장착될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경사면 상부에서 리드선이 돌출되어 수직 절곡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의 절단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의 절곡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의 절단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의 절단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의 절곡과정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고 상부몸체(11)의 상면 중앙에는 버튼(13)이 형성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연장되되 상기 하부몸체(12)에 중간이 매립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접속부(141)가 형성되고 일측은 하부몸체(12)에서 돌출된 부분이 절단되는 절단부(142)가 형성되는 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리드선(14)을 구비하는 텍트 스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리드선(14)의 절단부(142)와 접속부(141) 사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폭이 확장되는 유동방지부(14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텍트 스위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2)의 저면은 절반이 둔각으로 경사진 경사면(121)을 경계로 하부로 돌출되는 밀착단턱부(122)를 형성하여 장착될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면(121)의 상부에서 리드선(14)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경사면(121)을 기준으로 수직 절곡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보통 네 개의 리드선(14)을 가진 텍트 스위치(1)도 일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단자 또는 상호 대각선 방향의 리드선(14)만 연결하면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 사용하지 않는 리드선(14)은 돌출된 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하는 과정에서 힘이 매립된 리드선(14)을 유동하도록 하여 하부몸체(12)와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매립된 리드선(14)이 절단하는 과정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폭이 확장된 유동방지부(143)를 형성하여 매립된 리드선(14)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리드선(14)을 수직 절곡하여 연결하는 경우 절곡작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121)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이때 경사면(121)이 아닌 수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완전히 90도로 절곡되지 않기에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둔각으로 이루어진 경사면(121)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경사면(121)을 경계로 하부몸체(12)의 절반이 밀착단턱부(122)를 이루도록 하면 텍트 스위치(1)가 장착되는 기판 등에 밀착단턱부(122)의 면이 밀착하여 텍트 스위치(1)를 작동하는 압력에도 쉽게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의 절단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 유동방지부(143)는 양측으로 폭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형상은 유동방지부(143)를 포함하는 리드선(14)이 십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절단부(142)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은 유동방지부(143)와 만나는 모서리에 작용하며 유동방지부(143)는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여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리드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로서, 상기 유동방지부(143)는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리드선(14)의 폭을 넓히는 방법으로도 매립된 부분이 절단작업할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절곡된 경로를 가지도록 하면 일차적으로는 매립되어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이부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이 내부로 전달과정에서 상쇄될 수 있도록 하여 리드선(14)과 하부몸체(12)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 : 텍트 스위치
11 : 상부몸체
12 : 하부몸체
121 : 경사면 122 : 밀착단턱부
13 : 버튼
14 : 리드선
141 : 접속부 142 : 절단부
143 : 유동방지부

Claims (4)

  1.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고 상부몸체(11)의 상면 중앙에는 버튼(13)이 형성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연장되되 상기 하부몸체(12)에 중간이 매립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접속부(141)가 형성되고 일측은 하부몸체(12)에서 돌출된 부분이 절단되는 절단부(142)가 형성되는 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리드선(14)을 구비하는 텍트 스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리드선(14)의 절단부(142)와 접속부(141) 사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폭이 확장되는 유동방지부(14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텍트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2)의 저면은 절반이 둔각으로 경사진 경사면(121)을 경계로 하부로 돌출되는 밀착단턱부(122)를 형성하여 장착될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면(121)의 상부에서 리드선(14)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경사면(121)을 기준으로 수직 절곡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텍트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143)는 양측으로 폭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텍트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143)는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텍트 스위치.
KR2020150004023U 2015-06-18 2015-06-18 텍트 스위치 KR201600044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023U KR20160004476U (ko) 2015-06-18 2015-06-18 텍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023U KR20160004476U (ko) 2015-06-18 2015-06-18 텍트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76U true KR20160004476U (ko) 2016-12-28

Family

ID=5770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023U KR20160004476U (ko) 2015-06-18 2015-06-18 텍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47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201B1 (ko) * 2023-02-28 2023-06-28 이인표 몸체와 터미널의 접합부위로 방수제가 코팅된 방수타입 통전소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111B1 (ko) 2001-11-02 2004-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텍트스위치
KR20050114782A (ko) 2004-06-01 2005-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수 택트 스위치
KR100708894B1 (ko) 2005-05-13 2007-04-19 인성금속(주) 택트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111B1 (ko) 2001-11-02 2004-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텍트스위치
KR20050114782A (ko) 2004-06-01 2005-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수 택트 스위치
KR100708894B1 (ko) 2005-05-13 2007-04-19 인성금속(주) 택트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201B1 (ko) * 2023-02-28 2023-06-28 이인표 몸체와 터미널의 접합부위로 방수제가 코팅된 방수타입 통전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8298B2 (ja) 基板メイティンコネクタ
JP2006342511A (ja)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5569251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KR100755223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JP6224836B2 (ja) 作動要素及び接続端子
JP3137737U (ja) アダプタ構造
KR20160004476U (ko) 텍트 스위치
JP2011060627A (ja) 電子部品
US20140190804A1 (en) Luminous press key module
KR100745470B1 (ko) 버튼 스위치
JP2010212172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1002656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witch mechanism mounted to substrate
CN103137362A (zh) 按压开关
TWM457915U (zh) 防水鍵盤結構
KR101891151B1 (ko) 키 버튼 장치
CN107077983A (zh) 开关及其制造方法
KR20090089058A (ko) 컨트롤 패널유닛
KR100597875B1 (ko) 실리콘 박막을 가지는 택트 스위치
TWM577587U (zh) 按鍵組件
TWM466369U (zh) 電連接器
JP6427761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1149798B1 (ko) 휴대단말기용 사이드 키 모듈
JP5719708B2 (ja) スイッチ
JP6932660B2 (ja) リモコン装置
JP6069699B2 (ja) 調整部材およびスイッチ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