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236U - 누름 분무 대걸레 - Google Patents

누름 분무 대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236U
KR20160004236U KR2020160001036U KR20160001036U KR20160004236U KR 20160004236 U KR20160004236 U KR 20160004236U KR 2020160001036 U KR2020160001036 U KR 2020160001036U KR 20160001036 U KR20160001036 U KR 20160001036U KR 20160004236 U KR20160004236 U KR 201600042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water tank
spray
mo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486Y1 (ko
Inventor
슈에 린 주
징 리
Original Assignee
자싱 잭슨 트레블 프로덕츠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싱 잭슨 트레블 프로덕츠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자싱 잭슨 트레블 프로덕츠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04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6Other cleaning devices with liquid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누름 분무 대걸레는 대걸레 봉, 대걸레 헤드, 물 탱크 시트, 물 탱크 시트에 설치되는 분무 매커니즘, 및 물 탱크 시트 위에 설치되는 물 탱크를 포함한다. 물 탱크 시트는 속이 빈 하우징, 및 고정된 후에 분무 메커니즘을 캡슐화하고 속이 빈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을 포함하고, 분무 메커니즘의 물 끌어당김 부재에 상응하는 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속이 빈 하우징은 이동 공간에 상응하게 배치되는 통과 연결 구멍을 포함한다. 대걸레 봉은 봉 바디, 봉 바디 위에 배치되는 관통 개구, 및 통과 연결 구멍을 통해 이동 공간 내로 연장되는 누름 핀을 포함한다. 누림 핀은 이동 공간 내에서 대걸레 봉에 의해 배치되고 동작되며 분무 메커니즘이 분무 수행을 야기하도록 물 끌어당김 부재를 누른다.

Description

누름 분무 대걸레{PRESSING SPRAY MOP}
본 고안은 대걸레에 관한 것이고, 특히 누름 분무 대걸레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번호 제7, 048, 804호, 제 9,173,540호, 제 8,844,088호 및 6,579,0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현재 일반 또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분무 대걸레들, 물 분무기는 레버(lever)에 의해 주로 유발된다. 레버에 의해 물 분무기를 유발하는 것의 위의 기술적인 해법들에서, 방아쇠 소스와 같이 주로 제공되는 레버는 분무 대걸레의 손잡이(handle)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조자들은 분무 대걸레의 대걸레 봉을 따라서 연결선을 배치할 필요가 있고, 그 후 분무 대걸레 상의 펌프 구조는 물 분무를 수행하도록 연결선에 의해 활성화 된다. 그러나, 장-기간 이용 또는 불만족스러운 조립과 같은 요인들 때문에, 연결선은 오작동(malfunctioning) 할 수 있어서, 분무 대걸레는 분무하는 것을 수행하는데 실패한다. 또한, 배치된 연결선 때문에, 유지는 더 불편(inconvenient)하다. 또한, 연결선이 레버에 의해 확실하게(reliably) 유발되는 것이 보장되도록, 위의 기술적인 해법에 의해 시행되는 분무 대걸레의 대걸레 봉은 실제 요구사항들에 따르는 길이로 조절될 수 없고, 따라서 그것의 적용(application)은 인기다 없다(disfavor).
위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대만 특허번호 제 586,407호 및 중국 특허번호 제 204207680, 204246077 및 203244350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몇몇 제조자들은 대걸레 봉을 아래 방향으로 누름에 의해 달성되는 물 분무의 적용을 제공하도록 앞서 말한 분무 대걸레의 기술적인 구조를 개선했다. 그 중에, 중국 특허번호 제204246077호는 분무 메커니즘 및 대걸레 봉을 포함하는 분무 대걸레를 개시한다. 분무 메커니즘은 보틀 시트(bottle seat) 및 물 펌프를 포함한다. 물 펌프는 물 시트에 설치된다. 대걸레 봉은 물 시트에 수직방향으로(vertically) 미끄러지게(slidably) 연결되고, 물 펌프의 피스톤(piston)에 연결된다. 분무 대걸레가 분무상태로 들어갈 때, 대걸레 봉은 지면에 수직하고, 대걸레 봉이 분무 물로 물 펌프를 야기하도록 보틀 시트에서 움직일 때, 물 펌프의 피스톤은 동작(driven)한다. 또한, 중국 특허번호 제 203244350호는 개선된 분무 대걸레를 개시한다. 분무 대걸레는 분무 대걸레 봉, 대걸레 봉, 물 저장 보틀, 하우징 및 대걸레 헤드를 포함한다. 대걸레 봉은 하우징의 대걸레 봉 연결기에 연결된다. 하우징은 고정된 형상으로 배치된 물 저장 보틀 연결기 및 압력 펌프를 포함한다. 압력 펌프는 물 입구 연결기(water entrance connector)에 연결된 입구, 및 물 출구 연결기에 연결된 피스톤 막대를 포함한다. 물 저장 보틀은 물 보틀 연결기에 단단하게 연결되고, 물 유입 파이프를 통해 물 입구 연결기에 연결된다. 물 출구 연결기는 물 배출 파이프을 통해 하우징 상에 고정된 노즐에 연결된다. 분무 대걸레 봉은 대걸레 봉 연결기 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물 출구 연결기 상에 접한다. 압력 펌프의 피스톤 봉 및 분무 대걸레 봉은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된다.
대걸레 봉을 누름에 의해 물 분무를 구현하는 분무 대걸레를 개시하는 위의 기술적인 해법에 있어서, 분무 대걸레가 물 분무를 구현하도록 채택되는(adopts) 관련 요소들은(associated elements) 나사 요소들 또는 리벳 요소들과 같은 외부 구성요소를 통해서 조립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외부 구성요소들을 포함(involving)하기 위한 설치과정은 작업시간의 증가를 이끌어 증가된다. 또한, 외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조립 과정 동안, 서투른(poor) 조립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구성요소들은 느슨해 질 수 있고, 구성요소들의 연결점들은 더 심한 경우에 심지어 손상될 수 있으며, 따라서 대량 생산 또는 사용자 적용들은 인기가 없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외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조립에 의해 야기되는 서투른 조립 및 증가되는 작업시간을 가지는 일반적은 대걸레 분무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위의 물건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분무 대걸레 분무기를 제공한다. 분무 대걸레 분무기는 대걸레 봉(mop rod), 대걸레 봉 일 단에서 배치되는 대걸레 헤드(mop head), 대걸레 봉에 배치되는 물 탱크 시트(water tank seat), 물 탱크 시트에서 설치되는 분무기 메커니즘(spray mechanism), 및 액체 세제(cleaning liquid)를 저장하고 물 탱크 시트 상에 설치되는 물 탱크를 포함한다. 분무기 메커니즘은 물 끌어당김 부재, 물탱크 및 물 끌어당김 부재에 연결된 연결 파이프 어셈블리(connecting pipe assembly), 및 물 끌어당김 부재(water drawing member)에 연결된 분무 부재(spray member)를 포함한다. 물 탱크 시트는 속이 빈 하우징(hollow housing), 및 속이 빈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서로 고정되며(mutually joggled) 분무 메커니즘을 캡슐화하는(encapsulating)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support half casings)을 포함한다. 두 조립된 지지 절반 케이싱들은 스프레이 분무 메커니즘의 물 끌어당김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이동 공간(movement space)을 형성한다. 속이 빈 하우징은 이동 공간에 상응하게 배치된 통과 연결 구멍(through connecting hole)을 포함한다. 대걸레 봉은 물 탱크 시트에 의해 수용되도록 봉 바디(rod body), 봉 바디 상에 배치된 관통 개구(penetration opening), 통과 연결 구멍을 통해서 이동 공간 내로 연장되고 관통 개구에서 제공되는 누름 핀(pressing pin)을 포함한다. 누름 핀은 이동 공간 내에서 움직이는 대걸레 봉에 의해 동작되고 분무 메커니즘이 분무 수행을 야기하도록 물 끌어당김 부재를 누른다.
일 실시예에서,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 중 하나는 다른 지지 절반 케이싱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부(tenon)을 포함하고, 장부가 제공되지 않는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 중 다른 하나는 각 장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붓구멍(mortise)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절반 케이싱들의 각각은 분무 메커니즘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accommodating chamber)를 포함하고, 수용 챔버들의 각각은 물 끌어당김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 부분(accommodating portion) 및 연결 튜브 어셈블리(connecting tube assembly)을 배치하기 위한 제2 수용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절반 케이싱들의 각각은 수용 챔버에 연결된 오목한 부분(recessed portion)을 포함하고, 두 오목한 부분들은 주 지지 절반 케이싱들이 서로 고정된 후에 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누름 핀은 대걸레 봉에서 떼어내는 것으로부터 누름 핀을 방해하고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전된 갈고리(inverted hook)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속이 빈 하우징은 지지 절반 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각각 접하는 복수의 설치 리브들(installation ribs)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물 탱크 시트는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을 제한하도록 속이 빈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밀봉 커버(sealing cover)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 커버는 속이 빈 하우징의 내부 벽을 따라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조작을 포함한다. 연결 조각들의 각각은 속이 빈 하우징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잠금 멈춤 부분(fastening stopping portion)을 포함하고, 속이 반 하우징은 잠금 멈춤 부분들과 잠금 관계(fastening relationship)를 형성하는 제한 구멍(limiting hole)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누름 분무 대걸레는 대걸레 헤드 및 대걸레 봉에 연결되는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mobile connect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은 이용 상태(utilization state) 및 잠금 상태(locked state)를 가진다. 잠금 상태에서 대걸레 봉은 대걸레 헤드 위에 수평하게(levelly) 위치되고, 아래 방향으로 누름으로부터 대걸레 봉을 방해(prohibits)한다. 이용 상태에서, 대걸레 봉은 아래방향으로 눌러지도록 대걸레 봉을 허용하는 대걸레 헤드에 대한 경사 각도(inclined angle)에 있다. 도한 경사 각도는 90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은 대걸레 헤드 위에 제공되는 연결 시트, 대걸레 봉 위에 제공되는 연결 부재, 및 삽입 부재(inserting member)를 포함한다. 연결 시트는 경사 각도에서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연결 막대기(connecting pole), 및 다중-방향으로(multi-directionally) 회전할 수 있고, 연결 막대기 위에 조립되는 연결 슬리브(connecting sleeve)를 포함한다. 연결 슬리브는 두 상응하게 배치되는 설치 구멍들(installation holes)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는 속이 빈 부분 및 연결 막대기를 향하는 방아쇠 헤드 부분(trigger head portion)을 포함한다. 삽입 부재는 두 설치 구멍들을 단단하게 잠그고, 속이 빈 부분 내로 삽입된다.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이 이용 상태에 있을 때, 삽입 부재가 속이 빈 부분 내에 선형으로(linearly) 이동 가능하여서, 연결 부재의 방아쇠 헤드 부분은 아래 방향으로 눌러지도록 대걸레 봉을 허용하는 관통 구멍 내로 연장된다.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이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부재의 방아쇠 헤드 부분은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것으로부터 대걸레 봉을 방해하는 연결 막대에 대하여 접해진다.
위의 기술적인 해법으로,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다음의 기능들은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대걸레 봉 및 물 탱크 시트의 조립은 외부 구성 요소들을 포하하는 것 없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된 물 탱크 시트 및 대걸레 봉의 안정성은 외부 구성요소들의 이용으로 완성된 조립의 안정성에 상당(substantial)하다. 또한, 외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구조들의 조립과 같이, 구조들 사이의(among) 느슨함의 문제는 사용자가 누름 분무 대걸레를 작동하는 동안 더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대걸레 봉 및 대걸레 헤드 사이의 각도에서, 분무하기 위한 분무 대걸레를 누르는 것으로부터 무의식적인 사용자의 터치를 방지하도록,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은 이용 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음.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부분적인 분해 구조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무 메커니즘을 및 지지 절반 케이싱들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눌러진 대걸레 봉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래방향으로 눌러진 대걸레 봉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부분적인 분해 구조도이다.
도 7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누름 분무 대걸레의 잠금 상태의 개략적인 도표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인 내용물 및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동봉하는 도면들과 함께 주어진다.
도 1내지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은 누름 분무 대걸레를 제공한다. 누름 분무 대걸레는 대걸레 봉(1), 대걸레 봉(1)의 일 단에 배치된 대걸레 헤드(2), 대걸레 봉(1) 위에 배치된 물 탱크 시트(3), 물 탱크 시트(3)에 설치된 분무 메커니즘(4), 및 액체 세제를 저장하고 물 탱크 시트(3) 위에 설치되는 물 탱크(5)를 포함한다. 분무 메커니즘(4)은 물 끌어당김 부재(41), 물 끌어당김 부재(41) 및 물 탱크(5)에 연결되는 연결 튜브 어셈블리(42), 및 물 끌어당김 부재(41)에 연결된 분무 부재(43)를 포함한다. 물 탱크 시트(3)는 속이 빈 하우징(31) 및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을 포함한다. 속이 빈 하우징(31)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에 관하여 각각 접하는 복수의 설치 리브들(311)을 포함한다. 설치 리브들(311)은 속이 빈 하우징(31) 내의 틈에서 배열된다. 속이 빈 하우징(31)에서 배열된 설치 리브들(311)의 각각의 외형(appearance)의 형성과 위치는 속이 빈 하우징(31)에서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의 각각을 안전하게 지지하거나 실질적으로 제한하도록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의 모양에 따라서 조정된다. 도한,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 중 하나는 다른 지지 절반 케이싱(32)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부(321)를 포함하고, 장부(321)가 제공되지 않는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 중 다른 것은 각각의 장부(321)로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붓구멍(322)을 포함한다. 다라서,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은 조립을 위한 외부 구성요소들(예를들어 나사 잠금 요소들 또는 리베팅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 없이 장붓구멍(322) 및 장부(321)를 이용하는 서로 다른 것과 고정된다. 또한,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의 각각은 분무 메커니즘(4)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323)을 포함한다. 수용 챔버(323)의 각각의 외형은 내부에 분무 메커니즘(4)을 안전하게 수용하도록 분무 메커니즘(4)의 모양에 상응한다. 도한, 수용 챔버들은(323) 물 어당김 부재(41)를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 부분(324), 및 연결 튜브 어셈블리(42)을 배치하기 위한 제2 수용 부분(325)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두 수용 챔버들(323)은 대칭적인 구조들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설치 과정에서, 분무 메커니즘(4)은 지지 절반 케이싱들(32) 중 하나의 수용 챔버(323)에 위치되고, 지지 절반 케이싱(32)의 수용 챔버(323)는 분무 메커니즘(4)과 상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은 결합되고(joined) 고정되며, 분무 메커니즘은(4)은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 내에서 캡슐화되고, 이에 의해 분무 메커니즘(4) 및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러한 지점으로부터, 분무 메커니즘(4)은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의 각각은 수용 챔버(323)에 연결된 오목한 부분(326)을 포함한다.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이 고정될 때 두 오목한 부분들(326)은 이동 공간(33)을 형성한다. 또한, 두 오목한 부분들(326)은 제1 수용 부분(324)에 연결되고 분무 메커니즘(4)의 물 끌어당김 부재(41)에 상응하게 배치되며, 따라서 이동 공간(33)은 또한 물 끌어당김 부재(41)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또한, 속이 빈 하우징(31)은 분무 메커니즘(4)의 분무 부재(43)에 상응하게 배치되는 분무 개구(spray opening; 314)를 포함한다.
도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속이 빈 하우징(31)은 이동 공간(33)에 상응하게(correspondingly) 배치된 통과 연결 구멍(312)을 포함한다. 대걸레 봉(1)은 물 탱크 시트(3)에 의해 수용되는 봉 바디(11), 봉 바디(11) 위에 배치되는 관통 개구(12), 및 통과 연결 구멍(312)을 통해 이동 공간(33) 내로 연장되고 관통 개구(12)에서 제공되는 누름 핀(13)을 포함한다. 또한, 물 탱크 시트(3)가 속이 빈 하우징(31)에 의해 봉 바디(11) 주위에서 수용될 때, 관통 개구(12)는 통과 연결 구멍(312)과 연통되게 있고 상응한다. 다음으로, 누름 핀(13)은 이동 공간(33)을 들어가도록 통과 연결 구멍(312) 및 관통 개구(12) 내로 연속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 핀(13)의 효과에 의해, 물 탱크 시트(3)는 대걸레 봉(1)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누름 핀(13)은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 및 속이 빈 하우징(31)의 이동들을 동시에(simultaneously) 제한하고, 이에 의해 물 탱크 시트(3) 및 대걸레 봉(1)의 조립을 완성한다. 따라서, 외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 없이, 물 탱크 시트(3) 및 대걸레 봉(1)의 조립은 외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 없이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외부 구성요소들을 이용하는 조립 과정을 생략한다. 또한, 조립된 물 탱크(3) 및 대걸레 봉(1)의 안정성은 외부 구성요소들과 달성된 조립의 안정성에 상당하다. 도 1 내지 도5를 다시 언급하여, 본 고안에서, 누름 핀(13)은 봉 바디(11) 내로 삽입되고, 봉 바디(11)의 이동과 같이 봉 바디(11)에 의해 동작된다. 봉 바디(11)가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대걸레 헤드(2)의 방향 쪽으로 아래방향으로 눌릴 때, 누름 핀(13)은 이동 공간(33) 내에서 선형으로 이동하고 분무를 수행하도록 분무 메커니즘(4)을 야기하는 물 끌어당김 부재(41)를 누른다. 분무 메커니즘(4)에 의해 수행되는 물 분무의 시작에서, 분무 메커니즘(4)은 물 탱크(5) 내의 액체 세제를 끌어 당기고, 분무 부재(43)를 통해 분무 개구(314)로부터 액체 세제를 분무한다. 사용자가 후에 아래 방향으로 대걸레 봉(1)을 누르는 힘을 멈출 때, 분무 메커니즘 내에 물 끌어당김 부재(41)에 상응하게 배치된 회복 스프링(restoration spring)은 원래의 위치(original position)까지 물 끌어당김 부재(41)를 민다. 물 끌어당김 부재(41)의 회복 과정 동안, 물 끌어당김 부재(41)는 비-눌린 형상을 복구하도록(restore) 대걸레 봉(1)을 동작하는 누름 핀(13)을 동시에 위로 민다(pushes up). 일 실시예에서, 대걸레 봉(1)의 봉 바디(11)는 더 속이 빈 봉 바디(11)이고, 상기 누름 핀(13)은 적어도 하나의 반전된 갈고리(131)를 포함한다. 누름 핀(13)은 적어도 하나의 반전된 갈고리(131)를 포함한다. 반전된 갈고리(131)는 누름 핀(13)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누름 핀(13)이 봉 바디(11)에서 설치된 후에 대걸레 봉(1)에서 풀림으로부터 누름 핀을 방해하고 제한한다.
도1 내지 도5를 다시 언급하여, 일 실시예에서, 물 탱크 시트(3)는 밀봉 커버(34)를 포함한다. 밀봉 커버(34)는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을 제한하도록 속이 빈 하우징(31) 내에 설치된다. 더 명확하게, 밀봉 커버(34)는 물 탱크(5)와 조립된 물 탱크 시트(3)의 일 측에 배치되고, 그 후 속이 빈 하우징(31) 및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이 조립된 후에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32)을 밀봉하도록 속이 빈 하우징(31)과 결합된다. 밀본 커버(34)는 속이 빈 하우징(31)의 내부 벽을 따라서 및 가장자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조각(341)을 포함한다. 연결 조각들(341)의 각각은 속이 빈 하우징(31)의 방향 쪽으로 돌출하는 잠금 멈춤 부분(342)을 포함한다. 속이 빈 하우징은 잠금 멈춤 부분(342)과 잠금 관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구멍(313)을 포함한다. 잠금 멈춤 부분(342)가 밀봉 커버(34)의 조립 과정 동안 제한 구멍(313) 내에 떨어질(falls) 때, 제한 구멍(313) 및 고정 멈춤 부분(342)이 잠금 관계를 생성하여서(produce), 밀봉 커버(34)는 속이 빈 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밀봉 커버(34)는 분무 메커니즘(4)에 상응하게 배치된 통과 구멍(343)을 포함한다. 통과 구멍(343)은 분무 메커니즘(4)에 연결되도록 그 안에서 관통하도록 물 탱크(5)를 허용한다.
도 6 및 7을 언급하여, 일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누름 분무 대걸레는 대걸레 봉(1) 및 대걸레 헤드(2)에 연결된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6)을 포함한다.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6)은 이용 상태 및 잠김 상태를 가진다. 잠김 상태에서 대걸레 봉(1)은 아래 방향으로 눌려지는 것으로부터 대걸레 봉(1)을 방해하도록 대걸레 헤드(2) 위에 수평하게 위치된다. 이용 상태에서, 대걸레 봉(1)은 아래방향으로 눌러지는 대걸레 봉(1)을 허용하도록 대걸레 헤드(2)에 대해 경사진 각도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진 각도는 90도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대걸레 봉(1) 및 대걸레 헤드(2)를 조립하는 것의 기능에 더하여, 이공식 연결 메커니즘(6)은 수행하는 물 분무기로부터 누름 분무 대걸레를 제한하는 것 및 방해하는 것의 기능을 더 제공한다.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6)은 대걸레 헤드(2) 위에 배치된 연결 시트(61), 대걸레 봉(1) 위에 배치된 연결 부재(62), 및 삽입 부재(63)를 포함한다. 연결 시트(61)는 연결 막대(611), 및 연결 막대(611) 위에 조립되고 다중-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연결 슬리브(612)를 포함한다. 연결 슬리브(612) 내에 설치된 연결 막대(611)의 부분(part)은 경사진 각도에서 형성되는 관통 구멍(613)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슬리브(612)는 두 상응하게 배치된 설치 구멍들(614)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62)는 속이 빈 부분(622) 및 연결 막대(611)을 향하는 방아쇠 헤드 부분(621)을 포함한다. 방아쇠 헤드 부분(621)의 외형은 관통 구멍(613) 내에서 이동하는 방아쇠 헤드 부분(621)을 허용하도록 관통 구멍(613)의 형성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속이 빈 부분(622)은 연결 부재(62)를 관통하고 긴 구멍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설치 과정에서, 삽입 부재(63)는 다른 설치 구멍(614) 위에 배치되도록 오목한 부분(622) 및 설치 구멍들(614) 중 하나를 통과한다. 즉, 본 고안의 삽입 부재(63)는 두 설치 구멍들(614)을 고정되게 연결하고 속이 빈 부분(622)를 관통한다. 이와 같이, 연결 슬리브(612)는 연결 부재(62)와 조립된다. 또한, 속이 빈 부분(622)의 이러한 디자인에서, 삽입 부재(63)는 대걸레 봉(1)의 적용을 따라서, 속이 빈 부분(622) 내에서 선방향으로 허용된다. 연결 시트(61)는 연결 막대(611)를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615)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615)는 대걸레 헤드(2) 위에 더 배치된다. 도 5 및 7을 언급하여, 대걸레 봉(1)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고 대걸레 헤드(2)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를 가질 때,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6)은 이용상태에 있다. 대걸레 봉(1)이 수용된 힘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눌릴 때, 삽입 부재(63)는 속이 빈 부분(622) 내에 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 부재(62)의 방아쇠 헤드 부분은 분무를 수행하도록 아래방향으로 눌리는 대걸레 봉(1)을 허용하도록 관통 구멍(613) 내로 연장하는 것은 허용된다. 또는, 대걸레 봉(1)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고 대걸레 헤드(2) 상에 수평적으로 위치된 때,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6) 잠금 상태에 있고, 연결 부재(62)의 방아쇠 헤드 부분(621) 아래방향으로 누르는 것으로부터 대걸레 봉(1)을 방해하는 연결 막대(611)에 대하여 접해진다.
1 : 대걸레 봉
2 : 대걸레 헤드
3 : 물 탱크 시트
4 : 분무 매커니즘
5 : 물 탱크
6 :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
11 : 봉 바디
12 : 관통 개구
13 : 누름 핀
31 : 속이 빈 하우징
32 : 지지 절반 케이싱
33 : 이동 공간
34 : 밀봉 커버
41 : 물 끌어당김 부재
42 : 연결 튜브 어셈블리
43 : 분무 부재
61 : 연결 시트
62 : 연결 부재
63 : 삽입 부재
131 : 반전된 갈고리
311 : 설치 리브
312 : 통과 연결 구멍
313 : 제한 구멍
314 : 분무 개구
321 : 장부
322 : 장붓구멍
323 : 수용 챔버
324 : 제1 수용 부분
326 : 오목한 부분
341 : 연결 구멍
342 : 잠금 멈춤 구멍
343 : 통과 구멍
611 : 연결 막대
612 : 연결 슬리브
613 : 관통 구멍
614 : 설치 구멍
621 : 방아쇠 헤드 부분
622 : 속이 빈 부분

Claims (11)

  1. 대걸레 봉,
    대걸레 봉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대걸레 헤드,
    상기 대걸레 봉 위에 배치되는 물 탱크 시트,
    상기 물 탱크 시트에 설치되는 분무 메커니즘, 및
    상기 물 탱크 시트에 설치되고 액체 세제를 저장하는 물 탱크
    를 포함하고;
    상기 분무 메커니즘은
    물 끌어당김 부재,
    상기 물 탱크 및 상기 물 끌어당김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튜브 어셈블리, 및
    상기 물 끌어당김 부재에 연결되는 분무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물 탱크 시트가 속이 빈 하우징, 및 상호 고정된 후에 상기 속이 빈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을 포함하고, 상기 두 조립된 지지 절반 케이싱은 상기 분무 메커니즘의 상기 물 끌어당김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이동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속이 빈 하우징이 상기 이동 공간에 상응하게 배치되는 통과 연결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대걸레 봉이 상기 물 탱크 시트에 의해 수용되는 봉 바디, 상기 봉 바디 위에 배치되는 관통 개구, 및 상기 관통 개구에서 제공되고 상기 통과 연결 구멍을 통해 상기 이동 공간 내로 연장하는 누름 핀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핀이 상기 이동 공간 내에서 상기 대걸레 봉에 의해 위치되고 동작되며 상기 분무 메커니즘이 분무 수행을 야기하도록 상기 물 끌어당김 부재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 중 하나는 상기 다른 지지 절반 케이싱을 향하는 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부가 제공되지 않는 상기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 중 상기 다른 것은 각 장부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붓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절반 케이싱들의 각각은 상기 분무 메커니즘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챔버들의 각각은 상기 물 끌어당김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제1 수용 부분 및 상기 연결 튜브 어셈블리를 배치하기 위한 제2 수용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절반 케이싱들의 각각은 상기 수용 챔버에 연결되는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이 고정된 후에 두 상기 오목한 부분들은 상기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핀은 적어도 하나의 반전된 갈고리를 포함하고, 이는 상기 대걸레 봉에서 떼어내는 것으로부터 상기 누름 핀을 방해하고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빈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 절반 케이싱들에 대하여 각각 접하는 복수 개의 설치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 시트는 상기 두 지지 절반 케이싱들을 제한하도록 상기 속이 빈 하우징에서 설치되는 밀봉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커버는 상기 속이 빈 하우징의 내부 벽을 따라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조각들의 각각은 상기 속이 빈 하우징의 방향 쪽으로 돌출하는 고정 멈춤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속이 빈 하우징은 상기 고정 멈춤 부분과 잠금 관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분무 대걸레는 상기 대걸레 봉 및 상기 대걸레 헤드에 연결되는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은 잠금 상태 및 이용 상태를 가지며;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대걸레 봉은 아래방향으로 눌리는 것으로부터 상기 대걸레 봉을 제한하도록 상기 대걸레 헤드 위에 수평적으로 위치되는 것, 및 상기 이용 상태에서, 상기 대걸레 헤드는 아래 방향으로 눌리도록 상기 대걸레 봉을 허용하는 경사진 각도를 표시(displays)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각도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은 상기 대걸레 헤드 위에 배치되는 연결 시트, 상기 대걸레 봉 위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 및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경사진 각도에서 형성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여 형성된 연결 막대, 및 상기 연결 막대 위에 조립되고 다중-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연결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슬리브는 두 상응하게 배치된 설치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방아쇠 헤드 부분 및 속이 빈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두 설치 구멍들을 고정되게 연결하고, 상기 속이 빈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이 상기 이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삽입 부재는 아래 방향으로 눌리도록 상기 대걸레 봉을 더 허용하는 상기 관통 구멍 내로 연장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방아쇠 헤드 부분을 허용하는 상기 속이 빈 부분 내로 선형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식 연결 메커니즘이 상기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방아쇠 헤드 부분은 아래 방향으로 눌리는 것으로부터 상기 대걸레 봉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결 막대에 대하여 접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분무 대걸레.
KR2020160001036U 2015-06-01 2016-02-25 누름 분무 대걸레 KR2004834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366241.8 2015-06-01
CN201520366241.8U CN204734452U (zh) 2015-06-01 2015-06-01 拖把杆下压式喷水拖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36U true KR20160004236U (ko) 2016-12-09
KR200483486Y1 KR200483486Y1 (ko) 2017-05-19

Family

ID=5441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036U KR200483486Y1 (ko) 2015-06-01 2016-02-25 누름 분무 대걸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87133B2 (ko)
EP (1) EP3100662B1 (ko)
KR (1) KR200483486Y1 (ko)
CN (1) CN20473445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6971S1 (en) * 2015-03-26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10548453B2 (en) 2015-12-14 2020-02-04 Freudenberg Household Products Lp Floor mop
USD806338S1 (en) * 2015-12-14 2017-12-26 Freudenberg Household Products Lp Spray mop
US9788702B1 (en) * 2016-04-14 2017-10-17 Jiaxing Jackson Travel Products Co., Ltd. Dripping mop
CN106580194A (zh) * 2016-12-30 2017-04-26 浙江伟江电器有限公司 一种自动扫地机
US10383502B1 (en) * 2017-05-19 2019-08-20 Joseph A. McDonnell Spray mop
US10682034B2 (en) * 2017-07-13 2020-06-16 Geerpres, Inc. Cleaning device having fluid reservoir handle with integral refill/reservoir receiver
CN107348918A (zh) * 2017-09-14 2017-11-17 一种储气式喷水拖把
US11484172B1 (en) 2021-12-03 2022-11-01 Sharkninja Operating Llc Wet dry appliance
CN114246529B (zh) * 2021-12-21 2023-04-07 湖南盈晟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家具日常表面清洁设备
DE102022001756A1 (de) * 2022-05-19 2023-11-23 Loba Gmbh & Co. Kg Reinigungsvorrichtung
USD995023S1 (en) * 2023-02-16 2023-08-08 Feng Ye Mop water tan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82721U (zh) * 2010-07-30 2011-04-06 慈溪市建财电器有限公司 蒸汽拖把
CN204207688U (zh) * 2014-10-15 2015-03-18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拖把杆下压式喷水拖把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9023B2 (en) 1998-12-01 2003-06-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s
US20040134016A1 (en) 2003-01-10 2004-07-15 Royal Appliance Manufacturing Company Suction wet jet mop
TW586407U (en) 2003-03-12 2004-05-01 Shing-Yuan Shiu Improved structure of mop capable of supplying cleaning liquid
CA2772010A1 (en) * 2009-08-27 2011-03-03 Freudenberg Household Products Lp Spray mop
US8844088B2 (en) 2013-01-11 2014-09-30 Hevert Adolfo Garcia Castillo Spray mop
US9173540B2 (en) 2013-03-15 2015-11-03 Nathan A. Scolari Steamer mop having quick change cleaning pad
CN203244350U (zh) 2013-05-27 2013-10-23 李宝杰 改进型喷水拖把
CN204207689U (zh) 2014-10-15 2015-03-18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喷水拖把
CN204246077U (zh) 2014-10-15 2015-04-08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喷水拖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82721U (zh) * 2010-07-30 2011-04-06 慈溪市建财电器有限公司 蒸汽拖把
CN204207688U (zh) * 2014-10-15 2015-03-18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拖把杆下压式喷水拖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0662B1 (en) 2017-12-06
EP3100662A1 (en) 2016-12-07
KR200483486Y1 (ko) 2017-05-19
US20160345794A1 (en) 2016-12-01
US9687133B2 (en) 2017-06-27
CN204734452U (zh)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486Y1 (ko) 누름 분무 대걸레
US20110056994A1 (en) Glue Gun
US11478912B2 (en) Nail gun which fires nails stably
US9498879B1 (en) Quick release cleaning tool
US6631855B2 (en) Structurally improved spray gun
CN104107018A (zh) 一种拖把通用喷水装置
CN205072800U (zh) 一种具有自挤水功能及喷水功能的拖把
CN106733315B (zh) 喷雾器开关的常开自锁装置
EP3116657B1 (en) Water application device with arrest function
KR101596870B1 (ko) 스프레이 청소기
KR200459769Y1 (ko) 분무형 물 청소기
WO2016192343A1 (zh) 一种多功能喷水拖把
WO2022116344A1 (zh) 一种杆压式喷水拖把
CN217447658U (zh) 多种组合方式的喷水平板拖把
CN201144140Y (zh) 剪式千斤顶手柄的延伸杆
CN209661548U (zh) 便于拆接的喷水拖把杆
US10329754B1 (en) Toilet plunger
KR200474292Y1 (ko) 조립이 용이한 물총완구
CN218279544U (zh) 一种喷水拖把
KR200456488Y1 (ko) 공기압축용 분무기
KR100736121B1 (ko) 양방향분사형 최루가스분사진압봉
DE20000472U1 (de) Toilettenbürste
CN218279546U (zh) 喷水拖把
EP3116656B1 (en) Water application device with ergonomic arrest button
KR20100001147U (ko) 분무기용 노즐대 걸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