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122U -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122U
KR20160004122U KR2020150003227U KR20150003227U KR20160004122U KR 20160004122 U KR20160004122 U KR 20160004122U KR 2020150003227 U KR2020150003227 U KR 2020150003227U KR 20150003227 U KR20150003227 U KR 20150003227U KR 20160004122 U KR20160004122 U KR 201600041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discharge port
lid
ho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952Y1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2020150003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52Y1/ko
Priority to PCT/KR2016/004850 priority patent/WO2016186357A1/ko
Priority to EP16796684.5A priority patent/EP3287039B1/en
Priority to US15/572,104 priority patent/US10293356B2/en
Priority to JP2017560249A priority patent/JP6585194B2/ja
Priority to CN201690000826.0U priority patent/CN208436405U/zh
Publication of KR201600041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8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indirect access, e.g. requiring an initial action for separating the cap from the stick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외부용기 안에 내부용기를 내장하되, 펌프 설치홀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1결합체가 내부용기 상부와 고정결합되고, 펌프 관통홀이 한쪽으로 치우져져 형성된 제2결합체가 상기 제1결합체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체의 펌프 관통홀과 제1결합체의 펌프 설치홀을 관통하도록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제2결합체의 펌프 관통홀 상부에 누름부재가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뚜껑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뚜껑을 잡고 외부용기를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부재가 회동되면서 누름부재의 토출구가 토출구출몰홀 밖으로 돌출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부재의 토출구가 토출구출몰홀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화장품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토출구를 뚜껑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토출구가 뚜껑 내부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토출구의 오염을 방지케 할 수 있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에 입구부(11)가 형성된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 내측에 삽입되며,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 내부 하측에 삽입되어 화장료를 밀어올리는 밀판(30)과; 상기 내부용기(20)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펌프 설치홀(41)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1 결합체(40)와; 상기 제1 결합체(40)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펌프 관통홀(51)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2 결합체(50)와; 상기 제1 결합체(40)의 펌프 설치홀(41)과 제2 결합체(50)의 펌프 관통홀(51)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화장료를 펌핑하는 펌프(60)와; 상기 펌프(60)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결합체(50) 상부에 노출되며, 일측에 토출구(71)가 형성된 누름부재(70) 및 상기 제2 결합체(50)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토출구출몰홀(81)이 형성된 뚜껑(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having a appearing and disappearing an exhaust hole of pump}
본 고안은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외부용기 안에 내부용기를 내장하되, 펌프 설치홀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1결합체가 내부용기 상부와 고정결합되고, 펌프 관통홀이 한쪽으로 치우져져 형성된 제2결합체가 상기 제1결합체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체의 펌프 관통홀과 제1결합체의 펌프 설치홀을 관통하도록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제2결합체의 펌프 관통홀 상부에 누름부재가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뚜껑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뚜껑을 잡고 외부용기를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부재가 회동되면서 누름부재의 토출구가 토출구출몰홀 밖으로 돌출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부재의 토출구가 토출구출몰홀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화장품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토출구를 뚜껑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토출구가 뚜껑 내부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토출구의 오염을 방지케 할 수 있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개폐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개폐부재 상부에 토출구출몰홀이 형성된 뚜껑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뚜껑을 잡고 제2결합체와 고정결합된 외부용기를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부재에 형성된 미닫이문이 회동하면서 토출구출몰홀을 차단하고,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미닫이문이 회동하면서 상기 토출구출몰홀을 개방함으로써 토출구의 오염을 방지케 할 수 있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또는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말한다.
상기 화장품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해보면 피부표면의 피지,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안화장품과,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공급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화장품과, 아름다운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조화장품과, 모발 또는 두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모발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발화장품 및 향료를 알코올 등에 녹여서 타인에게 향기를 풍기기 위해 사용되는 향수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화장품들이 개발됨에 따라 화장료를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중에서 로션, 크림, 젤, 샴푸, 린스 등과 같이 액상, 겔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화장료를 보관하고 사용하는 데에 종래에는 단순히 개폐 기능을 가지고 있는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화장료를 덜어내어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토출되는 화장료 양을 조절하지 못하여 화장료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2891호와 같이 펌프를 구비한 딥튜브 화장품용기가 개시되면서 화장료를 사용할 때에 펌프를 통해 정량토출이 가능하며 화장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화장료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토출구가 항상 개방되어 있어 토출구 입구를 통해 공기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어져 토출구 내에 잔존하는 화장품이 산화되어 변질되거나 입구쪽의 화장품이 딱딱하게 굳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펌프 용기 위의 토출구 주변에 뚜껑을 결합하였는데 이는 사용시 상기 뚜껑을 개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뚜껑을 분실할 염려가 있었으며, 또한 상기 토출구에 뚜껑을 설치하여 상기 토출구를 차단할 때에는 상기 뚜껑이 토출구 주변에 힌지 설치되어 진 것이어서 뚜껑을 반복 개폐시 힌지부가 파손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20-0421164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토출구 차단이 가능한 배출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을 배출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배출펌프의 토출구를 마개부재로 차단하여 토출구에 존재하는 화장품이 공기와 접촉되어 변질되고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펌프용기 내의 화장품을 배출 사용하기 위해서 토출구를 차단한 미닫이문 방식의 마개부재를 수동적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폐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비사용중에는 본의아니게 누름부재가 눌려져 상기 화장품이 토출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20-0425584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화장품 용기의 뚜껑회전식 마개부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토출구 보호용 뚜껑의 회전에 따라 자동으로 마개부재가 개폐되어서 사용상 번거로움을 없애고 토출구 부위에 오염을 방지하며, 오작동으로 인한 펌프용기의 화장품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토출구가 펌프용기의 뚜껑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뚜껑 안에 위치한 채로 화장품을 배출하기 때문에,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펌프용기를 기울여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종종 상기 화장품이 뚜껑 내부로 떨어지면서 뚜껑 내부가 오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는 원통형 외부용기 안에 내부용기를 내장하되, 펌프 설치홀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1결합체가 내부용기 상부와 고정결합되고, 펌프 관통홀이 한쪽으로 치우져져 형성된 제2결합체가 상기 제1결합체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체의 펌프 관통홀과 제1결합체의 펌프 설치홀을 관통하도록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제2결합체의 펌프 관통홀 상부에 누름부재가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뚜껑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뚜껑을 잡고 외부용기를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부재가 회동되면서 누름부재의 토출구가 토출구출몰홀 밖으로 돌출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부재의 토출구가 토출구출몰홀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화장품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토출구를 뚜껑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토출구가 뚜껑 내부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토출구의 오염을 방지케 할 수 있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개폐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개폐부재 상부에 토출구출몰홀이 형성된 뚜껑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뚜껑을 잡고 제2결합체와 고정결합된 외부용기를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부재에 형성된 미닫이문이 회동하면서 토출구출몰홀을 차단하고,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미닫이문이 회동하면서 상기 토출구출몰홀을 개방함으로써 토출구의 오염을 방지케 할 수 있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제2결합체의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결합된 개폐부재의 하단에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되어, 뚜껑을 잡고 제2결합체와 고정결합된 외부용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부가 걸림턱을 넘어서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고, 다시 뚜껑을 잡고 외부용기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부가 걸림턱을 넘어서 걸림홈 안으로 체결되면서 딸깍하는 소리과 함께 손의 감각으로 토출구출몰홀의 차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제1눌림방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재의 토출구 하측으로 제2눌림방지부를 형성하여, 토출구출몰홀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제2결합체의 제1눌림방지부와 누름부재의 제2눌림방지부가 맞닿아 펌프의 누름부재가 오작동으로 눌려져 화장품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부에 입구부(11)가 형성된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 내측에 삽입되며,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 내부 하측에 삽입되어 화장료를 밀어올리는 밀판(30)과;
상기 내부용기(20)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펌프 설치홀(41)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1 결합체(40)와;
상기 제1 결합체(40)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펌프 관통홀(51)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2 결합체(50)와;
상기 제1 결합체(40)의 펌프 설치홀(41)과 제2 결합체(50)의 펌프 관통홀(51)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화장료를 펌핑하는 펌프(60)와;
상기 펌프(60)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결합체(50) 상부에 노출되며, 일측에 토출구(71)가 형성된 누름부재(70) 및
상기 제2 결합체(50)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토출구출몰홀(81)이 형성된 뚜껑(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체(50)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부재(90)가 더 형성되되, 상기 개폐부재(90)의 측면 상측으로는 상기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을 계폐하는 미닫이문(91)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체(50) 외주연에는 걸림홈(5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52)에 인접하여 걸림턱(53)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90)의 측면 하단에는 걸림돌기부(92)와 상기 걸림돌기부(92)에 인접하여 스토퍼(9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 상측에는 상기 걸림돌기부(92)가 탄력적으로 상, 하 이동되도록 탄성홈(9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체(50) 상부에는 제1 눌림방지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70)의 토출구(71) 하측에는 제2 눌림방지부(7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80)은 일측에 토출구출몰홀(81)이 형성된 외벽(82)과 상기 외벽(82)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내벽(8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벽(83)에는 캡 가이드홈(831)과 토출구관통홈(832)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83)의 하단에는 상기 제2 결합체(5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돌륜(833)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80)의 상부 내측에는 상, 하 이동되면서 상기 누름부재(70)를 가압하는 뚜껑캡(10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는 원통형 외부용기 안에 내부용기를 내장하되, 펌프 설치홀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1결합체가 내부용기 상부와 고정결합되고, 펌프 관통홀이 한쪽으로 치우져져 형성된 제2결합체가 상기 제1결합체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체의 펌프 관통홀과 제1결합체의 펌프 설치홀을 관통하도록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제2결합체의 펌프 관통홀 상부에 누름부재가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뚜껑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뚜껑을 잡고 외부용기를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부재가 회동되면서 누름부재의 토출구가 토출구출몰홀 밖으로 돌출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부재의 토출구가 토출구출몰홀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화장품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토출구를 뚜껑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토출구가 뚜껑 내부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토출구의 오염을 방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개폐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개폐부재 상부에 토출구출몰홀이 형성된 뚜껑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뚜껑을 잡고 제2결합체와 고정결합된 외부용기를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부재에 형성된 미닫이문이 회동하면서 토출구출몰홀을 차단하고,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미닫이문이 회동하면서 상기 토출구출몰홀을 개방함으로써 토출구의 오염을 방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결합체의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결합된 개폐부재의 하단에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되어, 뚜껑을 잡고 제2결합체와 고정결합된 외부용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부가 걸림턱을 넘어서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고, 다시 뚜껑을 잡고 외부용기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부가 걸림턱을 넘어서 걸림홈 안으로 체결되면서 딸깍하는 소리과 함께 손의 감각으로 토출구출몰홀의 차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체 상부에 제1눌림방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재의 토출구 하측으로 제2눌림방지부를 형성하여, 토출구출몰홀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제2결합체의 제1눌림방지부와 누름부재의 제2눌림방지부가 맞닿아 펌프의 누름부재가 오작동으로 눌려져 화장품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펌프를 구비한 딥튜브 화장품용기.
도 2는 종래의 토출구 차단이 가능한 배출펌프.
도 3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의 뚜껑회전식 마개부재 개폐장치.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토출구가 외부로 돌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누름부재가 회전되면서 누름부재의 토출구가 토출구출몰홀 밖으로 돌출되는 모습은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외부용기가 회전됨에 따라 개폐부재의 걸림돌기부가 외부용기의 걸림턱을 타고 넘어가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뚜껑캡을 가압하여 펌프 내부에 임시 수용된 화장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뚜껑캡 가압을 해제하여 내부용기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가 펌프 내부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토출구가 외부로 돌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누름부재가 회전되면서 누름부재의 토출구가 토출구출몰홀 밖으로 돌출되는 모습은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외부용기가 회전됨에 따라 개폐부재의 걸림돌기부가 외부용기의 걸림턱을 타고 넘어가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뚜껑캡을 가압하여 펌프 내부에 임시 수용된 화장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뚜껑캡 가압을 해제하여 내부용기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가 펌프 내부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는 상부에 입구부(11)가 형성된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 내측에 삽입되며,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 내부 하측에 삽입되어 화장료를 밀어올리는 밀판(30)과; 상기 내부용기(20)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펌프 설치홀(41)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1 결합체(40)와; 상기 제1 결합체(40)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펌프 관통홀(51)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2 결합체(50)와; 상기 제1 결합체(40)의 펌프 설치홀(41)과 제2 결합체(50)의 펌프 관통홀(51)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화장료를 펌핑하는 펌프(60)와; 상기 펌프(60)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결합체(50) 상부에 노출되며, 일측에 토출구(71)가 형성된 누름부재(70) 및 상기 제2 결합체(50)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토출구출몰홀(81)이 형성된 뚜껑(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용기(10)는 원통 형태이며 상부에 입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11) 외주연에는 결합돌륜(12)이 형성되어 제2 결합체(50)와 고정 결합된다.
상기 내부용기(20)는 외부용기(10) 내측에 삽입되며,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된다.
상기 내부용기(20)의 내주연 상측에는 장착홈(22)이 형성되며, 내부용기(20)의 하단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홀(2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용기(20)의 내부 하측에는 펌핑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화장료의 토출량만큼 상부로 이동하는 밀판(30)이 삽입된다.
상기 제1 결합체(40)는 내부용기(20) 상부에 고정 결합되되, 제1 결합체(40)의 하부는 내부용기(20)의 상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1 결합체(40)에는 펌프(60)가 설치되는 펌프 설치홀(41)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체(40)의 외주연 상단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4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결합체(50)와 결합되며, 하측 외주연에는 장착돌륜(43)이 형성되어 내부용기(20)의 장착홈(2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체(40)의 외주연에는 단턱(44)이 형성되어 내부용기(20) 상단에 안착된다.
상기 제2 결합체(50)는 제1 결합체(40)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동시에 외부용기(10)의 입구부(11) 외측에 결합되며, 펌프(60)가 관통되는 펌프 관통홀(51)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체(50)의 하부에는 외측하부연장돌륜(56)과 상기 외측하부연장돌륜(56)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내측하부연장돌륜(57)이 형성되는데, 상기 외측하부연장돌륜(56)의 내주연에는 결합홈(561)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용기(10)의 결합돌륜(12)과 결합되고, 상기 내측하부연장돌륜(57)은 제1 결합체(40) 상부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제2 결합체(50)의 외측에는 상기 제1 결합체(40)의 체결돌기(42)와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홈(5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체(50)의 외측에는 상기 뚜껑(80)과 개폐부재(9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환홈(59)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환홈(59)의 상부 일측에는 회전돌기 삽입홈(59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환홈(59)은 회전돌기 회전부(592)와 회전돌기 제한부(593)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회전돌기 회전부(592)는 회전돌기 삽입홈(591)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까지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기 회전부(592)의 홈의 깊이는 회전돌기 제한부(593)의 홈의 깊이 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돌기 회전부(592)의 양 단부에는 회전 제한턱(59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체(50) 외주연에는 걸림홈(5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52)에 인접하여 걸림턱(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체(50)의 상부에는 누름부재(70)가 오작동 되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눌림방지부(54)와 뚜껑캡(100)이 오작동 되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캡눌림방지부(55)가 형성된다.
상기 펌프(60)는 제1 결합체(40)의 펌프 설치홀(41)과 제2 결합체(50)의 펌프 관통홀(51)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내부용기(20)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프(60)는 제1 결합체(40)의 펌프 설치홀(41) 내측에 안착되며 내용물 흡입공(68)이 형성된 실린더(61)와, 상기 내용물 흡입공(6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62)와, 상기 실린더(61) 상부에 결합되어 실린더(61)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63)와, 상기 실린더(61) 내측에 형성되는 피스톤(64)과, 상기 피스톤(64) 외측에 끼워져 실린더(61)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링(65)과, 상기 피스톤(64) 상부에 결합되는 상하이동부재(66) 및 상기 상하이동부재(66)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6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펌프(60)의 실린더(61)와 제1 결합체(40)의 펌프 설치홀(41) 사이에는 내부용기(20) 내부의 밀폐력 향상을 위해 밀폐링(69)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70)는 펌프(60)의 상하이동부재(66)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2 결합체(50) 상부에 노출되며, 일측에 펌핑되는 화장료가 토출되는 토출구(7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70)의 토출구(71) 하측에는 제2 눌림방지부(74)가 형성되어 누름부재(70)가 오작동으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누름부재(70)의 토출구(71)가 뚜껑(80)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누름부재(70)의 제2 눌림방지부(74) 하단이 제2 결합체(50)의 제1 눌림방지부(54) 상단에 맞닿아 상기 누름부재(70)가 하측으로 눌리지 않게 되고, 사용자가 외부용기(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누름부재(70)의 토출구(71)가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외부용기(10)와 함께 누름부재(70)의 제2 눌림방지부(74)가 회전 이동되어 제2 결합체(50)의 제1 눌림방지부(54) 상단과 맞닿지 않게되므로 상기 누름부재(70)가 가압되는 것이다.
상기 뚜껑(80)은 제2 결합체(50)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누름부재(70)의 토출구(71)가 삽입 또는 돌출되는 토출구출몰홀(81)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80)은 일측에 토출구출몰홀(81)이 형성된 외벽(82)과 상기 외벽(82)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내벽(8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벽(83)에는 캡 가이드홈(831)과 토출구관통홈(832)이 형성된다.
상기 내벽(83)의 토출구관통홈(832)은 외벽(82)에 형성된 토출구출몰홀(8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뚜껑(80)의 내벽(83) 하단에는 회전돌륜(833)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륜(833) 일측에는 회전돌기(834)가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돌기(834)는 제2 결합체(50)의 회전돌기 삽입홈(591)을 통해 회전환홈(59)의 회전돌기 회전부(592) 내에 삽입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다.
즉, 상기 회전돌기(834)는 제2 결합체(50)의 회전돌기 회전부(592) 내에서 회전하다가 180도까지 회전되었을 때, 상기 회전돌기 회전부(592) 양 단부에 형성된 회전제한턱(594)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 제2 결합체(50) 상부에는 제2 결합체(5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부재(90)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90)의 내주연에는 개폐부재 회전돌륜(94)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개폐부재 회전돌륜(94)은 뚜껑(80)의 회전돌륜(833)과 함께 제2 결합체(50)의 회전환홈(59) 내에 끼워진다.
상기 개폐부재(90)의 측면 상측으로는 미닫이문(91)이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개폐부재(90)의 미닫이문(91)은 뚜껑(80)의 외벽(82)과 내벽(83)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토출구출몰홀(8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상기 미닫이문(91)의 하부 내주연에는 개폐돌기(95)가 형성되어 뚜껑(80)과 함께 제2 결합체(50)에 조립 시 상기 뚜껑(80)의 내벽(83)에 형성된 토출구관통홈(832)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90)의 측면 하단에는 걸림돌기부(92)와 상기 걸림돌기부(92)에 인접하여 스토퍼(93)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 상측에는 상기 걸림돌기부(92)가 탄력적으로 상, 하 이동되도록 탄성홈(96)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뚜껑(80)을 잡고 제2 결합체(50)와 고정 결합된 외부용기(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결합체(50)의 걸림홈(52)에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가 삽입되어 있어 개폐부재(90)도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재(90)의 미닫이문(91)이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을 개방하고, 상기 외부용기(10)를 더 회전시키면 개폐부재(90)의 개폐돌기(95)가 뚜껑(80)의 토출구관통홈(832) 외측면에 닿아 회전이 멈추고, 상기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가 제2 결합체(50)의 걸림턱(53)을 타고 넘어간다.
이 후, 제2 결합체(50)와 고정 결합된 외부용기(10)를 계속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결합체(50)의 한쪽에 치우쳐져 설치된 펌프(60)와 상기 펌프(6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누름버튼(70)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180도 회전되어 반대편으로 치우쳐지면서 상기 누름버튼(70)의 토출구(71)가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또한, 다시 뚜껑(80)을 잡고 제2 결합체(50)와 고정 결합된 외부용기(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가 제2 결합체(50)의 걸림턱(53)에 걸려 개폐부재(90)가 제2 결합체(50)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재(90)의 미닫이문(91)이 회전되어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을 폐쇄하고, 상기 외부용기(10)를 더 회전시키면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가 제2 결합체(50)의 걸림턱(53)을 타고 넘어가 걸림홈(52) 안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손의 감각으로 토출구출몰홀(81)의 차단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뚜껑(80)의 상부 내측에는 상, 하 이동되면서 상기 누름부재(70)를 가압하는 뚜껑캡(100)이 더 형성된다.
상기 뚜껑캡(100)의 외측에는 뚜껑(80)의 캡 가이드홈(831)에 결합되어 상기 뚜껑캡(10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가이드 돌기(101)가 형성되고, 뚜껑캡(100)이 오작동으로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캡눌림방지부(102)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누름부재(70)의 토출구(71)가 뚜껑(80)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뚜껑캡(100)의 제2 눌림방지부(102) 하단이 제2 결합체(50)의 제1 캡눌림방지부(55) 상단에 맞닿아 상기 뚜껑캡(100)이 하측으로 눌리지 않게 되고, 사용자가 외부용기(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누름부재(70)의 토출구(71)가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외부용기(10)와 함께 제2 결합체(50)의 제1 캡눌림방지부(55)가 회전 이동되어 뚜껑캡(100)의 제2 캡눌림방지부(102) 하단과 맞닿지 않게 되므로 상기 뚜껑캡(100)이 가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시시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도 5 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내부용기(20) 내측에 밀판(30)을 삽입하고, 화장료를 수용한 후, 상기 내부용기(20)를 외부용기(10) 내측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1 결합체(40)를 내부용기(20) 상단 내측으로 삽입하여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제1 결합체(40)의 펌프 설치홀(41)에 펌프(60)를 설치한 후, 상기 제1 결합체(40) 상부에 제2 결합체(50)를 결합하되, 상기 제1 결합체(40)의 체결돌기(42)가 제2 결합체(50)의 체결홈(58)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제2 결합체(50)의 내측하부연장돌륜(57)이 제1 결합체(4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고, 제2 결합체(50)의 외측하부연장돌륜(56)이 외부용기(10)의 입구부(11)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 후, 상기 펌프(60)의 상하이동부재(66) 상부에 누름부재(7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상기 누름부재(70)의 제2 눌림방지부(74)가 제2 결합체(50)의 제1 눌림방지부(54) 상단에 맞닿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체(40)의 펌프 설치홀(41)과 펌프(60)의 실린더(61) 사이에 내부용기(20)의 밀폐력 향상을 위해 밀폐링(69)을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2 결합체(50) 상부에 개폐부재(90)와 뚜껑(8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제2 결합체(50)의 회전환홈(59)에 개폐부재(90)의 개폐부재 회전돌륜(94)과 뚜껑(80)의 회전돌륜(833)이 순차적으로 끼워지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개폐부재(90)는 뚜껑(80)의 외벽(82)과 내벽(83)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개폐부재(90)의 미닫이문(91)은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과 토출구관통홈(83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는 제2 결합체(50)의 걸림홈(52)에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뚜껑(80)의 상부 내측에 뚜껑캡(100)을 결합시키되, 상기 뚜껑캡(100)의 상하가이드 돌기(101)가 뚜껑(80)의 캡 가이드홈(831)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뚜껑캡(100)의 제2 캡눌림방지부(102)가 제2 결합체(50)의 제1 캡눌림방지부(55) 상단에 맞닿도록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손으로 뚜껑(80)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외부용기(10)를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외부용기(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외부용기(10)와 고정 결합된 내부용기(10), 제1 결합체(40) 및 2 결합체(50)가 함께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제1, 2 결합체(40, 50) 한쪽에 치우쳐져 설치된 펌프(60)와 상기 펌프(60) 상부에 결합된 누름버튼(70)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90)의 미닫이문(91)이 회전되면서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이 개방되고, 도 8의 두번째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을 통해 누름버튼(70)의 토출구(71)가 외부로 돌출되기 시작하며, 도 8의 네번째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70)의 토출구(71)가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로 완전히 출몰된다. 이 때, 상기 누름버튼(70)과 뚜껑캡(100)은 가압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후,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캡(100)을 가압하여 상기 뚜껑캡(100) 하부면에 밀착된 가압버튼(7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펌프(60)를 펌핑함으로써, 토출구(71)로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토출구(71)가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 상태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80)을 잡고 제2 결합체(50)가 고정 결합된 외부용기(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결합체(50)의 걸림홈(52)에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가 삽입되어 있어 상기 개폐부재(90)도 함께 회전되면서 개폐부재(90)의 미닫이문(91)이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을 개방하고, 상기 외부용기(10)를 더 회전시키면 개폐부재(90)의 개폐돌기(95)가 뚜껑(80)의 토출구관통홈(832) 외측면에 닿아 회전이 멈추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가 제2 결합체(50)의 걸림턱(53)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 후, 상기 외부용기(10)를 더 회전시키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결합체(50)가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결합체(50)에 설치된 펌프(60)와 상기 펌프(6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누름버튼(70)도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누름버튼(70)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71)가 전방으로 서서히 전진하여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결합체(50)의 제1 눌림방지부(54)가 회전하면서 상기 누름부재(70)의 제2 눌림방지부(74)와 맞닿지 않게 되고, 상기 제2 결합체(50)의 제1 캡눌림방지부(55)가 회전하면서 상기 뚜껑캡(100)의 제2 캡눌림방지부(102)와 맞닿지 않게 되어 상기 누름버튼(70)과 뚜껑캡(100)은 가압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다시, 한손으로 뚜껑(80)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외부용기(10)를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외부용기(10)와 고정 결합된 내부용기(10), 제1 결합체(40) 및 2 결합체(50)가 함께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제1, 2 결합체(40, 50) 한쪽에 치우쳐져 설치된 펌프(60)와 상기 펌프(60) 상부에 결합된 누름버튼(70)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70)의 토출구(71)가 뚜껑(80) 내측으로 삽입되고, 개폐부재(90)의 미닫이문(91)이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을 폐쇄하며, 상기 누름버튼(70)과 뚜껑캡(100)이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토출구(71)가 뚜껑(80) 내측으로 삽입되는 작동 상태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뚜껑(80)을 잡고 제2 결합체(50)가 고정 결합된 외부용기(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결합체(50)가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결합체(50)에 설치된 펌프(60)와 상기 펌프(6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누름버튼(70)도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누름버튼(70)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71)가 후방으로 서서히 후퇴하여 뚜껑(80)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후, 상기 외부용기(10)를 더 회전시키면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가 제2 결합체(50)의 걸림턱(53)에 걸려 상기 개폐부재(90)가 제2 결합체(50)와 함께 회전되면서 개폐부재(90)의 미닫이문(91)이 회전되어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을 폐쇄하고, 상기 외부용기(10)를 더 회전시키면 개폐부재(90)의 걸림돌기부(92)가 제2 결합체(50)의 걸림턱(53)을 타고 넘어가 걸림홈(52) 안으로 체결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결합체(50)의 제1 눌림방지부(54)가 회전하면서 상기 누름부재(70)의 제2 눌림방지부(74) 하단과 맞닿게 되고, 상기 제2 결합체(50)의 제1 캡눌림방지부(55)가 회전하면서 상기 뚜껑캡(100)의 제2 캡눌림방지부(102) 하단과 맞닿게 되어 상기 누름버튼(70)과 뚜껑캡(100)은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서 설명한 것은 펌프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외부용기 20: 내부용기
30: 밀판 40: 제1 결합체
41: 펌프 설치홀 50: 제2 결합체
51: 펌프 관통홀 52: 걸림홈
53: 걸림턱 54: 제1 눌림방지부
55: 제1 캡눌림방지부 59: 회전환홈
60: 펌프 69: 밀폐링
70: 누름부재 71: 토출구
72: 제2 눌림방지부 80: 뚜껑
81: 토출구출몰홀 90: 개폐부재
91: 미닫이문 92: 걸림돌기부
93: 스토퍼 96: 탄성홈
100: 뚜껑캡 101: 상하가이드 돌기
102: 제2 캡눌림방지부

Claims (5)

  1. 상부에 입구부(11)가 형성된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 내측에 삽입되며,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펌프 설치홀(41)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1 결합체(40)와;
    상기 제1 결합체(40)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펌프 관통홀(51)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 제2 결합체(50)와;
    상기 제1 결합체(40)의 펌프 설치홀(41)과 제2 결합체(50)의 펌프 관통홀(51)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화장료를 펌핑하는 펌프(60)와;
    상기 펌프(60)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결합체(50) 상부에 노출되며, 일측에 토출구(71)가 형성된 누름부재(70) 및
    상기 제2 결합체(50)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토출구출몰홀(81)이 형성된 뚜껑(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체(50)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부재(90)가 더 형성되되, 상기 개폐부재(90)의 측면 상측으로는 상기 뚜껑(80)의 토출구출몰홀(81)을 계폐하는 미닫이문(91)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90)의 측면 하단에는 걸림돌기부(92)와 상기 걸림돌기부(92)에 인접하여 스토퍼(9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체(50) 외주연에는 걸림홈(5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52)에 인접하여 걸림턱(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체(50) 상부에는 제1 눌림방지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70)의 토출구(71) 하측에는 제2 눌림방지부(7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KR2020150003227U 2015-05-20 2015-05-20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83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27U KR200483952Y1 (ko) 2015-05-20 2015-05-20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PCT/KR2016/004850 WO2016186357A1 (ko) 2015-05-20 2016-05-10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EP16796684.5A EP3287039B1 (en) 2015-05-20 2016-05-10 Cosmetic container having hiding/revealing pump outlet
US15/572,104 US10293356B2 (en) 2015-05-20 2016-05-10 Compact container having hiding/revealing pump outlet
JP2017560249A JP6585194B2 (ja) 2015-05-20 2016-05-10 ポンプの吐出口が出没する化粧品容器
CN201690000826.0U CN208436405U (zh) 2015-05-20 2016-05-10 具有隐藏/露出泵排出口的化妆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27U KR200483952Y1 (ko) 2015-05-20 2015-05-20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22U true KR20160004122U (ko) 2016-12-01
KR200483952Y1 KR200483952Y1 (ko) 2017-07-27

Family

ID=5731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227U KR200483952Y1 (ko) 2015-05-20 2015-05-20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93356B2 (ko)
EP (1) EP3287039B1 (ko)
JP (1) JP6585194B2 (ko)
KR (1) KR200483952Y1 (ko)
CN (1) CN208436405U (ko)
WO (1) WO201618635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853B1 (ko) * 2018-05-01 2019-10-21 강성일 화장품용 버튼용기
KR102120247B1 (ko) * 2019-03-22 2020-06-17 펌텍코리아(주) 밀폐 및 편의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20200101592A (ko) * 2019-02-20 2020-08-28 펌텍코리아 (주) 밀폐 기능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52Y1 (ko) * 2015-05-20 2017-07-27 펌텍코리아 (주)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USD856814S1 (en) * 2015-07-10 2019-08-20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mbined cosmetics dispenser and applicator
CN207684093U (zh) * 2017-06-14 2018-08-03 浙江锦盛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按头旋转伸缩真空瓶
US10335816B1 (en) 2018-08-29 2019-07-02 Armin Arminak All plastic water resistant pump
USD947033S1 (en) * 2018-09-24 2022-03-29 Modafino, LLC Dispenser system
WO2020145501A1 (ko) * 2019-01-07 2020-07-16 배주연 화장품용 삼각 용기
KR102058251B1 (ko) * 2019-06-14 2020-01-22 배주연 화장품용 삼각 용기
DE202019103061U1 (de) * 2019-05-29 2020-09-01 Louvrette Gmbh Design X Packaging Vorrichtung zur Aufbewahrung und Abgabe einer flüssigen oder pastösen Masse
KR20210005426A (ko) * 2019-07-05 2021-01-14 펌텍코리아 (주)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10781033B1 (en) 2019-10-29 2020-09-22 APC Packaging, LLC Reusable bottle package
US10829271B1 (en) 2019-11-18 2020-11-10 APC Packaging, LLC. Replaceable jar package
USD991785S1 (en) 2020-01-31 2023-07-11 Armin Arminak Lotion pump actuator
US11084646B1 (en) * 2020-03-20 2021-08-10 Crystal International (Group) Refillable pump dispenser
CN111409948B (zh) * 2020-03-30 2021-09-28 浙江万升化妆品包装有限公司 一种化妆瓶包装机构
EP3974345A1 (de) * 2020-09-28 2022-03-30 Aptar Radolfzell GmbH Sprühkopf und spender mit einem solchen sprühkopf
KR102456614B1 (ko) * 2021-01-15 2022-10-19 펌텍코리아(주) 버튼의 승강 구조를 갖는 이중 화장품용기
US20230092170A1 (en) * 2021-09-23 2023-03-23 Apackaging Group Llc All Plastic High Pressure Pum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095Y1 (ko) * 2002-10-09 2003-04-08 강성일 뚜껑이 불필요한 출몰식 배출장치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0347811Y1 (ko) * 2003-12-05 2004-04-17 주식회사 태평양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200425584Y1 (ko) * 2006-06-26 2006-09-06 김규진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KR20120061260A (ko) * 2010-12-03 2012-06-13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1267966B1 (ko) * 2011-05-24 2013-05-27 (주)톨리코리아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701137A (ko) * 1986-04-25 1988-07-25 이시바시 유끼히로 보호캪을 갖는 분사헤드
US4998649A (en) * 1987-07-27 1991-03-12 Thanisch Klaus J Retractable turnspout closure
US5016783A (en) * 1988-04-26 1991-05-21 Anchor Hocking Corporation Pump dispenser package
US4836423A (en) * 1988-04-26 1989-06-06 Anchor Hocking Corporation Pump dispenser package
FR2692232B1 (fr) * 1992-06-12 1994-08-26 Reboul Smt Pot distributeur-doseur de substance fluide.
US5579948A (en) * 1995-10-26 1996-12-03 Shing Hong Industrial Co., Ltd. Beverage container with extendable drinking straw
KR200428274Y1 (ko) * 2006-07-19 2006-10-12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FR2908116B1 (fr) * 2006-11-06 2012-07-13 Valois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CN102186371B (zh) * 2008-10-20 2014-04-16 卞在三 无空气型化妆品容器
FR2959215B1 (fr) * 2010-04-22 2013-09-06 Qualipac Sa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a tete escamotable
KR101488673B1 (ko) * 2014-01-15 2015-02-04 (주)연우 노즐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200483952Y1 (ko) * 2015-05-20 2017-07-27 펌텍코리아 (주)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095Y1 (ko) * 2002-10-09 2003-04-08 강성일 뚜껑이 불필요한 출몰식 배출장치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0347811Y1 (ko) * 2003-12-05 2004-04-17 주식회사 태평양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200425584Y1 (ko) * 2006-06-26 2006-09-06 김규진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KR20120061260A (ko) * 2010-12-03 2012-06-13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1267966B1 (ko) * 2011-05-24 2013-05-27 (주)톨리코리아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 화장품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853B1 (ko) * 2018-05-01 2019-10-21 강성일 화장품용 버튼용기
KR20200101592A (ko) * 2019-02-20 2020-08-28 펌텍코리아 (주) 밀폐 기능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102120247B1 (ko) * 2019-03-22 2020-06-17 펌텍코리아(주) 밀폐 및 편의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7039A4 (en) 2018-04-25
CN208436405U (zh) 2019-01-29
JP2018516662A (ja) 2018-06-28
JP6585194B2 (ja) 2019-10-02
EP3287039B1 (en) 2020-04-01
US20180290161A1 (en) 2018-10-11
KR200483952Y1 (ko) 2017-07-27
WO2016186357A1 (ko) 2016-11-24
US10293356B2 (en) 2019-05-21
EP3287039A1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952Y1 (ko)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25584Y1 (ko)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KR100950160B1 (ko) 화장품 용기의 버튼 슬라이드식 개폐장치
JP3725190B2 (ja) 一方向性の閉鎖部材が取り付けられた分与アセンブリ
KR102016853B1 (ko) 화장품용 버튼용기
KR20100108901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101881043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US20150273503A1 (en) Protective and casing device for a cosmetic product dispensing head, associated head, set and method
KR101354644B1 (ko)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KR101912587B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US7032777B2 (en) Child-resistant trigger sprayer
KR200381133Y1 (ko)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의 노즐 개폐장치
KR101765711B1 (ko) 회전 개폐형 유입방지부재를 구비한 펌프용기
US20230312189A1 (en) Contents container
JP2006103750A (ja) エアゾール容器の内容物排出装置
KR20110094522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0175208B1 (ko)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JP4726596B2 (ja) 二剤混合容器
JP4610256B2 (ja) 定量注出器
KR200358811Y1 (ko) 푸시-업 디스펜서
KR101877630B1 (ko) 교체용 에어쿠션 유닛이 결합된 화장품 용기
KR20150094048A (ko) 카트리지형 향수 휴대품 세트
WO2013190018A1 (en) Cosmetic product dispensing head intended to be mounted on a receptacle, associate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JP2015160632A (ja) 内容物放出操作ロック機構ならびに内容物放出操作ロック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KR200354295Y1 (ko) 상하 이단의 로킹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