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260A - 디스펜서 용기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260A
KR20120061260A KR1020100122490A KR20100122490A KR20120061260A KR 20120061260 A KR20120061260 A KR 20120061260A KR 1020100122490 A KR1020100122490 A KR 1020100122490A KR 20100122490 A KR20100122490 A KR 20100122490A KR 20120061260 A KR20120061260 A KR 20120061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utton
container
coupled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741B1 (ko
Inventor
김유섭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0012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741B1/ko
Priority to PCT/KR2010/009425 priority patent/WO2012074163A1/ko
Priority to PCT/KR2011/009312 priority patent/WO2012074327A2/ko
Publication of KR2012006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되,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내측하단에는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피스톤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펌핑부재가 결합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내용기; 상기 외용기 및 내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에 버튼부가 결합되는 버튼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외용기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체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되, 노즐부의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노즐출입홈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버튼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캡을 포함하는 버튼부; 상기 내용기의 중공에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펌핑작용을 통해 상기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펌핑부재; 및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어 펌핑부재를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을 배출시키되,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노즐출입홈으로 삽입,인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에 의하면,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노즐이 삽입 또는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폐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즐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노즐의 개폐구조를 통해 용기의 제조비용 절감 및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펜서 용기{A Dispenser Vessel}
본 발명은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노즐이 삽입 또는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폐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즐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노즐의 개폐구조를 통해 용기의 제조비용 절감 및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Dispenser)라 함은 기체나 액체 또는 기타 내용물을 충진한 밀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그 내부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분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장품이나 향수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저장하는 각종 밀폐용기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상기 디스펜서를 가압하기 위한 버튼이 형성되며, 버튼의 조작에 따라 노즐을 통해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 용기는 버튼을 가압시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불필요한 내용물의 소진을 차단하기 위해 버튼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캡이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디스펜서 용기는 사용자가 가방에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 중 보호캡이 탈리될 경우, 외부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등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347811호가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버튼의 누름 작동에 따라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용기의 가이드공에 위치한 펌프체의 가이드돌기가 회전관체의 나선형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펌프체에 장착된 버튼이 회전관체로부터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외부용기(30)의 상부에 양쪽으로 나선형홈(101)을 가지는 안내관체(100)가 언더컷 장착되고, 이 안내관체(100)의 나선형홈(101)에 펌프체(1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11)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안내관체(100)의 나선형홈(101)으로 관통된 펌프체(10)의 가이드돌기(11) 말단이 위치하는 수직안내홈(201)을 내면 양쪽으로 형성하고 있는 회전관체(200)가 상기 안내관체(100)의 외부로 씌워져 언더컷 장착되고, 상기 펌프체(10)의 스템(24)에 버튼(2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버튼(20)이 출몰식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버튼(2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었을 경우에만 버튼(20)의 가압을 통한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보호캡의 탈리로 인한 불필요한 내용물이 배출되는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펜서 용기는 노즐의 개폐를 위해 버튼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나선형 홈, 고정홈, 수직안내홈 등을 형성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금형제작 및 사출성형이 용이하지 않으며, 용기의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노즐이 삽입 또는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폐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즐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노즐의 개폐구조를 통해 용기의 제조비용 절감 및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디스펜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되,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내측하단에는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피스톤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펌핑부재가 결합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내용기; 상기 외용기 및 내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에 버튼부가 결합되는 버튼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외용기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체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되, 노즐부의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노즐출입홈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버튼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캡을 포함하는 버튼부; 상기 내용기의 중공에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펌핑작용을 통해 상기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펌핑부재; 및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어 펌핑부재를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을 배출시키되,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노즐출입홈으로 삽입,인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회동제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제한돌기 사이에는 사용자가 노즐의 개방을 인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는 상기 한 쌍의 회동제한돌기 내에서 회동하는 회전가이드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른 펌핑작동을 가이드 하도록 단차가 형성된 펌핑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편에는 상기 펌핑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버튼부의 상하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캡의 전면부에는 노즐팁의 상방향을 이탈을 방지하는 노즐팁홀더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노즐이 삽입 또는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폐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노즐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노즐의 개폐구조를 통해 용기의 제조비용 절감 및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회전체의 회전에 따른 노즐의 개폐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회전체의 회전에 따른 펌핑작동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회전체의 회전에 따른 노즐의 개폐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회전체의 회전에 따른 펌핑작동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외용기(100), 내용기(200), 지지체(300), 회전체(400), 버튼부(500), 펌핑부재(600), 노즐부(700)가 포함된다.
상기 외용기(100)는 후술할 내용기(200)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내용기(200)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단이 개방형성되며, 개방된 상부에 후술할 지지체(300) 및 회전체(400)가 결합된다.
상기 내용기(200)는 상기 외용기(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내측하단에는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피스톤(210)이 구비되며, 그 상단에는 펌핑부재(600)가 결합되도록 중공(220)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기(200)의 상부에는 후술할 지지체(300)가 결합되는 결합부(2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230)에는 결합된 지지체(300)가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2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300)는 상기 외용기(100) 및 내용기(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측은 상기 내용기(200)의 결합부(230)와 결합되며, 외측은 후술할 회전체(4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00)에는 후술할 버튼몸체(510)를 고정시키는 버튼결합돌기(31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버튼결합돌기(310)는 지지체(300)의 내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버튼몸체(51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511)이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하여, 버튼몸체(510)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체(300)의 내주면에는 회전체(400)가 회전시에 회전체(40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한 쌍의 회동제한돌기(320)가 형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회동제한돌기(320) 사이에는 사용자가 노즐의 개방을 인지하도록 걸림턱(33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걸림턱(330)은 회전체(400)가 회전함에 따라 노즐부(700)가 외부로 인출되다가 인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회전가이드편(420)이 걸림턱(330)을 타고 넘어가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400)는 상기 외용기(100)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체(300)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전면부에는 후술할 노즐부(700)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노즐출입홈(41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400)의 내측에는 상기 한 쌍의 회동제한돌기(330) 내에서 회동하며 회전체(40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편(420)이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편(420)에는 후술할 펌핑가이드홈(512a,512b)을 따라 이동하여 버튼부(700)의 상하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돌기(421)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돌기(421)는 단차가 형성된 펌핑가이드홈(512a,512b)과의 맞닿는 위치에 따라 버튼부(500)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펌핑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버튼부(500)는 상기 회전체(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압력을 펌핑부재(60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버튼몸체(510)와, 상기 버튼몸체(5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캡(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몸체(510)에는 상기 버튼결합돌기(310)와 맞닿는 부분에 슬라이드홈(511)이 형성되어 버튼결합돌기(310)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지지체(300)에 고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튼몸체(510)에는 단차가 형성된 펌핑가이드홈(512a,512b)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돌기(421)가 펌핑가이드홈(512b)에 위치할 경우에는 버튼부(500)의 가압을 통한 버튼부(500)의 하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펌핑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돌기(421)가 펌핑가이드홈(512a)에 위치할 경우에는 펌핑방지돌기(320)의 간섭에 의해 버튼부(500)의 하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펌핑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몸체(510)에는 버튼몸체(510)의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노즐부(700)를 고정시키는 노즐고정부(513)가 구비되는데, 상기 노즐고정부(513)는 노즐부(700)의 일측을 고정시킴으로써, 회전체(400)가 회전시에 노즐출입홈(410)을 통해 노즐부(700)의 삽입,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고정부(513)는 버튼몸체(510) 상단의 편향된 곳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버튼몸체(510) 상단의 편향된 위치에서 노즐(710)의 일측을 고정시킴으로써,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캡(520)의 일측 회전시에는 늘어난 거리만큼 노즐출입홈(410)의 내부로 노즐팁(720)의 삽입이 이루어며, 버튼캡(520)의 타측 회전시에는 줄어든 거리만큼 노즐출입홈(410)의 외부로 노즐(710)의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버튼캡(520)의 전면부에는 노즐팁(72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노즐팁홀더(52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핑부재(600)는 상기 내용기(200)의 중공(220)에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500)의 작동에 따라 펌핑작용을 통해 상기 내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펌핑부재(600)를 이루는 각 구성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노즐부(700)는 상기 버튼부(500)에 결합되어 펌핑부재(600)를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내용물이 이동되는 노즐(710)과, 상기 노즐(710)의 끝단에 결합되는 노즐팁(7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팁(720)은 내용물의 배출 및 노즐(710)의 이동에 따라 노즐(71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노즐(710)을 지지함으로써, 원활한 내용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700)는 상기 회전체(400)의 회전에 따라 노즐출입홈(410)으로 삽입/인출되며 노즐(710)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서, 회전체(4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에 노즐출입홈(410)과 노즐고정부(513)의 거리차에 따라 노즐팁(720)이 노즐출입홈(4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노즐출입홈(410)의 외부로 인출되어 노즐(71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노즐(710)은 회전체(400)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노즐출입홈(410)과 노즐고정부(513)의 거리차에 따라 노즐출입홈(410)으로 삽입/인출이 용이하도록 "ㄱ"자와 같은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재질이 경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작동과정은, 최초, 노즐(710)이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회전체(400)를 파지하여 일측으로 회전체(400)를 회전시킨다. 회전체(400)가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체(400)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노즐출입홈(410)과 노즐고정부(513)의 줄어든 거리만큼 노즐팁(720)이 노즐출입홈(410)의 외부로 인출되어 노즐(710)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제어돌기(421)가 펌핑가이드홈(512b)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가 버튼부(500)를 가압하게 되면, 버튼부(500)의 하방향 이동을 통한 펌핑작용이 이루어지며 개방된 노즐(710)을 통해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개방된 노즐(710)을 폐쇄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체(400)를 파지하여 타측으로 회전체(400)를 회전시킨다. 회전체(400)가 타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체(400)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노즐출입홈(410)과 노즐고정부(513)의 늘어난 거리만큼 노즐팁(720)이 노즐출입홈(4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노즐(710)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어돌기(421)가 펌핑가이드홈(512a)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버튼부(500)를 가압하여도 버튼부(500)의 하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펌핑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외용기 200: 내용기
210: 피스톤 220: 중공
230: 결합부 231: 걸림턱
300: 지지체 310: 버튼결합돌기
320: 회동제한돌기 330: 걸림턱
400: 회전체 410: 노즐출입홈
420: 회전가이드편 421: 제어돌기
500: 버튼부 510: 버튼몸체
511: 슬라이드홈 512a,512b: 펌핑가이드홈
513: 노즐고정부 520: 버튼캡
521: 노즐팁홀더 600: 펌핑부재
700: 노즐부 710: 노즐
720: 노즐팁

Claims (6)

  1.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되,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내측하단에는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피스톤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펌핑부재가 결합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내용기;
    상기 외용기 및 내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에 버튼부가 결합되는 버튼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외용기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체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되, 노즐부의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노즐출입홈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버튼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캡을 포함하는 버튼부;
    상기 내용기의 중공에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펌핑작용을 통해 상기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펌핑부재; 및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어 펌핑부재를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을 배출시키되,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노즐출입홈으로 삽입,인출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회동제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제한돌기 사이에는 사용자가 노즐의 개방을 인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는 상기 한 쌍의 회동제한돌기 내에서 회동하는 회전가이드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른 펌핑작동을 가이드 하도록 단차가 형성된 펌핑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편에는 상기 펌핑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버튼부의 상하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캡의 전면부에는 노즐팁의 상방향을 이탈을 방지하는 노즐팁홀더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KR1020100122490A 2010-12-03 2010-12-03 디스펜서 용기 KR10121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490A KR101218741B1 (ko) 2010-12-03 2010-12-03 디스펜서 용기
PCT/KR2010/009425 WO2012074163A1 (ko) 2010-12-03 2010-12-28 디스펜서 용기
PCT/KR2011/009312 WO2012074327A2 (ko) 2010-12-03 2011-12-02 디스펜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490A KR101218741B1 (ko) 2010-12-03 2010-12-03 디스펜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260A true KR20120061260A (ko) 2012-06-13
KR101218741B1 KR101218741B1 (ko) 2013-01-07

Family

ID=4617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490A KR101218741B1 (ko) 2010-12-03 2010-12-03 디스펜서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8741B1 (ko)
WO (1) WO2012074327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41Y1 (ko) * 2012-11-22 2014-01-21 (주)아모레퍼시픽 임시 누름 방지 기능을 갖는 화장용 펌프 디스펜서
WO2016186357A1 (ko) * 2015-05-20 2016-11-24 펌텍코리아(주)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KR20180041824A (ko) * 2016-10-17 2018-04-25 (주)연우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KR102016853B1 (ko) * 2018-05-01 2019-10-21 강성일 화장품용 버튼용기
JP2022513912A (ja) * 2019-01-07 2022-02-09 ヨン ペ、ジュ 化粧品用三角容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73B1 (ko) * 2014-01-15 2015-02-04 (주)연우 노즐 출몰식 화장품 용기
USD856814S1 (en) * 2015-07-10 2019-08-20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mbined cosmetics dispenser and applicator
KR101893787B1 (ko) * 2018-06-12 2018-08-31 장유호 펜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92591Y1 (ko) * 2018-09-21 2020-11-09 민병선 펌핑식 튜브용기
KR101966154B1 (ko) 2018-12-17 2019-04-05 (주)네스필러피케이지 노즐 출몰식 디스펜서 용기
KR102058251B1 (ko) * 2019-06-14 2020-01-22 배주연 화장품용 삼각 용기
KR102482727B1 (ko) * 2021-03-25 2022-12-29 김윤세 토출구가 자동으로 팝업되는 펌프식 액체용기
KR102437417B1 (ko) * 2021-10-27 2022-08-30 김정수 토출구가 자동으로 팝업되는 펌프식 액체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0815A (en) * 1991-10-25 1992-09-29 Selandia Designs Drink container
JP4405023B2 (ja) * 2000-01-06 2010-01-27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可撓性流出管を備えた容器蓋
KR200421164Y1 (ko) * 2006-02-10 2006-07-13 주식회사 태평양 토출구 차단이 가능한 배출펌프
KR200425584Y1 (ko) * 2006-06-26 2006-09-06 김규진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KR20090103120A (ko)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41Y1 (ko) * 2012-11-22 2014-01-21 (주)아모레퍼시픽 임시 누름 방지 기능을 갖는 화장용 펌프 디스펜서
WO2016186357A1 (ko) * 2015-05-20 2016-11-24 펌텍코리아(주)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KR20160004122U (ko) * 2015-05-20 2016-12-01 펌텍코리아 (주)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JP2018516662A (ja) * 2015-05-20 2018-06-28 パムテク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Pum−Tech Korea Co., Ltd ポンプの吐出口が出没する化粧品容器
US10293356B2 (en) 2015-05-20 2019-05-21 Pum-Tech Korea Co., Ltd Compact container having hiding/revealing pump outlet
KR20180041824A (ko) * 2016-10-17 2018-04-25 (주)연우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KR102016853B1 (ko) * 2018-05-01 2019-10-21 강성일 화장품용 버튼용기
JP2022513912A (ja) * 2019-01-07 2022-02-09 ヨン ペ、ジュ 化粧品用三角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4327A3 (ko) 2012-10-11
KR101218741B1 (ko) 2013-01-07
WO2012074327A2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741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120061258A (ko) 디스펜서 용기
KR101559078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0950160B1 (ko) 화장품 용기의 버튼 슬라이드식 개폐장치
KR101192211B1 (ko) 회전개폐형 브러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50995Y1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KR101218738B1 (ko) 디스펜서 용기
US20160376069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KR101604779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449855Y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210005426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KR20130055951A (ko) 이종 액상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WO2012074163A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441849Y1 (ko) 화장품 용기
KR101530580B1 (ko) 회전 개폐형 튜브용기
JP6286224B2 (ja) ケースとカセットとを備えた、製品のディスペンサー
KR101199766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180737B1 (ko) 회전개폐형 브러쉬 튜브용기
KR101129252B1 (ko) 노즐개폐에 따른 오버캡 체결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269409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452331Y1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JP2018504958A (ja) 化粧品容器
KR101451766B1 (ko) 화장용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