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121U -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 Google Patents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121U
KR20160004121U KR2020160006813U KR20160006813U KR20160004121U KR 20160004121 U KR20160004121 U KR 20160004121U KR 2020160006813 U KR2020160006813 U KR 2020160006813U KR 20160006813 U KR20160006813 U KR 20160006813U KR 20160004121 U KR20160004121 U KR 201600041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martphone
audio information
microphone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임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수 filed Critical 임창수
Priority to KR2020160006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121U/ko
Publication of KR20160004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3203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과 셀피 스틱을 이용하여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셀피 스틱에 스테레오 마이크를 구비하고, 스마트폰이 카메라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셀피 스틱의 마이크에서 생성한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selfie stick for video recording of high-quality audio}
본 고안은 스마트폰과 셀피 스틱을 이용하여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셀피 스틱에 스테레오 마이크를 구비하고, 스마트폰이 카메라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셀피 스틱의 마이크에서 생성한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대중적인 보급으로 일명 "셀피 스틱(selfie stick)"이라고 부르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스마트폰을 탑재하고 셀프 촬영을 하는 것이 전세계적으로 유행이 되어 가고 있다. 또한, 공연장 등에서도 셀피 스틱에 스마트폰을 탑재하고 높이 들어올려 무대를 촬영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촬영은 모두 스마트폰 자체 구비된 카메라와 마이크의 기능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스마트폰에 기본 구비된 마이크는 전화 통화에 최적화되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 소음은 차단하고 목소리만 잘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마이크에 연결되어 있는 코덱의 성능도 통화 목적에 합당한 정도에 불과하여 오디오 품질이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결과, 스마트폰을 셀피 스틱에 탑재한 상태로 공연장 등에서 동영상 촬영모드로 촬영하면 비디오 품질은 상당히 우수한 반면 오디오 측면에서는 공연장의 실제 소리를 잘 감지하지 못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 생성된 동영상의 음원은 오디오 품질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마이크의 성능을 주변 소리까지 잘 감지하는 것으로 개선한다면 통화 모드에서 주변 소음까지 감지되어 통화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스마트폰 자체에 구비되는 마이크의 성능을 주변 소리를 잘 감지하는 패턴으로 개선하는 것도 상당히 곤란한 형편이다. 더욱이, 이미 판매된 다수의 스마트폰에는 이미 오디오 품질이 낮은 마이크가 탑재되어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촬영한 동영상(녹화영상)의 오디오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셀피 스틱을 이용하여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셀피 스틱에 스테레오 마이크를 구비하고, 스마트폰이 카메라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셀피 스틱의 마이크에서 생성한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은,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바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봉(200); 손잡이봉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이 되도록 손잡이봉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그립부(100); 그립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손잡이봉의 선단부에 연결됨에 따라 넓은 대역의 주변 소리를 감지하여 오디오 정보를 생성하고 손잡이봉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이 되도록 배치된 스테레오 마이크(300); 스테레오 마이크에서 생성한 오디오 정보를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또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제공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스테레오 마이크(300)는 손잡이봉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인 오디오 정보를 생성하고, 오디오 제공 포트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인 오디오 정보를 외부의 스마트폰에 구비된 이어폰 단자의 핸즈프리 마이크 신호라인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스테레오 마이크(300)는 손잡이봉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 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오디오 정보를 생성하고, 오디오 제공 포트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인 오디오 정보를 유무선의 디지털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폰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셀피 스틱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셀피 스틱과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셀피 스틱을 활용하는 녹화영상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셀피 스틱을 활용하는 녹화영상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셀피 스틱을 활용하는 녹화영상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셀피 스틱을 이용한 고음질 녹화영상 생성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셀피 스틱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셀피 스틱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본 고안에서 스마트폰이 셀피 스틱의 마이크 구동을 제어하는 실시예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셀피 스틱(10)과 스마트폰(20)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셀피 스틱(10)을 활용하는 녹화영상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폰(20)은 일반적인 스마트 단말을 통칭하여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셀피 스틱(10)은 그립부(100), 손잡이봉(200), 스테레오 마이크(300), 음원제공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그립부(100)는 스마트폰(20)을 그립한 상태로 지지하며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브라켓이 스마트폰(20)의 테두리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밀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봉(200)은 그립부(1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봉(2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바 형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확장과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레오 마이크(300)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한 소리로부터 오디오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이며 본 고안에서 채택되는 마이크는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위해 스테레오 마이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레오 마이크(300)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일차적으로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데, [도 3]은 셀피 스틱(10)이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 그대로 스마트폰(20)으로 전달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폰(20)의 이어폰 단자에 구비된 핸즈프리 마이크 신호라인을 통해 오디오 신호가 스마트폰(20)으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원제공 제어부(400)는 스테레오 마이크(300)가 생성한 오디오 정보를 스마트폰(20)으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녹화영상 생성부(500)는 스마트폰(20)에서 동작하는 기능 모듈로서 셀피 스틱(10)이 제공한 오디오 정보와 스마트폰(20)이 생성한 비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녹화영상(동영상)을 생성한다.
즉, 셀피 스틱(10)이 제공하는 오디오 정보(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수신부(23)가 수신하면 오디오 인코딩부(520)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녹화영상 생성부(500)에 전달한다. 그리고, 비디오 인코딩부(510)는 스마트폰(20)에 내장된 카메라(21)가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녹화영상 생성부(500)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녹화영상 생성부(500)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한다.
한편, 녹화영상 생성부(500)는 스마트폰(20)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녹화영상 생성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운영체제의 일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셀피 스틱(10)을 활용하는 녹화영상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에서는 스테레오 마이크(300)가 생성한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인코딩부(410)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스마트폰(20)으로 전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오디오 인코딩부(410)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인코딩하는데, 이 과정에서 특정 포맷(예: MP3, AAC, 돌비 AC3)에 따라 압축할 수도 있다.
이 때, 마이크로 USB 단자, 라이트닝 포트, 블루투스 연결 등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가 셀피 스틱(10)에서 스마트폰(20)으로 전달된다. 스마트폰(20)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케이블(600)이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 케이블(600)은 스마트폰(20)에 구비된 마이크로 USB 포트 또는 라이트닝 포트와 셀피 스틱(10)의 음원제공 제어부(400)를 연결하여 스테레오 마이크(300)가 생성한 오디오 정보를 스마트폰(20)에 전달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케이블(600)이 불필요하다.
한편, 스테레오 마이크(300)와 음원제공 제어부(400)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은 충전 타입 배터리나 건전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손잡이봉(200)의 내측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케이블(600)을 통해 스마트폰(20)으로부터 동작전원이 셀피 스틱(10)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스위치부(430)는 셀피 스틱(10)의 동작을 온오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으로 스위치부(430)를 턴온 하면 음원제공 제어부(400)는 전기적 동작을 개시한다. 스마트폰(20)에서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였을 때에만 셀피 스틱(10)이 동작하는 것이 배터리 운용의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스위치부(430)를 두어 셀피 스틱(10)의 전기소모를 통제한다.
디지털 송신부(420)는 오디오 인코딩부(410)가 생성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마이크로 USB 단자, 라이트닝 포트, 블루투스 연결 등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한다.
한편, 스마트폰(20)에 구비된 디지털 수신부(22)는 셀피 스틱(10)이 제공하는 오디오 정보(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녹화영상 생성부(500)에 전달한다. 그리고, 비디오 인코딩부(510)는 스마트폰(20)에 내장된 카메라(21)가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녹화영상 생성부(500)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녹화영상 생성부(500)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셀피 스틱(10)을 활용하는 녹화영상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5]에서는 셀피 스틱(10)의 전기적 동작의 턴온 설정을 스마트폰(20)의 녹화영상 생성부(500)가 수행한다. 즉, 녹화영상 생성부(500)는 스마트폰(20)이 동영상 촬영모드로 진입하면 그에 연동하여 스테레오 마이크(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셀피 스틱(10)의 음원제공 제어부(400)에 전달하여 스테레오 마이크(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셀피 스틱(10)과 스마트폰(20)의 인터페이스, 즉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 및 구동제어 명령신호는 마이크로 USB 단자, 라이트닝 포트, 블루투스 연결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셀피 스틱(10)을 이용한 고음질 녹화영상 생성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110) : 셀피 스틱(10)의 측면에서 사용자가 예컨대 스위치부(430)를 턴온 조작하면 셀피 스틱(10)이 스테레오 마이크(300)를 통해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한 소리로부터 오디오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120) : 한편, 스마트폰(20)의 측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스마트폰(20)이 카메라(21)를 통해 주변을 촬영하고 이로부터 비디오 인코딩부(510)가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130, S140) : 셀피 스틱(10)의 음원제공 제어부(400)는 스테레오 마이크(300)가 생성한 오디오 정보를 스마트폰(20)으로 전달하고, 스마트폰(20)은 오디오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셀피 스틱(10)이 스마트폰(20)으로 제공하는 오디오 정보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형태일 수도 있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형태일 수도 있다.
단계 (S150) : 스마트폰(20)의 녹화영상 생성부(500)는 내장 카메라(21)를 통해 획득한 비디오 데이터와 셀피 스틱(10)이 제공한 오디오 정보를 합성하여 녹화 영상을 생성한다.
[도 7]은 본 고안에서 셀피 스틱(10)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의 순서도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제 1 실시예에 대응한다.
단계 (S210) : 셀피 스틱(10)이 스테레오 마이크(300)를 통해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S220) : 스마트폰(20)이 카메라(21)를 통해 주변을 촬영하고 이로부터 비디오 인코딩부(510)가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230) : 셀피 스틱(10)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인 오디오 정보를 스마트폰(20)의 이어폰 단자에 마련된 핸즈프리 마이크 신호라인을 통해 스마트폰(20)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20)의 아날로그 수신부(23)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단계 (S240) : 스마트폰(20)의 오디오 인코딩부(520)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인코딩한다.
단계 (S250, S260) : 스마트폰(20)의 녹화영상 생성부(50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합성하며, 그 합성 결과에 따라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한다.
[도 8]은 본 고안에서 셀피 스틱(10)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의 순서도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제 2 실시예에 대응한다.
단계 (S310) : 셀피 스틱(10)이 스테레오 마이크(300)를 통해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S320) : 셀피 스틱(10)의 오디오 인코딩부(410)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인코딩한다.
단계 (S330) : 스마트폰(20)이 카메라(21)를 통해 주변을 촬영하고 이로부터 비디오 인코딩부(510)가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340) : 셀피 스틱(10)의 디지털 송신부(420)는 오디오 인코딩부(410)가 생성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형태의 오디오 정보를 마이크로 USB 단자, 라이트닝 포트, 블루투스 연결 등과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한다.
단계 (S350) : 그에 따라, 스마트폰(20)에 구비된 디지털 수신부(22)는 셀피 스틱(10)이 전송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녹화영상 생성부(500)에 전달하면 녹화영상 생성부(500)가 이를 식별한다.
단계 (S360) : 스마트폰(20)의 녹화영상 생성부(50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합성하며, 그 합성 결과에 따라 고음질의 녹화영상을 생성한다.
[도 9]는 본 고안에서 스마트폰(20)이 셀피 스틱(10)의 마이크 구동을 제어하는 실시예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의 순서도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제 3 실시예에 대응한다.
단계 (S410) : 먼저, 스마트폰(20)이 본 고안에 따른 동영상 촬영모드를 식별한다.
단계 (S420) : 스마트폰(20)의 녹화영상 생성부(500)는 동영상 촬영모드와 연동하여 셀피 스틱(10)에 구비된 스테레오 마이크(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셀피 스틱(10)으로 전달한다.
단계 (S430) : 셀피 스틱(10)의 음원제공 제어부(400)는 구동제어 명령신호에 따라 스테레오 마이크(300)를 구동한다. 그에 대응하여, 셀피 스틱(10)의 스테레오 마이크(300)는 동작을 개시하여 오디오 정보를 생성한다.
10 : 셀피 스틱
20 : 스마트폰
21 : 카메라
22 : 디지털 수신부
23 : 아날로그 수신부
100 : 그립부
200 : 손잡이봉
300 : 스테레오 마이크
400 : 음원제공 제어부
410 : 오디오 인코딩부
420 : 디지털 송신부
430 : 스위치부
500 : 녹화영상 생성부
510 : 비디오 인코딩부
520 : 오디오 인코딩부
600 : 데이터 케이블
610 : 스마트폰 연결단자
620 : 셀피 스틱 연결단자

Claims (3)

  1. 외부의 스마트폰을 지지한 상태에서 고음질 녹화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셀피 스틱으로서,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바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봉(200);
    상기 손잡이봉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이 되도록 상기 손잡이봉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그립부(100);
    상기 그립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손잡이봉의 선단부에 연결됨에 따라 넓은 대역의 주변 소리를 감지하여 오디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손잡이봉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이 되도록 배치된 스테레오 마이크(300);
    상기 스테레오 마이크에서 생성한 오디오 정보를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또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외부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제공 포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마이크(300)는 상기 손잡이봉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인 상기 오디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디오 제공 포트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인 상기 오디오 정보를 상기 외부의 스마트폰에 구비된 이어폰 단자의 핸즈프리 마이크 신호라인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오디오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마이크(300)는 상기 손잡이봉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 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디오 제공 포트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인 상기 오디오 정보를 유무선의 디지털 통신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KR2020160006813U 2016-11-23 2016-11-23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KR201600041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13U KR20160004121U (ko) 2016-11-23 2016-11-23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13U KR20160004121U (ko) 2016-11-23 2016-11-23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130A Division KR20160107430A (ko) 2015-03-04 2015-03-04 셀피 스틱을 이용한 고음질 녹화영상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21U true KR20160004121U (ko) 2016-11-30

Family

ID=5770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813U KR20160004121U (ko) 2016-11-23 2016-11-23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12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77732B (zh) 多麦克风的音频捕获
US10003885B2 (en) Use of an earpiece acoustic opening as a microphone port for beamforming applications
CN112911566B (zh) 蓝牙通信方法和装置
JP2008187221A (ja) 携帯端末装置、その通話切替方法、その通話切替プログラム、及び通話切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CN112770212B (zh) 一种无线耳机、视频录制系统及方法、存储介质
JP2012075039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1009940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줌 마이크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9218950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CN114697812A (zh) 声音采集方法、电子设备及系统
WO2016140380A1 (ko) 셀피 스틱을 이용한 고음질 녹화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19118134A (ja) 情報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107430A (ko) 셀피 스틱을 이용한 고음질 녹화영상 생성 장치
JP4446781B2 (ja) デジタルカメラ
CN111586229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US11368611B2 (en) Control method for camera device, camera device, camera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160004121U (ko) 고음질 녹화영상용 셀피 스틱
CN113596320B (zh) 视频拍摄变速录制方法、设备、存储介质
JP6029626B2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4125352A (zh) 屏幕共享方法、电子设备及系统
JP2011040845A (ja) 携帯電話端末
KR10178096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줌 마이크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2030012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v phone method
JP2022129927A (ja)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04014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JP2022129928A (ja)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