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004A -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004A
KR20160004004A KR1020140082226A KR20140082226A KR20160004004A KR 20160004004 A KR20160004004 A KR 20160004004A KR 1020140082226 A KR1020140082226 A KR 1020140082226A KR 20140082226 A KR20140082226 A KR 20140082226A KR 20160004004 A KR20160004004 A KR 20160004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ender
frost
stat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갑
Original Assignee
(주)뉴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로시스 filed Critical (주)뉴로시스
Priority to KR102014008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004A/ko
Publication of KR2016000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에 생성된 성에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지와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성에접촉센서부와, 상기 성에접촉센서부로 펄스파 신호를 제공하여 리턴되는 제1리턴신호에 따라 성에의 생성여부를 판별하는 성에생성 판별모듈과,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에서 성에생성이 판별된 경우, 상기 성에접촉센서부로 하이파 신호를 추가 제공하여 리턴되는 제2리턴신호에 따라 성에의 상태를 판별하는 성에상태 판별모듈과, 상기 판별된 성에의 상태에 따라 제상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상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성에의 생성과 생성된 성에의 상태까지 정확하게 판별하여 제상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냉동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Control System for Defrosting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성에의 생성과 생성된 성에의 상태까지 정확하게 판별하여 제상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냉동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그 내부로 냉매가 순환되는 냉동싸이클이 적용되어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할 때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 및 냉장실과 같은 식품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냉장고에 적용된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주위와 열교환하여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모세관과, 저압으로 팽창된 냉매를 기화시켜 주위와 열교환하면서 식품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그런데, 냉매가 증발기에서 기화될 때 증발기 주변 공기가 냉각됨에 따라 포화습도가 낮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공기중에 함유된 잉여의 습기가 증발기 표면에 결빙되면서 성에가 생성되는 바, 이러한 성에는 증발기와 주변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방해하여 냉각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냉장고에서는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이 수행되는데, 종래에는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적산하여 적산운전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하면 증발기 주변에 설치된 제상히터를 동작시켜 증발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상운전은 증발기에 착상되는 성에량에 상관없이 압축기의 적산운전시간에 따라 제상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증발기에 착상된 성에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음과 함께 불필요한 제상운전의 반복으로 인하여 냉각효율이 저하되고 소비전력이 과도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증발기의 착상량은 예컨대, 압축기의 운전률이 동일할 경우 고내에 투입된 식품의 온도가 높으면 착상량이 커지고, 반대로 식품의 온도가 낮으면 착상량은 적어지게 되는 등, 압축기의 운전에 꼭 비례하는 것만은 아니며, 따라서, 증발기에 성에가 없는데도 제상운전을 수행하거나 또는 증발기가 과착상현상을 보이고 있음에도 제상운전이 수행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비효율적인 제상운전에 의하여 결국 냉동효율이 저하되고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8014호 : 냉장고의 제상회로 (공고일자: 1999년 01월 1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5276호 : 냉장고 제상 운전 제어방법 (공개일자: 2009년 07월 08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에감지를 통해 제상작동을 제어함과 함께 특히 성에의 상태까지를 판별하여 제상운전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동효율을 최적으로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증발기에 생성된 성에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지와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성에접촉센서부와, 상기 성에접촉센서부로 펄스파 신호를 제공하여 리턴되는 제1리턴신호에 따라 성에의 생성여부를 판별하는 성에생성 판별모듈과,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에서 성에생성이 판별된 경우, 상기 성에접촉센서부로 하이파 신호를 추가 제공하여 리턴되는 제2리턴신호에 따라 성에의 상태를 판별하는 성에상태 판별모듈과, 상기 판별된 성에의 상태에 따라 제상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상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은,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신호발신부와, 상기 출력된 구형파 신호를 펄스파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성에접촉센서부로 제공하는 신호변환회로부와, 상기 성에접촉센서부에서 리턴되는 제1리턴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부와, 상기 증폭된 제1리턴신호의 파형에 따라 성에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성에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에상태 판별모듈은,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에서 성에생성이 판별된 경우, 하이파 신호를 출력하는 부가신호발신부와, 상기 하이파 신호가 출력되면 턴온되면서 하이파 신호를 상기 신호변환회로부로 인가하는 스위칭회로부와, 상기 성에접촉센서부에서 리턴되어 상기 증폭회로부에 의해 증폭된 제2리턴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피크값에 따라 성에의 상태를 판별하는 상태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에접촉센서부는, 증발기 표면에 구비되면서 접지되는 접지단자와, 상기 접지단자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과 접속되는 성에접촉단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성에접촉단자는 위치가 가변되면서 접지단자와의 이격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성에생성에 따라 제상작동이 이루어짐과 함께 성에의 상태까지를 고려하여 제상작동이 제어되므로 효율적인 제상운전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제상운전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감지할 수 있는 성에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제상운전조건을 조정할 수 있는 효율성과 편리성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의 회로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에접촉센서부를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의 신호패턴을 순서대로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 연결, 또는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을 예시한 도면들로서,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이하,“제상제어시스템”이라 약칭함.)은 성에접촉센서부(100)와, 성에생성 판별모듈(200)과, 성에상태 판별모듈(300)과, 제상제어모듈(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성에접촉센서부(100)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증발기(E)에 설치되어 증발기(E)에 생성되는 성에(F, frost)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성에접촉센서부(100)는 접지단자(110)와 성에접촉단자(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단자(110)는 증발기(E) 표면에 구비되면서 접지되고, 상기 성에접촉단자(120)는 상기 접지단자(11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후술하는 성에생성 판별모듈(200)과 접속된다.
이러한 성에접촉센서부(100)는 성에접촉단자(120)에 성에(F)가 접촉되지 않으면 접지단자(110)와의 사이가 오픈되어 접지와 단선이 되고, 성에접촉단자(120)에 성에(F)가 접촉되면 접지단자(110)와 연결되면서 접지와 통전이 됨으로써, 후술하는 성에생성 판별모듈(200)에서 성에(F)의 생성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성에접촉단자(120)는 설치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접지단자(110)와의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그 위치가 가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서,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상하 일정간격으로 끼움홈이 형성된 절연지지대(130)를 증발기(E) 표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절연지지대(130)를 따라 승강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끼움홈에 탄성볼이 선택적으로 끼워지지면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승강대(140)를 절연지지대(130)에 설치하며, 승강대(140)의 저면에 상기 성에접촉단자(12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성에접촉단자(12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되면, 성에접촉단자(120)를 접지단자(110)에 근접시키거나 또는 멀게 이격시키는 위치조정에 따라 성에접촉센서부(100)가 감지하는 성에(F)의 두께를 달리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성에(F)의 두께에 따른 제상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200)은 상기 성에접촉센서부(100)로 펄스파 신호를 제공한 후 성에접촉센서부(100)에서 리턴되는 제1리턴신호에 따라 성에의 생성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성에생성 판별모듈(200)은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기준신호발신부(210)와, 신호변환회로부(220)와, 증폭회로부(230)와, 성에판별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신호발신부(210)는 구형파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신호변환회로부(220)로 출력한다.
상기 신호변환회로부(220)는 상기 기준신호발신부(210)로부터 출력된 구형파 신호를 펄스파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성에접촉센서부(1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신호변환회로부(220)는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기준신호발신부(210)에서 출력된 구형파 신호의 임피던스를 변환시키는 전압플라워(221)와, 상기 전압플라워(221)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구형파 신호를 펄스파 신호로 변환하는 RC미분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플라워(221)의 출력단은 후술할 성에상태 판별모듈(300)의 스위칭회로부(320)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병렬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폭회로부(230)는 상기 펄스파 신호가 제공된 후 성에접촉센서부(100)에서 리턴되는 제1리턴신호를 증폭시킨다.
이러한 상기 증폭회로부(230)는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제1리턴신호의 음(-)의 신호는 제거하고 양(+)의 신호만을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성에판별부(240)는 상기 증폭회로부(230)에서 증폭된 제1리턴신호를 입력받아 제1리턴신호의 파형에 따라 성에의 생성여부를 판별한다.
즉, 상기 성에접촉센서부(100)의 성에접촉단자(120)에 성에(F)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면 접지와 단선되므로, 제공된 펄스파 신호가 그대로 리턴되면서 성에판별부(240)로 입력되는 제1리턴신호는 펄스파형을 이루게 되고, 성에접촉단자(120)에 성에(F)가 접촉된 상태이면 접지와 통전되므로 성에판별부(240)로 입력되는 제1리턴신호는 로우(Low)파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성에판별부(240)는 입력되는 제1리턴신호의 파형에 따라, 즉 펄스파형이 입력되면 성에(F)가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고, 로우파형이 입력되면 성에(F)가 생성된 것으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성에상태 판별모듈(300)은 상기한 성에생성 판별모듈(200)에서 성에(F)가 생성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성에접촉센서부(100)로 하이(High)파 신호를 추가 제공하여 리턴되는 제2리턴신호에 따라 생성된 성에의 상태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성에상태 판별모듈(300)은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부가신호발신부(310)와, 스위칭회로부(320)와, 상태판별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가신호발신부(310)는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200)에서 성에(F)가 생성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하이파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회로부(32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회로부(320)는 상기 부가신호발신부(310)에서 하이파 신호가 출력되면 턴온(turn On)되면서 하이파 신호를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200)의 신호변환회로부(220)로 인가시킨다.
이러한 스위칭회로부(320)는 상기한 신호변환회로부(220)의 전압프라워(221)와 RC미분기(222) 사이의 병렬회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부가신호발신부(310)에서 하이파 신호가 출력되면 턴온 스위칭 동작을 하는 아날로그스위치(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회로부(320)를 통해 하이파 신호가 신호변환회로부(220)로 인가되면,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구형파 신호에 하이파 신호가 합산된 신호가 RC미분기(222)에 의해 변환된 후 성에접촉센서부(100)로 제공이 되며, 이에 따라 성에접촉센서부(100)에서는 제2리터신호가 리턴되면서 상기 증폭회로부(230)에 의해 증폭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태판별부(330)는 상기 증폭되어 리턴되는 제2리턴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피크값의 크기에 따라 생성된 성에의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즉, 생성된 성에(F)가 단단한 또는 하드(hard)한 상태인가, 아니면 무른 또는 소프트(soft)한 상태인가에 따라 전도율이 상이해지면서 상기 성에접촉센서부(100)에서 접지와 통전되는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리턴되는 제2리턴신호의 피크값 또한 달라지므로, 상기 상태판별부(330)에서는 제2리턴신호의 디지털화된 피크값을 읽어 그 값의 크기에 따라 생성된 성에(F)의 상태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며, 예컨대, 제2리턴신호의 피크값이 클수록 생성된 성에(F)가 단단한 상태이고 피크값이 작을 수록 무른 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상제어모듈(400)은 상기 성에상태 판별모듈(300)에서 판별된 성애의 상태에 따라 제상히터(H)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상제어모듈(400)은 성에상태 판별모듈(300)에서 판별된 성에의 상태에 따라 제상복귀온도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제상히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바, 생성된 성에(F)의 상태가 단단하면 제상복귀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예컨대 8℃ 정도로 설정하여 제상히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성에(F)의 상태가 무르면 제상복귀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예컨대 5℃ 정도로 설정하여 제상히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상제어모듈(400)은 성에상태에 대응하여 적절한 제상복귀온도를 설정하고 제상히터를 제어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며, 그 외 제상히터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구성 자체는 이미 주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상제어시스템에 있어, 상기 기준신호발신부(210)와, 성에판별부(240)와, 부가신호발신부(310) 및 상태판별부(330)는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각각의 기능을 수행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마이콤, MICOM)로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제상제어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에생성 판별모듈(200)의 기준신호발신부(210)에서는 도 4의 (a)에 예시된 것과 같은 구형파 신호가 계속적으로 출력된다.
이렇게 출력된 구형파 신호는 신호변환회로부(220)의 RC미분기(222)를 통과하면서 도 4의 (b)예 예시된 것과 같은 펄스파 신호로 변환되어 성에접촉센서부(100)로 제공된다.
그리고 성에접촉센서부(100)에서 리턴되는 제1리턴신호는 증폭회로부(230)를 통해 양(+)의 신호만 증폭된 후 성에판별부(240)로 입력된다.
이 때, 상기 성에접촉센서부(100)의 성에접촉단자(120)에 성에(F)가 접촉되지 않으면 접지와 단선 상태가 되므로 성에판별부(240)에는 도 4의 (c)에 예시된 것과 같은 펄스파형의 제1리턴신호가 입력되고, 성에접촉단자(120)에 성에(F)가 접촉되면 접지와 통전되므로 성에판별부(240)에는 도 4의 (d)에 예시된 것과 같은 로우(Low)파형의 제1리턴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성에판별부(240)는 리턴되어 입력되는 제1리턴신호의 파형에 따라, 즉 펄스파형이면 성에(F)가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고, 로우파형이면 성에(F)가 생성된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리턴신호의 파형에 따라 성에판별부(240)에서 성에(F)의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바, 성에(F)가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상운전이 시작되지 않으며, 성에(F)가 생성되는 것으로 판별될 때까지는 상술한 작동만이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성에접촉센서부(100)의 성에접촉단자(1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성에판별부(240)에서 성에생성으로 판별되는 성에(F)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로우파형의 제1리턴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성에판별부(240)에서 성에(F)가 생성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생성된 성에(F)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작동이 수행된다.
먼저, 성에상태 판별모듈(300)의 부가신호발신부(310)에서는 도 4의 (e)에 예시된 것과 같은 하이(High)파형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렇게 하이파형 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칭회로부(320)의 아날로그스위치(321)가 턴온 스위칭되면서 신호변환회로부(220)로 하이파형 신호가 추가로 인가되며, 그에 따라 RC미분기(222)를 통과하면서 도 4의 (f)에 예시된 것과 같은 신호로 변환되어 성에접촉센서부(100)로 제공된다.
그리고 성에접촉센서부(100)에서 리턴되는 제2리턴신호는 동일하게 증폭회로부(230)를 통해 양(+)신호만이 증폭된 후 상태판별부(330)로 입력된다.
이 때, 성에접촉센서부(100)는 접지와 계속적으로 통전되는 상태이므로 상태판별부(330)로 입력되는 제2리턴신호는 도 4의 (g)와 같은 파형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판별부(330)에서는 이러한 제2리턴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피크값의 크기를 읽어 생성된 성에(F)의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이렇게 성에상태 판별모듈(300)에서 생성된 성에의 상태가 판별되면, 상기 판별된 성에의 상태에 따라 제상제어모듈(400)이 적절한 제상복귀온도를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 제상히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제상운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의 제상제어시스템은 성에의 생성과 함께 생성된 성애의 상태까지를 판별하고 그에 맞추어 제상작동을 적절하게 제어하게 되므로 매우 효율적인 제상운전이 가능함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성에접촉센서부 110: 접지단자
120: 성에접촉단자 200: 성에생성 판별모듈
210: 기준신호발신부 220: 신호변환회로부
230: 증폭회로부 240: 성에판별부
300: 성에상태 판별모듈 310: 부가신호발신부
320: 스위칭회로부 330: 상태판별부
400: 제상제어모듈

Claims (4)

  1. 증발기에 생성된 성에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지와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성에접촉센서부;
    상기 성에접촉센서부로 펄스파 신호를 제공하여 리턴되는 제1리턴신호에 따라 성에의 생성여부를 판별하는 성에생성 판별모듈;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에서 성에생성이 판별된 경우, 상기 성에접촉센서부로 하이파 신호를 추가 제공하여 리턴되는 제2리턴신호에 따라 성에의 상태를 판별하는 성에상태 판별모듈;
    상기 판별된 성에의 상태에 따라 제상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상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은,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신호발신부;
    상기 출력된 구형파 신호를 펄스파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성에접촉센서부로 제공하는 신호변환회로부;
    상기 성에접촉센서부에서 리턴되는 제1리턴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부;
    상기 증폭된 제1리턴신호의 파형에 따라 성에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성에판별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에상태 판별모듈은,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에서 성에생성이 판별된 경우, 하이파 신호를 출력하는 부가신호발신부;
    상기 하이파 신호가 출력되면 턴온되면서 하이파 신호를 상기 신호변환회로부로 인가하는 스위칭회로부;
    상기 성에접촉센서부에서 리턴되어 상기 증폭회로부에 의해 증폭된 제2리턴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피크값에 따라 성에의 상태를 판별하는 상태판별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성에접촉센서부는,
    증발기 표면에 구비되면서 접지되는 접지단자와, 상기 접지단자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성에생성 판별모듈과 접속되는 성에접촉단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성에접촉단자는 위치가 가변되면서 접지단자와의 이격 거리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KR1020140082226A 2014-07-02 2014-07-02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KR20160004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226A KR20160004004A (ko) 2014-07-02 2014-07-02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226A KR20160004004A (ko) 2014-07-02 2014-07-02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04A true KR20160004004A (ko) 2016-01-12

Family

ID=5517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226A KR20160004004A (ko) 2014-07-02 2014-07-02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0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1624A1 (en) * 2017-05-12 2018-11-14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Air conditioning unit with current based ice and snow dete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air conditioning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1624A1 (en) * 2017-05-12 2018-11-14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Air conditioning unit with current based ice and snow dete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air condition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3757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rigerator and freezer units to reduce consumed energy
EP2040016A3 (en) Refriger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WO2007087248A3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low ambient cooling
US20120055181A1 (en) Cooling system and defrosting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042667A1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defrost termination
KR2008011014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1041780A3 (en) Removal of an accumulated frozen substance from a cooling unit
JP5078829B2 (ja) 冷蔵庫
US20110185755A1 (en) Cooling apparatus and frost detecting method thereof
CN203413915U (zh) 冰箱冷凝器结霜探测及除霜控制器
WO2011020800A3 (de) Kältegerät mit einem abtauheizelement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kältegerätes
CN105783369A (zh) 具有补偿加热器的冰箱
KR20160004004A (ko) 냉장고의 제상제어시스템
KR2015005899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88745A (ko) 냉각 장치 및 그의 성에 검출 방법
KR20120000710A (ko) 진공 제상 시점 검출장치
AU2016422665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101499499B1 (ko) 발광다이오드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한 냉동시스템 증발기의 제상장치
JP5137742B2 (ja) 冷蔵庫
CN106996675A (zh) 制冷温控智能除霜控制装置
JP2005226865A (ja) 冷蔵庫
TWI392839B (zh) 具有溫度補償調整的除霧省能控制裝置
US20120079842A1 (en) Refrigerator having circulation fan controller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CN206352923U (zh) 一种利用振动进行冰箱凝霜检测的装置
KR101403120B1 (ko)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