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120B1 -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120B1
KR101403120B1 KR1020140028800A KR20140028800A KR101403120B1 KR 101403120 B1 KR101403120 B1 KR 101403120B1 KR 1020140028800 A KR1020140028800 A KR 1020140028800A KR 20140028800 A KR20140028800 A KR 20140028800A KR 101403120 B1 KR101403120 B1 KR 10140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sensing
heat
signal
defro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조
Original Assignee
김형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조 filed Critical 김형조
Priority to KR1020140028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7/00Detail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 F25B2347/02Details of defrosting cycles
    • F25B2347/023Set point defr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파이프와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흡열핀를 구비한 증발기가 포함된 냉동 사이클에서 적상을 감지하여 제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케이스에 고정볼트로 고정 결합된 비전도체로 이루어진 절연브라켓; 연결볼트에 의해 상기 절연브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냉매파이프 및 흡열핀이 설치된 부위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열핀을 사이에 두고 양 갈래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열핀에 발생된 적상을 감지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감지부재; 양극선과 음극선으로 분기되어, 하나는 고정볼트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연결볼트와 연결되는 신호선; 상기 흡열핀에 발생된 적상이 상기 감지부재에 접촉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면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인지하여 제상신호를 제상장치로 보내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로부터 제상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증발기에 발생된 적상을 제거하는 제상장치;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CONTROL SYSTEM FOR SENSING FROST AND DEFROSTING IN REFRIGERATION CYCLE}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의 제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 사이클에서 증발기에 착상된 성에를 감지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한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기는 물건을 냉동 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액체 상태의 낮은 온도로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냉동고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하강시켜 주는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기(1)는 압축기(2), 응축기(3), 팽창밸브(4) 및 증발기(5)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고, 압축기(2)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증기를 응축기(3)에서 냉각시켜 액화시키고, 수액기에 저장하였다가 팽창밸브(4)에서 팽창시킨 후 냉매가 증발기(5)에서 증발될 때 그 증발열에 의하여 냉동고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하강시켜 저장된 물품을 냉동시키는 냉동 사이클(refrigeration cycle)을 갖는다. 더불어, 압축기(2)와 응축기(3)의 사이에는 유분리기(6)가 설치되고, 응축기(3)와 팽창밸브(4)의 사이에는 수액기(7)가 설치되며, 증발기(5)와 압축기(2)의 사이에는 액 분리기(8)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2)는 증발기(5)를 통과하면서 냉동고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높아진 냉매 가스를 압축시켜 주는 것이고, 상기 응축기(3)는 압축기(2)에 의하여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의 온도를 하강시켜 액화하기 위하여 응축시켜 주는 것이며, 상기 팽창밸브(4)는 응축기(3)에 의해 액화된 냉매를 증발기에 공급하여 주는 것이고, 상기 증발기(5)는 냉동고 내부에 설치되어 액체 상태의 낮은 온도로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냉동고의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강하시켜 주는 것이다.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5)는 본체의 케이스(5a)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5a)의 내부에는 열전달 효율이 우수한 복수 개의 얇은 흡열핀(5b)이 일정하게 조밀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냉매가 순환되는 관으로 구성된 냉매파이프(5c)가 지그재그의 폐루프 형태로 배관되어 각 흡열핀(5b)에 관통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압축기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와 함께 강제 순환되어 냉매파이프(5c)를 통과하는 냉매가 흡열핀(5b)이 설치된 부위를 통과할 때에 냉매에 의하여 냉각된 흡열핀(5b)과 그 주변의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흡열핀(5b)이 설치된 공간의 온도가 급속하게 하강하는 원리에 의하여 냉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냉동기는 냉매의 순환에 의해 냉각되는 증발기의 흡열핀과 그 주변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흡열핀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게 되고, 이슬은 흡열핀의 낮은 온도에 의하여 얼어 붙으면서 성에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되면서 냉동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흡열핀의 표면에 형성되는 성에의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증발기 표면의 열교환을 방해하여 냉동 효율을 저하시켜 고내 온도가 상승되며, 압축기의 액 압축 발생 등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냉동기의 고장까지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증발기의 냉매 파이프와 흡열핀에 착상된 성에(적상)을 제거하는 제상(defrosting) 운전의 실시가 요구되는 바, 여기에는 증발기의 흡열핀에 부분적으로 전기히터를 삽입 장착한 후 열을 가하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제상 방법, 압축기를 지난 고온 고압의 핫가스를 이용하여 순환시키는 핫가스를 이용한 제상 방법, 증발기의 상측에 노즐을 배치하여 제상용 물을 펌핑에 의해 강제로 분사시키는 제상수 분사를 이용한 제상 방법 등이 여러 가지 제상장치들에 의한 방법이 존재한다.
더불어, 이러한 제상 운전 실시를 위한 제어 방법으로는 제상장치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일정한 주기로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거나, 결로 센서에 의하여 적상의 두께를 수치로 측정하여 일정치 이상일 때 제상장치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측정 제상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741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 내부의 풍압을 감지하여 차압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방법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일정한 주기마다 제상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은 적상의 두께나 양에 관계없이 정해진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제상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어 불필요한 제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내 온도가 상승하여 저장된 물건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에너지가 낭비되며, 제상이 불완전하여 적상이 점점 누적되면서 증발기가 파손되거나 압축기의 액 압축으로 피스톤 등이 파손될 수 있고, 제상장치의 부품 수명을 단축시켜 유지 및 보수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결로 센서의 적상 두께 측정에 의해 제상 제어 방법은 증발기의 설치장소의 다양한 기상 조건이나 열교환기의 구조, 특히 핀 사이의 간격의 광협에 부합되는 제어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풍압 감지에 의하여 차압 제상 제어 방법은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되고, 풍압 스위치가 증발기의 모터 크기나 회전수 날개의 풍량에 따라 달라져 제조사, 증발기 용량 및 종류에 따라 풍압의 설정값이 달라지며, 풍압의 변화에 따라 적상의 정도를 확인하면서 제상 타이밍을 결정해야 하므로 세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케이스 내부에 부압이 형성될 때 풍압 작동판이 호상 운동을 하여 부압의 크기에 따라 풍압 작동판과 스위치 바디 사이의 간격이 변경됨으로써 공기 흡입량이 작아 부압 해소가 지연되면 팬의 부하가 해소되지 못하여 고장의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증발기와 감지부재의 통전을 감지하여 통전시에만 제상 운전을 실시하여 최적의 제상 타이밍에 제상신호를 보내어 증발기의 제상이 이루어지고, 흡열핀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 상승하면 제상 운전을 종료하여 고내의 온도 변화의 폭을 감소시키며, 더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성적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가 우수하여 냉동기의 냉동 효율이 향상된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상의 불완전을 해소하여 증발기의 파손과 압축기의 액 압축의 발생을 방지하고, 고장율이 감소하여 제품 신뢰성이 증가하고 냉동기의 부품 수명이 증가되며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감지편 사이의 간극이 조절되므로 다양한 기상 조건이나 증발기의 구조에 적용하여 흡열핀 사이의 간격의 광협에 부합되는 제상 운전을 실시할 수 있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파이프와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흡열핀를 구비한 증발기가 포함된 냉동 사이클에서 적상을 감지하여 제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케이스에 고정볼트로 고정 결합된 비전도체로 이루어진 절연브라켓; 연결볼트에 의해 상기 절연브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냉매파이프 및 흡열핀이 설치된 부위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열핀을 사이에 두고 양 갈래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열핀에 발생된 적상을 감지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감지부재; 양극선과 음극선으로 분기되어, 하나는 고정볼트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연결볼트와 연결되는 신호선; 상기 흡열핀에 발생된 적상이 상기 감지부재에 접촉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면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인지하여 제상신호를 제상장치로 보내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로부터 제상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증발기에 발생된 적상을 제거하는 제상장치;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절연브라켓은 상기 증발기의 케이스에 고정볼트로 고정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부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볼트가 연결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연결볼트는 상기 돌출부의 내부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감지부재는 양 갈래로 벌어진 한쌍의 감지편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조절볼트가 한쌍의 감지편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조절볼트에는 조절너트가 결합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감지부재는 선단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흡열핀에 발생된 적상을 감지하는 감지단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흡열핀의 온도에 따른 전압신호를 생성하는 열전대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와 감지부재의 통전을 감지하여 통전시에만 제상 운전을 실시하여 최적의 제상 타이밍에 제상신호를 보내어 증발기의 제상이 이루어지고, 흡열핀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 상승하면 제상 운전을 종료하여 고내의 온도 변화의 폭을 감소시키며, 더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성적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가 우수하여 냉동기의 냉동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상의 불완전을 해소하여 증발기의 파손과 압축기의 액 압축의 발생을 방지하고, 고장율이 감소하여 제품 신뢰성이 증가하고 냉동기의 부품 수명이 증가되며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감지편 사이의 간극이 조절되므로 다양한 기상 조건이나 증발기의 구조에 적용하여 흡열핀 사이의 간격의 광협에 부합되는 제상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냉동 사이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일반적인 증발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재와 열전대가 설치된 증발기의 일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재가 절연브라켓과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재의 감지편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의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5a)와,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파이프(5b),와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흡열핀(5c)를 구비한 증발기(5)가 포함된 냉동 사이클에서 적상을 감지하여 제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기(1)의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2), 응축기(3), 팽창밸브(4) 및 증발기(5)를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압축기(2)는 증발기(5)를 통과하면서 냉동고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높아진 냉매 가스를 압축시켜 주는 것이고, 상기 응축기(3)는 압축기(2)에 의하여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의 온도를 하강시켜 액화하기 위하여 응축시켜 주는 것이며, 상기 팽창밸브(4)는 응축기(3)에 의해 액화된 냉매를 증발기에 공급하여 주는 것이고, 상기 증발기(5)는 냉동고 내부에 설치되어 액체 상태의 낮은 온도로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냉동고의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강하시켜 주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은 크게 절연브라켓(10), 감지부재(20), 신호선(30), 콘트롤러(40), 제상장치(50) 및 열전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브라켓(10)은 상기 증발기(5)의 금속 재질의 케이스(5a)에 고정볼트(11a)로 고정 결합되고, 전기가 통하지 않는 목재나 합성수지 등의 비전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브라켓(10)은 상기 증발기(5)의 케이스(5a)에 고정볼트(11a)로 고정 결합되는 바디부(11)와, 상기 바디부(11)의 상부 중앙에 돌출되어 연결볼트(12a)가 연결되는 돌출부(12)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상기 절연브라켓(10)에 상기 돌출부(13)를 형성한 것은 금속 등 전도체로 이루어진 감지부재(20)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케이스(5a)나 흡열핀(5b)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연브라켓(10)은 증발기(5)의 케이스(5a) 후면의 일측에 고정볼트(11a)로 케이스(5a)와 고정 결합되고, 이때 상기 고정볼트(11a)는 금속 등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신호선 연결 등 편의를 위하여 절연브라켓(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절연브라켓(10)의 돌출부(12)에는 감지부재(20)와 연결되는 연결볼트(12a)가 결합되고, 이때 상기 연결볼트(12a)는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도 3a와 같이 상기 연결볼트(12a)가 상기 돌출부(1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상기 연결볼트(12a)가 상기 돌출부(12)의 내부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된 후 체결너트(12b)가 결합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결합 구성이 신호선(30)의 연결이 보다 편리하여 더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재(20)는 상기 연결볼트(12a)에 의해 상기 절연브라켓(10)과 연결되고, 상기 흡열핀(5b) 및 냉매파이프(5c)가 설치된 증발기(5)의 부위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재(20)의 전단에 관통 형성된 연결공을 통하여 상기 연결볼트(12a)의 상단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재(20)는 상기 흡열핀(5b)을 사이에 두고 양 갈래로 벌어진 감지편(21)이 형성되고, 상기 감지편(21)의 선단부가 상기 흡열핀(5b)에 발생되어 소정의 두께로 누적된 적상과 접촉되어 적상을 감지하며, 스테인레스 스틸 등 금속의 전도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감지부재(20)는 선단부에 감지단(22)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측에 구비된 상기 흡열핀(5b)에 발생되어 착상된 적상(F)을 감지한다.
더불어, 상기 감지부재(20)는 양 갈래로 벌어진 한쌍의 감지편(21)의 사이의 간극이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기상 조건이나 증발기의 구조에 적용하여 흡열핀(5b) 사이의 간격의 광협에 부합되는 제상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a와 같이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볼트(23)가 한쌍의 감지편(21)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조절볼트(23)에는 상기 조절볼트(23)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주에 형성된 조절너트(24)가 한쌍의 감지편(21) 중 하나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너트(24)를 회전시키면서 한쌍의 감지편(21)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도 4b와 같이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25)이 한쌍의 감지편(21)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되, 좌·우측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고, 한쌍의 감지편(21)의 사이 부분에 위치한 나사봉(25)의 부분에 조절링(26)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링(26)을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한쌍의 감지편(21) 사이의 간극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호선(30)은 양극선(31)과 음극선(32)으로 분기되어, 하나는 상기 고정볼트(11a)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볼트(12a)와 연결되며, 상기 양극선(31)과 음극선(32)의 선단에는 고리나 집게 등의 연결수단이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러(40)는 상기 신호선(30)과 연결되어 상기 흡열핀(5b)에 발생된 적상(F)이 상기 감지부재(20)와 접촉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면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인지하고, 적상의 제거를 위하여 제상신호를 제상장치로 전송하여 제상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상장치(50)는 상기 콘트롤러(40)로부터 제상신호를 수신받아 증발기(5)의 흡열핀(5b)과 냉매 파이프(5c)에 착상된 적상(F)을 제거하고, 여기에는 증발기(5)의 흡열핀(5b)에 부분적으로 전기히터를 삽입 장착한 후 열을 가하거나, 압축기(2)를 지난 고온 고압의 핫가스를 이용하여 순환시키나, 증발기(5)의 상측에 노즐을 배치하여 제상용 물을 펌핑에 의해 강제로 분사시키는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제상장치(5)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열전대(60, T/C)는 상기 증발기(5)의 케이스(5a)에 설치되되, 열기전력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온도계로서, 2종의 금속소선의 한쪽 끝을 접합하여 측온접점을 형성한 후 그 측온접점은 측정할 부위인 흡열핀(5b)에 위치시키고, 다른 한쪽 끝인 냉접점을 기준온도로 하여 열기전력을 측정함으로써 측정 부위의 온도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온도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을 직류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컨버터(thermocouple converter)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대(60)는 측정 부위인 흡열핀(5b)의 온도에 따른 전압신호를 생성하고, 전압신호는 상기 컨버터에 의하여 변환되어 상기 콘트롤러(4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콘트롤러(40)는 상기 컨버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흡열핀(5b)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인지 판단하여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제상 운전의 종료신호를 상기 제상장치(50)로 전송하여 제상 운전의 실시를 종료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의 작용에 관하여 실시예로 설명한다.
먼저, 증발기(5)의 케이스(5a) 후면의 일측에 목재 재질의 절연브라켓(10)의 바디부(11)를 고정볼트(11a)로 결합하여 고정하고, 한쌍의 감지편(21)이 양 갈래로 벌어진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감지부재(20)를 상측의 돌출부(12)에 연결볼트(12a)로 연결시키며, 한쌍의 감지편(21)의 선단부가 흡열핀(5b)을 사이에 두고 조절너트(24)를 조절하여 기상 조건이나 운전 조건 등을 따라 설정된 간극을 갖도록 배치하고, 신호선(30)의 양극선(31)은 고정볼트(11a)와 접속시켜 증발기 케이스(5a)와 통전되도록 하고, 음극선(32)은 감지부재(20)와 결합된 연결볼트(12a)와 접속시킨다.
또한, 열전대(60)를 증발기(5)의 케이스(5a) 후면의 일측에 설치하되, 2종의 금속소선의 한쪽 끝을 접합하여 측온접점을 형성한 후 흡열핀(5b)에 위치시키고, 다른 한쪽 끝인 냉접점을 기준온도로 하여 열기전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압축기(2)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와 함께 냉매가 강제 순환되어 냉매 파이프(5c)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흡열핀(5b)과 주변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고내 온도가 급속하게 하강하여 냉동이 이루어지고, 시간이 경과되면서 냉동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흡열핀(5b)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게 되고, 이슬이 흡열핀의 낮은 온도에 의하여 얼어붙으면서 성에를 형성하며, 그 두께가 점점 두꺼워져 흡열핀(5b)과 흡열핀(5b) 사이의 간극이 점점 좁아지게 된다.
이때, 소정의 두께로 누적된 적상이 감지부재(20)의 감지편(21)의 선단부와 접촉되어 적상이 감지되면, 증발기(5)의 케이스(5a)와 감지부재(20)가 통전되어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이러한 감지신호를 수신한 콘트롤러(40)가 적상의 제거를 위하여 제상신호를 제상장치(50)로 전송하여 제상장치(50)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열전대(60)는 측정 부위인 흡열핀(5b)의 온도에 따른 전압신호를 생성하고, 이러한 전압신호는 컨버터에 의하여 변환되어 콘트롤러(40)로 전송되며, 콘트롤러(40)는 컨버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흡열핀(5b)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인지 판단하여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제상 운전의 종료신호를 제상장치(50)로 전송하여 제상 운전의 실시를 종료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은 증발기와 감지부재의 통전을 감지하여 통전시에만 제상 운전을 실시하여 최적의 제상 타이밍에 제상신호를 보내어 증발기의 제상이 이루어지고, 흡열핀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상 운전을 종료하여 고내의 온도 변화의 폭을 감소시키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성적계수가 우수하여 냉동기의 냉동 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고장율이 감소하여 제품 신뢰성이 증가하고 냉동기의 부품 수명이 증가되어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냉동기 2. 압축기
3. 응축기 4. 팽창밸브
5. 증발기 5a. 케이스
5b. 흡열핀 5c. 냉매 파이프
6. 유분리기 7. 수액기
8. 액 분리기 10. 절연브라켓
11. 바디부 11a. 고정볼트
12. 돌출부 12a. 연결볼트
12b. 체결너트
20. 감지부재 21. 감지편
22. 감지단 23. 조절볼트
24. 조절너트 25. 나사봉
26. 조절링 30. 신호선
31. 양극선 32. 음극선
40. 콘트롤러 50. 제상장치
60. 열전대 F. 적상

Claims (6)

  1.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파이프와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흡열핀를 구비한 증발기가 포함된 냉동 사이클에서 적상을 감지하여 제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케이스에 고정볼트로 고정 결합된 비전도체로 이루어진 절연브라켓;
    연결볼트에 의해 상기 절연브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냉매파이프 및 흡열핀이 설치된 부위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열핀을 사이에 두고 양 갈래로 벌어진 한쌍의 감지편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조절볼트가 한쌍의 감지편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조절볼트에는 조절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흡열핀에 발생된 적상을 감지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감지부재;
    양극선과 음극선으로 분기되어, 하나는 고정볼트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연결볼트와 연결되는 신호선;
    상기 흡열핀에 발생된 적상이 상기 감지부재에 접촉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면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인지하여 제상신호를 제상장치로 보내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로부터 제상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증발기에 발생된 적상을 제거하는 제상장치;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브라켓은 상기 증발기의 케이스에 고정볼트로 고정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부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볼트가 연결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볼트는 상기 돌출부의 내부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흡열핀의 온도에 따른 전압신호를 생성하는 열전대를 더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는 온도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을 직류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컨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선단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흡열핀에 발생된 적상을 감지하는 감지단을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KR1020140028800A 2014-03-12 2014-03-12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KR101403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800A KR101403120B1 (ko) 2014-03-12 2014-03-12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800A KR101403120B1 (ko) 2014-03-12 2014-03-12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120B1 true KR101403120B1 (ko) 2014-06-03

Family

ID=5113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800A KR101403120B1 (ko) 2014-03-12 2014-03-12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829A (ko) 2018-01-31 2019-08-08 김형조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85B1 (ko) * 2003-12-17 2005-08-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100712194B1 (ko) * 2007-01-25 2007-04-2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트펌프 착상 감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85B1 (ko) * 2003-12-17 2005-08-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100712194B1 (ko) * 2007-01-25 2007-04-2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트펌프 착상 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829A (ko) 2018-01-31 2019-08-08 김형조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1620B (zh)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unit
CN104613688B (zh) 一种冰箱的热气除霜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135791B (zh) 风冷冰箱的化霜系统、化霜方法及风冷冰箱
KR100712194B1 (ko) 히트펌프 착상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3591751A (zh) 一种风冷冰箱的除霜系统及其除霜控制方法
US11262115B2 (en) Cooling apparatus
CN103727714A (zh) 一种热泵热水器的除霜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135772B (zh) 水制冷装置及其防止冷水结冰的控制方法
US20180335236A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10715503B (zh) 制冷设备的控制方法、装置和制冷设备
KR20160118748A (ko) 증발기 입출구 온도차에 의한 제상주기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상시스템
CN102128509B (zh) 低噪声制冷系统及其制冷方法
CN106152641A (zh) 空调冰箱精确除霜智能控制方法及系统
CN102706021A (zh) 制冷设备及其制冷系统和该制冷设备的化霜控制方法
KR102014022B1 (ko)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장치
KR101403120B1 (ko)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CN110836551A (zh) 热泵系统及热泵系统的控制方法
CN111536666B (zh) 一种空调系统
JP2694885B2 (ja) 冷媒蒸発器におけるデフロスト開始時期特定方法
KR20160037515A (ko)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KR100545789B1 (ko) 공기조화 냉동장치에서 자동제상 방법
JP2005226865A (ja) 冷蔵庫
JP2004028503A (ja) 車両輸送用冷凍装置
KR101266936B1 (ko) 탄소 발생을 감소하기 위한 친환경 저장고 제어장치
KR100209651B1 (ko) 냉장고용 증발기의 제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