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803U -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803U
KR20160003803U KR2020150002688U KR20150002688U KR20160003803U KR 20160003803 U KR20160003803 U KR 20160003803U KR 2020150002688 U KR2020150002688 U KR 2020150002688U KR 20150002688 U KR20150002688 U KR 20150002688U KR 20160003803 U KR20160003803 U KR 201600038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image
smartphone
light sourc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부복
Original Assignee
방부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부복 filed Critical 방부복
Priority to KR2020150002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803U/ko
Publication of KR20160003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07Evaluating blood vessel condition, e.g. elasticity,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를 제공한다.
스마트폰은,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와 영상 수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광원은 소정의 조명광을 방출한다. 카메라는 상기 광원의 상기 조명광이 대상자의 피부 및 혈관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촬상하여 혈관 영상을 생성한다. 통신모듈은 촬영된 상기 혈관 영상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영상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유선선로는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영상 수신부와의 통신을 지원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전송한다. 프레임은 상기 광원과 상기 카메라가 상기 대상자의 대상 지점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유선 선로가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가 사용자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시킨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BLOOD VESSEL SEARCHING DEVICE WITH SMARTPHONE}
본 고안은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로서, 대상자의 피하 혈관에 주사 바늘을 정확하게 꽂아 넣을 수 있도록, 혈관의 위치 및 형태를 영상으로 표시해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상자의 피하 혈관을 조명하고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은 다수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예시로써,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8-0091359호(명칭: 마이크로 혈관 인핸서)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LED들의 어레이에 의해 적외선 광을 혈관을 관찰할 위치에 조사하고, CCD 촬상소자로 대상자의 피부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광의 이미지를 캡처하고, 생성된 캡처 이미지를 가시광 프로젝터에 의해 대상자의 해당 지점 위로 이미지 캡처 시스템과 정확히 정렬된 위치에 영사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을 구현한 장치는 매우 고가이다. 특히, 캡쳐된 영상을 다시 영사하는 프로젝터의 비용이 고가이다. 따라서, 더욱 저렴하게 상기와 같은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는,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소정의 유선 선로를 통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영상 신호에 소정의 영상처리를 수행한 후 영상처리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소정의 조명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상기 조명광이 대상자의 피부 및 혈관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촬상하여 혈관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촬영된 상기 혈관 영상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영상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영상 수신부와의 통신을 지원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유선 선로; 상기 광원, 상기 카메라,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유선 선로를 탑재하며, 상기 광원과 상기 카메라가 상기 대상자의 대상 지점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유선 선로가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가 사용자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광원에서 방출하는 상기 조명광은, 가청음파, 초음파, 라디오 통신용 전파, 적외선, 임의 색깔의 가시광선, 자외선, X선, 감마선, 우주선 중 적어도 하나의 범위에 포함하는 파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원은, 서로다른 파장 범위를 갖는 2이상의 조명광을 방출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어부는, 서로다른 파장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혈관 영상을 수신하면, 각각의 혈관 영상에 대하여 동일한 또는 서로다른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영상처리된 각각의 혈관 영상을 서로 합성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혈관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혈관영상으로부터 혈관의 위치 및 연장된 형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혈관에 소정의 안내 표시를 부가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가되는 안내는, 주사 바늘의 진입 방위각 및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진입 고도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되는 안내로서, 상기 혈관의 굵기, 정맥인지 동맥인지, 혈류량 및 혈류 방향/속도,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혈관 형태에 임의의 색깔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원 및 상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향하는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팬/틸트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틸트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대상자의 대상 지점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촬영하여 혈관 지도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혈관 지도를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선 선로는, 소정의 무선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 통신 수단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에 의하면, 장치를 구성하는 가장 고가의 부품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저렴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에 내장된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더욱 향상된 성능으로 혈관 위치를 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혈관에 관한 정보, 혈관을 흐르는 혈류에 관한 정보, 주사 바늘을 주입할 때 도움이 되는 정보 등을 추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정확하게 대상자의 피하혈관을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주사 바늘을 주입하는 행위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의 구조를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의 개략적인 외형 및 이를 실제 사용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의 구성, 외형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100)는, 스마트폰(110)과, 광원(120)과, 카메라(130)와, 통신모듈(140)과, 유선선로(150)와, 프레임(180)과, 전원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폰(110)은, 널리 대중화된 일반적인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적어도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해야 한다.
본 고안에서의, 이러한 스마트폰(110)은,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113)와, 소정의 유선 선로를 통해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111)와,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에 소정의 영상처리를 수행한 후 영상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11)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구비된 USB 인터페이스, 특히, USB OTG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광원(120)은, 소정의 파장을 갖는 조명광을 방출한다.
카메라(130)는,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조명광을 감지할 수 있는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조명광이 대상자의 피부 및 혈관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하고 이를 촬상하여 영상(즉, 혈관 영상)을 생성한다.
통신 모듈(140)은, 촬영된 혈관 영상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영상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촬영된 혈관 영상을 스마트폰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디지털 신호(즉,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스마트폰의 영상 수신부는 보통 USB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통신 모듈은, USB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할 것이다.
유선 선로(150)는, 통신 모듈과 스마트폰의 영상 수신부와의 유선 통신을 구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선선로는 무선 통신 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유선 선로는 통신 모듈에서 변환한 영상 신호를 영상 수신부로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유선선로는 영상 수신부의 USB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모듈(190)은, 예를 들면, 상용의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건전지로부터 원하는 전압을 생성하는 변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모듈은 또한, 상용 교류 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와, 플러그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원하는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모든 구성부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180)에 통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120), 상기 카메라(130), 상기 통신 모듈(140), 상기 유선 선로(150) 및 상기 스마트폰(110)이 프레임(180)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180)은, 사용자가 스마트폰(110)의 고유 기능(예를 들면, 음성 통화 기능)을 수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110)이 자유롭게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대한 예시로써, 도 2에서는 스마트폰의 상부 및 하부를 탄성에 의해 파지하는 핑거를 보여주고 있다. 물론, 스마트폰을, 정전기적으로, 점착제에 의해, 자력에 의해, 벨크로에 의해, 흡착판에 의해 파지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프레임(180)은, 스마트폰(110)을, 통신 모듈(140)과 영상 수신부(111)가 유선 선로(150)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또한, 사용자가 대상자의 대상 지점을 동시에 관찰하면서 스마트폰(110)의 영상 표시부(113)를 용이하게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프레임(180)은, 광원(120)과 카메라(130)가 대상자의 대상 지점을 향할 수 있도록, 또한, 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의 개략적인 외형 및 이를 실제 사용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100)는, 조명용 스탠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단품으로 휴대할 수 있는 형태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지만, 여기서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스탠드 형태인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대상자가 대상 지점(예를 들면, 팔꿈치 안쪽의 부분)을 편한 위치에 내려놓는다. 그리고, 스마트폰(110)을 프레임(180)의 일측에 고정시키고, 스마트폰(110)의 USB 인터페이스(영상 수신부)와 유선 선로(150)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스마트폰(110)이 장착된 본 고안에 따른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100)를 대상자의 근방으로 이동시키고, 프레임(180)을 조정하여 광원(120)과 카메라(130)가 대상지점을 향하도록 한다.
이후, 광원(120)과 카메라(130)와 스마트폰(110)이 서로 동작하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지점의 혈관이 스마트폰(110)에 표시된다. 도면에서 대상자의 혈관은 피부에 의해 덮여있기 때문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육안으로는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특수한 파장의 조명광을 방출하고 이의 반사광을 촬영하고, 촬영된 혈관 영상을 스마트폰에서 영상처리함으로써, 혈관의 모양 및 위치가 육안으로 보기 쉽게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110)의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된 혈관 영상으로부터 대상 지점에 대한 각종 정보 및/또는 촬영된 혈관에 관련한 각종 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20)은 근적외선에 해당하는 제1파장의 조명광과, 원적외선에 해당하는 제2파장의 조명광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물론, 조명광의 파장들은 다른 종류의 광을 이용할 수도 있다. 광원이 이용할 수 있는 파장은, 가청음파, 초음파, 라디오 통신용 전파, 적외선, 임의 색깔의 가시광선, 자외선, X선, 감마선, 우주선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어떤 파장은 광이라고 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다양한 파장을 모두 포괄하여 조명광으로써 통칭한다.
한편, 카메라(130)는, 제1파장의 조명광에 의한 반사광을 촬영하여 제1혈관영상을 생성하고, 제2파장의 조명광에 의한 반사광을 촬영하여 제2혈관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제어부(112)는, 각 혈관영상을 서로 조합하여 혈관의 모양이 주변에 비하여 최대한 선명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처리작업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혈관영상과 제2혈관영상에는, 동일한 영상처리가 수행되거나 각 파장에 대응하는 별개의 영상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12)는, 혈관의 모양을 식별하고, 식별된 혈관에 임의의 다른 색깔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맥 혈관을 식별하면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동맥 혈관을 식별하면 빨간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혈관 영상으로부터, 혈관의 굵기, 혈류량 및 혈류 방향/속도, 산소포화도 등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표시하는 안내를 추가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주사 바늘을 주입하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 해당 위치에서의 주사 바늘의 진입 방위각 및/또는 진입 고도각을 표시해줄 수도 있다.
제어부(112)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프레임(180)은, 광원(120) 및 카메라(130) 중 적어도 하나의 향하는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팬/틸트 구동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스마트폰의 제어부(112)는, 프레임(180)에 구비된 팬/틸트 구동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전원 모듈(190)은 프레임(180)의 일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물론, 전원 모듈(190)은 스마트폰(110)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하면, 대상자가 대상 지점을 광원(120)과 카메라(130)가 향하는 방향에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못했더라도, 사용자가 스마트폰(110)을 이용하여 팬/틸트 구동 모듈을 조정하여 원하는 대상 지점으로 광원과 카메라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팬/틸트 구동 모듈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대상자의 대상 지점의 주변 영역을 두루 촬영하고, 대상 지점 주변 영역의 모든 혈관을 표시하는 혈관 지도를 작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에 의하면, 의료진이나 배움을 통해 선의 활동을 하려고 하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이고 활용가능한 보조용 혈관 정맥 탐지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소아나 노약자, 신체적 특수성으로 인해 혈관을 찾아내기가 어려운 환자들이 각종 주사나 검사용 채혈, 링거 투약 시 경험하는 각종 스트레스를 해결하고 효과적인 시간 절약과 의료진과 환자가 상호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제품으로 유용하다. 더욱,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는 의료용 혈관탐지의 용도로 국한된 것이 아니라, 학교실험용 과학기기, 연구실 등에서도 효과적으로 변경 이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마트폰의 영상 표시부(113)에는 현재 촬영되고 있는 대상 지점의 혈관 영상이 표시된다. 여기서, 혈관의 위치 및 모양이 임의의 색깔로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주사 바늘을 주입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 주사 바늘을 주입하는 최적의 방위각 및 고도각이 도식적으로 및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더욱, 혈관 영상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주사 바늘이 주입될 지점에서의 혈관의 종류, 혈관의 굵기, 혈류 속도, 산소 포화도 등이 추가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고안과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110: 스마트폰
120: 광원
130: 카메라
140: 통신모듈
150: 유선선로
180: 프레임

Claims (8)

  1.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소정의 유선 선로를 통해서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영상 신호에 소정의 영상처리를 수행한 후 영상처리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소정의 조명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상기 조명광이 대상자의 피부 및 혈관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촬상하여 혈관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촬영된 상기 혈관 영상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영상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영상 수신부와의 통신을 지원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유선 선로;
    상기 광원, 상기 카메라,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유선 선로를 탑재하며, 상기 광원과 상기 카메라가 상기 대상자의 대상 지점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유선 선로가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가 사용자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방출하는 상기 조명광은,
    가청음파, 초음파, 라디오 통신용 전파, 적외선, 임의 색깔의 가시광선, 자외선, X선, 감마선, 우주선 중 적어도 하나의 범위에 포함하는 파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서로다른 파장 범위를 갖는 2이상의 조명광을 방출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어부는, 서로다른 파장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혈관 영상을 수신하면, 각각의 혈관 영상에 대하여 동일한 또는 서로다른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영상처리된 각각의 혈관 영상을 서로 합성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혈관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혈관영상으로부터 혈관의 위치 및 연장된 형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혈관에 소정의 안내 표시를 부가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부가되는 상기 안내 표시는, 주사 바늘의 진입 방위각 및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진입 고도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 표시로서, 상기 혈관의 굵기, 정맥인지 동맥인지, 혈류량 및 혈류 방향/속도,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혈관 형태에 임의의 색깔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원 및 상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향하는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팬/틸트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틸트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대상자의 대상 지점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촬영하여 혈관 지도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혈관 지도를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선로는, 소정의 무선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 통신 수단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KR2020150002688U 2015-04-24 2015-04-24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KR201600038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688U KR20160003803U (ko) 2015-04-24 2015-04-24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688U KR20160003803U (ko) 2015-04-24 2015-04-24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03U true KR20160003803U (ko) 2016-11-02

Family

ID=5748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688U KR20160003803U (ko) 2015-04-24 2015-04-24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80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8949A (zh) * 2017-10-10 2018-03-13 青岛浦利医疗技术有限公司 动脉血管显像装置及血管显像仪
KR20180121082A (ko) * 2017-04-28 2018-11-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맥혈관 네비게이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111786A1 (ko) * 2018-11-28 2020-06-04 주식회사 마쥬텍 카테터 가이드시스템
KR102265702B1 (ko) * 2019-12-20 2021-06-16 (주)메디센텍 근적외선을 이용한 표재정맥 및 혈관이상 실시간 탐지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082A (ko) * 2017-04-28 2018-11-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맥혈관 네비게이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788949A (zh) * 2017-10-10 2018-03-13 青岛浦利医疗技术有限公司 动脉血管显像装置及血管显像仪
WO2020111786A1 (ko) * 2018-11-28 2020-06-04 주식회사 마쥬텍 카테터 가이드시스템
KR20200063643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마쥬텍 카테터 가이드시스템
KR102265702B1 (ko) * 2019-12-20 2021-06-16 (주)메디센텍 근적외선을 이용한 표재정맥 및 혈관이상 실시간 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0405B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96396B1 (ko) 비접촉 체온 측정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492873B2 (en) Medical spatial orientation system
KR20160003803U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JP6700703B2 (ja) 静脈可視化装置
KR20120119523A (ko)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CN107411701A (zh) 测量眼球运动的可头戴装置
JP2006280938A (ja) 安全な眼球検出
US974111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6102110A (ja) 血管位置提示装置
US9962837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robot by brain electrical signals
KR101503838B1 (ko) 정맥 가시화 장치
US116947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4207760A (zh) 可携式电子装置
JP2016073483A (ja) 生体情報取得装置
JP2019042412A5 (ko)
US20170205949A1 (en) Touch panel device
US20210177284A1 (en) Medical observation system, medical observ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edical observation apparatus
KR101740602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혈관투시장치
US10778914B2 (en) Portable multispectral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reducing interference of displayed images thereof
US20210128265A1 (en) Real-Time Ultrasound Imaging Overlay Using Augmented Reality
CN203898276U (zh) 一种静脉成像指示装置
EP3709887B1 (en)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measurement system
CN105785749B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JP2021045272A (ja) 鍼刺用エコーガイ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