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721U - 편리한 도끼 - Google Patents
편리한 도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3721U KR20160003721U KR2020150002515U KR20150002515U KR20160003721U KR 20160003721 U KR20160003721 U KR 20160003721U KR 2020150002515 U KR2020150002515 U KR 2020150002515U KR 20150002515 U KR20150002515 U KR 20150002515U KR 20160003721 U KR20160003721 U KR 2016000372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
- cutout
- engaging
- wooden object
- halv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3/00—Axes; Hatch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75—W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무 대상물을 편리하게 쪼개는 도끼로서, 나무 대상물의 상단에 날의 올려 놓인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날로 가해지는 항타력 전이에 의해 나무 대상물을 사등분으로 쪼개어지도록 하는 편리한 도끼를 제공함에 따라, 최소한의 힘과 정확한 나무 쪼갬이 보장되므로 힘이 약한 어린이들까지도 도끼 사용이 가능한 전연령층의 도끼 활용을 아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편리한 도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무를 찍어 쪼갤 필요없이 나무 위에 날을 올려놓은 채 전이되는 항타력에 의해 나무 쪼개기가 가능한 편리한 도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끼는 단일품으로 구성된 하나의 날을 구성하고 있는 관계로 나무 장작 상부 방향으로 도끼를 들었다가 하부 방향으로 나무 장작을 내리어 찍는 방식으로 나무 장작을 쪼개고 있다.
이러한 단일품인 하나의 날은 예전의 재래식일 경우 손잡이에 해당되는 긴 막대의 끝 단부에 날을 형성한 두부를 끼워 고정한 상태로 날을 상부 방향으로 들었다가 하부 방향으로 내려치는 형태로 나무를 쪼개어왔다.
하지만, 단품의 날을 갖는 도끼는 나무를 쪼개기 위해 날을 상부 방향으로 들었다가 나무 방향으로 내려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도끼를 든 사람의 힘이 딸리거나 부족할 경우 날이 쪼개고자 하는 나무 부위에 정확히 찍혀지지 않아 원하는 형태로 쪼갤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도끼를 처음으로 접하는 사람일 경우 도끼를 찍는 요령이 서툰 관계로 도끼를 들어 나무를 내려친다 하더라도 내려치는 방향이 부정확하여 나무를 제대로 쪼갤 수 없다.
또한, 힘이 약한 사람들이나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도 단품의 날을 갖는 도끼를 이용하여 나무 쪼개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힘의 부침으로 인하여 정확한 나무 쪼갬이 어렵고 불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도끼를 자동화된 기계 장치와 접목시켜 작업자의 힘을 빌리지 않고서도 도끼를 기계 장치의 동력 힘을 빌려 자동으로 내려찍는 작동을 반복 수행토록 하여 나무를 쪼갤 수 있는 기술들도 개시된바 있다.
하지만, 도끼를 기계 장치와 접목시킨 기술은 제작에 소모되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나무를 소량으로 쪼개는 가정 용도의 도끼 기술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소량의 나무 쪼갬 작업에 기계 장치까지 동반해야 하고 기계 장치의 구동 이전에 세팅하는 작업성 또한 불편하고 번거롭다.
한편, 도끼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들로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정용 및 개인 용도로서 나무를 쪼개기 위한 최소한의 힘으로 나무를 효율적으로 쪼갤 수 있는 편리한 도끼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나무 대상물을 쪼개는 도끼에 있어서, 나무 대상물의 상단에 날의 올려 놓인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날로 가해지는 항타력 전이에 의해 나무 대상물을 사등분으로 쪼개어지도록 하는 편리한 도끼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도끼는, 나무 대상물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며 나무 대상물의 쪼갬 도중 이등분에서 사등분으로 쪼개는 교차 결합 형태의 절취부와, 상기 절취부의 상단 중앙에서 수직 상부 방향으로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절취부의 축 담당을 하는 파이프 형상의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 진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려치는 방식으로 생성된 항타력을 상기 절취부에 전이시키는 항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리한 도끼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절취부는, 교차 형태로 용접 결합되는 제1,2 절취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2 절취부는 상호 간에 교차될 수 있게 제1 절취부의 상단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고, 제2 절취부의 하단 중앙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함몰된 각각의 물림홈과, 나무 대상물의 쪼개짐 과정에서 나무 대상물을 이등분으로 쪼개고, 나무 대상물이 이등분으로 쪼개어지는 도중에 나무대상물을 사등분으로 쪼개기 시작하는 제1,2 절취부의 각각에 상호 간 높이 단차가 형성된 절단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취부에 형성된 절단날은 상기 제1 절취부에 형성된 절단날의 형성 구간을 표시한 경계선 위치에 일치되어 절단날 상호 간의 높이 단차가 형성되는 편리한 도끼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도끼는, 나무 대상물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며 나무 대상물의 쪼갬 도중 이등분에서 사등분으로 쪼개는 교차 조립 형태의 절취부와, 상기 절취부의 상부 중앙에서 수직 상부 방향으로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절취부의 축 담당을 하는 파이프 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 진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려치는 방식으로 생성된 항타력을 상기 절취부에 전이시키는 항타부, 및 상기 절취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서 탈부착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절취부의 조립 또는 분리와 함께, 상기 절취부와 상기 수용부의 조립 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항타부를 통하여 생성된 항타력을 상기 절취부에 전이시키는 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리한 도끼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절취부는, 교차 형태로 체결 결합되는 제1,2 절취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2 절취부는 상호 간에 교차될 수 있게 제1 절취부의 상단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고, 제2 절취부의 하단 중앙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함몰된 각각의 물림홈과, 상기 제1 절취부의 물림홈에는 다각 형상으로 돌출된 물림각몸체와, 상기 물림각몸체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상태로 상기 탈착부의 하단에 삽입체결되는 볼트, 및 상기 제2 절취부의 물림홈과 연통되어 상기 물림각몸체를 삽입하는 다각 형상의 물림홀을 더 포함하고, 나무 대상물의 쪼개짐 과정에서 나무 대상물을 이등분으로 쪼개고, 나무 대상물이 이등분으로 쪼개어지는 도중에 나무대상물을 사등분으로 쪼개기 시작하는 제1,2 절취부의 각각에 상호 간 높이 단차가 형성된 절단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절취부에 형성된 절단날은 상기 제1 절취부에 형성된 절단날의 형성 구간을 표시한 경계선 위치에 일치되어 절단날 상호 간의 높이 단차가 형성되는 편리한 도끼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탈착부는, 교차형으로 조립된 상기 절취부의 중앙 상부로 노출된 볼트에 하단이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절취부의 제1,2 절취부까지 고정시키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의 상단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걸림 고정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단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탈착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리한 도끼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탈착구는 오목한 라운드 형상의 걸림면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볼트에 회전되며 체결 고정되는 하단에 형성된 체결너트와, 중앙 양측에서 힌지 상태로 연결된 채, 상단으로 상기 탈착구의 삽입 시에 젖힘 작동에 의해 상기 탈착구의 걸림면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탈착구의 걸림면을 걸림 고정하는 가압레버를 더 포함하는 편리한 도끼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편리한 도끼는 소량으로 나무를 쪼개기 위하여 소모될 수 있는 작업자의 힘을 최소화하고 이러한 힘을 이용한 나무 쪼갬이 용이하여 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편리한 도끼는 소량의 나무 쪼갬 작업에 있어서 최소한의 힘을 이용할 수 있고 정확한 나무 쪼갬이 가능하여 성인뿐만 아니라 유약한 체력을 가진 사람이나 어린이들까지도 사용 가능한 전연령층의 도끼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편리한 도끼는 소량의 나무 쪼갬 작업성에 이용되는 목적으로 안출된 관계로 구매 비용이나 제작 비용이 매우 절감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가정용 또는 개인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격일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한 편리한 도끼는 도끼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을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직접 쉬운 방식으로 조립 체결하여 완성품으로 만들 수도 있고, 도끼 사용 이후 다시 완성품을 여러 부품으로 분리하여 휴대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편리한 도끼에 대한 제1 실시 예로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항타부와 수용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절취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절취부에 형성된 이중 날의 위치 및 경사각을 도시한 절취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편리한 도끼에 대한 제2 실시 예로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항타부와 수용부와 절취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수용부와 탈착부와 절취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리에 절취부의 제1,2 절취부 간의 분리까지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2 실시 예로 제시된 편리한 도끼를 나무 상단에 올려놓은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의 개념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항타부를 들어올려 하부로 항타함에 따른 나무의 쪼개짐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항타부와 수용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절취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절취부에 형성된 이중 날의 위치 및 경사각을 도시한 절취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편리한 도끼에 대한 제2 실시 예로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항타부와 수용부와 절취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수용부와 탈착부와 절취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리에 절취부의 제1,2 절취부 간의 분리까지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2 실시 예로 제시된 편리한 도끼를 나무 상단에 올려놓은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의 개념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항타부를 들어올려 하부로 항타함에 따른 나무의 쪼개짐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의 개념도이다.
본 고안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울러, 하기 본 고안에서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해석한 확장 범위까지 포함하는 권리범위로 인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편리한 도끼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에 의한 편리한 도끼가 하기 유첨된 도면과 함께 설명됨에 있어 도 1 내지 도 4에 해당되는 도면들의 경우 본 고안의 도끼를 제1 실시 예로 제시하였고, 도 5 내지 도 8에 해당되는 도면들의 경우 본 고안의 도끼를 제2 실시 예로 제시하였으며, 도 9 내지 도 10의 도면들의 경우 본 고안의 도끼에 작용되는 항타력 전이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편리한 도끼가 제1 실시 예로 제시될 경우 하기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된다.
본 고안의 편리한 도끼(100)는, 나무를 내리쳐 쪼갤 수 있는 한 쌍의 절취부(110)가 교차형 상태로 용접되는 구성이며, 상기 한 쌍의 절취부(110) 상단에서 수직으로 용접되어 결합 고정된 긴 파이프 형상의 수용부(130)와, 상기 수용부(1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취부(110)의 방향으로 항타력을 전이시키는 항타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절취부(110)는 제1 절취부(111)와 제2 절취부(121)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 절취부(111)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절취부(121)가 제1 절취부(111)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수직 교차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 절취부(111,121)는 교차 형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상호 간 용접 작업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제1,2 절취부(111,121)가 교차 형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제1 절취부(111)가 하나의 단품일 경우 제2 절취부(121)는 제1 절취부(111)의 중앙 양단에 각각 용접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게 복수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절취부(121)가 제1 절취부(111)와 교차형을 이루기 위해 제1 절취부(111)가 하나의 단품일 경우 제2 절취부(121)도 하나의 단품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절취부(111)의 상단 중앙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물림홈(112)과 제2 절취부(121)의 하단 중앙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물림홈(122)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절취부(111)는 상기 물림홈(112)을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단에 절단날(113)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절단날(113)의 형성 구간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경계선(114)까지 포함하고 있다.
물론, 상기 제2 절취부(121)도 상기 물림홈(122)을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단에 절단날(123)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의 상기 절단날(123)은 하단 중앙에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상기 물림홈(122) 형성에 의해 분할된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한 쌍의 절단날(123)에 대한 형성 구간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경계선(124)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의 제1 절취부(111)와 제2 절취부(121)가 상호 간에 교차 형태로 용접될 경우, 제2 절취부(121)의 하단에 형성된 절단날(123)의 위치가 상기 제1 절취부(111)의 경계선(114)과 일치됨에 따라, 제1 절취부(111)의 절단날(113)이 제2 절취부(121)의 절단날(123) 보다 하부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있는 형태로 인하여 절단날(113,123) 상호 간의 단차를 두게 된다.
한편, 상호 간에 교차형으로 용접 구성된 상태의 절취부(110) 상단에서 수직으로 용접되어 결합 고정된 수용부(130)는 긴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 형상의 삽입홀(13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수용부(130)의 삽입홀(131)에는 항타부(140)가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이러한 상기 항타부(140)는 봉 타입의 항타봉(141)과 상기 항타봉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용접된 손잡이(142)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특히 상기 항타봉(141)은 상기 삽입홀(131)에 삽입되어 수용부(13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기 때문에 일부가 삽입홀(131)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예로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도끼(100)는 도 9 및 도 10을 참고로 그 작용 관계를 설명하자면, 통나무(T)를 쪼개기 위하여 통나무(T)의 상단 중앙에 절취부(110: 111,121)를 올려놓게 되면, 통나무(T)의 상단면과 접하는 면이 상기 절취부(110,111)의 절단날(113)이 된다.
이 상태에서 항타부(140)의 손잡이(142)를 잡고 항타부(140)를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항타봉(141)의 대부분이 수용부(130)의 삽입홀(131)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항타부(140)의 손잡이(142)를 하부 방향으로 힘껏 순간 힘을 가하여 신속히 내리면 상기 수용부(130)의 삽입홀(131)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항타봉(141)이 빠른 속도로 삽입홀(131)로 다시 유입되면서 이동되다가 항타봉(141)의 하단 끝단이 절취부(110: 111,112)의 상단 중앙면을 강하게 항타함에 따라 항타력이 상기 절취부(110: 111,112)에 순간적으로 전이되면서 통나무(T)의 상단 중앙에 접하고 있던 절취부(111)의 절단날(113)이 통나무(T)를 순식간에 타격하여 통나무(T)를 점진적으로 이등분하며 쪼갤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절취부(111)의 절단날(113)이 통나무(T)를 이등분으로 쪼개는 진행 도중에 상기 절단날(113)과 단차를 두고 있는 상기 절취부(121)의 절단날(123)이 통나무(T)의 중앙 상단에 도달하게 되면서, 통나무(T)는 이제 상기 두 개의 절단날(113,123)에 의해 사등분으로 쪼개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날(113,123) 상호 간에 단차를 둔 이유는, 통나무(T)를 쪼개는 작업에 요구되는 가압 힘을 최소화하며 가압 힘을 고르게 분배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절단날(113)이 통나무(T)의 일부를 먼저 이등분으로 쪼개어 줌에 따라 차후 통나무(T)를 쪼개기 시작하는 상기 절단날(123)은 통나무(T)의 일부가 이등분으로 쪼개어진 각각을 다시 이등분으로 쪼개기 때문에 그만큼 통나무(T)의 굵기가 가늘어져 통나무(T)를 쪼개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고 두 절단날(113,123)로 힘이 효율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한편, 통나무(T) 상에 절취부(110)를 올려놓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용부(130)에 삽입된 항타부(140)의 손잡이(142)를 잡아 들어올린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간 힘을 발휘해 가격하게 되면, 항타봉(141)의 항타 충격으로 생성되는 항타력이 절취부(110: 111,121)에 순간적으로 전이됨에 따라 절취부(110: 111,121)의 가압력에 의해 통나무(T)의 쪼갬이 이루어져, 종래의 도끼를 나무에서 상방향으로 이격시켜 내려찍는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쪼갬의 부정확성을 방지하는 효과도 발휘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편리한 도끼가 제2 실시 예로 제시될 경우 하기의 도 5 내지 도 8을 참고로 설명된다.
본 고안의 편리한 도끼(100)는, 나무를 내리쳐 쪼갤 수 있는 한 쌍의 절취부(110)가 교차형 상태로 조립되는 구성이며, 상기 한 쌍의 절취부(110) 상단에서 수직으로 체결 고정된 긴 파이프 형상의 수용부(130)와, 상기 수용부(1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취부(110)의 방향으로 항타력을 전이시키는 항타부(140)와, 상기 수용부(130) 및 상기 절취부(110) 사이로 체결되는바 상기 절취부(110) 및 상기 수용부(130)를 각각 탈착할 수 있는 탈착부(15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한 쌍의 절취부(110)는 제1 절취부(111)와 제2 절취부(121)로 구성되는데, 제1,2 절취부(111,121)에 구성된 물림홈(112,122), 절단날(113,123), 경계선(114,124)은 상술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관계로 그 설명을 생략하되, 상기 물림홈(112)에는 다각 형상의 물림각몸체(112a) 및 상기 물림각몸체에서 상부로 연장된 볼트(112b)와 함께, 상기 물림홈(122)과 연통된 다각 형상의 물림홀(122a)을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절취부(111)와 제2 절취부(121)가 상호 간에 교차 형태로 조립될 때, 상기 물림홈(112)에 형성된 상기 물림각몸체(112a)는 상기 물림홈(122)과 연통된 물림홀(122a)에 삽입되어 제1,2 절취부(111,121) 간의 유동성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물림홀(122a)을 관통하여 상기 물림홀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112b)는 후술되는 탈착부(150)의 체결구(153)에 하단에 의해 견고히 조여짐에 따라, 상기 제1,2 절취부(111,121) 상호 간의 유동성을 완전히 방지하며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탈착부(150)는 체결구(153)와 상기 체결구(153)의 상단에서 삽입되어 걸림 체결되는 탈착구(15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탈착구(151)는 수용부()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53)는 상단에서 탈착구(151)와 걸림 방식으로 체결되고 하단에서 상기 볼트(112b)와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구(153)는 상단에 상기 탈착구(151)를 삽입하는 삽입홀(154)과, 중앙 좌우편에서 힌지 상태로 연결된 가압레버(155)와, 하단에 상기 볼트(112b)에 체결되는 체결너트(15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레버(155)는 상기 탈착구(151)가 삽입홀(154)에 삽입될 때에 젖힘 동작을 통하여 상기 탈착구(151)에 형성된 오목한 라운드 형상의 걸림면(155)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탈착구(151)의 걸림면(155)에 대한 걸림을 이루도록 함에 따라 탈착구(151)의 걸림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체결너트(156)는 상기 볼트(112b)를 조이는 방식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절취부(110)인 제1,2 절취부(111,121) 상호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30) 및 상기 항타부(140)는 상술된 제1 실시 예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별도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로 구성된 도끼(100)는 절취부(110), 수용부(130), 항타부(140)에 더하여 탈착부(150)를 더 부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탈착부(150)의 구성으로 인하여, 절취부(110) 및 수용부(130) 간의 탈착 조립이 가능하고, 아울러 상기 절취부(1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절취부(111) 및 제2 절취부(121) 간의 탈착 조립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로 제시된 도끼(100)의 완성품은 조립성에 대한 용이성과 함께, 도끼(100)의 사용 이후 도끼 완성품을 각 부품으로 분해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로 구성된 도끼(100)의 작용 관계는 제1 실시 예와 유사하여 상세 설명은 생략하되, 탈착부(150)가 더 부가된 관계로 도끼(100) 완성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항타부(140)의 항타봉(141) 타격 시에 가해지는 힘이 탈착부(150)를 통하여 절취부(110)로 전이됨에 따라, 힘의 전달 경로가 더하여져 나무 쪼갬이 더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100: 도끼
110: 절취부
111: 제1 절취부 112: 물림홈 113: 절단날
114: 경계선 112a: 물림각몸체, 112b: 볼트
121: 제2 절취부 122: 물림홈 123: 절단날
124: 경계선 122a: 물림홀
130: 수용부 131: 삽입홀
140: 항타부 141: 항타봉
142: 손잡이
150: 탈착부 151: 탈착구 152: 걸림면
153: 체결구 154: 삽입홀 155: 가압레버
156: 체결너트
111: 제1 절취부 112: 물림홈 113: 절단날
114: 경계선 112a: 물림각몸체, 112b: 볼트
121: 제2 절취부 122: 물림홈 123: 절단날
124: 경계선 122a: 물림홀
130: 수용부 131: 삽입홀
140: 항타부 141: 항타봉
142: 손잡이
150: 탈착부 151: 탈착구 152: 걸림면
153: 체결구 154: 삽입홀 155: 가압레버
156: 체결너트
Claims (7)
- 나무 대상물을 쪼개는 도끼에 있어서,
나무 대상물의 상단에 날의 올려 놓인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날로 가해지는 항타력 전이에 의해 나무 대상물을 사등분으로 쪼개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도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끼는, 나무 대상물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며 나무 대상물의 쪼갬 도중 이등분에서 사등분으로 쪼개는 교차 결합 형태의 절취부;
상기 절취부의 상단 중앙에서 수직 상부 방향으로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절취부의 축 담당을 하는 파이프 형상의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 진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려치는 방식으로 생성된 항타력을 상기 절취부에 전이시키는 항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도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교차 형태로 용접 결합되는 제1,2 절취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2 절취부는 상호 간에 교차될 수 있게 제1 절취부의 상단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고, 제2 절취부의 하단 중앙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함몰된 각각의 물림홈;
나무 대상물의 쪼개짐 과정에서 나무 대상물을 이등분으로 쪼개고, 나무 대상물이 이등분으로 쪼개어지는 도중에 나무대상물을 사등분으로 쪼개기 시작하는 제1,2 절취부의 각각에 상호 간 높이 단차가 형성된 절단날;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취부에 형성된 절단날은 상기 제1 절취부에 형성된 절단날의 형성 구간을 표시한 경계선 위치에 일치되어 절단날 상호 간의 높이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도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끼는, 나무 대상물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며 나무 대상물의 쪼갬 도중 이등분에서 사등분으로 쪼개는 교차 조립 형태의 절취부;
상기 절취부의 상부 중앙에서 수직 상부 방향으로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절취부의 축 담당을 하는 파이프 형상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 진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려치는 방식으로 생성된 항타력을 상기 절취부에 전이시키는 항타부; 및
상기 절취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서 탈부착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절취부의 조립 또는 분리와 함께, 상기 절취부와 상기 수용부의 조립 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항타부를 통하여 생성된 항타력을 상기 절취부에 전이시키는 탈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도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교차 형태로 체결 결합되는 제1,2 절취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2 절취부는 상호 간에 교차될 수 있게 제1 절취부의 상단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고, 제2 절취부의 하단 중앙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함몰된 각각의 물림홈;
상기 제1 절취부의 물림홈에는 다각 형상으로 돌출된 물림각몸체;
상기 물림각몸체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상태로 상기 탈착부의 하단에 삽입체결되는 볼트;
상기 제2 절취부의 물림홈과 연통되어 상기 물림각몸체를 삽입하는 다각 형상의 물림홀;
을 더 포함하고,
나무 대상물의 쪼개짐 과정에서 나무 대상물을 이등분으로 쪼개고, 나무 대상물이 이등분으로 쪼개어지는 도중에 나무대상물을 사등분으로 쪼개기 시작하는 제1,2 절취부의 각각에 상호 간 높이 단차가 형성된 절단날;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절취부에 형성된 절단날은 상기 제1 절취부에 형성된 절단날의 형성 구간을 표시한 경계선 위치에 일치되어 절단날 상호 간의 높이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도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교차형으로 조립된 상기 절취부의 중앙 상부로 노출된 볼트에 하단이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절취부의 제1,2 절취부까지 고정시키는 체결구;
상기 체결구의 상단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걸림 고정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단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탈착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도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구는 오목한 라운드 형상의 걸림면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볼트에 회전되며 체결 고정되는 하단에 형성된 체결너트;
중앙 양측에서 힌지 상태로 연결된 채, 상단으로 상기 탈착구의 삽입 시에 젖힘 작동에 의해 상기 탈착구의 걸림면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탈착구의 걸림면을 걸림 고정하는 가압레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도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515U KR200484940Y1 (ko) | 2015-04-20 | 2015-04-20 | 편리한 도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515U KR200484940Y1 (ko) | 2015-04-20 | 2015-04-20 | 편리한 도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721U true KR20160003721U (ko) | 2016-10-28 |
KR200484940Y1 KR200484940Y1 (ko) | 2017-11-09 |
Family
ID=5723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2515U KR200484940Y1 (ko) | 2015-04-20 | 2015-04-20 | 편리한 도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4940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09046A (en) * | 1977-06-13 | 1980-06-24 | Lavigne & Gauthier, Inc. | Log quartering wedge |
US5495878A (en) * | 1995-03-10 | 1996-03-05 | R.E.M. Incorporated | Hand held log splitter |
KR20130002285U (ko) | 2011-10-06 | 2013-04-16 | 이충세 | 수직형 유압 도끼 |
KR20140093565A (ko) | 2013-01-18 | 2014-07-28 | 김정수 | 경사 돌출부를 갖는 도끼 |
-
2015
- 2015-04-20 KR KR2020150002515U patent/KR20048494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09046A (en) * | 1977-06-13 | 1980-06-24 | Lavigne & Gauthier, Inc. | Log quartering wedge |
US5495878A (en) * | 1995-03-10 | 1996-03-05 | R.E.M. Incorporated | Hand held log splitter |
KR20130002285U (ko) | 2011-10-06 | 2013-04-16 | 이충세 | 수직형 유압 도끼 |
KR20140093565A (ko) | 2013-01-18 | 2014-07-28 | 김정수 | 경사 돌출부를 갖는 도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4940Y1 (ko) | 2017-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011723A1 (en) | Nail Clipper with Reusable Handles and Disposable Blades | |
US9815216B1 (en) | Apparatus for splitting wood into kindling | |
USD474085S1 (en) | Folding tool with scissors | |
KR200484940Y1 (ko) | 편리한 도끼 | |
US3082652A (en) | Pliers and like tools | |
CA276878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ting wood into kindling | |
US20040200079A1 (en) | Tool with ergonomic soft-grip handle | |
KR20090008356U (ko) | 다기능 가위 | |
TWI619584B (zh) | Tool with pivoting function | |
KR101401318B1 (ko) | 개량된 홀쏘오 | |
KR101145195B1 (ko) | 다기능 망치 | |
CN216803524U (zh) | 可换刀片折叠刀 | |
US1166704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ting logs | |
TWM311494U (en) | Tool to disassemble the chain | |
USD499622S1 (en) | Multipurpose hand tool with folding pliers | |
KR200487562Y1 (ko) |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 |
KR20140093565A (ko) | 경사 돌출부를 갖는 도끼 | |
KR200199320Y1 (ko) | 다기능 조립식 공작가위 | |
CN212553936U (zh) | 一种便于握持的刀具 | |
CN203109073U (zh) | 一种外波纹铆接钳 | |
USD1041283S1 (en) | Utility knife | |
CN201604159U (zh) | 介纸刀 | |
KR200448357Y1 (ko) | 플라스틱 가공용 공구 | |
KR200263275Y1 (ko) | 톱자루 | |
CA1100935A (en) | Tree-felling le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