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416A -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 Google Patents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416A
KR20160003416A KR1020140081723A KR20140081723A KR20160003416A KR 20160003416 A KR20160003416 A KR 20160003416A KR 1020140081723 A KR1020140081723 A KR 1020140081723A KR 20140081723 A KR20140081723 A KR 20140081723A KR 20160003416 A KR20160003416 A KR 20160003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cubator
rotary shaft
ang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718B1 (ko
Inventor
김동회
Original Assignee
김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회 filed Critical 김동회
Priority to KR102014008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7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2Heating arrangements
    • A01K41/023Devices for regulating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2Drinking appliances
    • A01K39/026Drinking appliances kept filled to constant level from incorporated stora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4Controlling humidity in incub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내측에 소정의 실내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실내공간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란구동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고정홀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틀연결수단으로 회전축과 연결되며, 주변부에는 알판이 적재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되는 전란틀;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에 관통된 전란틀이 고정되어 수평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란틀의 저면에 결합되는 베어링이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각도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에 따르면, 회전축이 회전될 때 전란틀의 둘레를 따라 입체적인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 전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부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INCUBATOR WITH MULTI-DIRECTIONAL ANGLE STRUCTURE}
본 발명은 부화기에 관한 것으로, 수직 방향에 대한 입체적인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에 관한 것이다.
부화기는 인공적으로 수정란을 부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조류의 수정란을 부화시키는데 많이 이용 되고 있다. 이러한 부화기는 수정란이 부화 할 수 있도록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고, 수정란을 전란함으로써 부화가 잘 되도록 관리를 한다.
여기서, 전란이라고 하는 것은 수정란 전체에 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치우치지 않는 고른 발생을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자연부화의 경우 어미 새가 부리로 자주 수정란들의 위치와 각도를 돌려주지만, 인공 부화를 하기 위해서는 기계장치나 사람이 어미 새 대신 위치와 방향을 돌려주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부화기는 등록실용신안 제01918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란 틀을 일측 중앙부가 회전축으로 고정되어 있어 수평 회전이 가능 하도록 마련이 되며, 동력부의 작동으로 복수의 전란 틀이 수평 회전하여 복수의 수정란을 전란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부화기는 전란 방향을 수평 또는 전후 한 방향으로만 전란시킴으로써, 어미 새에 의한 전란과 비교하여 부화 환경이 많이 부족하고, 또한 수정란을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한 방향으로만 왕복하는 전란틀을 구비한 수평 전란 방식 또한 수정란의 전란 각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 이 방식 또한 어미 새에 의한 모든 방향과 다양한 각도로의 변화를 주는 전란과 비교하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부화기는 열원 전구 또는 히터를 사용하여 열을 발생 시키고 부화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내부틀 상단에 설치된 팬을 이용하여 내부 공기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방법(공개실용신안 실1999-041446호, 부화기)을 이용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통로에 팬을 작동시켜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부화기(공개실용신안 실2012-3198호, 인공부화기의 가습장치)가 있으나, 상단에 설치된 팬을 이용하는 방법은 부화기 내부 온도의 편차가 큰 단점이 있고, 팬과 통로를 설치한 강제순환 방식은 고정된 설비로서 청소 등 유지 보수에 제약과 불편이 많이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장치와 유입된 물을 일정한 수위를 조절하는 장치와 유입된 물을 히터로 가열하여 습기를 발생 시키는 장치가 종래의 부화기(공개실용신안 실2012-3198호)에 설치된 장치들인데, 물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수위 조절 장치가 자주 고장이 날 수 있고 가열 히터는 고온에 작동 하므로 수명이 비교적 짧은 편이고 이로 인하여 빈번한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부화기는 전란장치 구성품의 대부분이 부화기 내부에 고정이 되어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부화를 한 후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이물질과 분진을 청소하는데 불편함과 한계가 있으며, 전란장치 등 내부 구성품이 고정이 되어 부품의 분리가 불가능하여서 오직 부화 용도로만 제한이 되고 육추 등의 용도로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0191864호 (부화기, 2000.05.30. 등록) 공개실용신안 실1999-41446호 (부화기, 1999.12.15. 공개) 공개실용신안 실2012-3198호 (인공부화기의 가습장치, 2012.05.09.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란틀을 회전축에 연결함과 아울러, 전란틀이 결합되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각도변환부와 전란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고, 회전축의 회전시 전란틀을 스토퍼로 고정한 채, 회전축에 결합된 각도변환부의 회전시 경사면의 위치에 대응하여 전란틀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즉 전란틀의 가장자리를 따라 최고 높이와 최저 높이가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입체적인 전란각이 발생할 수 있도록 된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내측에 소정의 실내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실내공간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란구동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고정홀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틀연결수단으로 회전축과 연결되며, 주변부에는 알판이 적재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되는 전란틀;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에 관통된 전란틀이 고정되어 수평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란틀의 저면에 결합되는 베어링이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각도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는, 상기 전란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란틀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설치되는 콘트롤박스; 상기 콘트롤박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판;상기 상판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상판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도록 체결하는 모터체결부와, 상기 회전축이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모터체결부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축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란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부에 돌출된 체결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연결부에는 상기 체결핀에 끼워지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축연결부와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소정 두께로 둘러싸여 설치되는 단열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벽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온열필름; 상기 하우징의 측부 또는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가습부재; 상기 콘트롤박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부재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공급관으로 연결되는 물공급부재; 상기 가습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발열판; 상기 물공급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저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부재에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에 따르면, 회전축이 회전될 때 전란틀의 둘레를 따라 입체적인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 전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부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부화기 내측벽에 단열부재와 온열필름이 설치되며, 바닥에 가습장치가 마련되어 부화에 필요한 적정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부화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트롤박스 및 도어를 개방하여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란구동부 및 전란틀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전란구동부 및 전란틀과 상판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의 습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1)는 사각 형상을 이루고, 내측에 실내공간이 마련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전면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결합된 도어(20)와, 하우징(10)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경첩(33)에 의해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콘트롤박스(30)가 구비된다. 콘트롤박스(30)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화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청소 및 배선 정리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실내 공간에는 중심부에 회전축(80)이 배치되고, 회전축(80)에 고정된 전란틀(6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란구동부(79)가 하우징(10)의 상측에 마련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란구동부(79) 및 전란틀(60)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우징(10)의 상측에는 콘트롤박스(30)의 하면에 장착되는 상판(31)이 마련되고, 이 상판(31)에 전란구동부(79)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90)이 설치된다.
전란구동부(79)는 구동모터(81)와 구동모터(81)를 상판(31)에 고정하기 위한 모터체결부(82)와, 구동모터(81)의 동력을 회전축(80)에 전달하기 위한 축연결부(83)로 이루어진다.
모터체결부(82)는 구동모터(81)가 상판에 볼트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축연결부(83)는 일단이 구동모터(81)의 모터축에 끼워지고, 타단이 회전축(80)의 상부에 끼워져 구동모터(81)의 동력을 회전축(80)에 전달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나아가, 축연결부(83)에는 체결구멍(83a)이 형성되고, 회전축(80)은 체결핀(80a)이 장착되도록 상부에 체결핀(80a)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80)이 축연결부(83)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회전축(80)의 하부에는 전란틀(60)이 마련되고, 회전축(80)과 전란틀(60)은 틀연결수단(86)으로 고정된다.
틀연결수단(86)은 회전축(80)이 중심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면이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한 각도변환부(84)와, 각도변환부(8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면서 전란틀(60)의 저면에 결합되는 베어링(85)을 포함한다.
각도변환부(84)에는 회전축(80)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각도변환부(84)의 외주면에는 환형 베어링(85)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환형 베어링(85)의 상면에는 전란틀(60)의 저면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80)이 회전되면 각도변환부(84)도 회전축(80)과 일체로 회전되지만 베어링(85)은 회전되지 않고 단지 각도변환부(84) 상면의 경사면을 따라 높낮이와 경사각도만 연속적으로 변함으로써 전란틀(60)에 입체 전란각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전란틀(60)의 축홀(62)이 형성된 중심부에서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는 스토퍼(87)의 하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홀(63)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란틀(60)에는 알판(100)을 적재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전란틀(60)에는 가이드부재로 가이드봉(61)이 다수 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봉(61)은 가이드봉(61) 위에 알판(100)을 적재할 때 알판(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골에 끼워져 알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전란시 알판(100)의 흔들림을 줄이고, 알판(100)에 수용된 수정란이 알판(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란틀(60)은 가이드봉(61)을 사용하여 알판(100)을 지지하는 구조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판재 형상으로 구성하면서 각 변에 알판(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돌출턱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고정브라켓(90)에는 전란틀(60)의 회전을 방지하고, 전란틀(60)이 수직 방향의 전란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87)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87)는 전란틀(6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고정브라켓(90)에서 수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전란틀(60)에 형성된 가이드홀(63) 내측에 하부가 삽입된다. 또한, 스토퍼(87)의 상부는 고정브라켓(90)의 저면에 스토퍼고정부(88)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내측에는 부화기(1) 내부 온도를 부화에 적합한 온도로 만들어주기 위한 단열부재(51)가 하우징(10)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즉, 도어(20)가 설치된 전면을 제외하고 후면과 좌우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단열부재(51)는 부화기(1) 내부 열손실을 막기 위하여 예컨대 경질 우레탄 보드 및 열반사용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단열재는 전체적으로 20mm ~ 25mm 범위의 두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측부와 상판(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11)이 설치되어 부화기(1)의 실내온도가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강제로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공간에 온풍을 불어 넣을 수 있으며, 과열된 실내공간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환기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팬(11)은 하우징(10)의 여러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면, 후면 및 좌우측면에 하나 이상 설치하여 내부 공기 순환을 빠르게 하여 부화기(1)의 실내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실내공간의 환기시에 신속하게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하우징(10)의 실내공간에는 하우징(10)의 내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사각 형상의 프레임(14)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전면부에는 내측도어(22)가 프레임(14)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4)의 좌우측면부와 후면부에는 온열필름(50)이 설치되어 프레임(14)의 벽을 이루도록 한다.
하우징(10)의 측벽과 온열필름(5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온열필름(50)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팬(11)을 이용하여 이격된 공간 내에서 강제로 순환시킬수 있다. 이때, 온열필름(50)이 프레임(14)의 벽을 이루는 측면에는 2 cm 정도의 갭을 형성하여, 부화기(1)의 실내공간에 온풍을 공급하거나 실내공간의 내부열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4)의 전면부에 형성된 내측도어(22)에도 상측과 하측에 10 mm ~ 15 mm 정도의 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내공간에 온풍의 출입을 통하여 강제순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외부로 손실되는 열에 의한 부화기(1) 실내온도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내 온도를 최적의 온도로 항상 유지시킬 수 있다.
나아가, 하우징(10) 내부에 수정란의 인공 부화에 적정한 습도를 제공하도록 가습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습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발열판(120)의 발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부재(110), 가습부재(11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재(130), 가습부재(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습부재(110)의 물을 가열하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판(120)을 포함한다. 나아가, 물공급부재(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위와 고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31)와, 수위감지센서(131)로부터 저수위가 감지되면 물공급부재(130)에 물을 보충하도록 물공급부재(130)의 상측에는 물보충부재(4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물공급부재(130)는 콘트롤박스(30) 내부의 빈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물공급부재(130)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콘트롤박스(30)의 상면은 개방이 가능하도록 덮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박스(30)는 전면에 부화기(1)의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32)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패널(32)에는 온열필름(50)에 의해 부화 적정 온도로 온열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온도를 입력할 수 있는 온도콘트롤러와, 가습량을 조절하도록 발열판(120)의 설정온도를 입력하기 위한 습도컨트롤러(111)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콘트롤러와 습도컨트롤러(111)에는 각각 현재 실내온도와 현재 실내습도가 표시되고, 설정온도와 설정습도를 입력하기 위한 조절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패널(32)에는 전원 ON/OFF 스위치, 구동모터(8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란 ON/OFF 스위치, 팬 작동을 위한 팬 ON/OFF 스위치, 저수위경보기, 과열온도경보기, 과열온도알람용 램프 및 저수위알람용 수위감지램프(132)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부화기(1)를 작동시키기 전에 부화기(1) 실내 공간에 마련된 전란틀(60)의 가이드봉(61)에 다수의 수정란을 수용하고 있는 알판(100)을 적재시킨다. 전란틀(60)은 다수 개가 구비되어 복수 층 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전란틀(6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2전란틀(60,70)을 구비하여 제1전란틀(60)과 제2전란틀(7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고리형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할 수 있으며, 상호 연결된 제1,2전란틀(60,70)은 제1전란틀(60)의 전란각에 맞춰 제2전란틀(70)도 동시에 움직이게 되어 전란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제1,2전란틀(60,70) 내에 알판(100)을 적재시에는 고리를 개방하여 상호 분리한 다음, 각각의 전란틀(60,70)에 수정란이 수용된 알판(100)을 적재한 후 개방된 고리 부분을 연결하여 전란틀(60,70) 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란틀(60)에 알판(100)을 적재한 후 전란 스위치를 ON 상태로 하여 구동모터(81)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81)에 축연결부(83)로 연결된 회전축(8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축(80)과 평행하게 배치된 스토퍼(87)는 전란틀(60)의 가이드홀(63)에 삽입되어 있어서 전란틀(6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스토퍼(87)의 하부가 가이드홀(63)에 끼워져 있어서 전란틀(60)의 회전이 제한되고, 각도변환부(84)와 결합된 베어링(85)의 상면에 고정된 전란틀(60)은 각도변환부(84)가 이루는 대략 40도 ~ 45도의 각도에 의해 단지 각도의 변화만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입체적인 전란각을 이루어 전란틀(60)이 움직이게 된다. 입체적인 전란각에 의해 수정란의 전란이 골고루 이루어져 부화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80)의 회전 속도는 수정란의 부화를 위해서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2시간에 25초간 160도를 회전하도록 하여 축 회전시 각도변환부(84)의 움직임에 의해 전란틀(60)이 이루는 각도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부화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부화기(1)에는 실내 공간의 부화 적정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도록 온열필름(50) 및 가습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온열필름(50)은 전원을 공급받아 부화기(1)의 실내공간이 부화 적정 온도를 갖도록 온열을 제공하며, 온열필름(50)이 설치된 프레임(14)과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된 단열부재(51) 사이에는 이격된 거리만큼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여 실내공간의 열손실이 적도록 한다.
또한, 가습장치는 가습부재(110)의 하부에 마련된 발열판(120)을 작동시켜 발열에 의해 가습부재(110)에 공급된 물을 가온시켜 발생된 수증기를 상부의 실내공간으로 보냄으로써, 실내공간의 습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습도컨트롤러(111)에 일체로 형성된 표시부에서 현재 습도를 확인하고, 부화에 필요한 적정 습도를 유지하도록 발열판(120)의 설정온도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습도컨트롤러(111)와 발열판(120)이 제어선(114)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습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습도를 확인하기 위한 습도센서(115)가 포함되며, 물공급부재(130)로부터 물공급관(113)을 통하여 적정량의 물을 공급받기 위한 부력기(116)와 조절밸브(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물공급부재(130)에는 수위감지센서(131)가 구비되어 저수위 및 고수위를 체크할 수 있으며, 저수위시 물 공급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수위감지램프(131) 및 저수위경보기가 제어패널(32)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어(20)에는 내부에 마련된 수정란의 부화 경과 과정을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도어글래스(2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정란에서 부화된 후에는 병아리의 육추가 가능하도록 회전축(80), 전란구동부(79), 전란틀(60)을 모두 제거한 후, 가습부재(110)의 상측에 하나 이상의 육추용 보호망을 설치할 수 있으며, 병아리의 배설물을 받기 위한 배설물받침대를 부화기(1) 실내공간의 바닥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80)은 상부에 돌출된 체결핀(8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연결부(83)에는 체결핀(80a)이 끼워지는 체결구멍(83a)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축(80) 삽입시 체결핀(80a)이 눌려지고, 체결구멍(83a)이 위치한 곳에 도달하여 체결구멍(83a)에 끼워져 장착되며, 회전축(80)을 축연결부(83)로부터 분리시에는 체결구멍(83a)에 고정된 체결핀(80a)이 가압에 의해 쉽게 탈착이 가능하여 회전축(80)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1 ; 부화기 10 ; 하우징
11, 12, 13 ; 팬 14 ; 프레임
20 ; 도어 21 ; 도어글래스
22 ; 내측도어 30 ; 콘트롤박스
31 ; 상판 32 ; 제어패널
33 ; 경첩 40 ; 물보충부재
50 ; 온열필름 51 ; 단열부재
60 ; 제1 전란틀 61 ; 가이드봉
62 ; 축홀 63 ; 가이드홀
70 ; 제2 전란틀 79 ; 전란구동부
80 ; 회전축 80a ; 체결핀
81 ; 구동모터 82 ; 모터체결부
83 ; 축연결부 83a ; 체결구멍
84 ; 각도변환부 85 ; 베어링
86 ; 틀연결수단 87 ; 스토퍼
88 ; 스토퍼고정부 90 ; 고정브라켓
100 ; 알판 110 ; 가습부재
111 ; 습도컨트롤러 112 ; 조절밸브
113 ; 물공급관 114 ; 제어선
115 ; 습도센서 116 ; 부력기
120 ; 발열판 130 ; 물공급부재
131 ; 수위감지센서 132 ; 수위감지램프

Claims (6)

  1.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내측에 소정의 실내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실내공간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란구동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고정홀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틀연결수단으로 회전축과 연결되며, 주변부에는 알판이 적재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되는 전란틀;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에 관통된 전란틀이 고정되어 수평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란틀의 저면에 결합되는 베어링이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각도변환부를 포함하는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란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란틀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설치되는 콘트롤박스;
    상기 콘트롤박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상판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도록 체결하는 모터체결부와, 상기 회전축이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모터체결부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축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란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부에 돌출된 체결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연결부에는 상기 체결핀에 끼워지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축연결부와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소정 두께로 둘러싸여 설치되는 단열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전면부에는 내측도어가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벽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온열필름;
    상기 하우징의 측부 또는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도록 소정 높이의 틈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벽을 형성한 상기 온열필름의 상기 프레임에 접하는 측면에 소정 두께의 갭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된 공기 또는 상기 부화기 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틈 및 상기 갭을 통하여 강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가습부재;
    상기 콘트롤박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부재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공급관으로 연결되는 물공급부재;
    상기 가습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발열판;
    상기 물공급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저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부재에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KR1020140081723A 2014-07-01 2014-07-01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KR101669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723A KR101669718B1 (ko) 2014-07-01 2014-07-01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723A KR101669718B1 (ko) 2014-07-01 2014-07-01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16A true KR20160003416A (ko) 2016-01-11
KR101669718B1 KR101669718B1 (ko) 2016-10-27

Family

ID=5516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723A KR101669718B1 (ko) 2014-07-01 2014-07-01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7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7315A (zh) * 2016-12-19 2017-06-20 青岛橡胶谷知识产权有限公司 一种孵化家禽的承载装置
KR20210002047U (ko) * 2020-03-06 2021-09-15 전영학 달걀 부화기용 물 공급 장치
WO2023106684A1 (ko) * 2021-12-10 2023-06-15 (주)오토일렉스 부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778B1 (ko) 2018-07-06 2020-02-25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열전소자가 적용된 대형 인공 부화기
KR102147960B1 (ko) 2019-12-23 2020-08-26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대형 인공 부화장치
KR102413410B1 (ko) 2021-12-15 2022-06-29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대형 인공 부화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626A (ja) * 1995-03-28 1996-10-08 Kiyoyasu Arata 孵卵器
KR100191864B1 (ko) 1989-07-26 1999-06-15 위진느 아씨에르드샤띨롱에귀뇽 티타늄 또는 티타늄계 화학원소중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함유하는 금속재의 산성 욕 내에서의 산세척 방법
KR19990041446A (ko) 1997-11-21 1999-06-15 이구택 내식성 및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탈스케일 공정생략형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
KR20010084818A (ko) * 2000-02-29 2001-09-06 유용근 부화기
KR20100013714A (ko) * 2008-07-31 2010-02-10 김연주 알 부화기
KR20120003198A (ko) 2010-07-02 2012-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반경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864B1 (ko) 1989-07-26 1999-06-15 위진느 아씨에르드샤띨롱에귀뇽 티타늄 또는 티타늄계 화학원소중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함유하는 금속재의 산성 욕 내에서의 산세척 방법
JPH08256626A (ja) * 1995-03-28 1996-10-08 Kiyoyasu Arata 孵卵器
KR19990041446A (ko) 1997-11-21 1999-06-15 이구택 내식성 및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탈스케일 공정생략형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
KR20010084818A (ko) * 2000-02-29 2001-09-06 유용근 부화기
KR20100013714A (ko) * 2008-07-31 2010-02-10 김연주 알 부화기
KR20120003198A (ko) 2010-07-02 2012-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반경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7315A (zh) * 2016-12-19 2017-06-20 青岛橡胶谷知识产权有限公司 一种孵化家禽的承载装置
CN106857315B (zh) * 2016-12-19 2019-11-01 泉州市佑森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孵化家禽的承载装置
KR20210002047U (ko) * 2020-03-06 2021-09-15 전영학 달걀 부화기용 물 공급 장치
WO2023106684A1 (ko) * 2021-12-10 2023-06-15 (주)오토일렉스 부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718B1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718B1 (ko) 입체 전란각을 갖는 부화기
KR101853849B1 (ko) 부화기
EP2221036B1 (en) An infant incubator with radiant heater
US20170181413A1 (en) Egg incubator
CN206314408U (zh) 一种节能型鸡蛋孵化装置
WO2015108443A1 (ru) Инкубатор
KR100749151B1 (ko) 부화기
KR101397492B1 (ko) 수직형 부화기
CN211210982U (zh) 一种鸡苗孵化室
KR101880501B1 (ko) 달걀 부화장치
CN206547606U (zh) 一种集成式孵化箱
US5005523A (en) Hatcher with internally mounted exhaust duct and exhaust damper control means
KR200232215Y1 (ko) 부화기
KR20130011100A (ko) 부화기의 선반 구조
KR101651399B1 (ko) 부화장치
KR101452842B1 (ko) 거치부 이동식 수산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JP6225061B2 (ja) 鶏舎の換気構造及び鶏舎の換気方法
KR200179667Y1 (ko) 난 부화기
KR101225608B1 (ko) 부화기의 히팅 구조
US2526939A (en) Incubator brooder
CN208317902U (zh) 一种实验室中麻鸭孵化装置
CN203353409U (zh) 便携式孵化器
CN210184219U (zh) 一种自动孵化机
US6182608B1 (en) Heat removal and recovery system for incubators and hatchers
CN108967258A (zh) 一种多功能孵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