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671U - Pizza dough tray - Google Patents

Pizza dough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671U
KR20160002671U KR2020150000523U KR20150000523U KR20160002671U KR 20160002671 U KR20160002671 U KR 20160002671U KR 2020150000523 U KR2020150000523 U KR 2020150000523U KR 20150000523 U KR20150000523 U KR 20150000523U KR 20160002671 U KR20160002671 U KR 201600026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lange
side wall
doug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5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2079Y1 (en
Inventor
오광현
Original Assignee
청오디피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오디피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오디피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0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79Y1/en
Publication of KR20160002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7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7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5Baking sheets; Bak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6Baking-tins; Baking forms with reinforc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 시 부딪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피자 도우용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트레이는, 사각형상의 바닥면(12)과, 상기 바닥면(1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연결되는 네 개의 측벽(14)으로 구성되어, 상방이 열린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측벽(14)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외측면이 곡면을 가지도록 두께가 보강된 원호형 연결부(16)가 일체로 성형된다. 측벽(14)은, 그 중심 부 분에서 상기 원호형 연결부(16) 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측벽(14)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플랜지(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18)는 그 중간부분(18a)에서 모서리부분(18b)으로 갈수록 연장되는 폭이 점진적으로 좁게 성형되어, 상기 원호형 연결부(16)의 상부에 해당하는 플랜지는 직각 보다 큰 둔각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우가 올려지는 바닥면(123)은, 그 중앙에 형성되는 정점(12a)을 중심으로 측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성형되어 피자가 중심으로 몰려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tray for pizza dosing which can prevent damage due to collision during transportation.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12 and four sidewalls 14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12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side is formed into an open shape. At the corner where the side walls 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 arc-shaped connecting portion 16 reinforced with a thickness so as to have a curved outer surface is integrally formed. The sidewall 14 is formed so that its thickness progressively increases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arc-shaped connecting portion 16 side. And a flange 18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4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lange 18 has a width extending from the intermediate portion 18a toward the corner portion 18b The flang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rcuate connection portion 16 forms an obtuse angle larger than a right angle. The bottom surface 123 on which the dough is lifted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side wall around the apex 12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reby preventing the pizza from gathering at the center and sticking to each other.

Description

피자 도우 트레이{Pizza dough tray}Pizza dough tray}

본 고안은 피자 도우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같이 도우끼리 엉켜 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피자 도우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zza dough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zza dough tray configured to minimize jamming of dough such that damage due to impact can be minimized.

피자를 만들 때 사용되는 도우(dough)는 제조원에서 제조된 후, 피자를 만들어서 판매하는 매장으로 이송되어 매장에서 구워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도우는 팥빵과 같은 형태로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의 발효과정을 거친 후 여러 가지 식재료를 토핑한 상태에서 오븐을 통하여 구워져서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The dough used to make the pizza is usually manufactured at the manufacturing site, and then transferred to a store where the pizza is made and sold. Such a dough is manufactured by using flour as a main raw material in the form of anpan bread, fermen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aked through an oven in a state of topping various kinds of ingredients, and provided to consumers.

그리고 이러한 도우는 제조원에서 만들어진 후 사각형의 트레이를 이용하여 이송된다. 예를 들면 만들어진 피자 도우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형 트레이에 정해진 갯수 만큼 올려진 후, 이러한 트레이가 차량을 이용하여 각 매장으로 배송된다. 이렇게 피자 도우의 이송에 이용되는 도우 트레이는 일반적으로 상면이 개구된 사각형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These doughs are made at the manufacturer and then transported using a rectangular tray. For example, the created pizza dough is put on a square tray with a predetermined opening number, and then the tray is delivered to each store by vehicle. The dough tray used for the transfer of the pizza dough generally has a square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피자 도우 트레이는 사각형의 상자체라고 할 수 있는데, 도우의 배송과정에서 모서리 부분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피자 도우는 만들어진 장소에서 트레이에 올려지고, 이러한 트레이는 다시 운반되어 차량에 적재되며, 차량에 의하여 목적지에 도달한 트레이는 다시 원하는 장소로 운반된다. 이렇게 많은 이동 과정을 거치는 동안, 트레이끼리의 접촉 또는 외부에서의 충격 등에 의하여 트레이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such a general pizza dough tray can be said to be a rectangular shape, and many corner portions are damaged during the delivery of the dough. The pizza dough is placed on a tray at the place where it was made, and these trays are transported back to the vehicle, and trays reaching their destinations by the vehicle are transported back to the desired location. During the course of such a lot of movement, the trays may be damaged due to contact between the trays or external impact.

트레이의 파손 또는 부분적인 손상의 경우, 사각형 트레이에서 각 모서리 부분이 가장 많이 손상되거나 파손된다. 즉, 상면이 열린 사각형 트레이에서 각 모서리 부분이 외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강도의 측면에서 가장 취약한 모서리 부분이 외력에 가장 쉽게 노출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event of breakage or partial damage to the tray, each corner of the rectangular tray is most likely to be damaged or destroye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corner portions of the square tray opened on the top face are most damaged by the external force.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easiness of exposure to the external force, which is the weakest edge in terms of strength.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자 도우를 내장한 상태로 운반되는 도우 트레이가 외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damage to a dowry tray carried with a pizza douch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반 과정에서 트레이 내부에 올려져 있는 다수의 피자 도우가 서로 달라붙거나 엉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s many of the pizza doughs that are placed in the tray from being tucked or tangled during transport as much as possibl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직사각형 형태의 트레이를 다양한 형태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하여, 도우를 최적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tray to be stack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dough can be maintained at an optimum temperatur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는, 반죽 형태의 피자 도우가 올려지는 사각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연결되는 네 개의 측벽으로 구성되어, 상방이 열린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측벽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외측면이 곡면을 가지도록 두께가 보강된 원호형 연결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원호형 연결부는, 두께 자체가 보강되어 강도 보강을 역할을 함과 같이 외측면이 곡면을 가지고 있어서 외력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on which a dough-shaped pizza dough is placed, and four sidewalls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 In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side wa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 arc-shaped connecting portion reinforced in thickness so that the outer side has a curved surface is integrally formed. The arc-shaped connecting portion is reinforced by the thickness itself and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so that the outer surface has a curved surface, which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측벽은, 그 중심 부분에서 상기 원호형 연결부 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성형되고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wall is formed such that its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portion toward the arcuate connection portion side.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플랜지는 그 중간부분에서 모서리부분으로 갈수록 연장되는 폭이 점진적으로 좁게 성형되어, 상기 원호형 연결부의 상부에 해당하는 플랜지는 직각 보다 큰 둔각을 형성하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further includes a flange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idth of the flange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edge portion so that the flang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rcuate connection portion forms an obtuse angle larger than a right angle.

그리고 본 고안의 트레이의 바닥면은, 그 중앙에 형성되는 정점을 중심으로 측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side wall about the vertex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본 고안의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는 안착부가 성형된 지지돌기가 돌출 성형되고, 트레이의 저면에서 일정한 폭으로 돌출 성형된 삽입테두리부에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홈부분이 성형되어, 트레이가 십자형으로 적재될 때 상기 안착부에 홈부분이 결합되어 요동 없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protrusion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is protruded an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and a groove portion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an insertion frame portion protruding and formed with a constant width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And when the tray is loaded in a cruciform shape, the groove portion is coupled to the seat portion so that the seat portion can be supported without swinging.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llowing operational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측벽의 모서리 부분에는 원호형 기둥형태의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트레이와 비교할 때, 동일한 강도의 외력에 의하여 측벽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트레이는 측벽 자체의 두께도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원호형 보강부와 같이 측벽 자체의 강성도 충분히 보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rst, the reinforcing portion in the form of an arcuate column is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side wall, so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sufficient strength against the external force. Therefore,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ra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edge portion of the side wall by the external force having the same strength.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cker thickness of the sidewall itself as it goes to the corner portion, so that the stiffness of the side wall itself is sufficiently reinforced like the arc-shaped reinforced portion.

그리고 모든 측벽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분의 모서리의 형상을 살펴보면, 종래의 직각에 비하여 보다 둔각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서리 부분이 상대적으로 둔각으로 성형된다는 것은, 외력에 대하여 더욱 강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flang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all the side walls shows a more obtuse angl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ight angle. The fact that the corner portion is formed at a relatively obtuse angle in this way means that it can act more strongly on the external force.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트레이의 저면은 중심부분이 가장 높고 외측 가장 자리부분이 낮은 경사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피자 도우가 발효에 의하여 부피가 커지게 되어도 트레이의 중앙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트레이에 의하면, 반죽 상태의 도우는 외부 측벽 쪽으로 미세한 이동할 가능성이 더 높아서, 중앙부분에서 다수의 도우가 들어붙거나 엉키게 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is formed with a slope having a highest center portion and a lower outer edge portion.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pizza dough is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y even if the volume becomes large due to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gh in the dough state is more likely to move finely toward the outer side wall, so that a drawback that many doughs are entangled or entangled in the center portion can be solved.

본 고안에 의하면, 트레이를 동일한 방향으로 적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십자형태로 교대로 적재하는 것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실려져서 운반되는 과정에서도, 반죽 상태의 도우는 설정된 저온상태에 충분히 노출될 수 있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oad the trays in the same direction, but it is also possible to load the trays alternately in a cross shape. Therefore, the dough state of the dough state can be expected to be sufficiently exposed to the set low temperature state even during the transportation carried by the vehicle.

도 1은 본 고안의 도우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도우 트레이의 상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우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gh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ugh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ough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우 트레이는, 사각형상의 바닥면(12)과, 상기 저면의 테두리 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네 개의 측벽(1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우 트레이는, 제조원에서 생산한 반죽 상태의 도우를 적정 수 올려놓고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As shown in Figs. 1 to 3, the dough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12 and four side walls 14 extending upward from the rim of the bottom surface. Such a dough tray can move the dough state dough produced by the manufacturer at an appropriate number.

본 고안의 내 개의 측벽(14)의 연결 부분, 즉 모서리 부분에는 원호형 보강부(16)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원호형 보강부(16)는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면이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두 개의 측벽(14a,14b)은 직각으로 만나게 되는데, 이렇게 두 개의 측벽(14a,14b)이 직각으로 만나는 부분에서, 그 외측부분이 원호형을 이루도록 기둥형태의 보강부를 형성한 것이 원호형 보강부(16)이다. The arcuate reinforcing portion 16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that is,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inner sidewall 1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shaped reinforcing portion 16 is intend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a portion where two adjacent surfaces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plate-shaped two side walls 14a and 14b meet at right angles. In the portion where the two side walls 14a and 14b meet at right angles, Shaped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form the arc-shaped reinforcing portion 16.

이러한 원호형 보강부(16)는, 본 고안의 트레이가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것임을 고려하면, 트레이 자체의 사출 성형 시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보강부(16)는, 직각으로 만나는 두 개의 측벽의 모서리부분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보강함으로써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하는 의미가 있고, 외측부분을 원호형 단면을 가지도록 성형함으로써(즉 외측 부분을 곡면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외부의 물체와의 접촉 또는 외력에 의한 충격에 대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rc-shaped reinforcing portion 16 is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the tray itself considering that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ion-mold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reinforcing portion 16 has a meaning to have a sufficient rigidity against an external force by substantially reinforcing the thickness of the corner portions of the two sidewalls which meet at right angles. By forming the reinforcing portion 16 so as to have an arcuate section That is, by shaping the outer portion into a curved shape), it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or an impact caused by an external force.

이와 같이 상기 보강부(16)는, 두 개의 측벽(14a,14b)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을 두껍게 형성하는 것 이외에도, 이러한 모서리 부분의 외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그 충격의 일부가 스치거나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충격 전체가 트레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forming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two sidewalls 14a and 14b meet thickly, the reinforcing portion 16 is formed in a curved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so that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entire impact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ray.

이와 같은 보강부(16)는 네 개의 측벽(14)의 모든 모서리에 같이 적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모서리의 원호형 보강부(16)를 구비하는 각각의 측벽(14)도 외력 또는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보강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4a)의 중간부분(14c)은 기본적인 두께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중간부분(14c)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측벽(14a)에서 상기 원호형 보강부(16)에 가까운 외측부분(14d)는 중간부분(14c)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uch reinforcement 16 may be applied to all the four corners of the four side walls 14 as well. Each of the side walls 14 provided with the arc-shaped reinforcing portions 16 having such corners also has a reinforcing structure having sufficient strength against an external force or an external impact. 3, the intermediate portion 14c of the side wall 14a has a basic thickness,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14c is formed gradually thicker toward the outer side. Therefore, the outer portion 14d near the arc-shaped reinforcing portion 16 in the side wall 14a has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middle portion 14c.

이와 같이 측벽(14)에서, 중간부분(14c)은 기본적인 두께를 가지고 외측으로 갈수록 원호형 보강부(16)에 가까운 외측부분(14d)은 점차적으로 두께를 두껍게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측벽(14) 자체의 강도도 충분히 보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이의 운반 또는 이송 과정에서, 가장 외부의 충격을 많이 받는 부분은 모서리 부분임을 상술한 바와 같다. 즉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외력에 자주 노출될 뿐만 아니라 강한 외력에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측벽(14)의 중간 부분을 기본적인 두께를 가지도록 하고, 이러한 중간부분(14c)에서 외측부분(14d)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를 보강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ide wall 14, the intermediate portion 14c has a basic thickness, and the outer portion 14d, which is closer to the arc-shaped reinforcing portion 16, gradually becomes thicker toward the outside, Its own strength can be sufficiently reinforced.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y is transported or transported, the portion with the greatest external impact is the edge portion. In other words, it is often exposed to the external force as well as exposed to the strong external force toward the corner por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side wall 14 has a basic thickness, and the thickness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middle portion 14c to the outer portion 14d.

그리고 본 고안에서, 중간부분(14c)에서 외측부분(14d)으로 갈수록 점전적으로 두께를 두껍게 설계하는 것도, 외력에 대하여 더욱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14)의 두께 변화가 본 고안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것이 아니라, 계단식으로 두꺼워지게 되면 두께가 급격하게 변하는 부분에서는 외력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또한 사출 성형의 특성 상 급격한 두께 변화가 있으면 이러한 부분에는 여러 가지 사출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경우를 고려하여, 네 개의 측벽(14)을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부분(14c)을 기본두께로 설정하고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설계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igning the thickness to be thicker from the intermediate portion 14c toward the outer portion 14d is also designed to have a more sufficient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14 is not gradually increas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ckened in a stepwise manner, it is inevitably vulnerable to an external force at a portion where the thickness is suddenly changed. In addition, if there is a sudden change in thicknes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njection molding,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various types of injection defects are likely to occur in such por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 side walls 14 are designed so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14c is set to the basic thickness and gradually becomes thicker toward the outer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various cases.

다음에는 본 고안의 도우 트레이의 바닥면(12)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의 바닥면(12)은 중앙의 정점(12a)이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네 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면이 네 개로 성형되는 것은, 본 고안의 트레이가 사각형의 저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바닥면(12)의 경사면의 경사도는 아주 작은 경사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Next, the bottom surface 12 of the dough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bottom surface 12 of the tray has the highest vertex 12a at its center and is formed with four inclined surface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The reason why the inclined surfaces are formed into four is that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The slop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2 has a very small inclination.

이러한 바닥면(12) 상에는 반죽 상태인 다수의 도우가 올려진다. 반죽 상태인 도우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효되어 실제 그 크기도 크게 된다. 이와 같이 도우의 크기가 크게 되면 인접한 도우의 들러붙거나 엉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트레이의 바닥면(12)을 중앙의 정점(12a)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낮게 경사지도록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발효과정에서 부피가 커진 도우 및 이송 도중 작은 진동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는 도우는, 상기 트레이의 바닥면(12)에서 중앙부분으로는 모일 수 없고, 각각 외측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다. A plurality of dough-like doughs are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12. The dough that is in the kneaded state is fermented with the lapse of time, and the size of the dough is actually increased. Thus, when the size of the dough is large, there is a fear of sticking or tangling of the adjacent dough.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12 of the tray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lower toward the outer side around the vertex 12a at the center. Thus, the dough which is bulky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dough which can be moved by the small vibration during the transfer can not be collec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2 of the tray, and must be moved outwardly.

다수 개의 도우가 모두 4개의 면을 향하여 외측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다수 개의 도우가 서로 중앙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근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이 저면의 중앙의 정점(12a)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네 개의 측벽(14)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성형하게 되면, 도우가 서로 중앙으로 집중하여 들러붙거나 엉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The fact that a plurality of doughs are forced to move outward toward all four surfaces means that a plurality of doughs do not substantially approach each other and move to the center of each other. Accordingly,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wnward inclination of the dowels toward the out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vertex 12a of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four side walls 14) minimizes the tendency of the dowls to concentrate on each other and sticking or tangling It is possible to do.

그리고 상술한 4개의 측벽(14)의 상면에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18)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플랜지(18)는 실제 사용 시에는 사용자가 트레이를 잡아서 들거나, 트레이의 적재를 위하여 성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이러한 플랜지(18)에도 외부의 충격에 대한 보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4개의 측벽에는 모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1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플랜지(18)는 모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A flange 18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 side walls 14 described above. Such a flange 18 can be said to be formed by a user holding the tray in the actual use, or being formed for loading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18 also has a reinforcing structure against an external impact. Referring to FIG. 2, all four side walls are provided with outwardly extending flanges 18, and all of these flanges 18 are connected.

도 2에서 우측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본 고안에서의 플랜지(18)는, 중간부분(18a)에서는 외측으로 연장된 폭이 넓고, 중간부분(18a)에서 외측부분(18b)[측벽의 모서리부분]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연장되는 폭이 좁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플랜지(18)는 중앙부분 또는 중간부분(18a)에서 가장 많이 연장되고, 외측부분(모서리부분)에서는 가장 작게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플랜지(18)의 돌출량의 변화는 측벽(14)의 경우와 같이 점점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보았을 경우 상기 플랜지(18)의 외곽선이 곡선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 the flange 18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e width extending outward in the middle portion 18a and an outer portion 18b at the middle portion 18a , The width extending outward is narrowed. In other words, the flange 18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extend most in the center portion or middle portion 18a and to extend outwardly the smallest at the outer portion (corner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lange 18 gradually changes as in the case of the side wall 14.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outline of the flange 18 is curved when viewed from top to bottom.

따라서 모서리 부분의 플랜지(18)는, 평면도 상에서 보면, 90도 보다 현저하게 큰 둔각을 가지고 연결된다. 이와 같이 직각인 90도 보다 큰 둔각을 가지는 모서리의 플랜지(18)를 형성하게 되면, 외력이 플랜지(18)의 모서리 부분에 작용하더라도, 직각 모서리에 비하여 손상될 우려는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지(18)의 외곽선을 곡선으로 형성할 경우, 특히 플랜지의 모서리부분은 외력에 의하여 손상될 우려는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된다. Thus, the flange 18 of the corner portion is connected at an obtuse angle significantly greater than 90 degrees in plan view. By forming the flange 18 of an edge having an obtuse angle greater than 90 degrees, which is right angled, even if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edge portion of the flange 18, the risk of being damaged compared to the right corner can be remarkably reduced. Also,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line of the flange 18 is curved, it is expected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flange, particularly, will be less likely to be damaged by external force.

상기 플랜지(18)의 저면과 측벽(14)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25)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보강리브(25)는, 플랜지(18)의 저면과 측벽(14)의 외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플랜지(18) 및 측벽(14)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리브(25)도, 그 외측 부분에는 직각 형태가 아니라 곡면 처리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더욱 유리할 것이다. It can be seen that a reinforcing rib 25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is partially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18 and the side wall 14. [ This reinforcing rib 25 function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lange 18 and the side wall 14 by connecting the bottom face of the flange 18 and the outer side face of the side wall 14 . It would be even more advantageous for this reinforcing rib 25 to have a curved surface shape instead of a right angle shape in its outer portion.

그리고 이와 같은 피자 도우 트레이는, 다수가 적재된 상태로 차량에 의하여 운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트레이는 동일한 방향으로 적재되기도 하지만, 차량 내부의 냉기를 반죽 상태의 도우에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십자형으로 적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Such a pizza dough tray is generally carried by a vehicle in a state in which many of the pizza dough trays are loaded. Although the trays described above are stacked in the same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stack them in a cruciform shape in order to more efficiently convey the cold air inside the vehicle to the dough-state dough.

먼저 동일한 방향으로 트레이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테두리부(22)가 트레이의 열린 상부에 올려져서 적재된다. 즉, 트레이의 하단부 저면에는 바닥면(12)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테두리부(22)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테두리부(22)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폭을 가지고 하방으로 일정 높이로 연장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테두리부(22)가 트레이 상부에 올려지면 트레이의 측벽(14)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테두리부(22) 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저면 테두리부분(23)이 측벽(14)의 플랜지(18) 상에 올려진다. When the tray is loaded in the same direction, as shown in FIG. 3, the insertion edge portion 2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is stacked on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tray. In other words, an insertion rim portion 22 located inside the bottom surface 1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ray. The inserting frame portion 22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extend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refore, when the insertion rim portion 22 is raised on the tray, it is inserted into the side wall 14 of the tray. And a bottom edge portion 23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sertion edge portion 22 is placed on the flange 18 of the side wall 14. [

이와 같은 구성의 삽입테두리부(22)가 트레이의 열린 상부에 올려지면서 측벽(14)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것에 의하여, 트레이는 동일한 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를 동일한 방향으로 적재하는 것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The tray 22 can be stacked in the same direction by being stack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ide wall 14 while being placed on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tray. The stacking of the trays in the same direction is a widely used structure.

그리고 본 고안의 트레이는 교대로 적재할 수 있는데, 이는 트레이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적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십자형으로 적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트레이를 십자형으로 적재하는 것은, 하부의 트레이 내부에도 냉기가 쉽게 침투할 수 있게 되어, 하부 트레이에 있는 도우의 온도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trays of this invention can be stacked alternately, which means that the trays are loaded alternately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meaning that they can be stacked in a cross. In this manner, when the tray is mounted in a cross shape, it is expected that cool air can easily penetrate into the lower tray, thereby helping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dough in the lower tray.

이러한 십자형 적재를 위하여, 트레이의 플랜지(18)의 상면에는 4개의 지지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24)는 일측벽의 플랜지(18)에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총 4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24)의 상면에는 안착부(26)가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부(26)는 트레이 저면의 홈부분(28)이 안착되는 부분이고, 이러한 홈부분(28)이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요동하지 않도록, 하나의 측벽(14)의 플랜지(18)에서 서로 마주 보는 L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such cross mounting, four support protrusions 24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8 of the tray. These support protrusions 24 are formed as a pair facing each other on the flange 18 of one side wall, and are composed of four in total. A seating part 2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4. The seating part 26 is a part where the groove part 28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is seated and when the groove part 28 is seated Shaped so as to face each other at the flange 18 of one side wall 14 so as not to swing from left to right.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삽입테두리부(22)에서 상기 지지돌기(24)의 안착부(2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안착홈(28)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이를 십자형으로 서로 다수개 적층하게 되면, 상기 삽입테두리부(22)에 형성된 안착홈(28)이, 상기 지지돌기(24)의 안착부(26)에 올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26)는, 하나의 측벽(14) 상의 플랜지(18)에서는 서로 마주 보는 L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적재된 상태에서 좌우로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3, a seating groove 28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26 of the support projection 24 in the insertion frame portion 22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a plurality of trays are stacked on each other in a cross shape, the seating groove 28 formed in the insertion frame portion 22 is raised on the seating portion 26 of the support projection 24. In this state, since the seat portion 26 is formed in an L-shape facing each other in the flange 18 on one side wall 14, the seat portion 26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swinging left and right in a stacked stat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먼저 측벽의 모서리 부분의 원호형 보강부(16)에 의하여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고, 측벽 자체도 모서리부분으로 갈수록 보강부(16)에 근접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보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측벽(1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18)의 모서리의 형상도 종래의 직각에 비하여 보다 둔각을 형성하도록 성형되고 있고, 트레이의 바닥면은 중심부분이 가장 높고 외측 가장 자리부분이 낮은 경사로 성형되어 도우가 발효에 의하여 부피가 커지게 되어도 트레이의 중앙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트레이를 동일한 방향으로 적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십자형태로 교대로 적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shaped reinforcing portion 16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side wall can have a sufficient strength against the external force, and the side wall itself is close to the reinforcing portion 16 toward the corner port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reinforced to have a thickness. The edges of the flanges 18 formed on the upper portions of all the side walls 14 are also formed so as to form an obtuse angle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rectangular angle.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has the highest center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ugh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y even if the dough becomes bulky due to fermentation. Although it is possible to load the trays in the same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y can be stacked alternately in a cross shap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scope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something to do.

12 ..... 바닥면
14 ..... 측벽
16 ..... 원호형 보강부
18 ..... 플랜지
22 ..... 삽입테두리부
23 ..... 저면테두리부분
28 ..... 홈부분
12 ..... floor
14 ..... side wall
16 ..... Arcuate reinforcement
18 ..... Flange
22 ..... insertion edge portion
23 ..... Bottom edge part
28 ..... groove portion

Claims (5)

사각형상의 바닥면(12)과, 상기 바닥면(1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연결되는 네 개의 측벽(14)으로 구성되어, 상방이 열린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측벽(14)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외측면이 곡면을 가지도록 두께가 보강된 원호형 연결부(16)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도우용 트레이.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12 and four side walls 14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2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upper side being formed into an open shape;
Wherein an arc-shaped connecting portion (16) having a thickness reinforced to have a curved outer surface is integrally formed at an edge portion where the side walls (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4)은, 그 중심 부분에서 상기 원호형 연결부(16) 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성형되는 피자 도우용 트레이.
The tr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wall (14) is formed such that its thickness progressively increases from its central portion toward the arcuate connection portion (16) s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플랜지(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18)는 그 중간부분(18a)에서 모서리부분(18b)으로 갈수록 연장되는 폭이 점진적으로 좁게 성형되어, 상기 원호형 연결부(16)의 상부에 해당하는 플랜지는 직각 보다 큰 둔각을 형성하는 피자 도우용 트레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flange 18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lange 18 has a gradually narrower width extending from the intermediate portion 18a toward the corner portion 18b Wherein the flang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rcuate connection portion (16) forms an obtuse angle greater than a right ang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2)은, 그 중앙에 형성되는 정점(12a)을 중심으로 측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성형되는 피자 도우용 트레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ttom surface (12)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ide wall around a vertex (12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는 안착부(26)가 성형된 지지돌기(24)가 돌출 성형되고, 트레이의 저면에서 일정한 폭으로 돌출 성형된 삽입테두리부(22)에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홈부분(28)이 성형되어, 트레이가 십자형으로 적재될 때 상기 안착부(26)에 홈부분(28)이 결합되어 요동 없이 지지될 수 있는 피자 도우용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3,
A support protrusion 24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26 is protruded an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A groove portion 28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insertion frame portion 22, Is formed and the groove portion (28) can be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26) when the tray is loaded in a cross shape so that it can be supported without rocking.
KR2020150000523U 2015-01-22 2015-01-22 Pizza dough tray KR2004820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23U KR200482079Y1 (en) 2015-01-22 2015-01-22 Pizza dough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23U KR200482079Y1 (en) 2015-01-22 2015-01-22 Pizza dough t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71U true KR20160002671U (en) 2016-08-01
KR200482079Y1 KR200482079Y1 (en) 2016-12-12

Family

ID=5671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523U KR200482079Y1 (en) 2015-01-22 2015-01-22 Pizza dough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79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139A (en) * 1993-09-22 1995-12-05 Invention Machine Corporation Pizza box
JP2003327246A (en) * 2002-05-13 2003-11-19 Gifu Plast Ind Co Ltd Transporting container
KR20080003609U (en) * 2007-02-23 2008-08-27 지종민 Pizza pan
KR20090003320U (en) * 2007-10-05 2009-04-09 산 넹 베이크 웨어 코포레이션 Frypan for bak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139A (en) * 1993-09-22 1995-12-05 Invention Machine Corporation Pizza box
JP2003327246A (en) * 2002-05-13 2003-11-19 Gifu Plast Ind Co Ltd Transporting container
KR20080003609U (en) * 2007-02-23 2008-08-27 지종민 Pizza pan
KR20090003320U (en) * 2007-10-05 2009-04-09 산 넹 베이크 웨어 코포레이션 Frypan for bak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079Y1 (en)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4507B2 (en) Stackable container
CA2712918C (en) Bakery tray and dolly
US4635562A (en) Sidewall assembly for tote box
MX2007006510A (en) Nestable and stackable container for the transport of heavy baked items.
MX2013010692A (en) Three tiered tray.
US8382202B2 (en) Stackable child safety seat
US6953116B2 (en) Stackable tray having prestressed sections
US7637373B2 (en) Stackable container
US7063210B2 (en) Stackable crate
MX2012014565A (en) Transporting container.
EP2655203B1 (en) Hybrid shipping container
US20100326871A1 (en) Tray
US20050040166A1 (en) Open five-piece container with bail bar arrangements
KR200482079Y1 (en) Pizza dough tray
US20170008667A1 (en) Single sheet molded plastic pallet
EP2426059B1 (en) Nestable and stackable container
EP0867113A2 (en) Cage for transporting poultry
US20100176137A1 (en) Combination pizza box and leveling device
JP7144031B2 (en) container
JP4700233B2 (en) Sharitama tray
JP3709392B2 (en) Folding container
JP7378726B2 (en) container
US20230294875A1 (en) Spacer for stacking open containers
JP2004161319A (en) Carrying container
JP6293002B2 (en) Fold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