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618A -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618A
KR20160002618A KR1020150178980A KR20150178980A KR20160002618A KR 20160002618 A KR20160002618 A KR 20160002618A KR 1020150178980 A KR1020150178980 A KR 1020150178980A KR 20150178980 A KR20150178980 A KR 20150178980A KR 20160002618 A KR20160002618 A KR 2016000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dentifier
sett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399B1 (ko
Inventor
박원기
김정훈
최성필
이호진
유재욱
정은용
심병렬
김병조
Original Assignee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3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이 개시된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상기 확인된 위치를 서로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가 상기 등록된 위치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와 연관하여 저장된 위치별 사용자 설정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SERVICE PROVIDING METHOD AND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SETTING VARIOUS FUNCTION BASED ON LO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의 활용이 가능한 만큼, 다양한 설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사에 출근하여 와이파이(WiFi) 모듈을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를 진동모드로 변경하며,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별 알림 소리를 줄이는 등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의 위치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설정을 변경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매번 사용자가 이러한 모든 설정을 직접 변경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작업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위치(일례로, 집, 학교, 회사 등)에 따라 미리 등록된 설정으로 자동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상기 확인된 위치를 서로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가 상기 등록된 위치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와 연관하여 저장된 위치별 사용자 설정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위치 별로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등록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의 확인과 연관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중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cell-identifier)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상기 셀 식별자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상기 식별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등록된 셀 식별자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과 연관된 제2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위치 별로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등록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치 파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설치 파일 관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설치 파일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상기 확인된 위치를 서로 연관하여 등록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가 상기 등록된 위치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와 연관하여 저장된 위치별 사용자 설정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위치 별로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등록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등록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치 파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설치 파일 관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설치 파일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의 확인과 연관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중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cell-identifier)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의 식별자를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상기 셀 식별자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상기 식별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등록된 셀 식별자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과 연관된 제2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위치 별로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등록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등록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을 제공한다.
현재 위치(일례로, 집, 학교, 회사 등)에 따라 미리 등록된 설정으로 자동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10) 파일 배포 시스템(120) 및 설치 파일(130)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스마트폰과 같이 이동통신과 데이터 통신이 모두 가능한 사용자의 휴대기기일 수 있고, 파일 배포 시스템(120)은 설치 파일(130)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배포 시스템(120)은 설치 파일(130)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설치 파일 관리부(121) 및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요청에 따라 설치 파일(130)을 이동통신단말기(110)로 전송하는 설치 파일 전송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10)는 파일 배포 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한 설치 파일(13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installation)할 수 있으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이동통신단말기(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21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10)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별 사용자 설정은,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10)를 통해 제어 가능한 모든 기능들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회사에는 이동통신단말기(110)가 진동모드로 변경되도록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사용자가 회사로 설정하고자 하는 장소의 위치가 어디인가를 이동통신단말기(110)가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회사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이동통신단말기(110)의 화면에 표시하는 위치 확인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현재 위치가 회사임을 이동통신단말기(110)가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확인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23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확인된 위치를 서로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위치에서 어떠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이 적용되어야 하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이동통신단말기(110)에 포함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서버에 또는 둘 모두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에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10)의 분실이나 교체 시에도 등록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재설정하지 않고 계속 이용할 수 있다.
단계(24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이동통신단말기(110)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위치와 연관된 장소에 존재할 때, 등록된 위치와 연관하여 등록된 위치별 사용자 설정으로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설정을 변경해야 할 필요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항상(또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단계(25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모니터링된 위치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경우, 모니터링된 위치와 연관하여 저장된 위치별 사용자 설정으로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110)가 위치를 확인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1) 내지 (3)과 같은 세 가지 기술 중 하나를 이용한다.
(1)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cell-identifier)를 이용하는 기술 -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은 이동통신 기지국이 커버하는 지역에 대해 고유한 셀 식별자 값을 갖는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10)가 수신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활용하면, 적어도 이동통신단말기(110)가 해당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지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기(110)의 대략적인 위치(수 m ~ 수 km의 오차 존재)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심지의 경우에는 펨토셀이나 마이크로셀 등의 작은 기지국들이 많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110)의 보다 정확한 위치(수 m 범위의 오차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2) 와이파이 정보를 이용하는 기술 -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는 저마다 고유의 맥(MAC)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10)가 통신 가능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맥(MAC) 주소를 활용하면 수 m 이내의 오차거리로 특정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3)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는 기술 - 이러한 GPS는 실외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위치를 수 m 이내의 오차거리로 특정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GPS나 와이파이 정보를 이용하는 기술은 셀 식별자(cell-identifier)를 이용하는 기술보다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배터리 소모량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와이파이 정보를 이용하는 기술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곳에서만 위치의 확인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세 가지 기술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확인 기술로 이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면서도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셀 식별자를 이용하는 기술과 와이파이 정보를 이용하는 기술을 융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단계(210)에서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가 통신중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 및 이동통신단말기(110)가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의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는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확인된 셀 식별자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서로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단계(24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다음 제1 단계(미도시) 및 제2 단계(미도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240)에 상술한 제1 단계 및 제2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이동통신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에서의 셀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10)는 기본적으로 추가적인 배터리의 소모 없이 현재 통신하고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확인된 셀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다면, 이동통신단말기(110)가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에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별도의 배터리 소모 없이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통신하고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항상 또는 기설정된 시간간격마다) 확인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현재 위치에서의 셀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10)가 현재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은 배터리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기 때문에 항상 와이파이 정보를 이용하는 기술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10)의 대략적인 위치를 먼저 파악하여 이동통신단말기(110)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 와이파이 모듈을 온 상태로 변경하여 와이파이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면서도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정확한 위치(이동통신단말기(110)의 설정을 변경해야 할 것인가를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위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정확한 위치가 얻어지면,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다시 와이파이 모듈을 오프 상태로 변경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반면, 현재 위치에서의 셀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다 하더라도, 셀 식별자와 연관하여 등록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확인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셀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확인 기술의 오차범위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확인 기술의 오차범위보다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계(240)에 제3 단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3 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현재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중인 경우, 등록된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셀 지역에는 진입하였으나, 아직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목적지에는 도착하지 못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와이파이 모듈을 온 상태로 변환하여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맥 주소)를 확인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지도(300)에서 실선 원(310)은 사용자의 집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꺾인 화살표(32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점선 타원(330)은 사용자의 집을 커버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집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입력하여 점선 타원(330)의 영역에 대응하는 셀 식별자와 사용자의 집에 설치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제1 X-표시(340)의 위치에 도착하였다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영역에 들어서게 된다. 따라서, 해당 셀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와이파이 모듈을 온 상태로 변경하여 통신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X-표시(340)의 위치에서는 등록된 식별자가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와이파이 모듈을 바로 또는 일정 시간 이후에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X-표시(350)의 위치와 같이, 셀 식별자가 등록된 곳이 아닌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별도로 동작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통신단말기(110)가 점선 타원(330)을 벗어나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110)가 와이파이 모듈을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3 X-표시(360)의 위치와 같이, 다시 셀 식별자가 등록된 곳에서는 다시 와이파이 모듈을 온 상태로 변경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X-표시(360)의 위치에서도 등록된 식별자가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와이파이 모듈을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10)는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와이파이 모듈을 온 상태로 변경하여 다시 통신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였다면,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등록된 위치별 사용자 설정으로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시간동안에도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지 못하였다면,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등록된 식별자를 찾지 못하기 때문에 아직 집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집에 도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인식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등록된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등록된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반복적으로 와이파이 모듈을 온 상태로 변경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10)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위치별 사용자 설정의 확인과 연관된 제1 위치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가 통신중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cell-identifier) 및 이동통신단말기(110)가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의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셀 식별자 및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이동통신단말기(110)가 통신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 식별자가 확인되는 경우, 모니터링과 연관된 제2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45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0)는 제2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가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이동통신단말기(110)에 적용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 식별자가 확인되나, 제2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가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다르거나 제2 위치에서 식별자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10)는 기설정된 시간 이후의 제3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10)는 단계(450) 대신 제3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이동통신단말기(110)에 적용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서비스 제공 방법 또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은 이동통신단말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120)이 제공하는 설치 파일(13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현재 위치(일례로, 집, 학교, 회사 등)에 따라 미리 등록된 설정으로 자동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에서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소리모드로 변경하고, 알람 소리를 최대로 키우고, 와이파이 모듈이 온 상태가 되도록 이동통신단말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들고 집으로 들어서면, 이동통신단말기는 현재의 위치가 집인 것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소리모드로 변경하고, 알람 소리를 최대로 키우고, 와이파이 모듈이 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회사에서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알림과 알람 등을 진동모드로 변경하고,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며, 와이파이 모듈이 온 상태가 되도록 이동통신단말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들고, 회사로 들어서면, 이동통신단말기는 현재의 위치가 회사임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알림과 알람 등을 진동모드로 변경하고,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며, 와이파이 모듈이 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이동통신단말기나 파일 배포 시스템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이동통신단말기나 파일 배포 시스템 또는 그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례로, 도 1을 통해 설명한 게임 시스템(100) 및/또는 사용자의 단말기(110)가,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5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5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510), 메모리(memory)(5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530), 입/출력 시스템(I/O system)(540), 전력부(550) 및 통신부(5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 5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5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500)은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부(560)에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컴퓨터 시스템(5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5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5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5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5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530)는 컴퓨터 시스템(5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510) 및 메모리(5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5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시스템(5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5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시스템(5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5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시스템(5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5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부(5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5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부(5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상기 확인된 위치를 서로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가 상기 등록된 위치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와 연관하여 저장된 위치별 사용자 설정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위치 별로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등록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확인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중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cell-identifier)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의 셀 식별자가 등록된 셀 식별자인지 확인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셀 식별자가 상기 등록된 셀 식별자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현재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식별자가 등록된 식별자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식별자인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등록된 식별자인지 확인하는 제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와이파이(WiFi) 모듈을 통해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맥(MAC)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와아파이 모듈을 온(on)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현재 통신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맥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맥 주소가 등록된 맥 주소인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의 확인과 연관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중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cell-identifier)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상기 셀 식별자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상기 식별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등록된 셀 식별자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과 연관된 제2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위치 별로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등록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확인하고,
    상기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과 연관된 위치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 및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셀 식별자가 확인되나, 상기 제2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다르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식별자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후의 제3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더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위치별 사용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치 파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설치 파일 관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설치 파일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상기 확인된 위치를 서로 연관하여 등록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가 상기 등록된 위치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와 연관하여 저장된 위치별 사용자 설정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위치 별로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등록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등록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를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과 연관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중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cell-identifier)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13.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치 파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설치 파일 관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설치 파일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의 확인과 연관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중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cell-identifier)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의 식별자를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상기 셀 식별자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상기 식별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등록된 셀 식별자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과 연관된 제2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위치별 사용자 설정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위치 별로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을 등록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등록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정 중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입력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과 연관된 위치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식별자 및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의 식별자를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등록된 셀 식별자가 확인되나, 상기 제2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다르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식별자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후의 제3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를 더 확인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확인된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위치별 사용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KR1020150178980A 2015-12-15 2015-12-15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 KR10206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80A KR102064399B1 (ko) 2015-12-15 2015-12-15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80A KR102064399B1 (ko) 2015-12-15 2015-12-15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295A Division KR101579565B1 (ko) 2014-02-19 2014-02-19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18A true KR20160002618A (ko) 2016-01-08
KR102064399B1 KR102064399B1 (ko) 2020-02-11

Family

ID=5517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980A KR102064399B1 (ko) 2015-12-15 2015-12-15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3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4111A (ko) * 2011-05-03 2012-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2012529873A (ja) * 2009-06-12 2012-11-22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モバイル装置向けのコンテキスト・ベースの対話モデ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9873A (ja) * 2009-06-12 2012-11-22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モバイル装置向けのコンテキスト・ベースの対話モデル
KR20120124111A (ko) * 2011-05-03 2012-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399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572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489787B1 (en) Short-range device communications for secured resource access
KR101693948B1 (ko) 셀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설정을 변경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89413A1 (en) Automatic resource balancing for multi-device applications
JP5207400B2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位置情報提供方法及び測位統合装置
WO201313428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wireless device location based on proximate sensor devices
KR20180003185A (ko)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100515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arget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20061131A (ja) メッセンジャーボットを利用してIoT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75823B1 (ko)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79565B1 (ko)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
US112588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for a user equipment to a local device
EP3228097A1 (en) Resource control apparatus,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source
US97660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oor and outdoor mobile device navigation
KR102064399B1 (ko)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
JP7024211B2 (ja) 携帯端末装置、中継装置、管理システム、通知方法、中継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866705A (zh) 地理路由
JP6632247B2 (ja) 案内システム及び案内方法
US11852488B2 (en) Mapping power source locations for navigation
KR20170000362A (ko) 단말의 측위를 이용한 고객 안내 방법 및 시스템
CN106717032B (zh) 灯管理的方法,移动设备和灯管理网络
KR20180023342A (ko)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센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KR101536002B1 (ko)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착용형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679102B1 (ko) 위치사용에 대한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50026286A (ko)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