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557U -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557U
KR20160002557U KR2020150000245U KR20150000245U KR20160002557U KR 20160002557 U KR20160002557 U KR 20160002557U KR 2020150000245 U KR2020150000245 U KR 2020150000245U KR 20150000245 U KR20150000245 U KR 20150000245U KR 20160002557 U KR20160002557 U KR 201600025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ens
micromotors
controll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런
이상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런, 이상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런
Priority to KR2020150000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557U/ko
Publication of KR20160002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가 장착되어 출입자의 사진을 촬영하고 저장 및 전송이 가능한 도어록에 있어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관리자의 직접조절 또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Lens Direction Control System for camera door lock}
본 고안은 카메라가 장착되어 출입자의 사진을 촬영하고 저장 및 전송이 가능한 도어록에 있어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관리자의 직접조절 또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어록은 그 기능이 날로 발전하여 출입문의 단순 잠금 및 개폐로부터 출입자의 선별 통제를 위한 지문입력, 비밀번호, 근거리 무선통신수단 등을 이용하여 보안성이 강화되고 있으며, 출입자의 사진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외부의 관리자에게 송신하는 기능까지 부가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도어록 카메라의 사진촬영에 있어서는 도어록에 내장된 카메라는 고정된 방향만을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던바,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한번 설치된 도어록이 방향이 잘못 맞춰지면 출입자를 제대로 촬영할 수 없는 상황이 되므로 도어록을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또한 정당하지 않은 출입자가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회피하여 접근하면 출입자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없으므로 범죄에 취약하게 되는 등 출입자의 사진을 촬영하여 출입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보안상의 취약점이 발견되었던 것이다.
특허공개공보 10-2012-0048931(공개일자 2012년05월16일)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도어록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렌즈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고, 이러한 구동가능한 렌즈를 내부의 버튼이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하고 출입자의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설치되는 도어록에 있어서, 렌즈가 후단을 중심으로 36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후단을 볼조인트 방식으로 설치하고 렌즈의 측면에 90도 방향으로 각각 마이크로모터를 설치하여 렌즈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마이크로모터의 제어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릴레이가 구성된다.
마이크로모터의 제어를 위한 수단으로 도어록의 내부 측에 화살표로 표시되는 버튼, 또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토록 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최초 도어록을 설치시 설치장소의 특성이나 기타의 여건상 출입을 위하여 근접하는 사람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대, 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도어록을 다시 설치하거나 설치 장소의 여건을 변경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도어록을 설치한 후 사용되는 과정에서 출입자가 고의로 카메라를 회피하거나 기타의 이유로 출입자의 사진이 명확하게 촬영되지 않는 경우, 이를 건축물의 내부에서는 물론 외부에서도 수시로 조절을 하여 촬영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편의성과 보안성이 크게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도어록은 일측에 카메라용 렌즈(10)를 설치하되, 렌즈(10)가 설치되는 도어록의 표면 쪽 케이스(1)에 렌즈(10)가 후단을 중심으로 36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회동공간(2)을 마련하였다.
렌즈(10)를 설치할 때는 후단을 볼조인트(11) 방식으로 설치하여 렌즈(10)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였고 렌즈(10)의 측면에 90도 방향으로 각각 마이크로모터(20)(20')를 설치하여 2개의 마이크로모터(20)(20')의 작용으로 렌즈(10)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젖히도록 구성하여 결국 렌즈(10)가 자유롭게 전면의 상하좌우 모든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모터(20)(20')의 제어를 위한 장치로는 도어록의 내부 측에 상하좌우 화살표로 표시되는 버튼(3)을 구성하며, 이러한 버튼(3)의 신호를 중앙처리장치(30)에 전달토록 하며, 중앙처리장치(30)에 연결되어 마이크로모터(20)(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릴레이(31)가 구성된다.
마이크로모터(20)(20')의 제어를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인데, 스마트폰(40)으로부터 무선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무선송수신장치(32)가 중앙처리장치(30)에 연결되고, 스마트폰(40)에는 마이크로모터(20)(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앱(41: 어플리케이션)이 구성된다.
상기 앱은 스마트폰(40)의 화면상에 상하좌우 화살표 형식으로 된 화면 이미지를 터치하여 마이크로모터(20)(2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도면 중 미설명된 부호 4는 키패드, 5는 핸들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어락을 처음 설치시에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출입자를 정확히 촬영할 수 없는 각도이거나, 또는 설치 후 사용도중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실시간으로 촬영 중에 출입자기 의도적으로 카메라를 회피할 때 본 고안은 카메라 렌즈(1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각도의 조절은 도어록의 실내에 구성된 버튼(3)을 이용하거나 외부의 스마트폰(40)에 설치된 앱(41)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된다.
버튼(3)을 이용하여 조절을 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30)가 릴레이(31)에 신호를 전달하고 릴레이(31)가 마이크로모터(20)(20')를 작동시켜 렌즈(10)의 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관리자가 외부에서 스마트폰(40)을 이용하여 조절을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41)을 구동하면, 조절을 위한 화면이미지가 생성되고 이를 터치하게 되면 조절신호를 스마트폰(40)이 도어록의 무선송수신장치(32)에 신호를 보내며, 무선송수신장치(32)가 이를 중앙처리장치(30)에 전달하여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1: 케이스
2: 회동공간
3: 버튼
10: 렌즈
11: 볼조인트
20, 20': 마이크로모터
30: 중앙처리장치
31: 릴레이
32: 무선송수신장치
40: 스마트폰
41: 앱

Claims (3)

  1. 도어록 일측에 카메라용 렌즈(10)를 설치하되, 렌즈(10)가 설치되는 도어록의 표면 쪽 케이스(1)에 렌즈(10)가 후단을 중심으로 36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회동공간(2)을 마련하고,
    렌즈(10)를 설치할 때는 후단을 볼조인트(11) 방식으로 설치하여 렌즈(10)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렌즈(10)의 측면에 90도 방향으로 각각 마이크로모터(20)(20')를 설치하여 2개의 마이크로모터(20)(20')의 작용으로 렌즈(10)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마이크로모터(20)(2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30)와 마이크로모터(20)(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릴레이(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모터(20)(20')의 제어를 위한 수단으로 도어록의 내부 측에 화살표로 표시되는 버튼(3)을 구성하며, 이러한 버튼(3)의 신호를 중앙처리장치(30)에 전달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모터(20)(20')의 제어를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폰(40)으로부터 무선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무선송수신장치(32)가 중앙처리장치(30)에 연결되고, 스마트폰(40)에는 마이크로모터(20)(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앱(41)을 구성하며, 상기 앱은 스마트폰(40)의 화면상에 상하좌우 화살표 형식으로 된 화면 이미지를 터치하여 마이크로모터(20)(2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
KR2020150000245U 2015-01-13 2015-01-13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 KR201600025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245U KR20160002557U (ko) 2015-01-13 2015-01-13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245U KR20160002557U (ko) 2015-01-13 2015-01-13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57U true KR20160002557U (ko) 2016-07-21

Family

ID=5661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245U KR20160002557U (ko) 2015-01-13 2015-01-13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55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6170A (zh) * 2018-12-05 2019-02-26 苏州成利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易于识别的节能型智能锁
WO2020102143A1 (en) 2018-11-12 2020-05-22 Michael Presutti Activat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or barricading a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931A (ko) 2010-11-08 2012-05-16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비디오 폰 시스템에서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931A (ko) 2010-11-08 2012-05-16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비디오 폰 시스템에서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2143A1 (en) 2018-11-12 2020-05-22 Michael Presutti Activat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or barricading a door
EP3880908A4 (en) * 2018-11-12 2023-02-22 Michael Presutti ACTIVA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TO BLOCK A DOOR
CN109386170A (zh) * 2018-12-05 2019-02-26 苏州成利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易于识别的节能型智能锁
CN109386170B (zh) * 2018-12-05 2023-10-10 苏州成利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易于识别的节能型智能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31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US20170193723A1 (en) Door-Lock Using Iris Recognition and System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Gateway Used Therein,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9661272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holographic video conferencing
US100025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remote control of a function of a vehicle
US20140197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ve identification on a mobile device
WO2017092246A1 (zh) 亮度调整方法及装置
TW201629786A (zh) 使用低功率無線電控制較高功率通訊介面
CN106600784A (zh) 一种物联网智能猫眼系统及使用方法
KR20170132061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실내 방범장치
KR20160002557U (ko) 카메라 장착 도어록의 렌즈 방향조절 시스템
JP2016019155A5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098516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1143935B2 (en) Blade operating device and blade operating method
CN106657760B (zh) 摄像头控制方法及装置
CN104679250A (zh) 控制电子设备工作状态的方法及装置
KR101573887B1 (ko) 스마트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보안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9954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nti-loss method
KR101528526B1 (ko) 출입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840019B1 (ko)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제어장치
CN104980691A (zh) 监视摄影装置控制系统
JP2016197809A5 (ja) 制御装置、冷蔵庫、冷蔵庫撮影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115770A (ko) Eede암호화 시스템을 이용해 시리얼 번호를 암호화하여 pc 및 스마트폰을 활용한 도어락 제어장치
US20150281548A1 (en) Surveillance Controlling System
US20170195543A1 (en) Remote control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for capturing images
EP3222019B1 (en) Authorising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access to a pump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